맨위로가기

사포드 교육구 대 레딩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포드 교육구 대 레딩 사건은 2003년 미국 애리조나주의 한 중학교에서 13세 여학생 사바나 레딩이 학교 측의 알몸 수색을 받은 사건으로, 미국 수정헌법 제4조(부당한 수색 및 압수 금지) 위반 여부가 쟁점이 되었다. 레딩은 학교 측이 진통제 소지 혐의로 가방 수색 후, 속옷까지 벗는 신체 수색을 받았고, 이에 반발한 레딩 측이 학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 연방 대법원은 알몸 수색이 과도하게 침해적이었다는 이유로 수정헌법 제4조를 위반했다고 판결했으나, 학교 관계자들에게는 자격 면책을 인정했다. 이 사건은 학교 내 학생 수색의 합리성 기준과 학교 관계자의 면책 특권 범위를 다루며, 학교 내 인권 존중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판례 - 김할머니 사건
    김할머니 사건은 2008년 폐암 조직 검사 중 과다 출혈로 식물인간이 된 김할머니의 연명 치료 중단을 놓고 환자의 자기 결정권을 주장하는 자녀들과 생명 존중을 내세우는 병원 간에 벌어진 법적 공방으로, 대법원은 연명 치료 중단을 최종 판결했으며 헌법재판소는 관련 헌법소원 심판 청구를 각하했다.
  • 압수수색 -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은 적법 절차를 따르지 않고 수집된 증거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칙으로, 사법의 공정성과 수사기관의 위법 행위 억제를 목적으로 하며, 대한민국 형사소송법에 명시되어 있고 진술 및 비진술 증거 모두에 적용되지만, 대법원 판례는 구체적 상황을 고려하여 증거 배제 여부를 판단한다.
  • 압수수색 - 수색영장
    수색영장은 법 집행기관이 수사 목적으로 개인의 재산 등을 수색할 수 있도록 법원이 발부하는 명령이다.
사포드 교육구 대 레딩 사건
사건 개요
소송 사건명사포드 통합 교육구 대 에이프릴 레딩 사건
원어 사건명Safford Unified School District v. Redding
사건 번호08-479
소송 정보
구두 변론 일자2009년 4월 21일
결정 일자2009년 6월 25일
미국 법원 판례집557 U.S. 364
병렬 인용129 S. Ct. 2633; 174 L. Ed. 2d 354; 77 U.S.L.W. 4591; 245 Ed. Law Rep. 626; 09 Cal. Daily Op. Serv. 7974; 2009 Daily Journal D.A.R. 9383; 21 Fla. L. Weekly Fed. S 1011
구두 변론구두 변론 듣기
의견 발표의견 발표 듣기
이전 법원 결정요약 판결 확정, 504 F.3d https://www.leagle.com/decision/20071332504f3d82811321 828 (9th Cir. 2007); 재심리 en banc 승인, 514 F.3d https://www.leagle.com/decision/20081897514f3d138311896 1383 (2008); 파기, 531 F.3d https://www.leagle.com/decision/20081602531f3d107111482 1071 (9th Cir. 2008); 상고 허가, .
계류 중인 사건쟁점은 교육구의 책임 여부이며, 파기환송 후 다시 다루어질 예정임.
판결
판결 요지레딩의 속옷 검사는 수정헌법 제4조를 위반함.
청원인은 적격 면책 특권에 의해 보호됨.
교육구의 책임 문제는 파기환송심에서 다루어져야 함.
다수 의견
재판관소터
다수 의견 동참로버츠, 스칼리아, 케네디, 브레이어, 알리토; 스티븐스, 긴즈버그 (파트 I–III)
반대/동의 의견
재판관스티븐스
반대/동의 의견 동참긴즈버그
재판관긴즈버그
재판관토머스
관련 법률
관련 법률U.S. Const. amend. IV

2. 배경

2. 1. 사건의 발단

2003년 10월 8일, 애리조나주 사포드 중학교의 부교장 케리 윌슨은 13세 학생 사바나 레딩을 자신의 사무실로 호출했다.[6] 윌슨은 레딩에게 칼, 라이터, 담배 등이 들어 있는 일정을 보여주며 그녀의 것인지 물었다.[6] 레딩은 일정은 자신의 것이지만 안에 있는 물건은 아니라며, 며칠 전 친구 마리사 글라인스에게 빌려주었다고 답했다.[6]

