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덕대왕신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덕대왕신종은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 성덕왕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742년에 제작을 시작하여 771년에 혜공왕 때 완성된 범종이다. 통일 신라 예술의 걸작으로 평가받으며, 용의 머리 모양 고리, 다양한 양각 무늬, 1,000자 이상의 명문(銘文) 등이 특징이다. 과거 여러 장소를 거쳐 현재는 국립경주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종의 소리가 '에밀레'처럼 들린다는 전설이 존재한다. 이 전설은 삼국유사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구한말 선교사들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성덕대왕신종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에밀레종 |
영어 이름 | Bell of King Seongdeok |
상세 정보 | |
높이 | 3.75m |
지름 | 2.27m |
두께 | 12~25cm |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 |
문화재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국보 |
번호 | 29 |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
시대 | 통일신라 |
소유자 | (정보 없음) |
참고 사항 | (정보 없음) |
면적 | (정보 없음) |
수량 | 1구 |
전승지 | (정보 없음) |
전승자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문화재청 ID | 11,00290000,37 |
2. 역사
742년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 성덕왕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만들기 시작했으나, 혜공왕 때인 771년에 완성되었다.[9][10] 처음에는 봉덕사에 설치되었으나, 1460년 (조선 세조 6년) 수해로 절이 없어진 후 영묘사(靈妙寺)로 옮겨졌다.[9][10] 이후 봉황대(鳳凰臺) 아래에 종각을 지어 보존하다 경주읍성 남문인 징례문에 걸어두기도 했다.[9][10] 1915년 8월 경주고적보존회에 의해 구(舊) 경주박물관으로 옮겨졌고, 1975년 5월 국립경주박물관이 신축되면서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9][10]
2. 1. 타종과 보존
1992년 제야에 서른세 번 종을 친 뒤 한동안 타종을 중단하였다가, 1996년 학술조사를 위해 시험으로 다시 타종하였다.[1] 그 뒤 2001년 10월 9일, 2002년 10월 3일, 2003년 10월 3일에 타종 행사를 열었으나,[1] 2004년 12월 안전 보존을 위해 더 이상 타종을 중단했다.[1]3. 구조 및 특징
성덕대왕신종은 경덕왕이 아버지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만들기 시작하여 혜공왕 때인 771년에 완성되었다. 처음에는 봉덕사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봉덕사 종이라고도 불렸으며, 아기를 시주하여 넣었다는 전설 때문에 아기 울음소리를 딴 에밀레종이라고도 불린다.
1997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정밀 측정한 결과, 높이 3.66m, 입지름 2.27m, 두께 11∼25cm, 무게 18.9ton으로 확인되었다. 종이 걸려 있는 기둥은 매우 튼튼하여, 동일한 직경의 현대 합금으로 만들어진 기둥은 종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휘어질 수 있지만, 이 종은 수 세기 동안 유지되어 온 고대 기둥에 걸려 있다.[4]
통일신라 예술이 전성기를 이룰 때 만들어진 종으로, 화려한 문양과 뛰어난 조각 수법은 시대를 대표할 만하다. [8]
3. 1. 음향학적 특징
성덕대왕신종은 통일 신라 예술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섬세한 디자인과 우아한 문체로 쓰인 명문(銘文)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한국의 다른 범종들과 구별된다. 장식 요소를 포함한 전체 구조는 광범위한 음향 주파수를 생성하며, 음관(音管)은 고주파를 흡수하여 독특한 비트를 만들어낸다.[2][3]종의 고리는 용 머리 모양이다. 종의 테두리와 어깨 부분에는 꽃무늬를 비롯하여 다양한 양각 무늬가 새겨져 있다. 또한 연꽃, 풀, 그리고 두 쌍의 아스라 (천상의 여인)의 부조가 새겨져 있다. 종을 치는 부분(당좌) 역시 연꽃 모양이며, 두 아스라 부조 사이에 위치한다. 종의 하단은 마름모꼴로, 소리의 반향을 증폭하도록 설계되었다.
