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각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각수는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합으로 정의되며, n(n+1)/2로 계산할 수 있다. 처음 몇 개의 삼각수는 0, 1, 3, 6, 10, 15, 21, 28, 36, 45, 55, 66, 78, 91, 105, 120, 136, 153, 171, 190 등이다. 삼각수는 조합 기호로 나타낼 수 있으며, n(≥ 2) 팀의 리그전 총 경기 횟수와 같다. 삼각수는 3으로 나누어지거나 9로 나누면 1이 남는 수 중 하나이며, 자연수 n까지의 세제곱수의 합은 삼각수의 제곱과 같다. 삼각수의 역수의 합은 2로 수렴한다. 모든 자연수는 최대 3개의 삼각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짝수의 완전수는 삼각수이기도 하다. 삼각수의 제곱은 1부터 시작하는 연속된 자연수의 세제곱의 합과 같으며, 처음 n개의 삼각수의 합은 n번째 사면체수이다. 삼각수는 생성 함수를 가지며, 악수 문제와 라운드 로빈 조별 리그, 감가상각, 보드 게임 디자인 등에 응용된다. 주어진 자연수 x가 삼각수인지 판별하기 위한 충분 조건과 필요 조건은 8x + 1이 제곱수인지 확인하는 것이며, 삼각수의 개념은 고차원으로 확장되어 단순체수로 나타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형수 - 세제곱수
    세제곱수는 정수를 세 번 곱한 수로, 단위 길이 변을 가진 정육면체를 쌓아 더 큰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는 수이며, 모든 정수는 9개 이하의 세제곱수의 합으로 표현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 도형수 - 오각수
    오각수는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해 Pn = n(3n-1)/2로 정의되며, 오일러의 오각수 정리에 등장하고, 모든 자연수는 최대 5개의 오각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삼각형 - 버뮤다 삼각지대
    버뮤다 삼각지대는 플로리다 해협, 버뮤다, 푸에르토리코를 잇는 삼각형 해역으로, 선박과 항공기 실종으로 '마의 삼각 해역'이라 불리지만, 과장 및 허구임이 밝혀졌고 정확한 원인은 불명확하며 자연적 요인과 초자연적 설명이 존재한다.
  • 삼각형 - 정삼각형
    정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이 60°인 삼각형으로, 이등변삼각형의 특수한 형태이며 내심, 외심, 무게중심이 일치하는 특징을 가진다.
  • 정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삼각수
정의
설명삼각수는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를 차례로 더하여 만들어지는 수이다.
수열
수열0, 1, 3, 6, 10, 15, 21, 28, 36, 45, 55, 66, 78, 91, 105, 120, 136, 153, 171, 190, 210, 231, 253, 276, 300, 325, 351, 378, 406, 435, 465, 496, 528, 561, 595, 630, 666...
OEISA000217
공식Tₙ = n(n + 1) / 2 = (n + 1)C₂
로마자 표기Teu-en = en(en + 1) / 2 = (en + 1)Si-i
n번째 삼각수n번째 삼각수는 처음 n개의 자연수의 합과 같다.
예시예를 들어, 4번째 삼각수는 1 + 2 + 3 + 4 = 10이다.
특징
두 개의 연속적인 삼각수의 합은 제곱수이다. (예: 1 + 3 = 4 = 2², 3 + 6 = 9 = 3²)
모든 짝수 완전수는 삼각수이다.
모든 삼각수의 역수의 무한 합은 2이다.
제곱n번째 삼각수의 제곱은 처음 n개의 세제곱의 합과 같다.
테스트양의 정수 x가 삼각수인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간단한 방법은 8x + 1이 제곱수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즉, x가 삼각수이면 8x + 1은 어떤 정수의 제곱이다.
기타삼각수는 체스 토너먼트 또는 리그전에서 필요한 총 경기 수를 나타낸다. n명의 선수가 있다면 필요한 경기 수는 Tn-1이다. 이는 각 선수가 다른 모든 선수와 한 번 경기하기 때문이다.
활용
사례당구대의 공을 배열하는 데 사용된다.
볼링 핀을 배열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화
사면체 수삼각수를 3차원으로 확장한 것은 사면체 수이다.
기타
관련 항목다각수

2. 정의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하여, n번째 삼각수 \operatorname{Tri}(n)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operatorname{Tri}(n)=\sum_{k=1}^nk=\frac{n(n+1)}2=\binom{n+1}2

처음 몇 삼각수는 다음과 같다.