윌슨은 레딩에게 학교 규칙에 따라 사전 허가 없이는 소지가 금지된 처방전 강도의 흰색 이부프로펜 400mg 알약 4개와 일반의약품인 파란색 나프록센 200mg 알약 1개를 보여주었다.[6] 그는 누군가가 레딩이 다른 학생들에게 약을 나눠준다고 제보했음을 알렸고, 레딩은 이를 부인했다. 레딩은 윌슨과 행정 조교 헬렌 로메로가 자신의 배낭을 수색하도록 허락했으나, 알약은 발견되지 않았다.[6] 윌슨의 지시로 로메로는 레딩을 학교 간호사 페기 슈왈리에의 사무실로 데려갔고, 그곳에서 레딩은 옷을 벗고 브래지어를 흔드는 등 신체 수색을 받았지만, 알약은 발견되지 않았다.[7]

레딩이 수색받기 전, 다른 학생이 윌슨에게 학생들이 마약과 무기를 학교에 가져온다고 제보했고, 급우에게서 받은 알약을 복용 후 아팠다고 보고했다.[10] 당일 아침, 그 학생은 윌슨에게 흰색 알약을 주며 점심시간에 학생들이 복용할 것이고, 마리사 글라인스가 알약을 주었다고 말했다.[8] 윌슨은 마리사 글라인스를 불러 소지품을 검사했고, 파란색 알약, 흰색 알약, 면도칼 칼날이 나왔다.[10] 글라인스는 사바나 레딩이 자신에게 마약을 줬다고 진술했고, 이로 인해 윌슨은 레딩을 사무실로 불러 조사하게 되었다.[9]

2. 2. 알몸 수색 과정

2003년 10월 8일, 애리조나주 사포드에 있는 사포드 중학교의 부교장 케리 윌슨은 13세 학생 사바나 레딩을 사무실로 호출했다.[6] 레딩이 다른 학생에게 진통제인 이부프로펜 400밀리그램과 나프록센 200밀리그램을 주었다는 제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학교 측은 레딩의 소지품을 먼저 검사했지만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다.[6] 이후 윌슨의 지시에 따라 행정 조교 헬렌 로메로와 학교 간호사 페기 슈왈리에는 레딩을 간호사 사무실로 데려가 알몸 수색을 실시했다.[7]

로메로와 슈왈리에는 레딩에게 재킷, 양말, 신발을 벗으라고 요청했고, 주머니가 없는 티셔츠와 신축성 있는 바지를 벗으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레딩은 브래지어를 옆으로 당겨 흔들고, 속옷의 고무줄을 당겨 젖가슴과 골반 부위를 노출해야 했다.[7] 이 과정에서 레딩은 심한 수치심과 정신적 고통을 겪었다. 하지만 수색 결과 알약은 발견되지 않았다.[7]

레딩이 수색받기 일주일 전, 다른 학생이 윌슨에게 캠퍼스에 마약과 무기를 가져오는 학생이 있다고 보고했고, 레딩 수색 당일 아침에는 그 학생이 윌슨에게 흰색 알약을 주며 마리사 글라인스가 알약 공급자라고 말했다.[8][10] 윌슨은 마리사 글라인스를 불러 소지품을 검사했고, 파란색 알약, 흰색 알약 여러 개, 면도칼 칼날이 나왔다.[10] 글라인스는 레딩이 마약 공급자라고 지목했고, 이에 윌슨은 레딩을 사무실로 불러 수색을 진행하게 되었다.[9]

2. 3. 법적 분쟁

레딩의 어머니는 학교 측의 알몸 수색이 미국 수정헌법 제4조(부당한 수색 및 압수 금지)를 위반했다며 사포드 교육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11] 학교 관계자들은 제한적 면책 교리에 따라 면책 특권을 주장하며 약식 판결을 신청했다.[5][11] 애리조나 연방 지방 법원은 학교 측의 손을 들어주었고, 제9 연방 항소 법원 패널도 2007년 9월 21일 이를 확정했다.[11] 그러나 2008년 7월 11일, ''전원 재판''으로 재심리한 제9 연방 항소 법원은 이전 판결을 뒤집고 알몸 수색이 미국 수정헌법 제4조를 위반했으며, 윌슨 교감은 면책 특권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판결했다.[13] 다만, 로메로와 슈왈리어 피고는 면책 특권이 인정되었다.[14] 이 과정에서 미국 시민 자유 연합이 레딩의 공동 변호인으로 참여했다.[12] 미국 대법원은 ''뉴저지 대 T.L.O.''(1985) 사건에서 학교 내 수색의 합리성 기준은 "합리적 의심"이며, "수색 목적과 합리적으로 관련되고 학생의 연령, 성별 및 위반 행위의 성격에 비추어 과도하게 침해적이지 않아야 한다"고 판결한 바 있다.[2][3][4]

