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센다이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다이항은 미야기현 센다이시에 위치한 항구로, 1971년 개항 이후 센다이시의 외항 역할을 해왔다. 2001년 센다이시오가마항으로 개칭되었으며, 북미, 중국, 한국, 동남아시아를 연결하는 항로와 국내 피더 항로를 운영하며 국제 무역항으로 기능하고 있다. 센다이항은 서핑 명소로도 유명하며, 미야기 국제 트라이애슬론 시치가하마 대회가 개최되는 등 레저 및 관광 활동도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야기현의 지리 - 산리쿠
    산리쿠는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사메자키 곶에서 미야기현 오시카반도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 지역으로, 리아스식 해안과 험준한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야시오 해류와 쿠로시오 해류가 만나 풍부한 어장을 형성하지만 지진 해일 피해가 잦고 교통망 발달이 더딘 지역이다.
  • 다가조시의 교통 - 리쿠젠산노역
    미야기현 다가조시에 위치한 리쿠젠산노역은 JR 동일본 도호쿠 본선과 센다이 린카이 철도 린카이 본선이 지나는 2면 3선의 지상역으로, 과거 다가조마에역에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다가조시의 교통 - 다가조역
    다가조역은 일본 미야기현 다가조시에 있는 JR 동일본 센세키선의 역으로, 미야기 전기 철도 역으로 개업하여 국유화 후 JR 동일본에 이르게 되었고, 고가화 사업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역 구내 상업 시설과 주변 주요 시설, 버스 노선이 연결되어 있다.
센다이항
지도
개요
항구 이름仙台塩釜港仙台区 (센다이시오가마코 센다이구)
다른 이름仙台港 (센다이코)
위치
위치미야기현센다이시미야기노구, 다가조시, 시치가하마정
일반 정보
종류중핵국제항만, 국제거점항만, 특정항
개항1971년 (쇼와 시대 46년) 7월
관리자미야기현
면적 및 시설
계류 시설 수알 수 없음
부두 수7
선착장 수알 수 없음
정박지 면적알 수 없음
육지 면적알 수 없음
면적알 수 없음
운영
직원 수알 수 없음
입항 선박 수 (2006년)7,024척
화물 취급량 (2006년)36,942,633톤
컨테이너 수 (2006년)2,508,999톤
화물 총액알 수 없음
여객 수알 수 없음
매출액알 수 없음
이익알 수 없음
주요 수출입품
주요 수출품강재, 고무 제품, 화학 제품
주요 수입품원유, LPG
추가 정보
공식 웹사이트미야기현 센다이시오가마 항만 사무소

2. 역사적 배경

후에 센다이항이 설치된 나가하마의 1945년(쇼와 20년)경 지도. 나가하마에는 다수의 석호가 있었고, 가모 경마장도 있었다.


역사적으로 센엔 지구에는 내륙 도시의 외항 역할을 하는 항구들이 있었다. 무쓰 고쿠후 다가조의 외항은 고쿠후쓰(현 시오가마시)였고, 다가국부와 이와키리의 외항은 미나토하마(나나키타가와・구 하구. 현 시치가하마정), 센다이성조카마치의 외항은 가모(나나키타가와・현 하구. 센다이시)와 시오가마였다.

메이지 시대 초기, 노비키 축항(나루세가와 하구. 현 히가시마쓰시마시)이 태풍으로 폐항된 후, 미야기 목도가 미야기현 최초의 궤도로서 센다이구와 가모를 연결하자 가모가 일시적으로 번성했다. 그러나 일본철도 본선(현 JR도호쿠 본선)이 시오가마항의 시오가마역(후의 시오가마 부두역. 현 시오가마역과는 별개)까지 개통되면서, 시오가마항이 센다이시의 외항 지위를 얻었다.

센다이시의 모래사장에 항구를 건설하는 계획은 오카자키 에이마쓰 시장이 1956년(쇼와 31년) 시의회에서 그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작되었다[7]. 1958년(쇼와 33년)에는 도호쿠 대학 교수인 토미타 요시로가 "센다이항과 종합 공업 지대 건설의 구상"을 발표하며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토미타는 1만 톤급 대형 화물선이 접안할 수 있는 양항이 없는 것이 도호쿠 지방의 공업 진흥을 방해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시오가마항을 공업항으로 만들면 만내 양식 어업과 관광에 악영향이 있다. 센다이시역의 북동쪽 끝인 나가하마 해안의 모래사장을 파내어 남북으로 방파제를 갖춘 새로운 항구를 건설하면, 다가조 해군 공창의 부지나 저습지, 논을 공업 용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릉에 좁혀져 주변의 시가지화가 진행된 기존의 항구를 확장하는 것보다 낫다는 것이 토미타의 의견이었다[8]. 지도에 그려진 항구의 형태는 다르지만, 기본적인 생각과 위치는 현재 센다이항의 원형을 이룬다[9]. 그리고 1961년(쇼와 36년)에는 미야기현과 운수성이 축항에 관한 조사를 실시했다[10].

