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와라노 미치자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헤이안 시대의 학자, 시인, 정치가로, 일본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뛰어난 학문적 능력으로 18세에 관직에 진출하여 여러 요직을 거쳤으며, 우다 천황의 신임을 받아 정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정적의 모함으로 다자이후로 좌천되었고, 그곳에서 사망했다. 사후에는 그의 억울한 죽음과 학문적 업적을 기려 천신으로 숭배받으며, 일본 전역의 덴만구에서 학문의 신으로 숭앙받고 있다. 그는 와카와 한시에 모두 능했고, 일본삼대실록 편찬에도 참여했으며, 그의 작품들은 백인일수에도 수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45년 출생 - 교황 레오 5세
교황 레오 5세는 로마 출신이 아닌 아르데아 인근 사제로서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3개월 만에 대립교황 크리스토포로에게 폐위되어 투옥 후 살해당하며, 그의 죽음은 당시 로마 교회의 혼란과 함께 배후설이 제기되고 있다. - 스가와라씨 - 간 미치나가
간 미치나가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여러 세력을 섬긴 아와지 섬 출신의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임진왜란에 참전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후 도도 다카토라에게 등용되었으나 오사카 전투 직전 할복했고, 그가 창시한 간류라는 수군 전술을 남겼다. - 스가와라씨 - 다카스에의 딸
다카스에의 딸은 헤이안 시대 일본 여성으로 《사라시나 일기》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며, 궁정 생활을 하며 자신의 삶을 묘사한 수필을 통해 당시 귀족 사회의 생활상과 여성의 심리를 보여준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대 | 헤이안 시대 전기 |
출생 | 조와 12년 음력 6월 25일(845년 8월 1일) |
사망 | 엔기 3년 음력 2월 25일(903년 3월 26일) |
존칭 | 간코(菅公) 간 승상(菅丞相) 덴진(天神) 덴진 님(天神様) |
신호 | 천만대자재천신(天満大自在天神) 일본태정위덕천(日本太政威徳天) |
묘소 | 다자이후텐만구 |
관위 | 종2위, 우대신 증정1위, 태정대신 |
주군 | 우다 천황 → 다이고 천황 |
씨족 | 스가와라씨 |
아버지 | 스가와라노 고레요시 |
어머니 | 도모노 사네나리의 딸 |
배우자 | 시마다노 노부키코 |
자녀 | 장남: 스가와라노 다카미 딸: 스가와라노 엔시 그 외 하단 참조 |
일본어 표기 | |
로마자 표기 | Sugawara no Michizane |
가나 표기 | すがわらの みちざね |
한자 표기 | 菅原 道真 |
한글 표기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
별칭 | |
한자 표기 | 菅家 |
한자 표기 | 菅丞相 |
기타 | |
관련 인물 | 후지와라노 도키히라 |
관련 사건 | 간표의 치 |
주요 활동 지역 | 다자이곤노소치 |
관련된 신 | 덴만텐진 |
2. 생애
845년 나라현 또는 교토시 등지에서 태어난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자세한 출생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어려서부터 시문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862년 18세에 문장생(文章生)이 되었고, 867년에는 문장득업생(文章得業生)으로 뽑혔다. 870년 방략시(方略試)에 합격한 후, 병부소보(兵部少輔), 민부소보(民部少輔), 식부소보(式部少輔) 등을 거쳐 877년에는 문장박사(文章博士)를 겸임했다.
886년 사누키노카미(讃岐守)로 부임했으나, 888년 아코 사건 때 후지와라노 모토쓰네에게 의견서를 보내 사건 수습에 기여했다. 890년 교토로 돌아온 후, 우다 천황의 신임으로 구란도노카미(蔵人頭), 식부소보(式部少輔), 좌중변(左中弁) 등 요직에 올랐다.
894년 견당사(遣唐使)로 임명되었지만, 미치자네의 건의로 견당사는 폐지되었다. 897년 우다 천황의 양위 후에도 다이고 천황에게 중용되어 곤노다이나곤(権大納言), 우근위대장(右近衛大將) 등을 겸임했다.
그러나 901년, 다이고 천황 폐위 모함으로 다자이곤노소치(大宰権帥)로 좌천되었고, 903년 다자이후(大宰府)에서 생을 마감했다.
