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최고 소비에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소련의 입법 기관으로, 연방회의와 민족회의로 구성된 양원제였다. 법률 제정, 예산 승인, 국제 조약 비준 등 광범위한 권한을 가졌으나, 실제로는 소련 공산당의 결정을 추인하는 역할에 머물렀다. 1937년 12월 12일 첫 의원이 선출되었으며, 1988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으로 인민 대표 대회가 최고 권력 기관으로 창설된 후에는 그 상설 기관으로 기능했다. 1991년 12월 26일 소련 붕괴와 함께 공식적으로 소멸했으며, 이후 각 공화국에서 의회로 승계되거나 새로운 의회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 정부 - 소련 인민대표대회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개혁으로 1989년 설립된 소련 인민대표대회는 다양한 사회 단체와 지역을 대표하는 2,250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 소련의 최고 입법 기구였으며, 자유 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표들이 공산당 일당 독재 체제를 넘어 정치적 다양성을 가져왔으나 소련 붕괴를 촉진했고, 1991년 소련 해체와 함께 해산되었다. - 소련 정부 - 소련 장관 소비에트
소련 장관 소비에트는 1946년 인민위원회를 대체하여 설립된 소련의 정부 행정 기구로서, 경제, 사회, 문화 개발, 5개년 계획 수립, 국가 안보, 대외 관계 등의 업무를 담당했으며 1991년 해산되었다. - 소련의 정치 - 체 게바라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남아메리카 여행 중 사회 불의를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심취하여 쿠바 혁명에 참여, 쿠바 해방 후 혁명 정부에서 활동하다 국제적인 혁명 투쟁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다 볼리비아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혁명가로서의 헌신과 반제국주의 정신을 상징한다. - 소련의 정치 - 페레스트로이카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추진한 페레스트로이카는 침체된 소련 경제 회복과 사회주의 체제 개혁을 위한 정치, 경제 개혁 정책이었으나, 경제난 심화, 민족 갈등,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여 소련 붕괴의 한 원인이 되었으며, 냉전 종식과 동구권 민주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사회주의 체제 붕괴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폐지된 입법부 - 대한제국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은 갑오개혁으로 설립되어 의회적 성격을 갖추었으나, 공화정 수립 루머로 황제의 견제를 받았으며, 독립협회 폐지 이후 자문기관으로 역할이 축소되다가 1907년 기능이 종식되었다. - 폐지된 입법부 - 소련 인민대표대회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개혁으로 1989년 설립된 소련 인민대표대회는 다양한 사회 단체와 지역을 대표하는 2,250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 소련의 최고 입법 기구였으며, 자유 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표들이 공산당 일당 독재 체제를 넘어 정치적 다양성을 가져왔으나 소련 붕괴를 촉진했고, 1991년 소련 해체와 함께 해산되었다.
소련 최고 소비에트 - [의회]에 관한 문서 | |
---|---|
명칭 | |
한국어 | 소련 최고 소비에트 |
원어 | Верховный Совет СССР (베르호브니 사볘트 에세세사르) |
로마자 표기 | Verkhovnyy Sovet SSSR |
개요 | |
종류 | 입법부 |
의회 형태 | 양원제 |
상원 | 민족회의 (소비에트 연방 최고회의) |
하원 | 연방회의 (소비에트 연방 최고회의) |
구별되는 회의 | 공화국 회의 (소비에트 연방 최고회의) |
구성원 | 1,500명 (1984년 선거 이후) 542명 (해산 시) |
설립일 | 1938년 1월 12일 |
해산일 | 1991년 12월 26일 |
전신 | 소비에트 대회 (소비에트 연방) |
후신 | 소비에트 연방 인민대표대회 CIS 의회 간 회의 여러 탈소비에트 국가의 의회 |
회의 장소 | 모스크바 크렘린 크렘린 대궁전 |
선거 | |
선거 제도 | 직접 선거 (1937년–1989년) 소비에트 연방 인민대표대회에 의한 간접 선거 (1989년–1991년) |
마지막 선거 | 1984년 3월 4일 (마지막 직접 선거) 1989년 3월 26일 (마지막 및 유일한 간접 선거) |
의석 구조 | |
![]() | |
정당별 의석수 (1984년 선거 이후)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521석 무소속: 229석 |
![]() | |
정당별 의석수 (1984년 선거 이후)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551석 무소속: 199석 |
2. 구조 및 편제
소련 최고회의는 연방회의와 민족회의로 구성된 양원제였다.[4] 소련 헌법 제 109 ~ 111조에 따르면, 양원은 동등한 권한을 가졌으며, 동수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연방회의는 인구 비례에 따라 선출된 대표들로 구성되었고, 각 대의원은 동일한 수의 유권자를 대표했다. 민족회의는 각 구성 공화국에서 32명, 각 자치 공화국에서 11명, 각 자치주에서 5명, 각 자치구에서 1명의 대표를 선출하여 민족 집단을 대표했다.[13] 이러한 구성 방식은 각 지역 및 민족 집단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1936년 헌법에 따라 최고 소비에트는 4년 임기로 선출되었으나, 1977년 헌법 개정으로 임기가 5년으로 연장되었다.[5][6]
연방회의와 민족회의는 각각 의장 1인과 부의장 4인을 선출했다. 양원 합동회의는 연방회의 및 민족회의 의장이 교대로 회의를 주재했다.