이와 별도로, 국가는 3대 도시권에 집중되는 산업을 지방에 분산할 필요를 인정하고, 1962년(쇼와 37년)에 신산업도시 건설 촉진법을 제정했다. 미야기현은 이 법률에 근거한 신산업도시 지정을 요구하며 운동을 벌였고, 1964년 (쇼와 39년) 3월에 센다이시에서 이시노마키시까지 포함한 센다이만 지구가 지정을 받게 되었다[11]. 새로운 센다이항은 신산업도시 건설의 핵심적인 사업으로 위치 지어졌다[10]. 센다이항의 건설은 국가와 미야기현에 의해, 1967년(쇼와 42년) 12월에 착공, 1971년(쇼와 46년)에 완공되어 7월 17일에 개항식이 거행되었다[3].

건설 당시, 센다이시 오이와케 지구는 동시 나카노신마치로[12], 시치가하마정 미나토하마 지구의 약 160호가 동정 우타 지구로 집단 이주했으며[13], 나나키타가와 하구의 가모 간석지의 2/3가 매립되었고[14], 테이잔 운하의 항만 부분도 파괴되었다. 현재, 구 다가조 해군 공창・남구(기총부 외)의 부지는 센다이항의 임해 공업 지구 등이 되었고, 동 해군 공창으로의 인입선은 센다이 린카이 철도 린카이 본선으로 전용되고 있다(동 해군 공창의 다른 부지는 다가조 주둔지, 도호쿠 관구 경찰 학교, 다가조시 문화 센터, 도호쿠 학원 대학 다가조 캠퍼스 등으로 전용)[15][16].

센다이항은 시오가마항의 일부 기능을 유용했기 때문에, 행정상 "시오가마항 센다이항 구"라는 시오가마항의 일부 취급이었지만, 1991년(헤이세이 3년)에 국제 무역항으로 정비 계획이 결정되면서 물류 기능이 센다이항에 집중되어 주객이 전도되었고, 2001년(헤이세이 13년)에 '''센다이시오가마항'''으로 개칭하여 중요항만에서 특정 중요 항만(현・국제 거점 항만)으로 격상되었다.