2. 1. 출생과 가계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845년 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대대로 학문과 문학에 조예가 깊었다. 할아버지 스가와라노 기요토모(菅原清友)는 궁중에서 미래의 관리들을 위한 국립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쳤고, 아버지 스가와라노 고레요시(菅原是善)는 저택에 사숙(私塾)인 간케로카(菅家廊下)를 열어 학생들을 가르쳤다. 미치자네는 이러한 가풍 속에서 성장하며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미치자네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나라시의 깃코지(喜光寺)라는 절의 전승에 따르면, 미치자네는 지금의 나라현 나라시 스가와라마치(菅原町) 주변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이 외에도 교토 시모쿄구의 간다이진 신사(菅大臣神社일본어)와 가미교구의 스가와라노인덴만구(菅原院天満宮일본어), 미나미구의 깃쇼인덴만구(吉祥院天満宮일본어), 나라현 요시노군 요시노마치(吉野町)의 스고사(菅生寺), 시마네현 마쓰에시의 스가와라덴만구(菅原天満宮일본어) 등 여러 장소가 미치자네의 탄생지로 여겨지고 있어 확실하지 않다.
2. 2. 초기 관직 생활
조간 4년(862년), 미치자네는 18세의 나이로 문장생(文章生)이 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20] 조간 9년(867년)에는 문장생 가운데 단 두 명만이 뽑혔던 문장득업생(文章得業生)으로 선발되었고, 정6위하에 봉해져 시모스케노곤노소조(下野権少掾)가 되었다.[20] 조간 12년(870년)에는 대책(対策)의 방략시(方略試)에서 상등으로 합격하여 정6위상에 봉해졌다.[20] 이듬해에는 겐반조(玄蕃助)가 되고 나아가 소내기(少内記)로 옮겼다. 조간 16년(874년)에는 종5위하 병부소보(兵部少輔)에 이어 민부소보(民部少輔)에 임명되었다.[20]겐케이(元慶) 원년(877년)에는 식부소보(式部少輔)에 임명되었으며, 이 해에 집안 대대로 맡아온 관직인 문장박사(文章博士)를 겸임하게 된다. 이는 학자로서 최고의 영예였다.[20] 겐케이(元慶) 3년(879년) 종5위에 서임되었다.
닌나(仁和) 2년(886년), 사누키노카미(讃岐守)로 임명되어 지방관으로 부임하게 되면서, 식부소보(式部少輔) 겸 문장박사(文章博士)의 직책은 사임했다.[21] 닌나(仁和) 4년(888년)에 일어난 아코 사건(阿衡事件)에 즈음해 후지와라노 모토쓰네에게 의견서(봉소선공서(奉昭宣公書))를 보내 충고함으로써 사건을 수습했다.[21] 간표(寛平) 2년(890년)에 임지 사누키 국에서 교토로 돌아왔다.
2. 3. 우다 천황의 신임과 승진
890년, 교토로 돌아온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우다 천황의 두터운 신임을 받으며 요직에 중용되기 시작했다.[5] 당시 황실 외척이었던 후지와라 씨의 세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우다 천황은 미치자네를 통해 후지와라 씨를 견제하고자 했다.[5] 891년부터 미치자네는 구란도노카미(蔵人頭), 식부소보(式部少輔), 사추벤(左中弁) 등 핵심 관직을 역임하며 급속도로 승진했고, 897년에는 정3위에 올랐다.[5]894년, 견당사(遣唐使)로 임명되었으나, 미치자네의 건의로 견당사는 폐지되었다.[6][7] 이는 당시 당나라의 쇠퇴를 반영한 결정이었지만, 미치자네와 후지와라노 도키히라의 권력 투쟁의 결과라는 해석도 존재한다.[6][7]
897년, 우다 천황은 다이고 천황에게 양위하면서 미치자네를 계속 중용할 것을 강력히 지시했다. 미치자네는 곤노다이나곤(権大納言)에 서임되고 우근위대장(右近衛大將) 등을 겸임하며 권력의 정점에 섰다.