회기는 형식상 2년 1회였으나, 상무회의 결정, 1개 이상 공화국의 찬성, 또는 양원 중 1/3 이상 의원의 찬성으로 특별 회기가 소집될 수 있었다. 소련 최고회의 의원은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을 가졌으며,[12] 임기는 5년이었다.
1989년 이후, 최고 소비에트는 542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되었고, 연간 6~8개월로 더 자주 열렸다. 1991년 9월 8월 쿠데타 이후에는 공화국 회의와 연방 회의로 재편되었다.
1938년에서 1990년 2월까지 50년 이상 동안 최고 소비에트에서 통과된 법률은 80개에 불과했으며, 전체 입법 행위의 1% 미만이었다.[8] 최고 소비에트는 상설 기관으로서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를 선출했다.
2. 1. 조정위원회
3. 권한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법률 제정 및 개정, 국가 예산 승인, 국제 조약 비준 등 광범위한 권한을 가졌다.[12] 상설 기관으로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를 선출하며, 소련 최고 재판소, 소련 검찰총장, 소련 최고 중재 재판소 임명권을 가졌다.[12]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의 의장은 소련의 국가 원수였다.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를 선출하고, 양원제인 '''연방 회의'''(연방원)와 '''민족 회의'''(민족원)로 구성되어 동등한 입법권을 가졌다.[12] 연방 회의는 30만 명마다 설정된 지역 선거구에서 대의원을 선출했고, 민족 회의는 각 공화국, 자치 공화국, 자치주, 민족 관구에서 대의원을 선출했다.[13] 양원 모두 정원은 750명이며, 2년에 한 번 소집되거나 임시 소집되었다.
1989년 개혁 이후, 최고 소비에트는 봄과 가을에 3~4개월의 회기가 있었고, 정원은 542명으로, 2250명의 인민 대의원에서 선출되었다. 각료 회의 의장(수상) 임명, 국방 회의 형성, 소비에트 연방군 총사령관 임면권, 입법권, 법 해석 권한, 국가 계획 및 예산 심의 등의 권한이 추가되었다. 최고 소비에트 의장은 인민 대의원 대회에 의해 선출되는 국가 원수이며, 임기는 5년이고 2기까지 연임이 가능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권력은 소련 공산당에 집중되어 최고회의는 공산당의 결정을 추인하는 기관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4. 역사
1937년 12월 12일에 소비에트 연방 최고평의회의 최초 의원이 선출되었으며, 이 당시 의원 임기는 4년 이었고 1938년부터 임기를 시작하였으나,[14] 1941년에 독소전이 발발하면서 임기가 1947년까지 연장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소련의 독소전 승전 이후에 1946년에 새 의원 선거가 실시되었으나,[15] 민주집중제 원칙 때문에 자유 총 선거 형태가 아니었으며, 후에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 정책에 의해 자유 총 선거가 실시되었고, 본래 소련 공산당 당원만 피선거권이 있었으나, 각지의 반정부인사들까지 의원으로 당선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16]