2. 1. 연표


  • 1964년
  • * 3월 3일 - 센다이만 지역이 신산업도시로 지정됨.
  • * 8월 - 항만 계획 개정 (공업항 계획 수립. [http://map.smt.city.sendai.jp/pub/contents_detail.php?clist_id=656 1962년 8월 9일 건설 예정지의 항공 사진]).
  • 1967년 12월 - 건설 공사 시작.
  • 1969년 3월 - 항만 계획 개정 (상항 계획 추가).
  • 1971년
  • * 5월 - 시오가마항에 편입되어, 관세법에 따른 무역항으로 지정됨.
  • * 6월 - 제1선 입항.
  • * 7월 - 식물방역법에 따른 식물수입항으로 지정됨.
  • * 7월 17일 - 개항식.[3]
  • * 10월 1일 - 센다이 린카이 철도·린카이 본선 개업.
  • 1973년
  • * 4월 - 페리 취항 (나고야~센다이~도마코마이)
  • * 12월 - 페리 취항 (센다이~도마코마이)
  • 1975년 9월 1일 - 센다이 린카이 철도·센다이 부두선 개업.
  • 1976년 - 주거 표시 실시. "미나토 1초메"라는 지명이 생김.[17]
  • 1977년 - 주거 표시 실시. "미나토 4초메" 및 "미나토 5초메"라는 지명이 생김.[18]
  • 1978년
  • * 주거 표시 시행. "미나토 3초메"라는 지명이 생김.[19]
  • * 4월 - 센다이항 미나토 공원 공용 개시.
  • 1979년 - 주거 표시 실시. "미나토 2초메"라는 지명이 생겨, "미나토 1초메"가 확장됨.[20]
  • 1983년 4월 1일 - 센다이 린카이 철도·센다이 서항선 개업.
  • 1986년 - 항만 계획 개정 (국제 무역항 계획 수립)
  • 1987년 7월 18일~9월 28일 - '87 미래의 도호쿠 박람회 개최.
  • 1989년 4월 1일 - 센다이시가 정령지정도시로 이행.
  • 1990년
  • * 6월 - 내항 피더컨테이너선 취항 (도쿄항 오이 컨테이너 터미널~센다이항 간)
  • * 11월 16일 - 센다이항 배후지 "미나토 센다이 유메 타운"의 도시 계획 결정.
  • 1991년
  • * 국제 무역항으로 정비 계획이 결정됨.[21]
  • * 1991년도 - 미야기현 주도로 센다이항 배후지 토지 구획 정리 사업 시작. 해당 사업에 센다이시도 참가.[21]
  • 1992년
  • * 4월 - 센다이항 중앙 공원 전면 공용 개시.
  • * 7월 - 제7회 "바다의 제전" 개최.
  • 1995년
  • * 3월 - 수입 촉진 지역 (FAZ) 지정.
  • * 4월 - 갠트리 크레인 공용 개시.
  • * 7월 - 중핵 국제 항만으로 지정. 동남아시아 컨테이너 정기 항로 개설.
  • * 미야기 국제 트라이애슬론 시치가하마 대회 시작.
  • * 10월 - 꿈 메세 미야기 (미야기 산업 교류 센터) 개관.
  • 1997년 7월 19일~9월 29일 - 제8회 재팬 엑스포·국제 유메 교류 박람회 개최.
  • 1998년 - JR 화물에 의해, 요코하마항·혼모쿠 부두~센다이항 간에 해상 컨테이너 철도 수송 정기 화물 노선 "요코하마호" 개설.[22][23]
  • 2000년 3월 - 액셀 (센다이항 국제 비즈니스 지원 센터) 개관.
  • 2001년 4월 - 센다이시오가마항으로 개칭하고 특정 중요 항만 (현・국제 거점 항만)으로 승격 지정.
  • 2002년 - 쇼트보드 서핑 일본 제일을 결정하는 "''Japan Pro Surfing Tour''"의 개최지 중 하나가 됨 (이 해 이후 매년).
  • 2003년 -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서핑 대회 "''All Japan Pro''"의 개최지가 됨 (이 해 이후 5년 연속).
  • 2004년 - 센다이 국제 무역항 물류 터미널 개장.
  • 2006년 - 요코하마 세관 센다이 컨테이너 검사 센터 개설.
  • 2008년 9월 - 센다이항 배후지 (미나토 센다이 유메 타운) 센터 지구에, 미쓰이 아울렛 파크 센다이항 개업.
  • 2009년 - 센다이항 배후지 (미나토 센다이 유메 타운) 센터 지구에, 카인즈 몰 센다이항 개업.
  • 2010년 3월 30일 - 고요 해변 공원 공용 개시.[24]
  • 2011년 3월 11일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과 그로 인한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어, 항만 기능이 마비됨.
  • 2018년 9월 14일 - 26일: 크루즈 여객선 "아스카 II"의 센다이항 기항에 따라, 센다이 린카이 철도센다이 부두역~JR 동일본마쓰시마역 발착의 접근 열차를 운행. 대상은 "아스카 II"의 승선 예정객 중 옵션 투어를 신청한 승객만 해당.

3. 항로

센다이항은 여객 및 화물 운송을 위한 다양한 항로를 운영하고 있다. 나고야항, 도마코마이항과 연결되는 정기 페리 노선이 있어 여객 수송이 이루어진다.[1][4]

또한, 북미 및 아시아 각국, 게이힌항 등 국내외 주요 항만과 연결되는 정기 컨테이너선 항로를 통해 활발한 물류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한국부산, 울산, 마산, 광양 등과도 정기 항로가 개설되어 있다. 센다이항은 외항 직항, 내항 피더 운송, 그리고 철도(센다이항역과 연계된 '요코하마호')를 이용한 해상 컨테이너 운송까지 가능한 복합 운송 체계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6] 이러한 다양한 항로를 통해 센다이항은 미야기현도호쿠 지방의 중요한 물류 거점 항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3. 1. 여객

센다이항 페리 터미널


태평양 페리가 다음 항로에 페리를 운항하고 있다.