2. 4. 좌천과 죽음
901년 다이고 천황을 폐위하고 도키요 친왕을 옹립하려 했다는 모함으로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다자이곤노소치(大宰権帥)로 좌천되었다.[8] 우다 상황은 이 소식을 듣고 곧장 다이고 천황과의 면담을 청했지만 천황은 응하지 않았다. 미치자네의 장남 다카미를 비롯한 네 명의 아들도 모두 유배형에 처해졌다.(쇼타이의 변) 이 사건의 배경에 대해서는 미치자네의 정적이었던 후지와라노 도키히라에 의한 완전한 참언이라는 설과, 우다 상황과 다이고 천황의 대립에 미치자네가 말려든 결과라는 설 등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25]미치자네는 903년 다자이후(大宰府)에서 사망하여 현지(지금의 다자이후덴만구)에 묻혔다.[26] 미치자네가 교토를 떠나 다자이후로 향하면서 읊었다는 「동풍 불거든 향기를 보내다오, 매화꽃이여, 주인이 없다 해도 봄을 잊지 말지니(東風吹かば 匂ひをこせよ 梅の花 主なしとて 春な忘れそ일본어)」 라는 와카는 유명하며, 이 와카에 등장하는 매화가 교토에서 하룻밤 사이에 미치자네가 살던 다자이후의 집 뜰까지 날아왔다는 「도비우메」 전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다.[135]
3. 사후 추앙과 천신 신앙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사후, 교토에는 전염병과 가뭄이 발생하고 다이고 천황의 아들들이 연이어 사망하는 등 여러 재난이 발생했다. 궁궐 대조전(shishinden)은 번개를 맞았고, 도시는 폭풍우와 홍수를 겪었다. 조정은 이를 미치자네의 분노한 영혼 때문이라고 여겨 기타노 텐만구를 짓고 그를 텐진으로 모셨다.[9] 이후 미치자네는 원한을 풀고 백성을 돕는 신이자 학문의 신으로 숭배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미치자네를 소재로 한 『스가와라 덴주 테쓰가미가쿠』 등의 연극이 상연되어 인기를 끌었다. 근대에는 충신으로서의 면모가 강조되어 지폐에 초상이 사용되기도 했다. 전전 일본은행권의 오엔 지폐 (개조권·을호권·정호권·이호권·로호권) 및 갑이십원권에 채용되었다.
1928년 고단샤의 잡지 「킹」에 불경스러운 패러디가 게재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최근 역사 교과서에는 미치자네가 원령에서 신이 되기까지의 경위가 소개되고 있다.[140]
3. 1. 사후의 복권과 신격화
미치자네가 다자이후에서 훙거한 후, 교토에서는 여러 재난이 발생했다. 전염병과 가뭄이 퍼지고, 다이고 천황의 황자들이 연이어 사망했다.[9] 909년에는 후지와라노 도키히라가 39세의 나이로 병사했는데, 이 또한 미치자네의 원령 때문이라고 여겨졌다.923년에는 다이고 천황의 황태자였던 야스아키라 친왕이 사망하자, 조정은 이를 미치자네의 저주로 여겨 그의 죄를 사면하고 관위를 복권시켰다. 같은 해 4월 20일, 미치자네는 우대신으로 복권되고 정이위가 추증되었다.[29]
930년에는 청량전 낙뢰 사건이 발생하여 조정의 요인들이 죽거나 다치는 일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목격한 다이고 천황도 건강이 나빠져 3개월 후에 사망했다.[29] 사람들은 이 역시 미치자네의 원령 때문이라고 믿었다. 이 사건은 미치자네의 원령이 번개와 연결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조정은 기타노 덴만구(北野天満宮)를 건립하여 미치자네를 신으로 모셨다.[29]
993년에는 정일위 좌대신(左大臣)과 태정대신(太政大臣)이 추증되었다.[29] 미치자네는 텐진 신앙으로 이어져 전국적으로 숭배되었으며, 학문의 신으로도 여겨지게 되었다.[9]
3. 2. 학문의 신으로의 변화
미치자네 사후, 전염병과 가뭄이 확산되었고, 다이고 천황의 아들들이 연이어 죽었다. 궁궐의 대조전(shishinden)은 반복적으로 번개를 맞았고, 도시는 수주일 동안 폭풍우와 홍수를 겪었다. 궁정에서는 이를 유배된 스가와라의 분노한 영혼 때문이라고 여기고 교토에 기타노 텐만구라는 신토 사원을 짓고 그에게 봉헌했다. 그의 벼슬과 칭호를 사후에 복권시켰고, 유배에 대한 기록을 모두 삭제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고, 70년 후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하늘과 폭풍의 신인 텐진으로 신격화되었다. 결국 텐진은 학문의 자비로운 ''가미''로 발전했다.[9]오늘날 일본에는 많은 신토 사원이 그에게 봉헌되어 있다. 그는 흥미로운 정신적 변화의 가장 두드러진 예가 되었다. 잘못 죽임을 당해 복수를 갈구하는 억울하게 죽은 귀족 출신의 원한 맺힌 일본 영혼인 온료 또는 고료가 의례적인 달래기와 사후의 영예를 통해 자비로운 신이 되는 것이다.[9]