:0, 1, 3, 6, 10, 15, 21, 28, 36, 45, 55, 66, 78, 91, 105, 120, 136, 153, 171, 190, ...

n번째 삼각수가 n(n+1)/2와 같다는 사실은 시각적 증명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1] 모든 삼각수 T_n에 대해 아래 그림과 같이 삼각수에 해당하는 객체의 "반 직사각형" 배열을 상상해 보라. 이 배열을 복사하여 회전하여 직사각형 모양을 만들면 객체의 수가 두 배가 되어 n \times (n+1)의 치수를 갖는 직사각형이 생성되며, 이는 또한 직사각형 내 객체의 수이기도 하다. 분명히, 삼각수 자체는 항상 이러한 그림에서 객체 수의 정확히 절반이므로 T_n = \frac{n(n+1)}{2} 이다.


  • -|]]


이 공식은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여 공식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2]

삼각수는 n명의 사람들이 있는 방에서 각 사람이 다른 사람과 한 번씩 악수를 할 경우 악수 수를 세는 '''악수 문제'''를 해결한다. 즉, n명의 악수 문제에 대한 해는 T_{n-1}이다.[7]

단어 없는 증명 n명의 사람들 사이의 가능한 악수의 수가 (n−1)번째 삼각수임을 보여줍니다.


한 변에 n개의 정삼각형이 되도록 점을 등간격으로 배열했을 때 점의 총 개수는 1부터 n까지의 자연수과 같으며,

:1+2+3+\cdots +n=\frac{n(n+1)}{2} \quad (n \geqq 1).

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을 n번째 '''삼각수'''라고 하며, T_n으로 나타낸다. 삼각수는 무수히 많으며, 최소값은 1이다.

예를 들어 10은 한 변에 점을 4개 배열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삼각수 중 하나이다.

136101521











T_n =1+2+3+\cdots +n=\frac{n(n+1)}{2} \quad (n \geqq 1)에서, T_0 = 0으로 정의하면 n = 0일 때에도 성립한다.

2612203042










3. 성질

삼각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1]

:\displaystyle

\begin{align} T_n &= \sum_{k=1}^n k = 1+2+ \dotsb +n \\

&= \frac{n^2+n \vphantom{(n+1)}}{2} = \frac{n(n+1)}{2} \\

&= {n+1 \choose 2}

\end{align}

여기서 \textstyle {n+1 \choose 2}이항 계수를 나타내며, "n 더하기 일 choose 이"로 읽는다.

n번째 삼각수가 n(n+1)/2 와 같다는 사실의 시각적 증명


이 공식은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2] 어떤 자연수 m에 대해 T_m = \sum_{k=1}^{m}k = \frac{m(m + 1)}{2}라고 가정하고, 여기에 m+1을 더하면,

:

\begin{align}

\sum_{k=1}^{m}k + (m + 1) &= \frac{m(m + 1)}{2} + m + 1\\

&= \frac{m(m + 1) + 2m + 2}{2}\\

&= \frac{m^2 + m + 2m + 2}{2}\\

&= \frac{m^2 + 3m + 2}{2}\\

&= \frac{(m + 1)(m + 2)}{2},

\end{align}



가 된다. 즉, 공식이 m에 대해 참이면 m+1에 대해서도 참이다. 이는 1에 대해 명백히 참이므로, 귀납법에 의해 모든 자연수 n에 대해서도 참이다.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어린 시절에 이 공식을 발견했다고 알려져 있으나,[3] 가우스가 최초는 아니며, 기원전 5세기 피타고라스 학파가 처음 발견했을 가능성도 있다.[4]

삼각수 Tn은 n+1명의 사람들이 서로 한 번씩 악수할 때 악수 횟수를 세는 '''악수 문제'''의 답이다.[7] 즉, n명의 악수 문제에 대한 해는 Tn-1이다.

삼각형에서 가장 가까운 점 쌍 사이의 선분 수(Ln)는 점의 수(Tn) 또는 점화 관계로 표현할 수 있다.

:L_n = 3 T_{n-1}= 3{n \choose 2};~~~L_n = L_{n-1} + 3(n-1), ~L_1 = 0.

n이 무한대로 갈 때, 점과 선분 수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lim_{n\to\infty} \frac{T_n}{L_n} = \frac{1}{3}.

