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동광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동광산은 강원도 영월군에 위치한 텅스텐 광산으로, 한반도의 지질 구조와 관련된 스카른형 광상이다. 1916년 발견되어 일제강점기 동안 개발되었으며,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나, 1994년 중국 텅스텐의 저가 공세로 인해 폐광되었다. 현재는 재개발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산 - 은광
    은광은 은을 함유한 광석이 매장된 곳이나 은을 채굴하는 광산을 뜻하며, 은 함량이 적고 구리나 납의 비율이 높은 광물 형태로 존재하며, 귀금속인 은은 주화와 지금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고, 채굴 방식은 광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며 환경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 영월군 - 동강
    동강은 4억 5천만 년 전에 형성된 석회암 지층을 기반으로 수달, 어름치, 동강할미꽃 등 멸종 위기 동식물이 서식하며, 정선 아리랑과 뗏목 문화가 발달한 지질학적, 생태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 영월군 - 영월FM공동체라디오
    영월FM공동체라디오는 2021년 방송 허가를 받아 2023년 시험 방송을 시작하고 개국하여 지역 정보 제공, 소통 강화, 문화 발전,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동광산
개요
한국 텅스텐 광업 공사의 광산 사무소 옛 사진. 태백산 684m 높이의 오래된 갱도 입구
KTMC 시기 광산 사무소 부지 (태백산 레벨 684m의 오래된 갱도 입구)
위치영월군, 강원도
국가대한민국
생산
제품텅스텐
종류노천 채굴
연혁
발견 연도1916년
개장 연도1930년
운영 기간1930년–1994년, 2024년–현재
폐쇄 연도해당 없음
인수 연도2001년
소유주
소유주알몬티 코리아 텅스텐
공식 웹사이트알몬티 코리아 텅스텐 공식 웹사이트
추가 정보
최대 깊이해당 없음

2. 지질 및 광화작용

상동 광산의 암석은 단면도에서 상부부터 하부까지 대석회암의 풍천층, 묘봉층, 장산 규암층의 세 가지 주요 지대로 나눌 수 있다. 상동 광산에는 캄브리아기 시대 묘봉층의 변성된 지층에 스카른 광상이 존재한다. 변성된 지층에는 700m 깊이에서 시추 조사 중 발견된 각섬석 화강암체가 포함된다.[7] 지질학적 특징에 따라 최상부에서 최하부까지 상반(Hanging Wall), 주반(Main), 하반(Footwall) 지층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광화대는 동서 방향으로, 북쪽으로 15°~30° 경사져 있으며, 길이는 1.3km, 너비는 1.5km이다.[7]

2. 1. 광역 지질

한반도의 광역지질도


한반도는 북중국판의 동쪽 주변부에 위치하며, 시생대의 낭림-평남/경기/영남 육괴로 구분되고, 북동-남서 방향의 임진강벨트와 옥천벨트로 구분된다. 상동광산은 옥천벨트의 북동쪽에 위치한다.[8] 상동의 지질은 고생대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에 이르는 조선 누층군에 속하며 양덕통과 대석회암통으로 구분된다. 이후, 중생대 쥐라기와 백악기시대에 발생한 다양한 화성활동으로 심부에는 흑운모 화강암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8]

지역 지질학적 관점에서 한반도는 세 개의 太古代 시대 지괴, 즉 남림-평남 지괴, 경기 및 영남 지괴로 이루어진 북중국-한반도 지대의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이 지괴들은 북동-남서 방향의 임진강대와 현생누대 시대의 옥천대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상동 광산은 옥천대의 북동쪽에 위치한다.[6]

2. 2. 지질 개요



한반도는 북중국판의 동쪽 주변부에 위치하며, 시생대의 낭림-평남/경기/영남 육괴로 구분되고, 남-북 방향으로 임진강벨트, 옥천벨트로 구분된다. 상동광산은 옥천 벨트의 북동쪽에 위치한다. 상동의 지질은 고생대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에 이르는 조선 누층군에 속하며 양덕통과 대석회암통으로 구분된다. 이후, 중생대 쥐라기백악기 시대에 발생한 다양한 화성활동으로 심부에는 흑운모 화강암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8]

상동광산은 선캄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 율리층군 고선리층을 기저로 하고 그 위에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 조선 누층군석탄기-페름기평안 누층군이 차례로 온다. 조선 누층군은 밑에서부터 장산 규암층, 묘봉층, 풍촌 석회암층(대기층), 세송층, 화절층, 동점 규암층, 두무골층, 막골층, 직운산층, 두위봉층으로 구성된다.

