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키노 다다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키노 다다시는 일본의 건축사학자이자 고고학자로, 1895년 도쿄제국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뵤도인 연구로 졸업 논문을 제출했다. 그는 다쓰노 긴고의 지휘 아래 일본은행 공사에 참여했으며, 1896년 내무성 기사, 나라현 기사가 되어 나라의 고건축을 조사했다. 1901년 도쿄제국대학 조교수, 1910년 교수로 재직하며 헤이조 궁 연구를 진행하고, 일본 건축 양식사를 확립했다. 조선총독부의 위촉으로 한반도와 중국의 고건축 조사를 실시, 《조선고적도보》를 발간하여 프랑스 학사원으로부터 스타니슬라스 쥘리앵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고적도보》, 《한국건축조사보고》 등이 있으며, 건축 작품으로는 구 나라현 물산 진열소(현 나라 국립박물관 불교미술자료연구센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다카다번 사람 - 요슈 치카노부
요슈 치카노부는 에치고국 다카다번의 가신으로, 막부 붕괴 후 전쟁에 참전하고 화가로 전향하여 니시키에를 제작했으며, 미인화의 대가로 사무라이 시대에서 메이지 시대로의 전환기를 묘사한 작품을 남겼다. - 건축사학자 - 하인리히 뵐플린
스위스의 미술사학자 하인리히 뵐플린은 미술사를 양식 발달의 문제로 보고 르네상스와 바로크 양식을 대비하여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했으며, 특히 《미술사의 기초 개념》에서 다섯 가지 대비되는 표현 방식으로 미술 양식의 변천을 설명하여 미술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건축사학자 - 루이스 멈퍼드
루이스 멈퍼드는 기술과 도시 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생태학적으로 책임감 있는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대 문명을 비평한 미국의 사상가이자 저술가이다. - 일본의 학자 - 사사카와 요헤이
사사카와 요헤이는 일본재단 회장으로서 국제 원조, 사회 공헌, 한센병 퇴치, 해양 문제 해결, 동일본 대지진 복구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나, 미얀마 군부와의 관계로 논란도 있는 인물이다. - 일본의 학자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헤이안 시대의 학자이자 정치가, 시인으로, 뛰어난 문장으로 관직에 진출했으나, 유력 귀족들의 반발로 좌천되어 사망 후 원령으로 여겨져 덴진 신앙으로 이어졌으며, 문학적 업적으로 일본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키노 다다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関野貞 (せきの ただし) |
로마자 표기 | Sekino Tadashi |
출생일 | 1868년 1월 9일 ( 게이오 3년 12월 15일) |
출생지 | 에치고국 나카쿠비키군 다카다정 (현재 니가타현조에쓰시) |
자녀 | 세키노 가쓰, 세키노 유 |
직업 | 건축사학자, 건축가 |
소속 | 내무성 → 나라현 → 도쿄 제국대학 → 동방문화학원 도쿄 연구소 |
주요 건축물 | |
주요 건축물 | 구 나라현 물산 진열소 |
주요 프로젝트 | |
주요 디자인 | |
저서 | |
저서 | 조선고적도보 |
수상 |
2. 약력
세키노 다다시는 에치고국 나카쿠비키군 다카다정(지금의 니가타현 조에쓰시)에서 다카다 번사 세키노 준세쓰(関野峻節)와 야에(ヤエ)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구 제일고를 거쳐 1895년 도쿄제국대학 공부대학 조가학과(건축학과)를 졸업하였다. 졸업 논문은 뵤도인 연구였다. 다쓰노 긴고의 지휘 하에 일본은행 공사에 참여하였다. 1896년 고사사보존법이 입안되자 이토 츄타의 권유로 내무성 기사, 나라현 기사가 되어 나라의 고건축을 조사하고 건축 연대를 판정하였다. 1889년 헤이조 궁 유지를 발견하였다.
1901년 도쿄제국대학 조교수, 1910년 교수가 되었다. 이때 헤이조 궁 연구를 진행시켜 후에 공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1910년 조선총독부의 위촉으로 한반도와 중국의 고건축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선고적도보》로 프랑스 학사원으로부터 스타니슬라스 쥘리앵상을 받았다. 1906년 청나라에 파견되어 중국 건축 연구를 시작하였다. 1929년 동방문화학원 도쿄 연구소에서 《중국 역대 제왕릉의 연구》와 《요금시대의 건축과 불상》 등을 연구하였다.