3. 2. 조형적 특징
1997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정밀 측정한 결과, 성덕대왕신종은 높이 3.66m, 입지름 2.27m, 두께 11∼25cm이며, 무게는 18.9톤으로 확인되었다.종의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동종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이다.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龍鈕)는 용머리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다. 종 몸체에는 상하에 넓은 띠를 둘러 그 안에 꽃무늬를 새겨 넣었고, 종의 어깨 밑으로는 4곳에 연꽃 모양으로 돌출된 9개의 연꽃봉우리를 사각형의 연곽(蓮廓)이 둘러싸고 있다. 유곽(乳廓) 아래로 2쌍의 비천상(飛天像)이 있고, 그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撞座)가 연꽃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몸체 앞·뒷면 두 곳에는 종에 대한 내력이 새겨져 있다. 특히 종 입구 부분이 꽃모양으로 굴곡진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어 이 종의 특징이 되고있다.[8]


성덕대왕신종은 통일 신라 예술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섬세한 디자인과 우아한 문체로 쓰인 명문(銘文)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한국의 다른 범종들과 구별된다. 장식 요소를 포함한 전체 구조는 광범위한 음향 주파수를 생성하며, 음관(音管)은 고주파를 흡수하여 독특한 비트를 만들어낸다.[2][3]
종의 고리는 용 머리 모양이다. 종의 테두리와 어깨 부분에는 꽃무늬를 비롯하여 다양한 양각 무늬가 새겨져 있다. 또한 연꽃, 풀, 그리고 두 쌍의 아스라(천상의 여인)의 부조가 새겨져 있다. 종을 치는 부분(당좌) 역시 연꽃 모양이며, 두 아스라 부조 사이에 위치한다. 종의 하단은 마름모꼴로, 소리의 반향을 증폭하도록 설계되었다.
1,000자 이상에 달하는 종의 명문(銘文)은 한국 서예와 조각의 훌륭한 사례이다. 이 명문은 종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종을 주조한 이유를 제공한다.
3. 3. 명문(銘文)
성덕대왕신종의 명문(銘文)은 1,000자 이상으로 한국 서예와 조각의 훌륭한 사례이다. 이 명문은 종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종을 주조한 이유를 제공한다.[2][3] 명문은 문장뿐 아니라 새긴 수법도 뛰어나, 1천 3백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손상되지 않고 전해오고 있다.[8] 섬세한 디자인과 우아한 문체로 쓰였다는 점에서 한국의 다른 범종들과 구별된다.4. 에밀레종 전설
에밀레 종 전설은 성덕대왕신종과 관련된 전설로, 아이를 쇳물에 넣어 종을 만들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전설은 오랫동안 민간에 구전되어 오다가 구한말 선교사들에 의해 처음 기록되기 시작했으며, 1920년대 이후 국내 문헌에도 등장한다.
하지만 하위 섹션에서 이미 자세하게 다루고 있는 내용들(전설의 내용, 전설에 대한 해석과 비판, 중국의 유사 전설)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생략한다.
4. 1. 전설의 내용
에밀레 종 전설은 불교 관련 설화들을 전하는 삼국유사에도 기록되지 않았고, 천 년이 넘는 기간 동안 민가에서만 떠돌던 전설이었으나, 구한말 선교사들에 의해 처음 기록되기 시작했다. 1895년 주한미국공사 앨런, 1901년 고종의 밀사였던 헐버트 역시 에밀레 종 전설을 전하고 있다. 국내 기록에서는 1925년 8월 5일자 《매일신보》 창작문예란에 실린 렴근수의 《어밀네 종》이라는 동화로 처음 기록되었다. 이후 1943년 친일 문학가 함세덕이 희곡 《어밀네 종》을 집필하고 현대극장에 상연했다. 이를 근거로 에밀레 종 설화가 일제에 의해 만들어진 설화라는 주장이 있지만[11], 그 반대 주장 또한 존재한다.[12]조선에 선교사로 왔던 헐버트의 글에는 '에미'(엄마)라고 부르는 종이 서울 중심에 있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는 에밀레 종 전설과 보신각종을 혼동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에밀레종 전설을 연구한 황인덕[14]에 의하면 중국 감숙성 무위시 대운사(大云寺)에 있는 종에도 비슷한 전설이 전해진다고 한다. 이 종은 당 또는 오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하며, 종이 울릴 때 "낭아娘呀, 낭娘" 또는 "응당應當, 응당應當"하는 소리가 난다는 전설이 있다. 이 낭이라는 말이 어머니를 가리킨다는 설이다.[14]
KBS 역사 스페셜 '에밀레 종의 진실'편에서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피살된 혜공왕과 관련된 당시 현실이 반영되어 서라벌에서 구전된 전설일 수 있다는 의견을 방송했다.