하부의 변성 퇴적암에 의하여 기저를 이루고 있는 함백향사의 남익부에 해당하여 퇴적암 지층의 주향은 북서 70~80°또는 동-서 방향이며 경사는 북동 25~35° 또는 북서 20~25°(구래리 서부)이나 소규모 습곡단층에 의해 국부적으로 변하는 곳이 있다.[9][10]

상동 광산의 암석은 단면도에서 상부부터 하부까지 대석회암의 풍천 층, 묘봉 층, 장산 규암의 세 가지 주요 지대로 나눌 수 있다. 지질학적 특징에 따라 최상부에서 최하부까지 상반(Hanging Wall), 주반(Main), 하반(Footwall) 지층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광화대는 동서 방향으로, 북쪽으로 15°~30° 경사져 있으며, 길이는 1.3km, 너비는 1.5km이다.[7]

2. 2. 1. 장산 규암층

'''장산 규암층'''은 조선 누층군의 최하부 지층이며 백색 내지 담갈색, 암회색 규암으로 구성된다. 선캄브리아기 율리층군 고선리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묘봉층에 의해 정합으로 덮인다.[8] 대개 동-서 주향에 북(동)쪽으로 20~30°경사한다. 문곡 계곡에서 두께는 약 250 m이다.[8]

상동의 고두암(꼴두바위)은 조선 누층군 장산 규암층으로 구성된 바위이다.


상동 광산의 암석은 단면도에서 상부부터 하부까지 대석회암의 풍천 층, 묘봉 층, 장산 규암의 세 가지 주요 지대로 나눌 수 있다.[7] 묘봉 층 아래 최하부에는 장산 규암체가 있다.[7]

2. 2. 2. 묘봉층

'''묘봉층'''은 주로 초콜릿색, 회흑색, 회갈색의 점판암으로 구성되며 상하부에 1~2매의 두께 1~3 m, 연장 7~8 m의 렌즈상 석회암이 협재된다. 상동광산 지역에서 묘봉층의 두께는 145 m이다.[8]

상동광산 지역에서 묘봉층 내에 소규모 습곡이 발달한다.[9][10] 상부의 본 광체(Main)에서는 층리면에 스러스트 단층이 발달하였고, 전단대의 방향은 북동-남서방향으로 묘봉층과 풍촌 석회암층의 상부로 습곡이 발달하였다. 묘봉층과 풍촌 석회암층 및 장산 규암층과의 접촉부 또는 세송층과 풍촌 석회암층과의 접촉부 가까이는 층리면에 거의 평행한 전단대가 발달한다. 이 전단대의 방향성에 따라 중석비스무트 등을 함유하는 광화대가 발달하였고, 이후 광화작용의 주향은 북동-남서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작용하였다. 수평이동은 갱내관찰을 통하여 최소 2 m에서 경우에 따라 10 m 이상으로 관찰되기도 하였다.[8]

법궁리 단층(法弓理 斷層)은 상동 지구에서 구래 지구에 이르는 단층으로 주향은 북서 50~60°, 경사는 북동 60°이다. 이 단층은 조선 누층군 장산 규암층과 묘봉층을 절단하고 법궁리 지구에서 풍촌 석회암층을 절단한다.[8]

상동 광산에는 캄브리아기 시대 묘봉층의 변성된 지층에 스카른(skarntype) 광상이 존재한다. 묘봉층 아래 최하부에는 장산 규암층이 있다. 대석회암체는 묘봉층 위에 놓인 변성 지층의 시퀀스를 완성한다.[7]

