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정사 (평창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정사는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오대산의 중심 사찰이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중건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건물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현재는 국보 제48호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 석탑을 비롯한 다수의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으며, 템플스테이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43년 완공된 건축물 - 기림사
    기림사는 신라 시대 원효에 의해 창건되어 임진왜란 당시 승병의 거점 역할을 하고 조선 시대 불교 탄압 속에서도 존속했으며 현재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한 경상북도 경주 소재 사찰이다.
  • 월정사 -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는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에서 발견된 은제도금여래입상, 사리합, 수정사리병, 금동방형향갑, 동경, 전신사리경, 수라향갑낭, 명주보자기 등으로 구성된 10세기 말~11세기경의 유물 일체이며, 특히 수정사리병과 전신사리경은 뇌봉사 팔각오층전탑 출토 유물과 유사한 구성을 보인다.
  • 월정사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높이 1.8m의 석조 보살 좌상으로,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앞에 공양을 올리는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약왕보살로 추정되고, 안정적인 자세와 화려하고 섬세한 표현이 특징이며, 고려 전기 탑전 공양보살상의 독창적인 도상과 구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아 보물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절 - 백담사
    백담사는 647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이름 변경과 소실 및 재건을 거쳐 1783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내설악의 대표 사찰이자 만해 한용운의 저술 활동 장소,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은둔 생활 장소로 알려져 있고,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기본선원이자 목조아미타불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절 - 오세암
    오세암은 시각 장애인 누이와 어린 동생이 절에서 겪는 신비로운 이야기인 설화를 바탕으로 한 암자의 이름이자, 동화 및 영화 작품의 제목이다.
월정사 (평창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월정사 전경
이름월정사
한자 표기月精寺
로마자 표기Woljeongsa
위치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종교
종파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종단조계종
역사
창건 연도643년 (신라 선덕여왕 12년)
창건자자장 (전승)
문화재
지정 문화재팔각구층석탑 (국보 제48호)
기타 정보
산 이름오대산
주요 건물팔각구층석탑
특징조계종 제4교구 본사
지정조선 31본산 (일본 통치 시대)
본존석가모니불
웹사이트해당 정보 없음

2. 역사

월정사는 신라 선덕여왕 12년인 643년자장 율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전해지는 오대산의 중심 사찰이다. 울창한 전나무 숲 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가람 배치는 일반적인 신라 시대 양식과는 달리 탑 옆쪽으로 부속 건물이 세워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4]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화재와 중건을 반복했다. 고려 시대에는 923년(태조 6년) 신효선사가, 1276년(충렬왕 2년) 신의선사가 중건했다. 조선 시대에는 1392년(태조 원년) 유연대사가 중건했으며,[4] 태종과 세종의 불교 탄압에서도 살아남은 유서 깊은 사찰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 30본산(1924년 이후 31본산) 중 하나였다.[4] 한국 전쟁 중에는 아군에 의해 전략적인 이유로 불태워졌으나, 1964년 탄허 스님이 적광전을 중건하면서 다시 복원되었다.[4]

2. 1. 창건 설화와 고려 시대

신라 선덕여왕 12년인 643년자장 율사오대산월정사를 창건했다는 설이 전해진다. 자장 율사는 중국 산서성 태화지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부처님 정골사리, 가사, 발우를 받았다. 문수보살은 자장에게 신라로 돌아가 경주 동북방 오대산에서 다시 만날 것을 이야기했다. 신라로 돌아온 자장은 오대산에 임시 초암을 짓고 머물렀으나, 3일 동안 궂은 날씨가 이어져 뜻을 이루지 못했다.[4]

이후 유동보살의 화신이라 전해지는 신효거사가 이곳에서 수행했고, 범일국사의 제자 신의 스님이 자장이 초암을 지었던 터에 작은 암자를 지었다. 신의 스님 입적 후 암자는 오랫동안 황폐해졌으나, 수다사의 유연 스님이 다시 암자를 지으면서 사찰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4]

고려 충렬왕 33년인 1377년 화재로 전소된 것을 이일 스님이 중창했고, 조선 순조 33년인 1833년 다시 화재로 전소된 것을 1844년 (헌종 10년) 영담, 정암 등의 스님이 중건했다.[4]

2. 2. 조선 시대

고려 충렬왕 2년(1276년)에 신의선사가 월정사를 중건하였다.[4] 조선 건국 직후인 태조 원년(1392년)에는 유연대사가 중건하였다.[4]

태종 7년(1407년) 조선 조정의 불교 탄압 때에는 존속이 허용된 88개 사찰 목록에 월정사가 포함되지 않아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세종 6년(1424년)의 불교 탄압 때는 존속이 허용된 36개 사찰 안에 월정사가 포함되었다.[4]

숙종 10년(1684년) 청하선사가 중건하였고, 영조 20년(1744년) 조정에 의해 중건이 시작되어 영조 28년(1752년)에 완료되었다.[4] 순조 32년(1832년)에는 영담, 인파, 정암 선사가 중건하였다.[4]

2. 3.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1911년 사찰령 시행 규칙(7월 8일)에 의해 조선 30본산으로 지정되었다 (1924년 이후에는 조선 31본산).[4]