레오니트 브레즈네프[17] 시대의 1977년에는 41년 만에 헌법이 개정되어 최고 회의의 임기가 4년에서 5년으로 연장되었고, 이 이후에는 공산당 서기장이 최고 회의 간부 회의 의장을 겸임하는 관례가 생겨[18] 소련 최고 지도자의 명실상부가 일치하게 되었지만, 일당 독재의 소련형 사회주의 체제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19]가 최고 지도자가 되어, 페레스트로이카를 통해 소련 사회의 개혁을 시작하면서 최고 회의도 개혁 대상이 되었다. 1988년 헌법 개정을 통해 소비에트 연방 인민 대표 대회가 최고 권력 기관으로 창설되었고, 제12기 최고 회의는 정원이 542석[20]으로 삭감되었지만, 인민 대표 대회의 상설 기관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1989년 3월 26일, 소련 국정 선거에서는 처음으로[21] 자유 선거가 되는 제1회 인민 대표 대회 선거가 실시되었고, 안드레이 사하로프 박사 등의 급진 개혁파도 인민 대표로 선출되었다.[22] 1989년 5월 25일 제1회 인민 대표 대회가 소집되었고, 고르바초프는 최고 회의 의장(국가 원수)으로 선출되었다.[23]
1990년 3월 제3회 인민 대표 대회에서 고르바초프는 대통령 직을 신설하여 스스로 취임했고, 최고 회의 의장에는 아나톨리 루키야노프가 선출되었다. 그러나 루키야노프는 1991년 8월 쿠데타에서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의 배후 인물로 체포되었다. 이로 인해 인민 대표 대회 및 최고 회의의 권위는 급속히 실추되었고, 소비에트 연방 해체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소련 최고 회의는 공식적으로 1991년 12월 26일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함께 소멸했다.[24] 소련 붕괴 후, 독립한 15개 공화국에서 최고 회의는 입법부로 존속했지만, 많은 나라에서는 "최고 회의"를 개명하거나 새로운 국회를 조직했다.[24] 러시아 연방 인민 대표 대회 및 러시아 연방 최고 회의/Верховный совет Россииru는 1993년 모스크바 폭동 사건에서 보리스 옐친 대통령에 의해 무력으로 폐지될 때까지 존속했다. 현재 "최고 회의" 명칭을 유지하고 있는 국가는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와 키르기스스탄 (조고르쿠 케네시)뿐이다.
- 제1차 소집 1938년~1946년, 제2차 세계 대전
- 제2차 소집 1946년~1950년
- 제3차 소집 1950년~1954년
- 제4차 소집 1954년~1958년
- 제5차 소집 1958년~1962년
- 제6차 소집 1962년~1966년
- 제7차 소집 1966년~1970년
- 제8차 소집 1970년~1974년
- 제9차 소집 1974년~1979년
- 제10차 소집 1979년~1984년
- 제11차 소집 1984년~1989년
- 제1차 소집 1989년~1991년[9] (비공식적으로 제12차 소집), 회의는 소련 인민 대표 대회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새로운 구성 1991년,[10] (비공식적으로 제13차 소집) 이전 소집과는 달리, 최고 소비에트의 새로운 구성을 위한 선거는 없었으며, 대신 소비에트 연방의 회원으로 남아 있는 연방 공화국 평의회에서 평의회 구성원이 위임되었다.