2. 2. 3. 풍촌 석회암층

'''풍촌 석회암층'''은 석회암과 돌로마이트가 호층(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층)을 형성하며 곳에 따라 석회암 동굴이 발달한다. 묘봉층 위에 놓이는데 그 접촉면은 심한 전단대를 형성한다. 암상(암석의 양상)에 따라서 하부의 제1대(第一帶)와 상부의 제2대(第二帶)로 구분된다. 두께 200 m의 제1대는 회(백)색의 결정질 석회암과 암회색 내지 분홍색의 돌로마이트가 호층을 이루며 상동-문곡리 지구에서는 스카른대(Skarn Zone)가 발달한다. 이 구간은 과거 구리가 채굴되었다고 한다. 두께 25 m의 제2대는 세송층에 의해 정합으로 덮인다.[8]

2. 2. 4. 세송층

'''세송층'''은 회백색 내지 암회색 셰일과 백색 또는 분홍색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일부 처트와 점판암이 협재된 곳도 있다. 풍촌 석회암층과의 접촉부에는 스카른대가 상당히 넓게 분포한다. 셰일은 곳에 따라 혼펠스화되었고 석회질층은 전반적으로 스카른화되었다.[8]

2. 2. 5. 화절층

석회암셰일의 호층으로 구성되며 층리가 잘 발달하고 곳에 따라 심하게 스카른화 되어있다.[8] 어평 지구에서는 화강섬록반암과의 접촉부에서 구리, 텅스텐, 몰리브데넘의 광화작용을 받았다.[8]

2. 2. 6. 동점 규암층

백색 내지 담갈색의 세립질 규암으로 그 상위에 흑색 사질규암과 적철석층이 협재된다. 지층의 두께는 평균 25~30m이며, 문곡 지구에서 최대 80m이다.[8]

2. 2. 7. 상동 화강암

상동 화강암은 상동광산 광화작용의 원인이 된 화강암으로[11] 상동광산 내 하1갱과 하5갱에서의 시추로 확인되었다.[12] 상동 화강암의 백운모에 대한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결과는 85 Ma와 87.5±4.4 Ma[13]으로 중생대 백악기에 해당한다. 상동 화강암 내 미량원소의 평균함량은 대한민국의 백악기 화강암류의 평균함량에 비해 텅스텐 33배 (8~120 ppm, 평균 29.57 ppm), 비스무트 24배 (~75 ppm), 몰리브데넘 3배 (~17 ppm), 1.4배 (~42 ppb, 평균 4 ppb), 12.2배 (~5.6 ppm, 평균 0.86 ppm), 우라늄 7배 (9.8~35 ppm, 평균 19.56 ppm), 토륨(22~75 ppm, 평균 34.71 ppm)이 2배 더 함유되어 있다.[8] 중력탐사 결과 낮은 중력이상이 확인되어 광산 아래에 화강암체가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상동광산에서 서북서 방향으로 3 km 떨어진 곳의 하부에는 이보다 약간 더 큰 규모로 연속된 화강암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광산에서 남동쪽 방향으로도 연장된 것이 관찰된다.[14]

2. 3. 광화작용

상동광산의 광화작용을 일으킨 화성암은 광체로부터 700~900 m 아래에 있는 상동 화강암이며, 일반적인 화강암체와 비교하여 텅스텐(<62 ppm)과 몰리브데넘(<20 ppm)이 풍부하게 포함된 지화학적인 특징을 보인다.[8] 광화 시기는 상동화강암에 대한 백운모 K-Ar 연대측정 결과 중생대 백악기인 87.5±4.4 Ma로 나타났으며,[8] 이 연대는 광체에 맥석광물로 존재하는 백운모에 대한 Ar-Ar 연대인 86.6-87.5 Ma와 일치한다.[8] 상동광산의 주요 광석광물은 회중석, 철망간중석, 휘수연석이며, 부산물로 , , 비스무트 광물이 산출되는데, 이들은 괴상 스카른(massive skarn)과 이를 가로지르며 주로 맥상으로 산출되는 석영맥으로 구분된다.[8]