한국 전쟁 당시 월정사는 북한군의 거점이 되어 전소되었다. 1·4 후퇴 때 절이 인민군에 점령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월턴 워커 미8군 사령관과 김백일 육군 1군 군단장이 오대산 사찰 소각을 지시했다. 이로 인해 팔각구층석탑 이외의 건물은 모두 불타 없어졌다. 몇 달 뒤 김백일은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는데, 유족은 이를 사찰을 훼손한 것에 대한 업보로 여겨 이후 월정사에 그의 위패를 안치했다.[4] 현재 건물은 1964년 이후 탄허 스님이 적광전을 중건하여 재건된 것이다.[4]

2. 4. 현대

1·4 후퇴인민군이 절을 점령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월턴 워커 미8군 사령관과 김백일 육군 1군 군단장이 오대산 사찰들의 소각을 지시했다. 월정사도 팔각구층석탑 이외의 건물은 모두 불타 없어졌다. 몇 달 뒤 김백일은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는데, 유족은 이를 사찰을 훼손한 것에 대한 업보로 여겨 이후 월정사에 그의 위패를 안치했다.[4]

오대산을 뒤로 하고 울창한 전나무 숲 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가람 배치는 일직선 상에 건물을 놓는 일반적인 신라 시대 양식과는 달리 탑 옆쪽으로 부속 건물이 세워져 있다. 지금의 건물은 한국 전쟁 때 완전히 소실된 것을 현대에 새로 중창한 것이다. 방한암과 탄허 등의 고승이 이 곳에 머물렀다.

1964년 이후 한국 전쟁 당시 반란군(북한 측)의 거점이 되어 전소된 사찰을 재건하였다.

2011년 12월 16일, 89년 만에 일본으로부터 반환된 조선왕조 의궤의 "국민 환영 행사"가 열렸다. 월정사 주지 정념 스님은 축사에서 "(의궤 반환은) 일본과 한국의 양심적인 사람들의 뜻으로 이뤄낸 쾌거"라고 말했다.

3. 문화재

월정사는 대한민국의 국보 제48호로 지정된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대한민국의 보물 제139호 석조보살좌상으로 유명하다. 1997년 성보박물관을 개관하여 조계종 제4교구 소유의 문화재들을 관리하고 있다.[1]

월정사는 많은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국보 4점과 보물 5점을 포함하여 총 9개의 국가 지정 문화재가 있다. 또한 강원도 지정 유형 문화재 17점, 문화재 자료 6점, 사적 1점, 민속 문화재 1점, 등록 문화재 1점을 소장하고 있다.[2] 상원사의 동종은 한국에서 제작된 가장 오래된 범종으로, 흥미로운 전설을 가지고 있으며 형태와 몸체에 새겨진 비천상이 매우 아름답다.[3]

종류명칭비고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월정사 만화루제28호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월정사육수관음상제53호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대장경제54호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월정사북대고운암목조석가여래좌상및복장유물제131호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제157호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지장삼존불감제158호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제159호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월정사 부도제42호



이외에도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제130호 영흥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출토 유물, 제132호 운흥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및 출토 유물, 제133호 용다사 범종, 제134호 영원사 석가불 후불탱, 제135호 영원사 설법도, 제136호 구룡사 대장경판 및 출토 유물, 제137호 운수암 관음보살도, 제138호 운흥사 천룡도, 제139호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 및 출토 유물, 제140호 영은사 범일국사 진영, 제141호 대선사 사명당 진영, 제169호 삼척 지장암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출토 유물, 제170호 삼척 영은사 석가삼존불 및 출토 유물이 있다. 강원도 문화재로는 제134호 오대산 중대 불량문, 제135호 오대산 중대 불량 계원수보문, 제157호 보덕사 석조불좌상, 제158호 월정사 밀부, 제159호 오대산 사고 문건이 있으며, 사적 제37호 오대산 사고, 중요민속문화재 제219호 세조 어자, 등록문화재 제645호 한암 스님 가사가 있다.

3. 1. 국보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平昌 月精寺 八角 九層石塔)은 국보 제48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려 중기 다층석탑의 대표적인 예로 전체 높이는 15.2m이다. 하성기단의 갑석에는 연화문이 새겨지고 옥개석(屋蓋石)에는 층급 받침 대신 백제식 석탑에서 볼 수 있는 각(角)과 원(圓)의 2단받침을 쓴 것이 특이하다. 탑의 남쪽 면 앞에는 북쪽을 향해 앉은 보살석상이 있는데, 이러한 유례는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에서도 볼 수 있다.[1]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月精寺八角九層石塔舍利莊嚴具)는 보물 제1375호로 지정되어 있다.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을 1970년에 해체 복원할 때 발견된 것으로 9종 12점이다. 고려시대 초기의 금속공예사 및 불교사상과 교류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

월정사 팔각 구층 석탑은 10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리탑으로, 특히 한국 북부 지역에서 고려 시대에 유행했던 다층 석탑을 대표한다. 현재 노출된 석탑 기단은 원래의 기단이 아니고, 원래의 기단은 지표면 아래에 있다. 원래의 기단 위에 평평한 돌 기단이 놓여 있으며, 연꽃과 기타 이미지가 새겨져 있다.