출발지도착지운항 빈도소요 시간
나고야센다이격일약 21시간
센다이도마코마이매일약 14시간 30분



페리 터미널까지는 센다이역 앞에서 미야기 교통 버스 센다이항 선을 이용하여 "센다이항 페리 터미널"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3. 2. 화물

1991년 국제 무역항 정비 계획 결정 이후 상항(商港)으로서 기능이 확충되어, 센다이 도시권의 외항이자 미야기현도호쿠 지방의 물류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북미와 아시아, 게이힌항 등과의 사이에 외내무역 정기 컨테이너 항로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해상 컨테이너의 철도 수송 정기 화물 노선 '요코하마호'를 통해 게이힌항과 연결되어 있어, 국제 해상 컨테이너 수송에서 외항 다이렉트, 내항 피더, 철도의 3가지 모드를 갖춘 일본 내에서도 드문 항만이다. 도호쿠 지방에서는 몇 안 되는 약 12.19m 컨테이너를 취급할 수 있는 센다이항역을 갖추고 있다.[6] 주요 취급 화물은 원유, 자동차, 중유, 액화 석유 가스 및 각종 제품이다. 2006년 기준 화물 취급량은 3694만 2천 톤이었으며, 입항 선박 수는 7024척이었다.

외항 항로 (컨테이너선)
항로 종류경유지비고
북미 서안·중국 컨테이너 정기 항로센다이 - 로스앤젤레스 - 오클랜드 - 나고야 - 고베 - 상하이 - 고베 - 나고야 - 도쿄 - 센다이일본·미국·중국
중국·한국 컨테이너 정기 항로센다이 - 오나하마 - 히타치나카 - 부산 - 울산 - 상하이 - 부산 - 도마코마이 - 하치노헤 - 센다이일본·중국·한국
센다이 - 부산 - 울산 - 마산 - 광양 - 닝보 - 상하이 - 부산 - 도마코마이 - 센다이
동남아시아 컨테이너 정기 항로'센다이 - 부산 - 광양 - 지룽 - 가오슝 - 홍콩 - 싱가포르 - 홍콩 - 가오슝 - 지룽 - 니가타 - 도마코마이 - 하치노헤 - 센다이'일본·한국·타이완·홍콩·싱가포르 (운휴 중)
한국 컨테이너 정기 항로센다이 - 오나하마 - 부산 - 시미즈 - 센다이일본·한국
센다이 - 오나하마 - 부산 - 센다이
센다이 - 부산 - 센다이



내항 피더 항로 (중계 기지 환적)
연결 항만 및 부두운항사경유지
도쿄항·오이 부두 6호-7호 및 요코하마항·다이코쿠 부두 C-4근해 유센 물류게이힌항 - 센다이 - 가마이시
게이힌항 - 센다이 - 도마코마이
요코하마항·혼모쿠 부두 C 부두요코하마 컨테이너 라인요코하마 - 센다이 - 미야코 - 하치노헤 - 도마코마이 - 무로란
도쿄항·아오미 C4 부두 및 요코하마항·미나미 혼모쿠 부두이모토 상운도쿄 - 요코하마 - 오나하마 - 센다이
도쿄 - 요코하마 - 센다이 - 하치노헤
시미즈항스즈요 해운시미즈 - 도쿄 - 센다이



이 외에도 요코하마항·혼모쿠 부두와 센다이항 사이에 해상 컨테이너 철도 수송 정기 화물 노선 '요코하마호'가 운행되고 있다. 또한, 이 '요코하마호'와 연계하여 해상 컨테이너를 철도(센다이항~아키타항)와 컨테이너선(아키타항~러시아·보스토치니 항)으로 운반하여 시베리아 횡단 철도 등으로 러시아·유럽·중국으로 연결하는 '환 일본해 씨 앤 레일 구상'[25]의 실증 실험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4. 항만 시설

센다이항 중앙공원에서 본 센다이항·중앙 항로


다카사고 컨테이너 터미널과 센다이항의 서핑 스폿(2009년 7월)


항만법상 센다이시오가마항은 "센다이시오가마항 센다이항구", "센다이시오가마항 시오가마항구", "센다이시오가마항 이시노마키항구", "센다이시오가마항 마쓰시마항구"의 4개 구역으로 구성된다.[1][4] 이 중 "센다이시오가마항 센다이항구"는 육상 항만 시설 구역과 더불어, 하나부치 등대가 있는 호에자키(북위 38도 17분 35.8초, 동경 141도 5분 7.4초)에서 시치키타 강 하구(북위 38도 15분 7.4초, 동경 141도 0분 50초)까지의 해상 해역을 포함한다.[2]

센다이항은 1964년 센다이만 지역이 신산업도시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건설되었다. 과거 다카조 해군 공창(점령기에는 진주군 "캠프 로퍼"[5])이 있던 부지와 주변 저습지를 매립하여 임해 공업 지역을 조성할 목적으로 해안을 파내어 만들었다. 이후 상업 항만 기능을 추가하여 1971년에 개항했다. 1991년에는 국제 무역항 정비 계획이 결정되면서 상항 기능이 더욱 확충되어, 현재는 센다이 도시권의 외항이자 미야기현 및 도호쿠 지방의 주요 물류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굴착하여 만든 항만부는 동서 방향의 중앙 항로와 남북 방향의 북 항로로 구성되어 '⊥' 형태를 이룬다.[26] 중앙 항로는 항구 입구에서 북 항로 분기점까지를 '외항', 분기점 서쪽을 '내항'으로 볼 수 있다. 부두의 수심은 7.5m에서 14m 사이이다.