3. 미국 연방 대법원의 판결

데이비드 수터 대법관은 ''사포드 교육구 대 레딩 사건''의 다수 의견을 작성했다.


학교 관계자들은 미국 연방 대법원에 상고를 제기했고, 대법원은 2009년 1월 16일 두 가지 질문을 검토하기 위해 상고를 허가했다. (1) "공립학교 관계자가 학교 정책을 위반하여 교내에서 처방약을 소지하고 배포한 혐의를 받는 학생을 수색하는 것을 수정 헌법 제4조가 금지하는지 여부", (2) "제9순회법원이 공립학교 행정가가 교내에서 처방약을 소지하고 배포한 혐의를 받는 학생을 수색한 것에 대해 42 U.S.C. § 1983에 따라 손해 배상 소송에서 책임을 질 수 있다고 판결하면서 확립된 자격 면제 원칙에서 벗어났는지 여부".[15]

==== 수정헌법 제4조 위반 여부 ====

미국 헌법 수정 제4조는 부당한 수색 및 압수를 금지하며,[1] 이는 수정 헌법 제14조에 따라 주 정부에도 적용된다.[1] 학교 내 학생 수색과 관련하여, 미국 대법원은 ''뉴저지 대 T.L.O.''(1985) 사건에서 "합리적 의심"을 기준으로 수색의 합리성을 판단해야 한다고 판결했다.[2][3]

데이비드 수터 대법관은 ''뉴저지 대 T.L.O.'' 사건의 판결을 재확인하며, 학교 수색의 유효성은 "합리적인 의심"의 기준만 요구한다고 밝혔다.[17] 이 기준은 예상되는 증거를 발견할 "중간 정도의 가능성"만을 요구한다.[18]

법원은 학교 수색의 범위가 "학생의 나이와 성별, 그리고 위반의 성격에 비추어 과도하게 침해적이지 않을 때" 허용될 것이라고 판결한 ''T. L. O.'' 사건을 재확인했다.[21] 이를 바탕으로, 사포드 교육구 대 레딩 사건에서 "의심의 내용은 침해의 정도와 일치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22] 부교장 윌슨은 찾고 있던 약물의 위험성이 낮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22] 레딩이 속옷에 약물을 숨겼다고 의심할 만한 구체적인 근거가 부족했다.[23] 따라서 레딩에 대한 알몸 수색은 비합리적이었고 수정 헌법 제4조를 위반했다.[24]

==== 학교 측의 면책 특권 ====

데이비드 수터 대법관은 법정 의견을 통해 제9 연방 항소 법원의 판결을 부분적으로 확정하고, 부분적으로 파기 및 환송했다.[16] 7 대 2의 투표로 법원은 학교 관계자들이 수색의 위헌성이 위반 당시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자격 면책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판결하며 제9 연방 항소 법원의 판결을 파기했다. 존 폴 스티븐스 대법관과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대법관은 부교장이 자격 면책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16]

사우터는 2009년의 ''피어슨 대 캘러한'' 판례를 인용하며 "학생을 수색하는 학교 관계자는 명확하게 확립된 법에 따라 수색이 수정 헌법 제4조를 위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때 자격 면책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진술했다.[25] 대법원은 레딩에 대한 신체 수색이 수정헌법 제4조를 위반한다고 명시적으로 판결했지만, 사우터는 "하급 법원은 ''T. L. O.'' 기준이 그러한 수색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서로 다른 결론에 도달했다"고 인정했다.[26] 이는 본 사건의 제9 연방 항소 법원 전체 재판부의 소수 의견뿐만 아니라, 이전에 "약물이 그녀의 몸 옆에 숨겨져 있다는 어떠한 의심도 없이, 고등학생에 대한 약물 신체 수색을 유지"했던 제6 연방 항소 법원의 판례도 포함한다.[27]