4. 작품 및 저술
미치자네는 와카(和歌)와 한시(漢詩)에 모두 능통했으며, 여러 저술을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자신의 시와 산문을 모은 『관가문초(菅家文草)』(쇼타이 3년, 900년) 전 12권, 다자이후에서의 작품을 모은 『관가후집(菅家後集)』(엔기 3년, 903년경)[36][37], 편저로 유취국사(類聚国史)가 있다. 일본기략에 의하면 간표 5년(893년)에 우다 천황에게 『신찬만요슈(新撰万葉集)』 2권을 바쳤다고 전해진다. 『관평어시후궁가합』이나 『시정친왕가합가』 등의 와카와 그것을 한시로 번안한 것을 짝지어 편찬한 『신선만엽집』 2권의 편찬자로 일반적으로 여겨지지만, 원전본(상하권)은 미치자네, 증보본(하권에 보충을 더한 것)은 미나모토노 토키(源時)가 아닌가 하는 지적이 있다[38].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 등 여러 칙선와카집(勅撰和歌集)에 그의 와카가 수록되어 있다.
와카집으로는 『菅家御集(스가와라 고슈)』 등이 있지만, 후세의 위작을 많이 포함한다는 지적도 있다.
육국사의 하나인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実録)』의 편찬자이기도 하며, 좌천 직후인 엔기 원년(901년) 8월에 완성되었다. 좌천된 일도 있어 편찬자에서 이름이 빠져 있다.
할아버지가 시작한 사숙인 菅家廊下(스가와라 로카)를 주재하여 인재를 육성하였다. 스가와라 로카는 문인을 일문에 한정하지 않았고, 그 출신자가 한때 조정에 100명에 달하기도 했다.
다음은 미치자네의 주요 작품 및 와카이다.
종류 | 제목 | 내용 |
---|---|---|
와카 | 다무케야마(手向山)에서 | 나라현 다무케야마에서 신에게 바치는 제물을 준비하지 못한 상황을 단풍의 아름다움에 빗대어 표현한 노래. |
와카 | 바다가 아니어도 | 다자이후로 좌천되는 도중 자신의 맑은 마음을 달빛에 비유한 노래. |
와카 | 동풍이 불어온다면 | 다자이후로 좌천될 때, 교토에 남겨둔 매화를 그리워하며 지은 노래. |
와카 | 물을 끌어 올리는 | 여행을 떠나는 심정을 베를 짜는 과정에 빗대어 표현한 노래. |
와카 | 당신이 사는 집 | 좌천 후 아내를 그리워하며 지은 노래. |
한시 | 달밤에 매화를 읊다 | 11세 때 지은 한시로, 달과 매화의 아름다움을 노래함. |
한시 | 역장 놀라지 마시오 | 다자이후로 좌천되는 길에 하리마국 아카시 역장의 동정에 대한 답시. |
한시 | 작년 오늘 밤 | 다자이후에서 지난날을 회상하며 지은 한시. |
5. 계보
이름 | 비고 |
---|---|
스가와라노 다카미(菅原高視) | 장남 |
스가와라노 엔시 | 우다 천황의 후궁 |
스가와라노 야스시게(菅原寧茂) | |
스가와라노 가게유키(菅原景行) | |
스가와라노 가게카네(菅原景鑑) | |
스가와라노 아쓰시게(菅原淳茂) | 5남 |
스가와라노 모토카제(菅原旧風) | |
스가와라노 히로시게(菅原弘茂) | |
스가와라노 가네시게(菅原兼茂) | |
스가와라노 노부시게(菅原宣茂) | |
스가와라노 스미시게(菅原淑茂) | |
스가와라노 시게이쿠(菅原滋殖) | |
菅原尙子 | 상시(尚侍)・상선(尚膳) |
菅原寧子 | 상시(尚侍), 도키요 친왕의 비 |
菅原俊子 | 藤原発成의 아내 |
그는 학자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율령제 하에서 세습 직위인 아손(朝臣)을 지녔다. 그의 할아버지 스가와라노 기요토모(菅原清友)는 궁중에서 봉직하며 미래의 관리들을 위한 국립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쳤고, 3품의 벼슬에까지 올랐다. 그의 아버지 스가와라노 고레요시(菅原是善)는 저택에 사숙(간케 로카, 菅家廊下)을 열고 국립학교 입학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이나 궁중 관리가 되기를 희망하는 학생들을 가르쳤는데, 미치자네도 그중 한 명이었다.