중앙 항로 외항 북쪽과 북 항로에는 임해 공업 용지와 관련 시설을 위한 잔교가 있으며, 신센다이 화력 발전소, 가스 및 석유 기지 등 에너지 관련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 중앙 항로 내항에는 공장과 함께 여객 및 무역항 기능이 모여 있다. 내항 북쪽으로는 센다이 임해 철도 선로가 이어져 있고 창고가 많으며, 남쪽에는 공장들이 들어서 있다. 공장 지구 동쪽, 중앙 항로 외항부 남쪽에는 대형 컨테이너 유통 시설을 갖춘 부두가 있다.

'''센다이항 주요 부두'''
구분부두명안벽 수주요 시설 및 특징
북쪽 부두다카마츠 부두1개-
나카노 부두6개 (1~6호)뉴매틱 언로더 1기, 지브 크레인 1기
페리 부두2개 (1~2호)여객 페리 접안
라이진 부두2개 (1~2호)-
남쪽 부두고요 부두1개 (1호)-
다카사고 부두2개 (1~2호)갠트리 크레인 4기 (컨테이너 처리)



센다이항은 북미아시아 각국, 게이힌항 등 일본 국내 항만과 연결되는 정기 컨테이너 항로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해상 컨테이너를 철도로 운송하는 정기 화물 노선 "요코하마호"를 통해 게이힌항과도 연결되어 있어, 국제 해상 컨테이너 운송에서 외항 직항, 내항 피더 운송, 철도 운송의 세 가지 방식을 모두 갖춘 일본 내에서도 보기 드문 항만이다. 특히 도호쿠 지방에서는 드물게 약 12.19m 컨테이너를 취급할 수 있는 센다이항역을 보유하고 있다.[6] 주요 취급 화물은 원유, 자동차, 중유, 액화 석유 가스(LPG) 및 각종 공산품이다. 2006년 기준 화물 취급량은 약 3694만ton이었고, 입항 선박 수는 7024척이었다. 여객 운송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나고야항 및 도마코마이항 사이에 정기 페리가 운항 중이다.

'''센다이항 주요 항로'''
구분항로명주요 기항지비고
외항 항로
(컨테이너선)
북미 서안·중국 정기 항로센다이 - 로스앤젤레스 - 오클랜드 - 나고야 - 고베 - 상하이 - 고베 - 나고야 - 도쿄 - 센다이-
중국·한국 정기 항로센다이 - 오나하마 - 히타치나카 - 부산 - 울산 - 상하이 - 부산 - 도마코마이 - 하치노헤 - 센다이
센다이 - 부산 - 울산 - 마산 - 광양 - 닝보 - 상하이 - 부산 - 도마코마이 - 센다이
-
동남아시아 정기 항로'센다이 - 부산 - 광양 - 지룽 - 가오슝 - 홍콩 - 싱가포르 - 홍콩 - 가오슝 - 지룽 - 니가타 - 도마코마이 - 하치노헤 - 센다이'현재 운휴 중
한국 정기 항로센다이 - 오나하마 - 부산 - 시미즈 - 센다이
센다이 - 오나하마 - 부산 - 센다이
센다이 - 부산 - 센다이
-
내항 피더 항로
(중계 기지 환적)
게이힌항 연결
(근해 유센 물류)
게이힌항 (도쿄항 오이 부두 6-7호, 요코하마항 다이코쿠 부두 C-4) - 센다이 - 가마이시
게이힌항 - 센다이 - 도마코마이
-
요코하마항 연결
(요코하마 컨테이너 라인)
요코하마항 (혼모쿠 부두 C) - 센다이 - 미야코 - 하치노헤 - 도마코마이 - 무로란-
도쿄·요코하마 연결
(이모토 상운)
도쿄항 (아오미 부두 C4)·요코하마항 (미나미 혼모쿠) - 오나하마 - 센다이
도쿄항·요코하마항 - 센다이 - 하치노헤
-
시미즈항 연결
(스즈요 해운)
시미즈항 - 도쿄 - 센다이-
철도 연계요코하마항 혼모쿠 부두 ↔ 센다이항 (정기 화물 노선 "요코하마호")
환 일본해 씨 앤 레일 구상 (실증 실험): 센다이항 ↔ 아키타항 (철도) + 아키타항 ↔ 러시아 보스토치니 항 (선박) → 시베리아 횡단 철도 등 연계
[25]