4. 1. 페레스트로이카 이전
1936년 12월 5일에 개정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헌법(통칭: 스탈린 헌법)에 의해 국가의 최고 의사 결정 기관으로 자리매김되었고, 1937년 12월 12일의 제1기 최고 회의 대의원 선거에 의해 제1기 최고 회의 대의원이 선출되어[14], 1938년부터 임기를 수행했다. 1941년에 시작된 독소전으로 인해, 원래 4년의 임기는 종전 후인 1946년까지 연기되었다.1945년에 독소전(제2차 세계 대전)이 승리로 끝나자, 1946년 2월 10일에 제2기 최고 회의 대의원 선거가 실시되었고, 이후 4년마다 5월 또는 6월에 선거가 치러졌다. 당시 최고 지도자(소련 공산당 서기장)를 포함한 소련 공산당의 간부는 이 대의원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고, 국가 통치의 정통성을 얻었다[15]。그러나, 소련 국가의 결정권은 소련 공산당 및 당 정치국이 장악하고 있었고, 최고 회의는 그 추인 기관으로 전락하여 실질적인 토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의원 선거도 공산당 외에는 입후보가 불가능했고, 국민의 자유로운 의사는 반영되지 않는 "관제 선거"였다[16]。
레오니트 브레즈네프[17] 시대의 1977년에는 41년 만에 헌법이 개정되어 최고 회의의 임기가 4년에서 5년으로 연장되었고, 이 이후에는 공산당 서기장이 최고 회의 간부 회의 의장을 겸임하는 관례가 생겨[18] 소련 최고 지도자의 명실상부가 일치하게 되었지만, 일당 독재의 소련형 사회주의 체제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4. 2. 페레스트로이카와 소련 붕괴
1985년 미하일 고르바초프[19]가 최고 지도자가 되어, 페레스트로이카를 통해 소련 사회의 개혁을 시작하면서 최고 회의도 개혁 대상이 되었다. 1988년 헌법 개정을 통해 소비에트 연방 인민 대표 대회가 최고 권력 기관으로 창설되었고, 제12기 최고 회의는 정원이 542석[20]으로 삭감되었지만, 인민 대표 대회의 상설 기관으로 기능하게 되었다.1989년 3월 26일, 소련 국정 선거에서는 처음으로[21] 자유 선거가 되는 제1회 인민 대표 대회 선거가 실시되었고, 안드레이 사하로프 박사 등의 급진 개혁파도 인민 대표로 선출되었다.[22] 1989년 5월 25일 제1회 인민 대표 대회가 소집되었고, 고르바초프는 최고 회의 의장(국가 원수)으로 선출되었다.[23]
1990년 3월 제3회 인민 대표 대회에서 고르바초프는 대통령 직을 신설하여 스스로 취임했고, 최고 회의 의장에는 아나톨리 루키야노프가 선출되었다. 그러나 루키야노프는 1991년 8월 쿠데타에서 국가 비상 사태 위원회의 배후 인물로 체포되었다. 이로 인해 인민 대표 대회 및 최고 회의의 권위는 급속히 실추되었고, 소비에트 연방 해체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소련 최고 회의는 공식적으로 1991년 12월 26일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함께 소멸했다.[24] 소련 붕괴 후, 독립한 15개 공화국에서 최고 회의는 입법부로 존속했지만, 많은 나라에서는 "최고 회의"를 개명하거나 새로운 국회를 조직했다.[24] 러시아 연방 인민 대표 대회 및 러시아 연방 최고 회의/Верховный совет Россииru는 1993년 모스크바 폭동 사건에서 보리스 옐친 대통령에 의해 무력으로 폐지될 때까지 존속했다. 현재 "최고 회의" 명칭을 유지하고 있는 국가는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와 키르기스스탄 (조고르쿠 케네시)뿐이다.
5. 역대 의장
5. 1.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의장 (1938–1989)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의장은 1938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의 국가 원수직이었다. 미하일 칼리닌이 1938년 1월 17일부터 1946년 3월 19일까지 초대 의장을 역임했고, 이후 니콜라이 슈베르니크,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아나스타스 미코얀, 니콜라이 포드고르니가 이 직책을 맡았다. 브레즈네프는 1977년 6월 16일부터 1982년 11월 10일까지 다시 의장직을 수행했다. 이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안드레이 그로미코를 거쳐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8년 10월 1일부터 1989년 5월 25일까지 마지막 의장을 역임했다. 한편, 바실리 쿠즈네초프는 브레즈네프, 안드로포프, 체르넨코 사망 이후 각각 의장 권한 대행을 맡았다.
5. 2. 소련 최고회의 의장 (1989–1991)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1989년 5월 25일부터 1990년 3월 15일까지 소련 최고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아나톨리 루캬노프는 1990년 3월 15일부터 1991년 8월 22일까지 의장직을 수행했다.
6. 구성 공화국 및 자치 공화국의 최고회의
소련을 구성하는 각 공화국과 자치 공화국은 자체적인 최고 소비에트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 최고 소비에트는 모두 단원제로 구성되었으며, 간부회를 두었다. 소련의 해체 이후, 구성 공화국들의 최고 소비에트는 독립국의 의회로 승계되거나 새로운 의회로 대체되었다. 일부는 명칭을 변경하거나 양원제 의회로 전환되었다.