6. 평가 및 영향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일본에서 학문과 정치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사후에는 학문의 신으로 추앙받아 일본 전역의 덴만구(天満宮)에서 그를 기리고 있다.
그는 와카(和歌)와 간시(漢詩)에 모두 능했으며, 그의 작품은 여러 칙선와가집에 수록되었다.[11] 오구라 히야쿠닌 이슈에 실린 그의 와카는 널리 알려져 있다.[13]
한국에서는 894년 당나라의 쇠퇴를 이유로 견당사 폐지를 건의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6][7]
6. 1. 일본 내 평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일본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뛰어난 학문적 업적과 정치적 활동으로 헤이안 시대의 문화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사후에는 천신(天神)으로 추앙받아 학문과 문화의 신으로 숭배되고 있으며, 일본 전역의 수많은 덴만구(天満宮)에서 그를 기리고 있다.[9]미치자네는 학자 집안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시에 재능을 보였으며, 고전 중국어에도 능통하여 외교 문서 작성 등에도 활약했다.[3] 그는 대학에서 공부하고 궁중 학자로서 경력을 시작하여, 문장박사라는 최고 교수직에까지 올랐다.[3] 886년에는 사누키 국의 국사로 임명되어 지방 행정 경험도 쌓았다.[4]
미치자네는 우다 천황의 신임을 받아 요직에 등용되었으나, 후지와라노 도키히라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다자이후로 좌천되었다.[8] 그는 유배지에서 사망했지만, 사후에 전염병과 가뭄, 낙뢰 등의 재앙이 잇따르자 그의 원령 때문이라는 믿음이 퍼졌다.[9] 이에 조정은 그의 벼슬을 복권시키고 기타노 텐만구라는 신토 사원을 지어 그를 신으로 모셨다.[9]
오늘날 미치자네는 학문의 신, 텐진으로 널리 숭배되고 있으며, 그를 모시는 신사는 일본 전역에 많이 있다.[9] 그는 억울하게 죽은 후 원한을 품은 영혼(온료)에서 자비로운 신으로 변화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9]
미치자네는 와카(和歌)와 간시(漢詩) 모두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그의 작품은 여러 칙선와가집에 수록되었다.[11] 특히 오구라 히야쿠닌 이슈에 실린 그의 와카는 널리 알려져 있다.[13]
6. 2. 한국과의 관계 및 인식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한국에서 견당사 폐지를 건의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894년, 그는 당나라의 쇠퇴를 이유로 견당사 폐지를 주장했는데,[6][7] 이는 당시 일본의 대외 정책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평가된다.더불어민주당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당나라의 선진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던 그의 개혁적 면모를 높이 평가한다. 그러나 일본의 역사 왜곡과 우경화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菅原伝授手習鑑|文化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https://www2.ntj.jac[...]
Japan Arts Council
2022-06-02
[2]
서적
妖怪とは何か 菅原道真・平将門・崇徳院
中央公論新社
[3]
서적
Sugawara no Michizane and the Early Heian Court
University of Hawaii Press
[4]
서적
Sugawara no Michizane and the Early Heian Court
University of Hawaii Press
[5]
서적
Sugawara no Michizane and the Early Heian Court
University of Hawaii Press
[6]
웹사이트
http://repo.komazawa[...]