이유성 외(2023)는 상동광산 석영맥 조직을 관찰하고, 괴상조직을 나타내는 상반맥의 석영맥은 맥상 스카른 형성 단계에서 화강암의 수분 포화로 인한 유체 상승으로 수압파쇄작용 중 유체가 단열로 폭발적으로 주입되어 침전되었고, 신장형 괴상조직을 나타내는 본맥과 하반맥의 석영맥은 상반맥의 석영맥 형성 이후 발생한 반복적 수압파쇄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상동광산의 석영맥에서는 알루미늄(553 ppm 이하)이 가장 우세하고 리튬(45 ppm 이하)과 티타늄(50.2 ppm 이하)도 우세하다.[16]

지역 지질학적 관점에서 한반도太古代 시대 지괴 3개(남림-평남 지괴, 경기 지괴, 영남 지괴)로 이루어진 북중국-한반도 지대의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이 지괴들은 북동-남서 방향의 임진강대와 현생누대 시대의 옥천대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상동 광산은 옥천대의 북동쪽에 위치한다.[6]

상동 광산의 암석은 단면도에서 상부부터 하부까지 대석회암의 풍천 층, 묘봉 층, 장산 규암의 세 가지 주요 지대로 나눌 수 있다. 상동 광산에는 캄브리아기 시대 묘봉 층의 변성된 지층에 스카른(skarntype) 광상이 존재한다. 변성된 지층에는 700m 깊이에서 시추 조사 중 발견된 각섬석 화강암체가 포함된다. 묘봉 층 아래 최하부에는 장산 규암체가 있다. 대석회암체는 묘봉 층 위에 놓인 변성 지층의 시퀀스를 완성한다.[7]

2. 3. 1. 광체

상동광산의 광화대는 묘봉층 하부와 상부, 풍촌 석회암층 내, 세송층 하부 4개 구간에 발달한다.[8] 이들은 대체로 모암의 층리면에 거의 평행한 전단대를 따라 발달하며 자류철광, 자비철광, 섬아연광, 방연광, 황철광, 황동광, 흑중석 등이 있다.[8] 모암은 주로 규암, 묘봉층점판암, 풍촌 석회암층의 석회암, 세송층셰일 등이며 이들은 규화되어 있다.[8]

상동광산의 텅스텐광화대는 묘봉층 내의 몇 개의 판상으로 분포한다. 심부 화강암이 관입할 당시, 묘봉층 내 여러 석회암과 풍촌 석회암층의 경계부에 있는 석회암이 열수에 의해 스카른형 광상을 형성한 것으로 해석된다.[8]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광체는 상반 광체(Hanging wall), 본 광체(Main), 하반 광체(Foot wall)로 명명되었으며, 주향은 동-서 방향, 경사는 15°~30°(최대), 경사 방향으로 연장은 1.3~1.5 km이다.[8]

  • 상반 광체(Hanging wall): 묘봉층 상부를 덮고 있는 풍촌 석회암층과 함께 두께는 약 5~30m로 다양하다.[8]
  • 본 광체(Main): 주향은 약 100°, 경사는 북쪽으로 15~30°이다. 주향의 길이는 1.3 km이고, 두께는 5~6 m로 비교적 일정하다. 본 광체에서 광화작용은 중심으로부터 석영-흑운모대, 각섬석대, 투휘석-석류석대로 3가지로 구분되며, 이는 동심원상으로 누대 구조를 보인다.[8]
  • 석영-흑운모대: 3% 이상의 WO3 (중심부)
  • 각섬석대: 1~1.5% WO3
  • 투휘석-석류석대: 0.3% 이하 WO3 (가장자리)
  • 하반 광체(Foot wall): 여러 개의 층으로 구분되며, 하반-1(Foot wall-1, 메인 하부), F2(Foot wall-2), F3(Foot wall-3)는 본 광체(Main)의 약 35~40 m 하부에 1m 내외의 두께로 존재한다.[8]