센다이항은 물류 기능 외에 레저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북동쪽 미나토하마 녹지 공원 일대에서는 매년 트라이애슬론 국제 대회와 비치 발리볼 대회가 열린다. 중앙 항로에 면한 센다이항 중앙공원 해안 광장은 낚시 명소로 알려져 있다. 고요 해변 공원 앞 모래사장은 일본 내 유명 서핑 지역 중 하나로, 일본 프로 서핑 투어 중 가장 역사 깊은 'All Japan Pro' 대회가 개최되기도 했다. 남쪽에 인접한 가모 간척지에서는 조류 관찰, 갯벌 체험, 승마 등을 즐길 수 있으며, 일본에서 가장 낮은 산으로 알려진 히요리야마도 이곳에 있다.

5. 주변 지역

센다이항 중앙 항로 끝에는 야구장과 테니스 코트가 함께 있는 센다이항 중앙 공원이 있다. 공원 북쪽에는 컨벤션 센터인 유메메세 미야기[27]와 센다이항 국제 비즈니스 지원 센터 "액셀"[28]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시설들에서는 주로 주말에 전시회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과거 이 지역에서는 '87 미래의 도호쿠 박람회와 국제 유메 교류 박람회 같은 두 차례의 지방 박람회가 개최되었으며, ARABAKI ROCK FEST.와 같은 젊은 층을 위한 문화 행사의 장소가 되기도 했다.

현재 센다이항 배후지에서는 토지 구획 정리 사업 (미나토 센다이 유메 타운)[29]이 진행 중이다.

센터 지구에는 미쓰이 아울렛 파크 센다이항이나 카인즈 몰 센다이항과 같은 대규모 로드사이드 점포들이 모여 있다. 한편, 폐관한 마린피아 마츠시마 수족관을 운영했던 센다이 급행이 이곳으로 수족관 이전을 계획했으나, 자금 문제로 계획이 무산되었다. 이후 미쓰이 물산, 요코하마 핫케이지마 및 센다이 지역 기업 4곳 등 총 6개 회사가 투자하여 센다이 수족관 개발 주식회사를 설립했고, 2015년 7월 센다이 바다의 숲 수족관이 문을 열었다.

6. 레저 및 관광



센다이항은 다양한 레저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로도 이용된다. 북동쪽의 미나토하마 녹지 공원 일대에서는 매년 트라이애슬론 국제 대회와 비치 발리볼 대회가 열린다. 중앙 항로에 면한 센다이항 중앙공원 해안 광장에는 추락 방지 울타리가 설치되어 있어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고요 해변 공원 앞의 모래사장은 일본 내에서도 잘 알려진 서핑 지역 중 하나이다. 또한, 항구 남쪽에 인접한 가모 간척지에서는 조류 관찰, 갯벌 체험, 승마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일본에서 가장 낮은 산으로 알려진 히요리야마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6. 1. 서핑



센다이항 건설은 이곳을 유명한 서핑 명소로 만들었다. 항만 남쪽 해변에서는 외해에서 들어오는 너울과 남방파제의 반사파가 만나 형태가 잘 잡힌 큰 삼각파가 발생하기 때문에[30] 서퍼와 보더들이 많이 찾는다. 향양 부두 남쪽 해변에서 시치키타강 하구까지 이어지는 나가하마 해안선 전체가 서핑 명소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주로 "센다이 신항"이라고 불리지만, "센다이항", "신항" 또는 남방파제를 줄여 "난보", "미나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센다이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상위 랭커로는 2006년 5위를 기록한 대니 멜하드 등이 있다.

파도는 여름에 높고 겨울에 낮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여름에는 쇼트보드와 보디보드, 겨울에는 롱보드를 타기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남쪽의 시치키타강 하구로 갈수록 파도가 커지지만, 해저 모래의 형태, 오야시오 및 쿠로시오 해류, 태풍에 의한 너울, 남방파제의 반사파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장소마다 파도의 모양과 크기가 달라진다. 이 때문에 지역 서퍼들 사이에서는 서핑 지점을 더욱 세분화하여 부른다. 예를 들어, "말뚝 앞(쿠이마에)"이라 불리는 곳은 파도가 가장 크고 상급자에게 적합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너울은 상당히 먼 거리에서도 도달하는데, 보통 태풍이 기이 반도 부근에 접근하면 센다이항에도 굴절파가 들어오기 시작한다. 2006년 발생한 태풍 12호의 경우, 하와이 근처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 파도가 도달하여 최대 8m 정도의 파고를 기록하기도 했다. 멀리서 발생한 너울은 주기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어, 맑고 잔잔한 바다에서도 갑자기 파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미야기현 앞바다 지진이나 지구 반대편 칠레에서 발생한 칠레 지진 당시에는 쓰나미가 도달한 사례도 있어,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평균 파고 외에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서핑 명소이다.