삼각수는 다른 도형수와 여러 관계를 맺고 있다.

  • 연속하는 두 삼각수의 합은 제곱수이다.[9][10]
  • 삼각수의 두 배는 프라닉 수이다.
  • 제곱수이기도 한 삼각수는 무한히 많다. (예: 1, 36, 1225)
  • n번째 삼각수의 제곱은 1부터 n까지의 세제곱의 합과 같다.
  • 처음 n개의 삼각수의 합은 n번째 사면체 수이다.
  • n번째 m-각수와 n번째 (m+1)-각수의 차이는 (n-1)번째 삼각수이다.
  • 두 삼각수의 양의 차는 사다리꼴 수이다.
  • 모든 짝수인 완전수는 삼각수이며, 공식은 다음과 같다.

:M_p 2^{p-1} = \frac{M_p (M_p + 1)}2 = T_{M_p}

(Mp메르센 소수)

  • 10진법에서 0이 아닌 삼각수의 자릿수 합은 항상 1, 3, 6 또는 9이다.
  • 0이 아닌 모든 삼각수의 역수의 합은 2이다.
  • 바츨라프 시에르핀스키는 기하 급수에서 네 개의 서로 다른 삼각수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했고, 이는 불가능하다고 추측되었으며, 2007년에 증명되었다.[13][14]

3. 1. 연산에 대한 닫힘

두 정수 a, b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13][14]

  • 임의의 삼각수 n에 대하여, an+b 역시 삼각수이다.
  • a는 어떤 홀수의 제곱이며, b = (a-1)/8이다.


예를 들어, 만약 n이 삼각수라면, 9n+1과 25n+3 및 49n+6은 역시 삼각수이다.[13][14]

3. 2. 항등식

3번째와 4번째 삼각수의 합은 4번째 정사각수이다.


삼각수를 변의 길이로 하는 정사각형은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 1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 2개, 변의 길이가 3인 정사각형 3개 등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n''번째 삼각수의 제곱은 1부터 ''n''까지의 자연수의 세제곱의 합과 같다.


삼각수와 임의의 m각수는 삼각수를 통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operatorname{Pol}(m;n)=\operatorname{Tri}(n)+(m-3)\operatorname{Tri}(n-1)=n+(m-2)\operatorname{Tri}(n-1)

특히, 정사각수, 육각수, 팔각수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n^2=\operatorname{Tri}(n-1)+\operatorname{Tri}(n)

:n(2n-1)=\operatorname{Tri}(n)+3\operatorname{Tri}(n-1)=\operatorname{Tri}(2n-1)

:n(3n-2)=6\operatorname{Tri}(n-1)+n

첫째 등식에 따라, 두 연속된 삼각수의 합은 정사각수이다.

삼각수는 선형 변환의 차이를 무시하면 홀수째 정사각수와 일치한다. 구체적으로, 다음이 성립한다.

:(2n+1)^2=8\operatorname{Tri}(n)+1

삼각수는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갖는다.

:\operatorname{Tri}(m+n)=\operatorname{Tri}(m)+\operatorname{Tri}(n)+mn

:\operatorname{Tri}(mn)=\operatorname{Tri}(m)\operatorname{Tri}(n)+\operatorname{Tri}(m-1)\operatorname{Tri}(n-1)

조합론적으로, 첫 번째 항등식의 좌변은 m+n개의 원소에서 2개를 고르는 중복 조합의 수이며, 우변은 이를 앞의 m개에서만 고르는 경우와 뒤의 n개에서만 고르는 경우 및 앞과 뒤에서 하나씩 고르는 경우와 같이 세 가지로 나눠 센 결과이다. 특히, 다음이 성립한다.

:\operatorname{Tri}(2n)=3\operatorname{Tri}(n)+\operatorname{Tri}(n-1)

:\operatorname{Tri}(2n-1)=\operatorname{Tri}(n)+3\operatorname{Tri}(n-1)

:\operatorname{Tri}(3n-1)=3\operatorname{Tri}(n)+6\operatorname{Tri}(n-1)

:\operatorname{Tri}(n^2)=\operatorname{Tri}(n)^2+\operatorname{Tri}(n-1)^2

삼각수의 제곱은 1부터 시작하는 연속된 자연수의 세제곱 합과 같다. 구체적으로, 다음이 성립한다.