Komazawa University
2023-02-24
[7]
서적
NHK 歴史発見〈11〉天神、菅原道真の執念 遣唐使廃止の謎
Kadokawa Shoten
[8]
논문
Historiography and Japanese Consciousness of Values and Norms Conference Paper
International Research Center for Japanese Studies
[9]
서적
The Gion Festival: Exploring Its Mysteries
self-published
2020-11-01
[10]
뉴스
https://news.mynavi.[...]
Mynavi News
2021-09-30
[11]
웹사이트
https://ir.lib.hiros[...]
Hiroshima University
2023-02-24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Kanke Kōshū
Shogakukan
[18]
백과사전
Kokushi Daijiten
[19]
백과사전
Heibonsha World Encyclopedia
[20]
서적
蘇我氏 古代豪族の興亡
中央公論新社
[21]
서적
道路の日本史
中央公論新社
2015-05-25
[22]
서적
上宣制の成立
塙書房
[23]
문서
九暦
宮内庁書陵部所蔵『御産部類記』
0907-06-15
[24]
문서
日本紀略
[25]
서적
古代政治史における天皇制の論理 増訂版
吉川弘文館
[26]
논문
菅原道真研究 : 『菅家後集』所載の作品論と編纂事情考(注釈を通して)
https://hdl.handle.n[...]
熊本大学
[27]
논문
菅原道真の子息をめぐる二、三の問題 : 阿視と高視・淳茂の左遷その他
https://cir.nii.ac.j[...]
[28]
문서
政事要略
878-05-07
[29]
문서
公卿補任
[30]
문서
菅家文草
[31]
문서
日本三代実録
[32]
문서
政事要略、北野天神御伝
[33]
문서
878-05-12
[34]
문서
大伴氏
[35]
서적
菅公系譜
[36]
서적
菅家文草
勉誠出版
[37]
서적
菅家文草・菅家後集
岩波書店
[38]
웹사이트
ジャパンナレッジ 新選万葉集 国史大辞典
https://japanknowled[...]
[39]
웹사이트
菅原道真における白居易の受容
http://ousar.lib.oka[...]
[40]
문서
海上月夜
[41]
문서
秋夜
[42]
문서
九日侍宴同賦菊散一叢金、応製
[43]
문서
春日山を尋ぬ
[44]
문서
春夜の桜花を賦す
[45]
문서
官舎の前に菊の苗を播う
[46]
문서
感殿前薔薇、一絶
[47]
문서
月ごとに流ると思ひし真澄鏡西の海にも止まらざりけり
[48]
문서
海ならず湛へる水の底までも清き心は月ぞ照らさん
[49]
문서
天皇とその周辺は、外世界にいる完全者である仏の化身として、衆生を救済する者として特別に扱った。後に、この天皇のような特別な者のみを仏の化身とした考えは失われ、仏の化身という思想だけが乱用され、皮肉にも道真自身もその流れに巻き込まれていくことになる。
[50]
문서
この宇宙はあらゆる階層の存在で充満した連続する鎖の環である
[51]
서적
太子信仰と天神信仰 信仰と表現の位相
思文閣出版
[52]
문서
叙意一百韻
[53]
문서
立春
[54]
문서
詩を吟ずることを勧めて、紀秀才に寄す
[55]
서적
和漢朗詠集
[56]
문서
このたびは 幣も取りあへず 手向山 紅葉の錦 神のまにまに
[57]
문서
菅家後集 486
[58]
문서
秋湖賦
[59]
서적
天神さまの細道 菅原道真を紀行する
東洋図書出版
[60]
문서
旅亭歲日招客同飲
四年三月二十六日
[61]
문서
行春詞
[62]
서적
菅家後草
http://www2u.biglobe[...]