  • 센다이만 남부 해안·항공사진 No.32 : 컨테이너 부두에서 시치키타강 하구까지가 서핑 명소로서의 "센다이 신항"이다.
  • 센다이만 남부 해안·항공사진 No.33 : 해수면에 보이는 너울의 형태가 센다이항 내에서는 평면파인 반면, 서핑 명소인 "센다이 신항" 쪽에서는 남방파제의 반사파 등의 영향으로 복잡해지고 파고도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말뚝 앞"은 사진상에서 큰 이안류가 발생하는 부근이다. 해변 가장 북쪽은 무료 주차장이다.


2002년부터 매년 일본 프로 서핑 연맹[31] 주최로 남녀 프로 서퍼들이 참가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투어인 "재팬 프로 서핑 투어" (쇼트보드 부문)가 열리고 있다. 이 대회는 주로 태풍 시즌인 9월에서 10월 사이에 개최되는데, 이는 태평양상의 태풍으로부터 오는 너울을 기대하기 때문이다.[32] 서핑 명소 해변을 따라 조성된 높이 3m에서 15m 정도의 쓰나미 대책용 흙 언덕은 본래 의도와 달리 자연스러운 "관람석" 역할을 하여 대회 관람에도 용이하다. 특히 2003년부터 2007년까지는 투어 중 가장 역사가 깊고 상금 규모가 큰 "올 재팬 프로" 대회가 이곳에서 개최되기도 했다.

이 서핑 장소에서는 센다이 서프 유니온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 단체는 서핑 대회를 주최하거나 공동 주최하는 것 외에도, 현 당국과의 협의를 통해 서핑 장소 인근의 자재 보관소를 무료 주차장으로 개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매월 둘째 주 토요일에는 이 단체 주관으로 해변 정화 활동(비치 클린)도 실시하고 있다. 센다이 서프 유니온은 서핑 장소와 주변에 안내판을 설치하여 조수 보호 구역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고 서핑 에티켓 준수를 촉구하고 있다. 센다이의 다른 서핑 장소에는 그날의 파도 정보를 알려주는 안내판도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센다이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에 따라 항만 확장 계획이 진행되면서 이 서핑 장소는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계획에 따르면, 향양 부두 남쪽의 서핑 장소, 즉 '말뚝 앞' 지점까지 바다를 전부 매립하여 다카사고 부두와 연결되는 컨테이너 터미널을 건설할 예정이어서[33], 현재의 서핑 장소는 소멸될 운명이다. 또한, 현재 항만 내에는 토요타 계열사인 간토 자동차 공업 이와테 공장에서 생산하는 연간 36만 대 중 23만 대를 옮기기 위한 약 7ha 규모의 야적장이 있다. 여기에 더해, 토요타 계열사인 센트럴 자동차가 미야기현 오히라무라의 제2 센다이 북부 중핵 공업 단지에 진출할 계획에 따라, 센다이 상공 회의소는 수출입용 대형 컨테이너선이 접안할 수 있는 안벽을 정비하고 완성차 보관 야적장을 15ha로 확대해 달라고 국가에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추가 확장 계획은 조수 보호 구역인 가모 간석지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지역 서퍼들을 중심으로 '미야기 바다를 지키는 모임'이 결성되어 해변 공원 조성을 목표로 서명 운동을 벌이고 있다[34].

6. 2. 트라이애슬론

센다이항은 레저 스폿으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북동쪽에 있는 미나토하마 녹지 공원을 중심으로 매년 트라이애슬론 국제 대회가 열린다.

1986년부터 트라이애슬론 국제 대회인 "재팬 트라이애슬론 시리즈 (JTS)"가 센다이시, 기후현 카이즈초, 구마모토현 혼도시의 3개 대회로 개최되었다.[35] 1987년의 JTS 센다이 대회에서는 시치가하마정이 수영과 사이클 코스에 포함되었다.[36]

1995년부터는 센다이항 북안에 있는 미나토하마 녹지 공원을 중심으로 "'''미야기 국제 트라이애슬론 시치가하마 대회'''[37]"가 개최되고 있다. 이 대회의 코스는 시치가하마정을 중심으로 일부가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걸쳐 있으며, 특히 기복이 심한 길을 달리는 런(달리기)과 사이클 구간은 난코스로 알려져 있다. 이 대회는 국제 트라이애슬론 연합 (ITU)의 "컨티넨탈 컵"이나 일본 트라이애슬론 연합의 "재팬 컵" 등 다양한 단체의 인증 대회(랭킹 포인트가 가산되는 대회)로 인정받아, 일본 내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중요한 대회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각 단체에 따른 공식 명칭으로는 "ITU 트라이애슬론 컨티넨탈 컵 시치가하마 대회", "NTT 트라이애슬론 재팬 컵 톱 대회", "미야기현 트라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등이 있다.