종에 새겨진 글귀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경덕왕은 아버지를 위해 종을 만들기로 하여 신라 곳곳에서 모금이 벌어졌다. 스님들은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종을 만드는 데 힘을 모아달라고 부탁했다. 그중에는 부잣집, 가난한 집, 따스하게 맞이하는 집, 싫어하는 기색을 하는 집도 있었다. 스님 한 분이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모금을 하고 있었는데 어린아이를 업은 아낙네가 스님을 놀리듯 말했다. "아이고, 스님, 저희 먹을 것도 없어요. 보세요, 저희 집에 드릴 거라곤 이 애 밖에 없다고요. 가져가실 거면 이 애라도 가져가시든가요." 스님은 씁쓸한 표정으로 그 집을 나왔다. 모금이 모이자 전국에서 기술자들이 온갖 정성을 들여도 종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았다.
이 소식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닌 경덕왕은 관원에게 점을 치게 했는데, 여러 갈래로 알아본 결과 성금을 모으던 스님에게 자신은 애 밖에 없다고 한 아낙네 때문에 부정을 탄 것으로 결론지었다.
"그럼 어떻게 해야 그 부정을 씻어 낼 수 있나요?"
"그 아낙네가 한 말을 지키는 것밖에 없습니다. 종을 만드는 데 낼 것이 아이밖에 없다고 했으니 그리해야지요."
결국 그 집 아이를 종 만드는 데 바칠 수밖에 없었다. 그랬더니 종이 드디어 울리기 시작했다. 그런데 소리가 마치 "에밀레...... 에밀레......" 같았다. 엄마를 부르는 것 같기도 하고 '에미 탓에...... 에미 탓에.......' 같기도 하여 에밀레종이라 부른다고 한다.[15]
이 종은 한국어와 영어 모두에서 흔히 '''에밀레 종'''으로 알려져 있다. ''에밀레''는 /em-ee-leh/로 발음하며, 고대 신라어로 "어머니"를 뜻한다.
전설에 따르면, 처음 주조된 종은 쳐도 소리가 나지 않았다. 종은 여러 번 다시 주조되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종을 주문했던 왕이 그 후 사망했고, 그의 어린 아들이 왕비의 도움을 받아 사업을 이어받았다. 아들은 아버지의 사업을 수행했지만, 그 역시 별다른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나중에 한 승려가 꿈을 꿨는데, 아이를 쇳물에 넣으면 종이 울릴 것이라고 했다. 승려는 마을에서 아이를 데려와 쇳물에 넣었다. 종이 완성되자 종을 쳤을 때 가장 아름다운 소리가 났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 전설이 사실은 현대의 창작일 수 있으며, 그 이야기와 이름이 1920년대에 유래했다고 믿는다. "어밀네 종"에 관한 이야기가 출판되었는데, 이야기가 다시 전해지면서 왜곡되었을 수 있다.[5] 최근의 주장들은 위의 종에 대한 전설이 에밀레 종의 전설과 혼동되었을 수 있다고 시사한다.[6][7]
4. 2. 전설에 대한 해석과 비판
에밀레 종 전설은 불교와 관련된 설화들을 전하는 삼국유사에서도 기록되지 않았고, 천년이 넘는 기간 동안 민가에서만 떠돌던 전설이었으나, 구한말 선교사들에 의해서 처음 기록되기 시작한다. 1895년에 주한미국공사 앨런, 1901년에 고종의 밀사였던 헐버트 역시 에밀레 종 전설을 전하고 있다.[11] 국내 기록에서는 1925년 8월 5일자 《매일신보》 창작문예란에 실린 렴근수의 《어밀네 종》이라는 동화로 처음 기록되었다.[12] 이후 1943년 친일 극작가 함세덕이 희곡 《어밀네 종》을 집필하고 현대극장에 상연했다. 이를 근거로 에밀레 종 설화가 일제에 의해 만들어진 설화라는 주장이 있지만[11], 그 반대 주장 또한 존재한다.[12]조선에 선교사로 왔던 헐버트의 글에는 '에미'(엄마)라고 부르는 종이 서울 중심에 있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는 에밀레 종 전설과 보신각 종을 혼동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에밀레종 전설을 연구한 황인덕[14]에 의하면 중국 감숙성 무위시 대운사(大云寺)에 있는 종에도 비슷한 전설이 전해진다고 한다. 이 종은 당 또는 오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하며, 종이 울릴 때 "낭아娘呀, 낭娘"또는 "응당應當, 응당應當"하는 소리가 난다는 전설이 있다. 이 낭이라는 말이 어머니를 가리킨다는 설이다.[14]
KBS 역사 스페셜 '에밀레 종의 진실'편에서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피살된 혜공왕과 관련된 당시 현실이 반영되어 서라벌에서 구전된 전설일 수 있다는 의견을 방송했다.