사우터는 "학교 신체 수색을 우리가 보는 방식과 다르게 보는 사례가 다수 존재하며, 합리적인 다수 의견과 반대 의견이 있어, 우리가 이전의 법률 진술에서 충분히 명확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고 언급했다.[28] 따라서 본 사건의 학교 관계자들에게는 자격 면책이 정당하다.[29] 다만, 대법원은 "여기에서 내린 결론은 그러나 제9 연방 항소 법원이 다루지 않은 ''모넬 대 뉴욕시 사회복지부''에 따른 청원인 사포드 통합 교육구 #1의 책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아니다"라고 명확히 하며, 하급 법원이 ''모넬'' 청구를 고려하도록 사건을 환송했다.[30][29]

==== 판결의 엇갈린 의견 ====

데이비드 수터 대법관은 법정 의견을 통해 제9 연방 항소 법원의 판결을 부분적으로 확정하고, 부분적으로 파기 및 환송했다.[16] 8 대 1의 투표로 레딩에 대한 수색이 수정 헌법 제4조를 위반했다는 제9 연방 항소 법원의 판결을 확정했다. 클래런스 토마스 대법관은 수색이 수정 헌법 제4조를 위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6] 7 대 2의 투표로 법원은 자격 면책에 관해 제9 연방 항소 법원의 판결을 파기했는데, 학교 관계자들이 자격 면책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판결했다.[16]

존 폴 스티븐스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대법관의 지지를 받아 학교 관계자들의 자격 면제에 반대하는 의견을 제시했다. 스티븐스는 윌슨 부교장에게 자격 면제를 부여하는 것을 "본질적으로 명확하게 확립된 법이 명백히 터무니없는 행위와 만나는 사건"이라며 거부했다.[31] ''T.L.O.''의 압수수색 적용에 대한 하급 법원의 "겉보기에 다른 견해"가 자격 면제 확대를 정당화한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으며, "잘 확립된 권리의 명확성은 법률가가 우리 판례를 잘못 해석했는지 여부에 달려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31]

긴즈버그 대법관은 별도의 의견을 통해 자격 면제가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더 자세히 설명했다. 긴즈버그는 ''레딩''의 사실 관계를 ''T.L.O.''의 사실 관계와 구별하며, "교사가 화장실에서 담배를 피우는 학생을 발견했고, 수색이 학생의 가방으로 제한되었던 ''T.L.O.''와 달리, 레딩의 수색은 그녀의 신체를 포함했고, 윌슨 부교장이 신뢰할 이유가 없는 다른 학생의 단순한 혐의에 근거했다."고 지적했다.[33] "'[가정된] 위반의 성격', 사바나 레딩을 의심할 근거가 희박하다는 점, 그리고 그녀의 '나이와 성별'은 윌슨 부교장의 명령이 ''T.L.O.'' 판례와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을 의심할 여지없이 보여준다"고 강조하며, 윌슨의 행위가 학대이며 법이 그것을 허용한다고 믿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33]

클래런스 토마스 대법관은 자격 면제를 부여하는 데 동의하고 제4차 수정 헌법에 반대하는 판결에 동의하는 의견을 제시했다. 토마스는 수색이 제4차 수정 헌법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보았다. 학교가 "레딩이 이러한 정책을 위반하여 마약을 소지하고 있다는 합리적인 의심"을 가지고 있다는 데 모든 당사자가 동의했으며, 다수는 이것이 첫 번째 수색만 정당화한다고 믿었지만, 토마스는 이것이 "작은 알약을 숨길 수 있는 모든 영역으로 확장되는 수색을 정당화"한다고 결론지었다.[34] 또한, 다수의 결정이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경고하며, "레딩이 속옷에 알약을 숨긴 첫 번째 사람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오늘 판결 이후에도, 학교에서 금지 품목을 숨길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장소를 발표했으므로 그녀가 마지막도 아닐 것입니다."라고 언급했다.[35]

3. 1. 수정헌법 제4조 위반 여부

미국 헌법 수정 제4조는 부당한 수색 및 압수를 금지하며,[1] 이는 수정 헌법 제14조에 따라 주 정부에도 적용된다.[1] 학교 내 학생 수색과 관련하여, 미국 대법원은 ''뉴저지 대 T.L.O.''(1985) 사건에서 "합리적 의심"을 기준으로 수색의 합리성을 판단해야 한다고 판결했다.[2][3]