광화작용은 상반 광체(Hanging wall)의 중심부를 제외하고, 본 광체 및 하반 광체에 크게 관련되어 있다.[8] 석영 맥을 중심으로, 중심부에서 가장 많은 석영-흑운모대가 존재하며 주변의 층과는 평행하지만, 광화작용(스카른화) 이후의 암석은 주변의 암석과 비교하여 그 성질이 변하여 동일한 형상을 띠지 않는다.[8]

본광과 상반 광맥에는 비스무트 광물이 산출된다.[15] 상동 광상은 회중석을 중심으로 철망간중석, 휘수연석, 휘창연석, 자연창연을 포함하고 있다.[8] 몰리브데넘은 회중석과 함께 존재하며, 상동광산에서 생산되는 몰리브데넘의 약 30%는 회중석과 관련되어 있다.[8] 은 휘창연석과 자연창연과 함께 부존하며, 비스무트 정광(concentrate)으로부터 회수한다.[8] 그 외, 유비철석, 황철석, 황동석, 섬아연석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8] 본 광체(Main)를 중심으로 높은 온도에서 광화작용을 받아 회중석이 많이 존재한다.[8] 상반 광체(Hanging wall)에서 회중석은 더욱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그 구역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다.[8] 몰리브데넘비스무트는 본 광체(Main)의 중심으로부터 텅스텐과 비슷하게 동심원상으로 나타난다.[8] 이 구역은 북쪽으로 가파르게 기울어진 정단층과 역단층에 의해 단절되었고, 이에 따라 광화된 광체의 이동이 50~100 m 정도 이동하였다.[8]

본 광체에서는 회중석, 휘수연석, 휘창연석, 흑중석이 주로 산출되며, 황철석, 황비철석, 자철석, 석석(錫石)도 산출되고 자연 이 소량 수반된다.[8] 의 최대 함량은 본 광체의 석영-각섬석스카른에서 6490 ppb, 하반 광체의 휘석-각섬석스카른에서 3240 ppb, 상반 광체의 각섬석-휘석스카른에서 1300 ppb으로 주로 고철질암에 수반된다.[8]

동부(Eastern) 광화대는 기존 상동광산 개발지역의 동쪽에 있는 미개발 지역으로, 본 광체(Main)로부터 동쪽으로 약 1km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8] 동부 광화대는 주로 휘석, 석류석이 주로 존재하며, 장석, 석영, 인회석, 각섬석, 규회석이 많이 포함되어있다.[8] 서부(Western) 광화대의 산출 상태는 본 광체(Main)와 비슷하나, 광화작용이 대체적으로 미약하며, 스카른의 두께가 더 얇고 석영 맥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게 형성되어 있다.[8]

3. 역사

대한중석 시절의 상동광산 (태백갱, 684 m)


APT공장 준공식


상동광산 전경


상동광산 현장사무실


상동광산 시추코어


상동광산은 1916년 노두 발견 이후 여러 차례 폐광과 개광을 거듭하며 텅스텐 생산이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고바야시 우네오(小林采男)가 설립한 소림광업주식회사(小林鑛業株式會社)에서 텅스텐을 생산했다.[17]

해방 이후 1947년 상동광산의 텅스텐이 미국으로 수출될 때, 미국 시험기관에서 "'''한국의 텅스텐 정광(Tungsten concentrates)의 품질은 세계시장의 표준'''"이라고 발표할 정도로 품질이 우수했다.[18] 한국전쟁 이후 10여 년간 상동광산의 중석 수출은 대한민국 전체 수출액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전후 복구와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17]

그러나 1980년대 중국의 텅스텐 광산 개발 및 공급으로 채산성이 악화되어 1994년 폐광되었다.[17] 이후 2001년 광업권 등록, 2006년 캐나다 울프 마이닝(Woulfe Mining Corp.)의 광업권 인수, 2015년 알몬티 인더스트리즈(Almonty Industries Inc.)의 인수·합병을 거쳐 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19][21][22]