1928년 중국 허베이성에서 수년 전부터 판매되고 있던 북위 시대의 석불을 발견, 이듬해 오쿠라 기하치로에게 협력하여 구입, 일본으로 가져와 오쿠라 집고관에 수장시켰다.[14] 묘소는 다마 영원(6-1-12-27)이다.
2. 1. 고건축 조사 및 연구
에치고국 나카쿠비키군(中頸城郡) 다카다정(지금의 니가타현 조에쓰시)에서 다카다 번사 세키노 준세쓰(関野峻節)와 야에(ヤエ)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구 제일고(旧制一高일본어)를 거쳐 1895년 도쿄제국대학 공부대학 조가학과(건축학과)를 졸업하였다. 졸업 논문은 뵤도인(平等院) 연구였다. 다쓰노 긴고(辰野 金吾일본어)의 지휘 하에 일본은행 공사에 참여하였다. 1896년 고사사보존법(古社寺保存法일본어)이 입안되자 이토 츄타(伊東 忠太일본어)의 권유로 내무성 기사, 나라현 기사가 되어 나라의 고건축을 조사하고 건축 연대를 판정하였다. 1889년 헤이조 궁 유지를 발견하였다.[7]1901년 도쿄제국대학 조교수, 1910년 교수가 되었다. 이때 헤이조 궁 연구를 진행시켜 후에 공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11] 1922년 헤이조 궁은 나라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8] 1910년 조선총독부의 위촉으로 한반도와 중국의 고건축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선고적도보》로 프랑스 학사원에서 스타니슬라스 쥘리앵상을 수상하였다. 1906년 청나라에 파견되어 중국 건축 연구를 시작하였다. 1929년 동방문화학원(東方文化学院일본어) 도쿄 연구소에서 《중국 역대 제왕릉의 연구》(支那歴代帝王陵の研究일본어)와 《요금시대의 건축과 불상》(遼金時代の建築とその仏像일본어) 등을 연구하였다.
1912년 키이 성 터를 확정하고,[9] 1917년 야시마 성 터를 발견하였다.[10] 조사 연구에 도입한 기술이나 유구・유물의 양식론은 그 후의 일본 고고학에 큰 영향을 남겼다.[5]
2. 2. 도쿄제국대학 교수 재직
1901년 도쿄제국대학 조교수, 1910년 교수가 되었다. 이때 헤이조 궁 연구를 진행시켜 후에 공학 박사 학위를 수여 받는다.[11] 1922년 헤이조 궁은 나라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8] 1910년 조선총독부의 위촉으로 한반도와 중국의 고건축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선고적도보》로 프랑스 학사원으로부터 스타니슬라스 쥘리앵상을 받았다. 1906년 청나라에 파견되어 중국 건축 연구를 시작하였다. 1929년 동방문화학원(東方文化学院일본어) 도쿄 연구소에서 《중국 역대 제왕릉의 연구》(支那歴代帝王陵の研究일본어)와 《요금시대의 건축과 불상》(遼金時代の建築とその仏像일본어) 등을 연구하였다.2. 3. 한반도 및 중국 고건축 조사
1910년 조선총독부의 위촉으로 한반도와 중국의 고건축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선고적도보》로 프랑스 학사원으로부터 상을 받았다.[2] 1906년 청나라에 파견되어 중국 건축 연구를 시작하였다. 1929년 동방문화학원(東方文化学院|동방문화학원일본어) 도쿄 연구소에서 《중국 역대 제왕릉의 연구》(支那歴代帝王陵の研究|지나 역대 제왕릉의 연구일본어)와 《요금시대의 건축과 불상》(遼金時代の建築とその仏像|요금시대의 건축과 그 불상일본어) 등을 연구하였다.3. 주요 저서
- 支那山東省に於ける漢代墳墓の表飾|지나 산둥성에 있어서 한대 분묘의 표식일본어, 1916년
- 朝鮮古蹟図譜|조선고적도보일본어 15권, 1916년 ~ 1935년
- 韓国建築調査報告|한국건축조사보고일본어
- 熱河|열하일본어 4권, 1934년
- 支那文化史蹟|중국문화사적일본어