데이비드 수터 대법관은 ''뉴저지 대 T.L.O.'' 사건의 판결을 재확인하며, 학교 수색의 유효성은 "합리적인 의심"의 기준만 요구한다고 밝혔다.[17] 이 기준은 예상되는 증거를 발견할 "중간 정도의 가능성"만을 요구한다.[18]

법원은 학교 수색의 범위가 "학생의 나이와 성별, 그리고 위반의 성격에 비추어 과도하게 침해적이지 않을 때" 허용될 것이라고 판결한 ''T. L. O.'' 사건을 재확인했다.[21] 이를 바탕으로, 사포드 교육구 대 레딩 사건에서 "의심의 내용은 침해의 정도와 일치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22] 부교장 윌슨은 찾고 있던 약물의 위험성이 낮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22] 레딩이 속옷에 약물을 숨겼다고 의심할 만한 구체적인 근거가 부족했다.[23] 따라서 레딩에 대한 알몸 수색은 비합리적이었고 수정 헌법 제4조를 위반했다.[24]

3. 2. 학교 측의 면책 특권

데이비드 수터 대법관은 법정 의견을 통해 제9 연방 항소 법원의 판결을 부분적으로 확정하고, 부분적으로 파기 및 환송했다.[16] 7 대 2의 투표로 법원은 학교 관계자들이 수색의 위헌성이 위반 당시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자격 면책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판결하며 제9 연방 항소 법원의 판결을 파기했다. 존 폴 스티븐스 대법관과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대법관은 부교장이 자격 면책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16]

사우터는 2009년의 ''피어슨 대 캘러한'' 판례를 인용하며 "학생을 수색하는 학교 관계자는 명확하게 확립된 법에 따라 수색이 수정 헌법 제4조를 위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때 자격 면책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진술했다.[25] 대법원은 레딩에 대한 신체 수색이 수정헌법 제4조를 위반한다고 명시적으로 판결했지만, 사우터는 "하급 법원은 ''T. L. O.'' 기준이 그러한 수색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서로 다른 결론에 도달했다"고 인정했다.[26] 이는 본 사건의 제9 연방 항소 법원 전체 재판부의 소수 의견뿐만 아니라, 이전에 "약물이 그녀의 몸 옆에 숨겨져 있다는 어떠한 의심도 없이, 고등학생에 대한 약물 신체 수색을 유지"했던 제6 연방 항소 법원의 판례도 포함한다.[27]

사우터는 "학교 신체 수색을 우리가 보는 방식과 다르게 보는 사례가 다수 존재하며, 합리적인 다수 의견과 반대 의견이 있어, 우리가 이전의 법률 진술에서 충분히 명확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고 언급했다.[28] 따라서 본 사건의 학교 관계자들에게는 자격 면책이 정당하다.[29] 다만, 대법원은 "여기에서 내린 결론은 그러나 제9 연방 항소 법원이 다루지 않은 ''모넬 대 뉴욕시 사회복지부''에 따른 청원인 사포드 통합 교육구 #1의 책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아니다"라고 명확히 하며, 하급 법원이 ''모넬'' 청구를 고려하도록 사건을 환송했다.[30][29]

3. 3. 판결의 엇갈린 의견

데이비드 수터 대법관은 법정 의견을 통해 제9 연방 항소 법원의 판결을 부분적으로 확정하고, 부분적으로 파기 및 환송했다.[16] 8 대 1의 투표로 레딩에 대한 수색이 수정 헌법 제4조를 위반했다는 제9 연방 항소 법원의 판결을 확정했다. 클래런스 토마스 대법관은 수색이 수정 헌법 제4조를 위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6] 7 대 2의 투표로 법원은 자격 면책에 관해 제9 연방 항소 법원의 판결을 파기했는데, 학교 관계자들이 자격 면책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판결했다.[16]

존 폴 스티븐스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대법관의 지지를 받아 학교 관계자들의 자격 면제에 반대하는 의견을 제시했다. 스티븐스는 윌슨 부교장에게 자격 면제를 부여하는 것을 "본질적으로 명확하게 확립된 법이 명백히 터무니없는 행위와 만나는 사건"이라며 거부했다.[31] ''T.L.O.''의 압수수색 적용에 대한 하급 법원의 "겉보기에 다른 견해"가 자격 면제 확대를 정당화한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으며, "잘 확립된 권리의 명확성은 법률가가 우리 판례를 잘못 해석했는지 여부에 달려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31]