class="unsortable"| | 소비에트 공화국 | 최고 소비에트 | 설립 | 해산 | 승계 |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3 | 헌법 회의 (1993) 연방 의회 (1993–현재) |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37 | 1996 | 최고 라다 |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4 | 최고 평의회 (1994–96) 국민 의회 (1996–현재) |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2 | 최고 평의회 (1992–1995) 올리 마질리스 (1995–현재) | ||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37 | 1993 | 최고 평의회 (1993–95) 의회 (1996–현재) | ||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2 | 국가 평의회 (1992–1995) 의회 (1995–현재) | ||
아제르바이잔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5 | 국민 의회 |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40 | 1990 | 최고 평의회 (1990–1992) 세이마스 (1992–현재) | ||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41 | 1993 | 의회 | ||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40 | 1990 | 최고 평의회 (1990–1993) 세이마 (1993–현재) |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4 | 최고 평의회 | ||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37 | 1994 | 최고 회의 | ||
![]() | 아르메니아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5 | 국민 의회 | |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2 | 의회 (1992–2021, 2023–현재) 국민 평의회 (2021–2023) |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40 | 1990 | 최고 평의회 (1990–92) 리릭오구 (1992–현재) | ||
카렐-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 1940 | 1956 | 최고 소비에트 |
각 자치 공화국 역시 최고 소비에트를 두었다.
class="unsortable"| | 자치 공화국 | 최고 소비에트 | 설립 | 해산 | 승계 |
---|---|---|---|---|---|
바시키르 | 바시키르 ASSR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5 | 국회 | |
부랴트 | 부랴트 ASSR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4 | 인민 후랄 | |
카렐리아 | 카렐 ASSR 최고 소비에트 | 1938 1956 | 1940 1994 | 입법 의회 | |
![]() | 타타르 | 타타르 ASSR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5 | 국무원 |
투바 | 투바 ASSR 최고 소비에트 | 1961 | 1993 | 대후랄 | |
추바시 | 추바시 ASSR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4 | 국가 평의회 | |
![]() | 카라칼팍 | 카라칼팍 ASSR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4 | 최고 평의회 |
압하스 | 압하스 ASSR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6 | 인민 의회 | |
아자리 | 아자리 ASSR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1 | 최고 평의회 | |
![]() | 나히체반 | 나히체반 ASSR 최고 소비에트 | 1938 | 1990 | 최고 의회 |
7.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Совместное заседание Совета Союза и Совета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восьмого созыва. Кремль.
https://riamediabank[...]
Rossiya Segodnya media group
1972-12-18
[2]
웹사이트
Совместное заседание Совета Союза и Совета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третьей сессии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девятого созыва. Кремлевский Дворец Съездов (ныне –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ремлевский дворец).
https://riamediabank[...]
Rossiya Segodnya media group
1975-07-22
[3]
서적
Ideology, Politics, and Government in the Soviet Union: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6-11-26
[4]
백과사전
Верховный Совет СССР
http://bse.sci-lib.c[...]
[5]
학술지
The 1977 Soviet Constitution: A Historical Comparison
https://scholarship.[...]
1979
[6]
학술지
The Theories and Realities of Modern Soviet Constitutional Law: An Analysis of the 1977 USSR Constitution
https://scholarship.[...]
[7]
학술지
The Journal of Communist Studies
[8]
신문
Em Foco
Avante! (Portuguese Communist Party newspaper)
1990-02-22
[9]
웹사이트
Supreme Council of the Soviet Union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Supreme Council of the Soviet Union new composition
https://web.archive.[...]
[11]
문서
공화국 회의 (소비에트 연방 최고 회의)로 이전
1991-10
[12]
문서
공화국 회의 (소비에트 연방 최고 회의)로 이전
1991-10
[13]
문서
대의원 수 할당
[14]
문서
최고 회의 대의원 구성원
[15]
문서
스탈린과 흐루시초프의 최고 회의 대의원 경력
[16]
문서
비밀 투표 형해화
[17]
문서
브레즈네프의 최고 회의 대의원 경력
[18]
문서
스탈린의 최고 회의 직책
[19]
문서
고르바초프의 최고 회의 대의원 경력
[20]
문서
연방 회의와 민족 회의 대의원 수
[21]
문서
1917년 헌법 제정 의회 선거
[22]
문서
사하로프의 소련 과학 아카데미 대의원 선출
[23]
문서
고르바초프 이전 최고 회의 의장
[24]
문서
발트 3국의 최고 회의 계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