3. 1. 일제강점기 (1916~1945)

1916년 4월, 황순원이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구래리에서 중석 노두(광맥이 지표면에 드러난 부분)를 발견하면서 상동광산의 역사가 시작되었다.[24]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텅스텐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1934년 일본인 고바야시 우네오(小林采男)가 소림광업주식회사(小林鑛業株式會社)를 설립하여 1945년 광복 직전까지 텅스텐을 생산했다.[17]

1930년에는 단층 굴착 채광법(Sublevel Stopping)을 적용하여 채수율(캔 광석 중 실제 회수되는 광물의 비율)이 35% 내외였다. 수직 5~6m 간격으로 갱도를 굴착하고 확장 채굴하는 방식이었다.[5][24] 1945년 광복 이후에도 몇 차례 폐광과 개광을 거듭하며 텅스텐 생산은 계속되었다.[17]

연도내용
1916년 4월황순원, 중석 노두 발견 (강원 영월군 상동읍 구래리)[24]
1930년Sublevel stopping 채광법 적용. 목광차 운반 (채수율 35% 내외). 수직 5~6m 간격으로 Sublevel Drift 굴착, 확장 채굴(상동갱)[5][24]
1934년 2월고바야시 우네오, 소림광업주식회사(小林鑛業株式會社) 설립[17][24]


3. 2. 해방 이후 (1945~1994)

1947년 상동광산의 텅스텐이 미국으로 수출되던 당시, 상동광산 텅스텐 정광을 분석한 미국 시험기관에서 "'''한국의 텅스텐 정광(Tungsten concentrates)의 품질은 세계시장의 표준'''"이라고 발표했을 만큼 상동광산 텅스텐 정광 품질의 우수성이 알려져 있다.[18] 1952년 3월 한미중석협정(韓美重石協定)의 체결은 상동광산이 당시 국가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1954년 3월 한미중석협정의 중단(中斷)은 당시 상동광산의 텅스텐 자원을 근간으로 하던 대한중석이 초경 및 기타 제철분야로 발돋움하여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는 전화위복(轉禍爲福)의 계기가 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10여년간 상동광산의 중석수출은 대한민국 전체 수출규모의 50%이상을 담당하며, 전후 복구 및 눈부신 한국 경제발전의 전초석 역할을 담당하였다.[17] 1950년대 초에 우리나라 전체 수출량의 50% 이상을 기여하였으나,[18] 1980년대를 거치며 중국의 텅스텐 광산개발 및 공급으로 인한 채산성 하락으로[17] 1992년을 마지막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18] 1994년 상동광산은 폐광되었다.[18]

이후 2001년 광업권등록 후, 2006년 캐나다 Woulfe Mining Corp.이 상동광산의 광업권을 인수한 이래로 제 7차 시추조사까지 완료되었으며, 매장량 및 재개발 기술정보가 타당성보고서[19]와 기술보고서[20]로 정리되었다. 2015년 9월 Almonty Industries Inc.[21]가 Woulfe Mining Corp.을 인수·합병 하면서 상동광산 재개발을 위한 국내 법인인 (주)알몬티 대한중석의 100%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22]

2020년 5월 7일 강원도영월군, ㈜알몬티대한중석 등 3개 기관은 강원도청에서 상동광산 재개발 관련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23]