긴즈버그 대법관은 별도의 의견을 통해 자격 면제가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더 자세히 설명했다. 긴즈버그는 ''레딩''의 사실 관계를 ''T.L.O.''의 사실 관계와 구별하며, "교사가 화장실에서 담배를 피우는 학생을 발견했고, 수색이 학생의 가방으로 제한되었던 ''T.L.O.''와 달리, 레딩의 수색은 그녀의 신체를 포함했고, 윌슨 부교장이 신뢰할 이유가 없는 다른 학생의 단순한 혐의에 근거했다."고 지적했다.[33] "'[가정된] 위반의 성격', 사바나 레딩을 의심할 근거가 희박하다는 점, 그리고 그녀의 '나이와 성별'은 윌슨 부교장의 명령이 ''T.L.O.'' 판례와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을 의심할 여지없이 보여준다"고 강조하며, 윌슨의 행위가 학대이며 법이 그것을 허용한다고 믿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33]

클래런스 토마스 대법관은 자격 면제를 부여하는 데 동의하고 제4차 수정 헌법에 반대하는 판결에 동의하는 의견을 제시했다. 토마스는 수색이 제4차 수정 헌법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보았다. 학교가 "레딩이 이러한 정책을 위반하여 마약을 소지하고 있다는 합리적인 의심"을 가지고 있다는 데 모든 당사자가 동의했으며, 다수는 이것이 첫 번째 수색만 정당화한다고 믿었지만, 토마스는 이것이 "작은 알약을 숨길 수 있는 모든 영역으로 확장되는 수색을 정당화"한다고 결론지었다.[34] 또한, 다수의 결정이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경고하며, "레딩이 속옷에 알약을 숨긴 첫 번째 사람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오늘 판결 이후에도, 학교에서 금지 품목을 숨길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장소를 발표했으므로 그녀가 마지막도 아닐 것입니다."라고 언급했다.[35]

4. 판결의 분석 및 영향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로스쿨의 교수인 루이스 R. 카츠와 칼 J. 마조네는 공동으로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법률 검토''에 실린 분석에서 ''T. L. O.'' 판결이 "학교에서의 스트립 수색에 대한 둑을 열었다"고 언급하며, "일부 학교와 하급 법원은 스트립 수색을 학생 소지품에 대한 다른 학교 수색보다 종류가 다르거나 더 심각한 침해로 간주하는 것을 중단했다"고 지적했다. 카츠와 마조네는 ''레딩'' 사건에 대한 법원의 결정을 "올바른 방향으로의 한 걸음이며, ''T. L. O.'' 판결을 명확히 하고 학교 스트립 수색은 개별화된 합리적인 의심에 의해 뒷받침되고 비례성 기준에 따라야 하는 특별한 침해로 취급되어야 한다고 지시했다"고 묘사했다.

4. 1. 학교 내 수색 기준 명확화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로스쿨의 루이스 R. 카츠와 칼 J. 마조네는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법률 검토''에 실린 분석에서 ''T. L. O.'' 판결이 "학교에서의 스트립 수색에 대한 둑을 열었다"고 언급하며, 일부 학교와 하급 법원이 스트립 수색을 다른 학교 수색보다 더 심각한 침해로 간주하지 않게 되었다고 지적했다. 카츠와 마조네는 ''레딩'' 사건에 대한 법원의 결정을 "올바른 방향으로의 한 걸음"이라고 평가하며, ''T. L. O.'' 판결을 명확히 하고 학교 스트립 수색은 개별화된 합리적인 의심에 의해 뒷받침되고 비례성 기준에 따라야 하는 특별한 침해로 취급되어야 한다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ACLU 인종 정의 프로그램 국장 데니스 D. 파커는 ''뉴욕 로스쿨 법률 검토'' 기고문에서 ''레딩'' 다수 의견이 학교 안전을 명목으로 학교 당국에 무제한의 재량을 부여하지 않았으며, 학교 관리자의 개별 결정의 합리성을 검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했다고 언급했다. 파커는 ''레딩'' 판결이 "학교에서 감옥으로 이어지는 통로"를 벗어나려는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교육적 결과를 달성하는 첫걸음이라고 덧붙였다.

