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사 (평창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원사는 신라 성덕왕 23년(724년)에 건립된 사찰이다. 국보 제36호인 상원사 동종과 대리석 탑 등 신라 시대 유물이 있으며, 1951년 1·4 후퇴 때 소각 위기를 겪었으나 승려들의 노력으로 주요 건물은 보존되었다. 주요 문화재로는 국보 제36호 상원사 동종, 국보 제221호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국보 제292호 상원사 중창권선문, 보물 제793호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평창 상원사 영산전 석가삼존·십육나한상 및 권속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대산 - 오대산 지진
오대산 지진은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일대에서 발생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지진동이 감지되었으며, 특히 진앙지 인근 평창군과 강릉시에서 경미한 구조물 피해가 보고되었고, 북북동 방향의 주향 이동성 단층 운동과 관련 있는 진부 단층이 지진 단층일 가능성이 있다. - 오대산 - 소금강
강원특별자치도 오대산국립공원에 있는 소금강은 맑은 폭포와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적 가치가 높은 명승지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절 - 백담사
백담사는 647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이름 변경과 소실 및 재건을 거쳐 1783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내설악의 대표 사찰이자 만해 한용운의 저술 활동 장소,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은둔 생활 장소로 알려져 있고,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기본선원이자 목조아미타불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절 - 월정사 (평창군)
월정사는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에 있는 신라 시대 창건 설화가 전해지는 사찰로, 팔각 구층 석탑 등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템플스테이 프로그램과 전나무 숲으로 알려져 있다. - 평창군의 건축물 - 평창역
평창역은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경강선 철도역으로, 2017년 12월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서울 및 강릉 방면 KTX가 운행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평창군의 건축물 - 진부역
진부역은 2017년 개통한 경강선 철도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춰 20량 편성 열차 운행이 가능하며, 강릉선, 중앙선 KTX와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평창, 강릉, 정동진을 잇는 교통 거점이다.
상원사 (평창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상원사 |
한자 표기 | 上院寺 |
로마자 표기 | Sangwonsa |
위치 | 대한민국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
해발고도 | 938m |
종교 | |
종파 | 대한불교조계종 |
역사 | |
건립 연도 | 724년 |
창건자 | 불명 |
문화재 | |
문화재 정보 | 상원사 동종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추가 정보 | |
웹사이트 | 월정사 웹사이트 |
![]() | |
![]() |
2. 역사
신라 성덕왕 23년(724년)에 처음 세워졌으며, 한국 전쟁 중 1·4 후퇴 때 소실될 위기를 겪기도 했다.[2] 현재의 주요 건물들은 광복 이후에 다시 지어진 것이다.
2. 1. 신라 시대
신라 33대 성덕왕(聖德王) 23년(724년)에 건립되었다. 신라시대의 유물로는 국보로 지정된 상원사 동종(銅鐘)과 대리석 탑이 있다.2. 2. 한국 전쟁
1951년 1·4 후퇴 당시, 연합 사령부는 월정사와 함께 상원사를 불태우라는 명령을 내렸다. 하지만 상원사 승려들은 이에 저항했고, 결국 절 전체를 태우는 대신 문짝만 떼어내 불태우는 것으로 소각을 막아낼 수 있었다.[2]3. 문화재
상원사에는 여러 중요한 문화재가 있다. 대표적으로 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상원사 동종(국보 제36호)과 조선 세조 때 조성된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국보 제221호)이 있다. 또한, 세조 때의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국보 제292호)과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내부에서 발견된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보물 제793호), 그리고 평창 상원사 영산전 석가삼존ㆍ십육나한상 및 권속(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등 다양한 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다.
3. 1. 상원사 동종 (국보 제36호)
국보 제36호로 지정된 구리종이다. 725년에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1.7m이다. 종의 윗부분인 천판에 새겨진 글(명문)에 따르면, 휴도리(休道里)라는 귀부인이 기증했다고 전해진다. 종 표면의 무늬 띠(문양대)는 당초문과 반원형으로 나뉜 공간 안에 천인상을 새겨 장식했다. 종 몸체에는 당초문 띠를 두른 연꽃 무늬의 종 치는 자리(당좌)와, 나란히 앉아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상(병좌주악천인상)이 두 곳에 배치되어 있다. 전체적인 형태나 무늬를 새긴 솜씨, 특히 바람에 날리는 듯한 천인상의 옷자락 표현 등은 봉덕사종에 비해 더 부드럽고 단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러 면에서 현재 남아있는 신라 시대 종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3. 2.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국보 제221호)
국보 제221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 세조 12년(1466년)에 조성되었다. 조각 수법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의 불상에서 조선시대로 넘어가는 불상 조성 양식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수인은 미타수인 등에서 볼 수 있는 구품인을 나타내고 있으며, 결가부좌 대신 반가부좌를 하고 있다. 복장유물은 월정사에 보관되어 있다.3. 3. 상원사 중창권선문 (국보 제292호)
조선 세조 때 상원사 중창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귀중한 문서로, 국보 제292호로 지정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3. 4.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 (보물 제793호)
보물 제79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총 1괄 51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4년 7월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내부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마치 석탑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는 것처럼, 불상 내부에 사리와 함께 복장 유물을 봉안한 매우 드문 사례이다.3. 5. 평창 상원사 영산전 석가삼존ㆍ십육나한상 및 권속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강원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제162호로 지정되어 있다. 1711년 작품이다.참조
[1]
웹사이트
Sangwŏn-sa, Gangwon-do, South Korea
http://www.geonames.[...]
2011-08-10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ewsplus.chos[...]
2013-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