연도내용
1946년10월소림광업주식회사(小林鑛業株式會社)를 조선중석광업회사(朝鮮重石鑛業會社)로 상호변경[24]
1947년1월한국의 중석품질은 세계시장의 표준물(標準物), 미분석소(美分析所) 성명[24]
1947년2월상동중석 최초 미국수출[24]
1947년4월상동광산, 60%함량의 우수한 중석을 매월 100M/T 생산한다는 ‘러취’군정 장관의 성명발표[24]
1949년10월조선중석광업회사(朝鮮鑛業株式會社)를 대한중석광업회사(大韓重石鑛業會社) 로 개칭[24]
1952년3월한미중석협정체결(계약기간 1952.4 ~ 1954.3 공급계약량 15,000톤)[24]
1952년9월대한중석광업주식회사(大韓重石鑛業株式會社) 발족[24]
1954년3월한미중석협정 기간만료 (중석국제시세 25달러로 하락)[24]
1956년6월상동갱 第1斜坑 굴진개시[24]
1959년5월화학처리공장준공 (Dise Cake 처리능력 70톤/일, B중석 6톤/일 생산능력)[24]
1959년6월상동갱 하반갱도 굴착 / 태백갱 통기갱도 굴진[24]
1960년12월상동, 칠랑리 용수배관공사 완료[24]
1961년9월상동, 금속·창연 제련공장 건설[24]
1962년2월상동, 선광수납장 준공[24]
1963년9월하6갱 갱내침수방지용 펌프100HP설치 및 펌프실 굴착[24]
1965년2월금속 비스무트 생산[24]
1965년8월백운갱 운반갱도 설치[24]
1965년12월태백갱도 추진[24]
1966년4월Sand Filling공사 실험 돌입 (4월~12월)[24]
1966년5월상동, 채광 Top Slicing법으로 전환가능확인 및 채택 (채수율 55~70%내외로 향상)[24]
1967년9월수갱(竪坑) 굴하사업 착공[24]
1968년10월하11갱 굴진 착공[24]
1969년12월하1갱 및 하10갱 재채굴 착공 / 하12갱 굴진[24]
1970년5월하10갱 Cross굴착[24]
1970년8월제2선광장 설치 (70톤/일 처리)[24]
1970년9월상동광산 집중폭우 (9.16~17) 수해(水害)[24]
1970년12월하2~3갱 재굴착 착공 / 하6,7,8,9,10갱 Chute설치[24]
1971년5월상동갱 백운갱간 Chute설치[24]
1971년12월상동 통기사갱 굴진[24]
1972년10월갱내 坑木(지주)을 콘크리트 坑木(지주)로 교체[24]
1972년10월APT 공장준공 (3톤/일 생산능력, 연간 약 1,223톤)[24]
1973년4월상동, 第3斜坑 폐쇄[24]
1973년5월상동, 제1폐재댐 공사착공[24]
1975년8월하16갱 Cross 개설[24]
1978년2월하15갱 Cross 개설[24]
1979년7월상동, 제1폐재댐 수해유실[24]
1979년11월장산갱 재채굴[24]
1980년4월상동발파공정 ‘Large hole burn cut method’ 적용[24]
1982년8월상동, 제2폐재댐 건설공사 완공[24]
1992년2월대한중석광업주식회사(大韓重石鑛業株式會社)를 대한중석주식회사(大韓重石 株式會社)로 사명변경[24]
1994년2월상동광산 폐광[24]


3. 3. 폐광 이후 (2001~현재)

2001년 광업권 등록 후, 2006년 캐나다 울프 마이닝(Woulfe Mining Corp.)이 상동광산의 광업권을 인수하였다.[19] 2015년 9월 알몬티 인더스트리즈(Almonty Industries Inc.)[21]가 울프 마이닝을 인수·합병 하면서 상동광산 재개발을 위한 국내 법인인 (주)알몬티 대한중석의 100%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22]

2020년 5월 7일 강원도영월군, ㈜알몬티대한중석 등 3개 기관은 강원도청에서 상동광산 재개발 관련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23]

년도내용
6월2001년세우광업(Sewoo Mining)이 상동 광산 채굴권을 등록함.
1월2007년상동 광산 채굴권이 오리엔트 하드 메탈즈 홀딩스 코리아(Orient Hard Metals Holdings Korea Corp.)로 이전됨.
3월2010년회사명이 “오리엔트 하드 메탈즈 홀딩스 코리아(Orient Hard Metals Holdings Korea Corp.)”에서 상동광업(Sangdong Mining Corp.)으로 변경됨.
9월2015년상동광업(Sangdong Mining Corp.)의 지주회사인 울프 광업(Woulfe Mining Corp.)이 알몬티 인더스트리즈(Almonty Industries Inc.)에 인수됨.