''세튼 홀 법률 검토''에 게재된 분석에서 티모시 J. 페티는 ''레딩''이 "문제의 품목이 위협을 가하고 학교 관계자가 해당 품목이 학생의 속옷 안에 있다고 합리적으로 믿는다는 것"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T. L. O.''에 추가하여 명확히 했다고 진술했다. 페티는 이러한 요소를 합리성 요건에 적용하면 속옷 수색이 수정헌법 제4조에 따라 정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결론지었다. 카츠와 마조네는 법원이 "'합리적인 의심'은 유동적인 척도임을 인정"하여 ''T. L. O.''를 명확히 했다고 논평했다.

카츠와 마조네는 ''레딩 사건''을 "올바른 방향으로의 한 걸음"이라고 인정했지만, 대법원이 스트립 검색에 대한 몇 가지 핵심 질문에 답하지 않아 불확실성을 야기하고 향후 소송을 보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들이 제기한 질문 중 하나는 "무엇이 스트립 검색을 구성하는가"였으며, 법원이 명확한 정의를 제공하지 않았고 "스트립 검색의 정의는 소년과 소녀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덜 침해적인 수색 과정에서 물건을 찾지 못한 경우 스트립 검색을 수행하는 합리성에 대해서도 다루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대법원의 결정에 따라 스트립 검색이 "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남아 있다고 인정했다.

''하버드 법률 및 성 저널''에 게재된 로라 자렛의 논평에 따르면, 다수의견이 사바나 레딩에 대한 스트립 검색을 과도하게 침해적이라고 올바르게 판단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은 ''레딩 사건''에서 스트립 검색의 적법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성별이 하는 역할을 완전히 설명하거나 적용하지 않았다. 자렛은 사바나가 13세 소년이었다면 대법관들이 같은 결과를 얻었을지 의문을 제기하며, 다수의견이 청소년 소년과 소녀가 그러한 침해적인 수색에 똑같이 취약한지 여부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자렛은 대법원이 ''레딩 사건''에서 성별 부분을 다루지 않은 것이 향후 이 사건의 잠재적으로 원치 않는 해석으로 이어질 수 있고, 학교 관계자들이 학생들의 권리 침해에 대해 다시 면책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고 논평했다.

4. 2. 학교-감옥 파이프라인 문제

4. 3. 면책 특권 논란

《브리검 영 대학교 공법 저널》에 게재된 한 논문에서 에릭 W. 클라크는 "사포드 사건의 유력한 결과는 학교 관계자들이 일반적으로 자격 면책으로 부여되는 것보다 더 많은 보호를 받게 되었다는 것입니다."라고 썼다. 그러나 클라크는 학교 관계자들이 "그들의 주요 역할이 법 집행이 아닌 청소년 교육이기 때문에 다른 정부 관계자보다 더 넓은 보호막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학교 관계자에게 다른 정부 관계자보다 민사 소송으로부터 더 높은 보호를 부여한다고 명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자격 면책을 주장하는 다른 정부 관계자에게 [학교 관계자]의 추가적인 보호가 부여되는 미끄러운 경사면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클라크는 ''T. L. O.''가 교사에게 "거의 절대적인 면책"을 부여했는데, 그 이유는 "자격 면책은 법에 대한 합리적인 이해에 기반하고 있으며, ''T. L. O.''에 따라 학교 관계자는 법에 대한 어떤 이해도 갖출 것으로 기대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클라크는 "''사포드''가 규칙을 바꿀 수 있으며" 이는 "거의 절대적인 면책 문제를 해결하겠지만, 학교 관계자가 4차 수정헌법에 대한 최신 정보를 계속 유지할 것을 비현실적으로 기대할 것이기 때문에 나쁜 법이 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클라크에 따르면, "새로운 학교 수색 기준이 자격 면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이제 불분명하다. 최선의 해결책은 학교 수색에 관해 학교 관계자에게 절대적 면책을 부여하는 것이다." 반면, 카츠와 마조네는 부교장에게 자격 면책을 부여한 법원의 결정에 대해 "잘못된 결정"이라며 "윌슨의 행동은 경험이 풍부한 관리자에게 기대되는 상식을 벗어났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학교 관계자의 면책 특권 인정은 학교 측의 부당한 행위에 대한 책임 추궁을 어렵게 만들어 학생 인권 침해를 방치할 수 있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5.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5. 1. 한국 헌법과의 비교