:\operatorname{Tri}(n)^2=\sum_{k=1}^nk^3

삼각수의 합은 사면체수로 주어진다. 구체적으로, 다음이 성립한다.

:\sum_{k=1}^n\operatorname{Tri}(k)=\frac{n(n+1)(n+2)}6

3. 3. 생성 함수

삼각수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sum_{n=0}^\infty\operatorname{Tri}(n)x^n=\frac x{(1-x)^3}

:\sum_{n=0}^\infty x^{\operatorname{Tri}(n)}=\prod_{n=1}^\infty\frac{1-x^{2n}}{1-x^{2n-1}}

3. 4. 수론적 성질

삼각수 n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operatorname{Tri}(n+4k)\equiv\operatorname{Tri}(n)\pmod{2k}
  • \operatorname{Tri}(n+2k+1)\equiv\operatorname{Tri}(n)\pmod{2k+1}


즉, 삼각수의 홀수에 대한 나머지는 그 홀수를 주기로 가지며, 짝수에 대한 나머지는 그 짝수의 2배를 주기로 가진다.

모든 자연수는 최대 3개의 삼각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페르마 다각수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며,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1796년에 증명하였다.[13]

'''정사각 삼각수'''는 정사각수를 이루는 삼각수를 뜻한다. 정사각 삼각수는 무한히 많이 존재하며,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증명하였다.

세제곱수를 이루는 삼각수는 0과 1을 제외하면 존재하지 않는다.

4. 역사

일화에 의하면,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10살 때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를 모두 더하라는 선생님의 말을 듣고, 1+100, 2+99와 같이 합이 101이 되는 50쌍의 수의 합으로 전환하여 5050임을 구하였다. 그러나 이야기의 진위와 상관 없이, 가우스는 이를 최초로 발견한 자가 아니다.[1]

5. 다른 도형수와의 관계


  • 연속하는 두 삼각수의 합은 정사각수이다.[9][10]
  • : T_{n - 1} + T_{n} = \frac{1}{2} \, n(n-1) + \frac{1}{2} \, n (n + 1) = \frac{1}{2} \, n\Bigl((n - 1) + (n + 1)\Bigr) = n^2
  • 모든 짝수 번째 삼각수는 육각수이다.
  • : n(2n-1)=\operatorname{Tri}(n)+3\operatorname{Tri}(n-1)=\operatorname{Tri}(2n-1)
  • 두 삼각수의 양의 차는 사다리꼴 수이다.
  • 삼각수와 임의의 m각수는 삼각수를 통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operatorname{Pol}(m;n)=\operatorname{Tri}(n)+(m-3)\operatorname{Tri}(n-1)=n+(m-2)\operatorname{Tri}(n-1)
:n^2=\operatorname{Tri}(n-1)+\operatorname{Tri}(n)

:n(2n-1)=\operatorname{Tri}(n)+3\operatorname{Tri}(n-1)=\operatorname{Tri}(2n-1)

:n(3n-2)=6\operatorname{Tri}(n-1)+n

6. 응용

명의 사람들이 서로 한 번씩 악수하는 경우의 수(악수 문제)는 번째 삼각수로 표현된다.[17] 개의 팀이 라운드 로빈 조별 리그를 진행할 때 필요한 총 경기 수는 번째 삼각수이다. 예를 들어, 4개 팀의 조별 리그는 6경기가 필요하며, 8개 팀의 조별 리그는 28경기가 필요하다.[17] 이는 완전 연결 네트워크에서 개의 컴퓨팅 장치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케이블 수와도 같다.

자산의 감가상각을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인 연수합계법은 T_n을 구하는 과정이 포함되며, 여기서 은 자산의 내용 연수이다. 예를 들어 = 4년의 사용 가능한 수명을 가진 품목은 첫 해에 손실 가능 가치의 4/10를 잃고, 두 번째 해에 3/10을, 세 번째 해에 2/10을, 네 번째 해에 1/10을 잃어, 총 감가상각 10/10 (전체)을 축적한다.