7. 접근성

가장 가까운 역은 JR 센세키선나카노사카에역이지만, 항구까지는 다소 거리가 있다. 나카노사카에역에서는 미야기 교통의 노선 버스인 센다이항선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에 아라이역 또는 다가조역에서 미야코 버스의 노선 버스인 아라이 다가조선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仙台塩釜港港湾区域の変更(石巻港・松島港との一体化)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東北地方整備局 塩釜港湾・空港整備事務所 2022-10-28
[2] 웹사이트 港則法施行規則 別表第1 https://laws.e-gov.g[...] e-Gov 2020-01-18
[3] 서적 仙台市史
[4] 웹사이트 仙台塩釜港の港湾計画について http://www.pref.miya[...] 宮城県
[5] 서적 仙台市史
[6] 문서
[7] 서적 仙台市史
[8] 논문 仙台港と総合工業地帯建設の構想
[9] 서적 仙台市史
[10] 서적 仙台市史
[11] 서적 仙台市史
[12] 웹사이트 歴史 1.蒲生の沿革概要 http://www.stks.city[...] 仙台市中央市民センター
[13] 간행물 町制施行50周年記念発行 新町誌の魅力にせまる! http://www.shichigah[...] 広報しちがはま 2008-08
[14] 웹사이트 蒲生を守る会 http://www.jawan.jp/[...] 日本湿地ネットワーク
[15] 웹사이트 多賀城海軍工廠 http://www.jmcy.co.j[...]
[16] 웹사이트 平成18年第2回多賀城市議会定例会会議録(第2号) http://www.city.taga[...] 多賀城市
[17] 웹사이트 港一丁目(昭51) http://www.city.send[...] 仙台市
[18] 웹사이트 港四・五丁目(昭52) http://www.city.send[...] 仙台市
[19] 웹사이트 港三丁目(昭53) http://www.city.send[...] 仙台市
[20] 웹사이트 港一・二丁目(昭54) http://www.city.send[...] 仙台市
[21] 웹사이트 仙台市の土地区画整理事業のあゆみ http://www.city.send[...] 仙台市
[22] 웹사이트 国際海上コンテナ内陸鉄道輸送の拡大に向けた調査・検討 http://www.pa.ktr.ml[...]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港湾空港部
[23] 웹사이트 JR貨物による海上コンテナの輸送 http://homepage1.nif[...]
[24] 웹사이트 向洋海浜公園の供用開始について http://www.pref.miya[...] 宮城県
[25] 웹사이트 環日本海シーアンドレール構想 https://www.thr.mlit[...]
[26] 웹사이트 国土地理院・地図閲覧サービス(仙台港) http://watchizu.gsi.[...]
[27] 웹사이트 夢メッセ みやぎ http://www.yumemesse[...] みやぎ産業交流センター
[28] 웹사이트 アクセル http://www.acceland.[...] 仙台港国際ビジネスサポートセンター
[29] 웹사이트 仙台港背後地センター地区事業 http://www.pref.miya[...] 宮城県 都市計画課
[30] 웹사이트 このサーフポイントについて http://outdoor.yahoo[...] Yahoo!スポーツ広場
[31] 웹사이트 日本プロサーフィン連盟 http://www.jpsa.com/
[32] 웹사이트 特集!『仙台新港』 http://www.namidense[...] 波伝説
[33] 웹사이트 仙台塩釜港(仙台港区)港湾計画平面図 http://www.pref.miya[...] 宮城県
[34] 웹사이트 宮城の海を守る会 http://passion-sfa.c[...]
[35] 웹사이트 社団法人日本トライアスロン連合(JTU)年表 http://www.jtu.or.jp[...]
[36] 웹사이트 七ヶ浜町のあゆみ http://www.shichigah[...]
[37] 웹사이트 みやぎ国際トライアスロン七ヶ浜大会 http://triathlon-7.m[...]
[38] 웹인용 港則法施行規則 http://law.e-gov.go.[...] 総務省 e-Gov null
[39] 서적 仙台市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