명칭 | 연도 | 출판사 | 비고 |
---|---|---|---|
韓国建築調査報告|한국 건축 조사 보고일본어 | 1906년 | 도쿄 제국대학 공과대학 | |
平城京及大裏考|헤이조쿄 및 다이리 고찰일본어 | 1907년 | 도쿄 제국대학 공과대학 | |
支那山東省に於ける漢代墳墓の表飾|지나 산둥성에 있어서 한대 분묘의 표식일본어 | 1916년 | 도쿄 제국대학 | |
朝鮮古蹟図譜|조선 고적 도보일본어 | 1916년 - 1935년 | 조선총독부 | 전 15책 |
支那仏教史蹟|지나 불교사적일본어 | 1925년 - 1929년 | 불교사적연구회 | 공저: 도키와 다이죠 |
楽浪郡時代の遺跡|낙랑군 시대의 유적일본어 | 1926년 | 조선총독부 | |
瓦|기와일본어 | 1928년 | 웅산각 | |
高句麗時代の遺跡|고구려 시대의 유적일본어 | 1928년, 1929년 | 조선총독부 | |
支那建築|지나 건축일본어 | 1929년 - 1932년 | 건축학회 | 공저: 쓰카모토 야스시, 이토 주타 |
朝鮮美術史|조선 미술사일본어 | 1932년 | 조선사학회 | |
支那工芸図鑑|지나 공예 도감일본어 | 1933년 | 제국공예회 | |
熱河|열하일본어 | 1934년 | 좌우보 간행회 | |
支那文化史蹟|지나 문화사적일본어 | 1939년 - 1941년 | 법장관 | 공저: 도키와 다이죠 전 12책 |
日本の建築と芸術|일본의 건축과 예술일본어 상・하 | 1940년 | 이와나미 서점 |
《조선고적도보》와 《한국건축조사보고》는 현재에도 한국의 문화재 보존, 수복, 복원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4. 건축 작품
세키노 다다시는 건축양식사를 중시하여 호류지 비재건론을 주장하며 논쟁을 벌였다.[1] 실제 설계한 건축 작품은 적지만, 1902년 준공한 나라 공원의 구 나라현 물산진열소(旧奈良県物産陳列所일본어, 현재 나라 국립박물관 불교미술자료연구센터)가 일본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1]
명칭 | 년도 | 소재지 | 현황 | 비고 |
---|---|---|---|---|
일본생명보험주식회사 오사카 본사 | 1902년 | 오사카시 주오구 | 현존하지 않음 | 다쓰노 킨고, 카타오카 야스시 감수 |
구 나라현 물산 진열소 (현 나라 국립 박물관 불교 미술 자료 연구 센터) | 1902년 | 나라현 나라시 | 중요 문화재 |
5. 기타
6. 비판
세키노 다다시는 건축양식사를 중시하는 입장에서 호류지 비재건론을 주장하며 논쟁을 벌였다.[4]
참조
[1]
웹사이트
関野貞 :: 東文研アーカイブデータベース
https://www.tobunken[...]
東京文化財研究所
2022-12-29
[2]
서적
関野貞
平凡社
[3]
서적
関野貞
日外アソシエーツ
[4]
서적
関野貞
国書刊行会
[5]
서적
関野貞
東京堂出版
[6]
Cite
東京帝国大学一覧 従明治28年至明治29年
https://dl.ndl.go.jp[...]
東京帝国大学
[7]
간행물
平城宮及大内裏考
https://dl.ndl.go.jp[...]
東京帝国大学
2017-10-13
[8]
웹사이트
国指定 史跡・名勝・天然記念物一覧
http://www.city.nara[...]
奈良市
2017-10-13
[9]
논문
所謂神籠石は山城址なり
日本考古学協会
[10]
논문
天智天皇の屋島城
史学会
[11]
간행물
『官報』第7450号、明治41年4月30日、p.734
https://dl.ndl.go.jp[...]
[12]
서적
関野貞
吉川弘文館
[13]
웹사이트
少林門の研究
https://web.archive.[...]
日本少林拳同盟会
2018-03-04
[14]
뉴스
中国から最古最大の石仏を収蔵
東京日日新聞
1929-07-31
[15]
뉴스
法隆寺再建説に、新たな?/奈文研 年輪年代法で測定
2004-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