종에 새겨진 글귀에는 경덕왕이 아버지를 위해 종을 만들기로 하고 신라 곳곳에서 모금이 벌어졌다는 내용이 있다. 그러나 모금된 재료로 만든 종은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았다. 경덕왕은 점을 쳐서 부정을 씻기 위해 아낙네의 아이를 종 만드는 데 바쳐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결국 아이를 바쳐 종이 완성되었고, 그 소리가 마치 "에밀레...... 에밀레......" 같아서 에밀레종이라 부른다고 한다.[15]
이 종은 한국어와 영어 모두에서 흔히 '''에밀레 종'''으로 알려져 있다. ''에밀레''는 /em-ee-leh/로 발음하며, 고대 신라어로 "어머니"를 뜻한다.
전설에 따르면, 처음 주조된 종은 소리가 나지 않아 여러 번 다시 주조되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종을 주문했던 왕이 사망한 후, 그의 어린 아들이 왕비의 도움을 받아 사업을 이어받았지만 역시 성공하지 못했다. 나중에 한 승려가 꿈을 꿨는데, 아이를 쇳물에 넣으면 종이 울릴 것이라고 했다. 승려는 마을에서 아이를 데려와 쇳물에 넣었고, 종이 완성되자 가장 아름다운 소리가 났다고 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 전설이 사실은 현대의 창작일 수 있으며, 그 이야기와 이름이 1920년대에 유래했다고 믿는다. "어밀네 종"에 관한 이야기가 출판되었는데, 이야기가 다시 전해지면서 왜곡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5] 최근의 주장들은 위의 종에 대한 전설이 에밀레 종의 전설과 혼동되었을 수 있다고 시사한다.[6][7]
4. 3. 중국의 유사 전설
황인덕[14]에 의하면 중국 감숙성 무위시 대운사(大云寺)에 있는 종에도 비슷한 전설이 전해진다고 한다. 이 종은 당 또는 오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하며, 종이 울릴 때 "낭아娘呀중국어, 낭娘중국어" 또는 "응당應當중국어, 응당應當중국어"하는 소리가 난다는 전설이 있다. 이 '낭'이라는 말이 어머니를 가리킨다는 설이다.[14]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http://english.visit[...]
2021-03-28
[2]
웹사이트
Beat Maps of King Song-Dok Bell, Beat Map Drawing Method of Bell Type Structures and Beat Maps of the King Seong-deok Divine Bell
http://www.ndsl.kr/
[3]
논문
Beat characteristics and beat maps of the King Seong-deok Divine Bell
2005-03-00
[4]
서적
[5]
웹사이트
성덕대왕신종
https://archive.toda[...]
매일신보
[6]
서적
The Passing of Korea
https://archive.org/[...]
Doubleday, Page & Co
[7]
논문
1929-09-27
[7]
웹사이트
http://orumi.egloos.[...]
2009-02-10
[8]
웹사이트
성덕대왕신종
http://www.heritage.[...]
[9]
웹사이트
성덕대왕 신종
https://ko.wikisourc[...]
[10]
뉴스
성덕대왕신종과 신라망국의 애상함
http://www.gjnews.co[...]
2018-06-17
[11]
웹인용
한 해의 끝과 시작을 알리는 종소리
http://www.cha.go.kr[...]
2018-06-17
[12]
뉴스
에밀레종의 전설 유래는 일제 조작일까 당나라일까
http://mtech.mk.co.k[...]
2018-06-17
[13]
논문
The Korean Legend on the 'Sprit of the Bell'
[14]
논문
에밀레종 전설의 근원과 전래
어문연구학회
2008-04-00
[15]
서적
10대들을 위한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