일부 보드 게임 디자인에서 삼각수는 게임 메커니즘의 핵심 요소로 활용되기도 한다.[17]

도미노의 한쪽 면에 있는 최대 점 수와 세트의 도미노 수 간의 관계
최대 점 수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
n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
Tn13610152128364555667891105120136153161190210231253


7. 삼각근과 삼각수 판별

이차 방정식에 따르면, 주어진 정수 x가 삼각수인지 확인하는 충분 조건과 필요 조건은 8x + 1이 제곱수인지 확인하는 것이다.[18] 즉, x가 n번째 삼각수이기 위해서는 x의 양의 삼각근 n이 정수여야 한다.[18] 이때 n은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n = \frac{\sqrt{8x+1}-1}{2}

예를 들어 10이 삼각수인지를 판별하려면, 8 * 10 + 1 = 81 이 제곱수(9의 제곱)이므로 10은 삼각수이다. 그리고 n = (9 - 1) / 2 = 4 이므로, 10은 4번째 삼각수임을 알 수 있다.

0이 아닌 삼각수의 숫자근은 항상 1, 3, 6, 9 중 하나이다. 따라서 어떤 자연수의 숫자근이 이 중 어느 것도 아니라면 그 수는 삼각수가 될 수 없다. 또한, 5로 나눈 나머지가 2 또는 4인 경우도 삼각수가 아니다.

8. 일반화

삼각수의 개념은 고차원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를 단순체수라고 한다. n번째 r차원 단순체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T_r (n)= \textstyle\prod\limits_{k=1}^r \displaystyle\left( 1+\frac{n-1}{k} \right) =\frac{n(n+1)\cdots (n+r-1)}{r!} =\binom{n+r-1}{r} ={}_{n+r-1}{\rm C}_r

점을 배치하는 공간의 차원을 3으로 하고, 점을 정사면체(삼각뿔) 모양으로 배치했을 때, 그 총수를 '''삼각뿔수'''(사면체수)라고 한다. 제 n 삼각뿔수는 제 1 삼각수부터 제 n 삼각수까지의 총합이며, 그 값 N은 N=\frac{n(n+1)(n+2)}{6}으로 쓸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삼각뿔수의 총합으로서 4차원 공간에서의 "삼각수"(일반적으로 "단순체수"라고 한다) 오포체수를 정의할 수 있다.

파스칼의 삼각형에 있는 수열은 왼쪽 위(또는 오른쪽 위)부터 차례로 다음과 같다.


  • 모나드(단수)의 수열
  • 자연수의 수열
  • 삼각수의 수열
  • 삼각뿔수의 수열
  • 오포체수의 수열


왼쪽 위(또는 오른쪽 위)에 있는 수열은 그 오른쪽 아래(또는 왼쪽 아래)의 수열의 계차수열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riangular Number Sequence https://www.mathsisf[...]
[2] 서적 Calculus https://books.google[...] Publish or Perish 2008
[3] 웹사이트 Gauss's Day of Reckoning http://www.americans[...] Computing Science 2014-04-16
[4] 웹사이트 Webpage cites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http://mathcentral.u[...] Mathcentral 2015-03-28
[5] 간행물 An unpublished astronomical treatise by the Irish monk Dicuil Proceedings of the Royal Irish Academy 1907
[6] 논문 "Dicuil (9th century) on triangular and square numbers." https://doi.org/10.1[...] 2019
[7] 웹사이트 The Handshake Problem | National Association of Math Circles http://www.mathcircl[...] 2022-01-12
[8] 서적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9] 간행물 Triangular Numbers and Perfect Squares https://doi.org/10.2[...] 2024-04-25
[10] 웹사이트 Triangular Number https://mathworld.wo[...] Wolfram MathWorld 2024-04-14
[11] 서적 Algebra in Context: Introductory Algebra from Origins to Applications https://doi.org/10.1[...]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5-10-15
[12] 간행물 Die {{math|''k''}}-dimensionale Champagnerpyramide https://epub.uni-bay[...] 2018-12-12
[13] 문서 Chen, Fang: Triangular numbers in geometric progression http://www.emis.de/j[...]
[14] 문서 Fang: Nonexistence of a geometric progression that contains four triangular numbers http://www.emis.de/j[...]
[15] 간행물 An Identity of Ramanujan and the Representation of Integers as Sums of Triangular Numbers 2003-12-01
[16] 간행물 Ramanujan's theta functions and sums of triangular numbers 2016-01-24
[17] 서적 Building Blocks of Tabletop Game Design http://dx.doi.org/10[...] 2019-06-25
[18] 간행물 Elements of Algebra J. Johnson and Co.
[19] 서적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Volume 1: Fundamental Algorithms Addison Wesley Longman, U.S.A. 1997
[20] 간행물 Algorithms for Functional Programming 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