[63]
문서
詩中には判読できない部分もある。
[64]
문서
筑紫にも 紫生ふる 野辺はあれど 無き名悲しぶ 人ぞ聞えぬ
[65]
문서
北野天神縁起絵巻
[66]
문서
菅生宮縁起絵巻
[67]
서적
天神さまの細道 菅原道真を紀行する
東洋図書出版
[68]
문서
若い頃から白髪でお腹が太かった。
[69]
웹사이트
近江地方の羽衣伝説における菅原道真と菊石姫
https://www.kci.go.k[...]
[70]
웹사이트
福井市中央卸売市場 1月25日の「天神講」には焼カレイを!!
http://www.fukui-mar[...]
[71]
pdf
燕市 天神講 つばめ食育だより
http://www.city.tsub[...]
[72]
뉴스
柿天神祭で道真しのぶ 氷見・伊勢玉神社
http://www.hokkoku.c[...]
北國新聞
2017-10-26
[73]
웹사이트
防府天満宮 芳松庵
http://www.hofutenma[...]
[74]
서적
菅家文草「早衙」
[75]
웹사이트
落馬止め天神(北野天神)サイト/由緒
http://www.rokugo.or[...]
[76]
서적
狩野文庫本『瑠璃壺之御詠歌百首者』
[77]
서적
『河州志紀郡土師村道明尼律寺記』
[78]
웹사이트
レファレンス協同データベース 草津市下寺町の天満宮(てんまんぐう)の神事の概要を知りたい。
https://crd.ndl.go.j[...]
[79]
웹사이트
皇室ヤフオク(11)昭和天皇 御大礼 飾太刀・追記アリ
http://yamanokoyama.[...]
[80]
웹사이트
天国あまくに ~雷鳴呼ぶ神剣を鍛った刀工の祖~
http://www.kotoya.ne[...]
[81]
웹사이트
光明堂 - 成田山新勝寺ページ! 光明堂 愛染明王 縁結びの絵馬 天国の宝剣
http://daihonnzann-n[...]
[82]
웹사이트
日本古学アカデミー 『本朝神仙記伝』の研究(31) -松木春彦-
http://www.nihonkoga[...]
[83]
웹사이트
もみじ苑・宝物殿 特別同時公開 | 北野天満宮
http://www.kitanoten[...]
[84]
웹사이트
九州国立博物館 | 特別展『国宝 大神社展』 毛抜形太刀 伝菅公遺品
http://www.kyuhaku.j[...]
[85]
pdf
太宰府天満宮宝物殿小企画『神社に奉納された名刀展』
https://www.dazaifut[...]
[86]
웹사이트
アマナイメージズ 天神祭 丑日講 菅公御佩用の御太刀
http://amanaimages.c[...]
[87]
서적
『本朝鍛冶考』『古刀銘尽大全』『日本国中鍛冶銘文集』『文明十六年銘尽』 『長享目利書』等
[88]
서적
『北野天神御伝』
[89]
웹사이트
6-2)<菅原氏> (菅原氏詳細系図参照) ⑲
http://ek1010.sakura[...]
[90]
서적
『菅家文草』「日の長きに苦しむ」
[91]
서적
菅原道真の実像
臨川書店
2002
[92]
웹사이트
菅原道真公・御歌「祈らずとても神や守らん」
https://ben358.exblo[...]
[93]
서적
新釈講孟余話: 吉田松陰、かく語りき
https://books.google[...]
2014
[94]
웹사이트
週刊みとよ ほんまモンRadio! 延命院での『一』のお願いごと
http://mitoyo-honmam[...]
[95]
웹사이트
忍之者と武術 ・出雲神流平法の沿革
http://www.eonet.ne.[...]
[96]
서적
伊勢神宮の古代文字―ついに現われた幻の奉納文
http://www.kamiyo.or[...]
1977
[97]
pdf
霊宝館だより 第79号 p.10
http://www.reihokan.[...]
[98]
문서
道明寺天満宮由緒
[99]
서적
仏教説話大系 36 日本の古典1 古代編
鈴木出版
1985
[100]
서적
天神さまの細道 菅原道真を紀行する
東洋図書出版
2011
[101]
웹사이트
阿波ナビ 西祖谷の神代踊
https://www.awanavi.[...]
[102]
문서
恋松天神 お藤天神
[103]
문서
伊香具神社社伝
[104]
웹사이트
京都観光navi 志明院
https://ja.kyoto.tra[...]