[5]

참조

[1] 웹사이트 Sangdong Tungsten Molybdenum Project http://www.mining-te[...] mining-technology.com 2013-07-03
[2] 논문 Mineral for Empire: U.S. Mining of South Korean Tungsten, 1945–1954 https://doi.org/10.1[...] 2024
[3] 웹사이트 Feasibility study for the sangdong tungsten project, Republic of Korea http://www.almonty.c[...]
[4] 웹사이트 NI 43-101 Reserves/Resources of Almonty Korea Tungsten(Sangdong)(as at July 31,2016) http://www.almonty.c[...]
[5] 웹사이트 알몬티 대한중석 연혁 https://www.almontyk[...] Almonty Korea Tungsten 2024-10-08
[6] 웹사이트 Almonty Korea Tungsten {{!}} Almonty Industries http://www.almonty.c[...] 2017-05-04
[7] 웹사이트 Sangdong Tungsten Molybdenum Project http://www.mining-te[...] 2017-05-04
[8] 논문 The genesis of the Sangdong tungsten deposit, the Republic of Korea University of Tasmania 1983
[9] 논문 Relations of Structural Pattern and Tungsten Deposition in the Sangdong Mine and its Vicinity (上東鑛山 및 그 附近의 地質構造와 重石鑛床의 鑛化作用과의 關係) https://www.dbpia.co[...] 1966-06
[10] 논문 상동광산(上東鑛山) 인접광구(隣接鑛區) 지질광상(地質鑛床) 조사보고(調査報告) https://scienceon.ki[...] 1970
[11] 논문 Significance of the Occurrences of the Sangdong Granite and Scheelite-bearing Quartz Veins in the precambrian Schist (上東鑛山의 花崗岩과 太白山統內 含灰重石 石英脈의 存在意義) https://www.dbpia.co[...] 1987-12
[12] 논문 상동광산 금스카른광상의 지구화학적 연구 (A Geochemical Study of Gold Skarn Deposits at the Sangdong Mine, Korea) https://scienceon.ki[...] 1998
[13] 논문 Petrology and petrochemistry of Sangdong granite University of Kyungpook 1986
[14] 논문 Gravity anomaly in the Taebaeksan mineralized zone (태백산광화대에서의 중력이상) https://www.dbpia.co[...] 2019-08
[15] 논문 The Distribution of Bi-minerals in the Sangdong Mine (상동 광산 Bi광의 분포 조사) https://www.dbpia.co[...] 1972-12
[16] 논문 상동광산 석영맥의 조직 및 석영의 미량원소 분석을 통한 광맥 침전 기작 도출 (A Study on the Precipitation Mechanism of Quartz Veins from Sangdong Deposit by Analyses of Vein Texture and Trace Element in Quartz) https://scienceon.ki[...] 2023
[17] 뉴스 대한중석 경영변신 서둔다/중국산 중석에 밀려 광산 모두 문닫아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92-03-17
[18] 논문 Magmatic–hydrothermal processes in Sangdong W–Mo deposit, Korea: Study of fluid inclusions and 39Ar–40Ar geochronology https://www.scienced[...] 2017-12
[19] 웹인용 Feasibility study for the Sangdong Tungsten project, Republic of Korea http://www.almonty.c[...]
[20] 웹인용 NI 43-101 Reserves/Resources of Almonty Korea Tungsten(Sangdong)(as at July 31,2016) http://www.almonty.c[...]
[21] 웹인용 Almonty - Leaders in Tungsten http://www.almonty.c[...] 2017-05-02
[22] 뉴스 [영월]“영월 상동광산 내년 봄 착공”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15-09-21
[23] 뉴스 세계 최대 텅스텐 매장…영월 광산 27년만에 다시 문연다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0-05-06
[24] 서적 대한중석 70년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