5. 2. 더불어민주당의 청소년 인권 정책

5. 3. 학교 내 인권 존중 문화 확립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Fourth Amendment SAGE Publications 2020-10-20
[2] 문서 Redding, 557 U.S. 364, 370 (quoting New Jersey v. T. L. O.', 469 U. S., at 341).
[3] 문서 Redding, 557 U.S. 364, 370 (quoting New Jersey v. T. L. O.', 469 U. S., at 342, 345).
[4] 문서 Redding, 557 U.S. 364, 370 (quoting New Jersey v. T. L. O.', 469 U. S., at 342).
[5] 문서 Redding, 557 U.S. 364, 377 (citing [[Pearson v. Callahan]]', 555 U.S. 223, 243–244).
[6] 문서 Redding, 557 U.S. 364, 368.
[7] 문서 Redding, 557 U.S. 364, 369.
[8] 문서 Redding, 557 U.S. 364, 372–373.
[9] 문서 Redding, 557 U.S. 364, 373.
[10] 문서 Redding, 557 U.S. 364, 372.
[11] 문서 Redding v. Safford Unified School District https://scholar.goog[...] 2007
[12] 간행물 ACLU Challenges Unlawful Strip Search Over Ibuprofen Allegation In School https://www.aclu.org[...]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2020-05-27
[13] 문서 Redding v. Safford Unified School District https://scholar.goog[...] 2008
[14] 문서 Redding, 557 U.S. 364, 369–370 (citing Redding v. Safford Unified School District', 531 F. 3d, at 1089). https://scholar.goog[...]
[15] 웹사이트 08-479 Safford Unified School District v. Redding, Questions Presented https://www.supremec[...] 2020-05-27
[16] 문서 Redding, 557 U.S. 364, 367.
[17] 문서 Redding, 557 U.S. 364, 370
[18] 문서 Redding, 557 U.S. 364, 371.
[19] 문서 Redding, 557 U.S. 364, 371–374.
[20] 문서 Redding, 557 U.S. 364, 374.
[21] 문서 Redding, 557 U.S. 364, 375.
[22] 문서 Redding, 557 U.S. 364, 375–376.
[23] 문서 Redding, 557 U.S. 364, 376.
[24] 문서 'Redding, 557 U.S. 364, 376 ("We think that the combination of these deficiencies was fatal to finding the search reasonable.").'
[25] 문서 Redding, 557 U.S. 364, 377 (quoting Pearson v. Callahan', 555 U.S. 223, 243–244 (2009)).
[26] 문서 Redding, 557 U.S. 364, 378.
[27] 문서 Redding, 557 U.S. 364, 378 (citing Williams v. Ellington', 936 F. 2d 881, 882–883, 887 (1991)). https://scholar.goog[...]
[28] 문서 Redding, 557 U.S. 364, 378–379.
[29] 문서 Redding, 557 U.S. 364, 379.
[30] 문서 Redding, 557 U.S. 364, 379 (citations omitted).
[31] 문서 Redding, 557 U.S. 364, 380 (Stevens, J., concurring in part and dissenting in part).
[32] 문서 Redding, 557 U.S. 364, 381 (Stevens, J., concurring in part and dissenting in part).
[33] 문서 Redding, 557 U.S. 364, 382 (Ginsburg, J., concurring in part and dissenting in part).
[34] 문서 Redding, 557 U.S. 364, 382 (Thomas, J., concurring in the judgment in part and dissenting in part).
[35] 문서 Redding, 557 U.S. 364, 390 (Thomas, J., concurring in the judgment in part and dissenting in part).
[36] 뉴스 Supreme Court Says Child's Rights Violated by Strip Search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09-29
[37] 웹사이트 Teen strip-searched in school wins partial victory https://www.cnn.com/[...] 2009-06-25
[38] 뉴스 Ginsburg: Court needs another woman https://usatoday30.u[...] USA Today 2009-05-05
[39] 웹사이트 Sotomayor Calls for More Diversity on the Bench https://emorywheel.c[...] 2018-02-06
[40] 뉴스 Ruth Bader Ginsburg and the case of the 13-year-old girl strip-searched at school https://www.washingt[...] 2020-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