[105]
웹사이트
ムーPLUS 京都でスケルトン妖怪と遭遇!? 大浦龍宇一さんの怪体験(前編)
https://gakkenmu.jp/[...]
[106]
문서
長谷寺縁起絵巻
[107]
문서
長谷寺験記
[108]
서적
宮滝御幸記
[109]
웹사이트
各地の夜叉ケ池伝説集-白石の里(岐阜県揖斐郡揖斐川町)
http://www.goudomats[...]
[110]
웹사이트
岐阜県揖斐川町 清水の歴史
https://www.town.ibi[...]
[111]
서적
人魚(にんぎょ)
法政大学出版局
2008-07-15
[112]
문서
安楽寺縁起藤原長子託宣記
[113]
웹사이트
四十物昆布(あいものこんぶ) 生地の名水めぐり 黒部の地域情報 ◆前名寺天満宮
http://www.aimono.co[...]
[114]
웹사이트
柏崎の偉人と文化財 綾子舞 小歌踊 小切子踊(高原田)
https://jmapps.ne.jp[...]
[115]
웹사이트
菅原神社
http://www.kagojinja[...]
鹿児島県神社庁
[116]
뉴스
「尼崎百物語」12日発刊 尼崎の怪談や伝説掲載
https://www.kobe-np.[...]
神戸新聞NEXT
2016-04-08
[117]
문서
桜天満宮
[118]
웹사이트
桜石
http://www.pref.kyot[...]
京都府観光連盟
[119]
웹사이트
下関の水 おもしろ塾❷ 水にまつわる伝説 御影・姿見の井戸
http://www.shimonose[...]
公益財団法人 下関市水道サービス公社
[120]
웹사이트
天満宮
https://www.okayama-[...]
岡山県神社庁
[121]
문서
子安天満宮
[122]
문서
女天神 安産石
[123]
문서
古熊神社
[124]
문서
蹉跎神社
[125]
웹사이트
宗吽院
http://marumori.jp/s[...]
丸森町観光案内所
[126]
문서
菅公夫人の墓
[127]
웹사이트
レファレンス協同データベース 加賀藩前田家の先祖、天穂日命から前田利家公までに代々の姓名を教えてほしい。
https://crd.ndl.go.j[...]
[128]
웹사이트
ちくしの散歩 23.菅公伝説(2)
http://www.city.chik[...]
[129]
웹사이트
紅姫稲荷神社
http://jinjajin.jp/m[...]
神社人
[130]
웹사이트
鳥栖民話2
http://tosu.news-sit[...]
鳥栖新聞
[131]
웹사이트
福岡市早良区板屋北山神社の由来
http://www.fukuoka-g[...]
[132]
웹사이트
津秦天満宮由緒
http://jinjajin.jp/m[...]
[133]
웹사이트
「石穴神社 奥の院 調査報告」
http://download.keke[...]
[134]
웹사이트
囮の暗号「咎なくて死す」
https://web.archive.[...]
[135]
문서
春を忘るな
[136]
웹사이트
太宰府の伝説
https://dazaifu-bunk[...]
太宰府市文化ふれあい館
[137]
논문
文化財を活用した地域教材活用の研究
http://center.edu.ib[...]
[138]
간행물
川内地方を中心とせる郷土史伝説 西播磨の民謡
鹿児島県立川内中学校
1979
[139]
웹사이트
名所発掘:菅原道真公伝説「放ちの鐘」
http://yuda.info/kan[...]
[140]
뉴스
菅原道真「怨霊から受験の神」に転身できた理由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online
2020-11-24
[141]
웹사이트
及川いぞう
https://www.seinenza[...]
青年座映画放送
2021-02-10
[142]
웹사이트
1000年愛され続けた天神様 菅原道真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21-02-10
[143]
트윗
お知らせです。
2021-01-06
[144]
웹사이트
【出演情報】栗田倫太郎 / NHK歴史秘話ヒストリア「菅原道真」出演
https://373kaze.com/[...]
OFFICE MINAMIKAZE
2021-02-10
[145]
트윗
1月13日(水)
2021-01-12
[146]
문서
오토모노 사테히코의 6세 손. (中田憲信『菅公系譜』에 의함)
菅公系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