석탑 상층부 각 모서리에는 섬세하게 기둥이 조각되어 있다. 첫 번째 층의 모양과 석탑 몸체의 모든 면에 있는 문틀 이미지, 그리고 수평 지붕돌은 고려 시대를 대표한다. 9층의 지붕과 몸체 구조는 이 탑에 안정감을 준다. 얇은 몸체, 굽은 모서리, 하부 몸체의 문틀, 팔각형 모양의 변형은 고려 시대 불교 문화의 독특하고 귀족적인 특징을 보여준다.[3]

3. 2. 보물

'''월정사 석조보살좌상'''(보물 제139호)은 고려시대의 석조보살좌상으로, 높이가 1.8m이다.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과 더불어 특이하고 아름다운 불상 조각의 형식을 띠고 있다.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을 향해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습이다.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상이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특이한 보살상으로, 높이 1.8미터이며 아마도 약사여래불일 것이다. 절 남쪽에 있는 연못인 금강연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해지는 이 불상은 알 수 없는 존재에게 공양을 올리고 있다. 불상은 관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길고, 귀는 긴 머리카락에 의해 약간 가려져 있다.

목에는 세 개의 선이 있는데, 목걸이처럼 조각되어 있다. 팔꿈치는 어린아이의 머리에 기대어져 있다. 특이한 양식으로 인해 이 불상은 11세기 경 특정 종파에 속한 장인들에 의해 조각된 것으로 여겨진다.[2]

월정사는 국보 4점과 보물 5점을 포함하여 총 9개의 국가 지정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종류명칭비고
보물월정사 석조보살좌상제139호
보물상원사 목조문수동자상 출토 유물제793호
보물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출토 사리구제1375호
보물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출토 유물제1811호
보물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 전적제1812호


3. 3.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 월정사 적멸보궁(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8호)은 신라 선덕여왕자장당나라에서 문수보살의 계시를 받고 돌아와 세웠다는 전설이 있는 곳으로,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 중 하나이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1층 건물이며,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으로 화려한 팔작지붕이다. 앞면 가운데 칸에는 두 짝의 판자로 만든 문을 달았고, 양쪽 칸에는 아래에는 판자로 만든 벽을 대고 위에는 띠살창을 하고 있어 특이하다.[3]
  • 월정사육수관음상(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53호)은 몸에 손이 왼쪽과 오른쪽 어깨에 각각 3개씩 모두 6개가 달려있어 6수관음보살로 불린다. 금동으로 주조되었으며, 머리에 삼면화관(三面花冠)을 썼는데 정면에는 화불(化佛)좌상이 있고 그 안에서 육계가 솟아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이다.[2]
  • 월정사북대고운암목조석가여래좌상및복장유물(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31호)은 나무로 만든 석가불좌상으로, 1710년(숙종 36) 북대(北臺) 고운암(孤雲庵)에서 광습(廣習) 등 3인에 의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는 발원문과 후령통 등의 유물이 복장에서 함께 발견되었다. 현재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
  • 평창 월정사 중대 사자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57호)은 조각수법이 정교할 뿐만 아니라, 불상의 제작연대(1894년) 및 작자를 명확히 알려주는 복장유물을 동반한 조선 말기의 불상으로 불교미술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월정사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4]
  • 평창 월정사 남대 지장암 목조지장삼존불감(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58호)은 17~18세기 전형적인 불상조각의 특징을 잘 나타내 주며 그 예가 많지 않은 지장삼존불감일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불교조각 양식을 잘 갖추고 있어 불교미술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59호)은 복장유물이 완전하게 보관되어 있어 1710년이라는 정확한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존상태도 양호하며 18세기 불교조각의 기준작으로 삼을 만 하다는 점이 가치가 있다.

3. 4. 기타 문화재

'''월정사 부도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제42호로 지정되어 있다. 월정사에서 상원사로 가는 길 약 700m 지점 전나무 숲속에 있으며, 대부분 석종형(石鍾型) 부도이나 그 중에는 2중 기단과 옥개를 갖춘 원탑형(圓塔型) 부도도 있다. 운공성관(雲空性觀)·금성당(金聖堂) 등 총 22기(基)인데 크기는 높이 1∼2m 내외로 조선 중기 이후의 부도로 추정된다.

4. 템플스테이

월정사는 내·외국인을 위한 다양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월정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
월정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과 같이 월정사는 방문객들이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2]

5. 주변 명소

주변에 오대산 월정사 전나무숲이 있다.

6. 사진

60개의 사찰 건물과 8개의 암자로 구성된 월정사

참조

[1] 뉴스 Beyond Seoul: 19 reasons to explore Korea http://www.cnngo.com[...] 2012-05-06
[2] 웹사이트 Woljeongsa Templestay program http://eng.templesta[...]
[3] 뉴스 「儀軌」の故郷で歓迎 https://www.jcp.or.j[...] 2011-12-17
[4] 웹사이트 http://www.ibulgyo.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