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천역은 1899년 경인선 소사역으로 시작하여, 1973년 부천시 승격과 함께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부천역사 쇼핑몰, 영화관, 공공기관 등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하며, 2017년부터 경인선 특급 열차가 정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포선 - 김포역
김포역은 1951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군용 화물을 취급하다가 화물 수요 감소로 1980년에 폐역되었다. - 김포선 - 약대역
약대역은 과거 한국철도공사 김포선에 존재했던 역으로, 부천역과 김포역 사이에 위치했으며, 현재는 폐역되어 여객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 부천시의 전철역 - 송내역
송내역은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급행열차가 정차하고 2면 4선의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송내역 환승센터와 송내 로데오거리가 인근에 위치해 있다. - 부천시의 전철역 - 중동역 (부천)
중동역(부천)은 1987년 개업한 경인선 지상역으로,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급행/완행 열차가 운행하며, 중동신도시의 관문 역할을 한다. - 경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경인선 - 구로역
구로역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복잡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1974년 보통역으로 승격,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상업시설과 공공기관이 인접해 있다.
부천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부천 (부천대) |
로마자 표기 | Bucheon (Bucheon Univ.) |
한자 표기 | 富川驛 |
한글 표기 | 부천역 |
역 번호 | 148 |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부천로 1 (심곡본동 316-2)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경인선 |
승강장 | 2면 4선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
일일 승객수 | 105,399명 (2012년 기준, 수도권 전철 1호선) |
서비스 정보 | |
인접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일반 이전 역: 소사역 다음 역: 중동역 급행 이전 역: 소사역 다음 역: 중동역 특급 이전 역: 역곡역 다음 역: 송내역 |
추가 정보 | |
역 등급 | 2급 |
노선 거리 | 구로역 기점 9.5km, 소요산역 기점 71.9km |
승차 인원 (2023년) | 31,246명 |
승하차 인원 (2023년) | 62,704명 |
![]() | |
![]() |
2. 역사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인천~노량진 간 개통과 함께 '''소사역'''(素砂驛)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9][10] 1973년 7월 1일 부천군의 시 승격과 함께 '''부천역'''(富川驛)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1974년 7월 30일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고,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었다.[6] 1980년 8월 10일에는 김포선이 폐선되었다. 1982년 1월 1일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으며,[11] 1999년 2월 1일에는 민자역사가 준공되었다. 2008년 1월 17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10년 12월 30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12] 2013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017년 7월 7일부터 경인선 특급 운행이 개시되었다.[7]
2. 1. 개요
2. 2. 연혁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인천~노량진 간 개통과 함께 '''소사역'''(素砂驛)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9][10] 1973년 7월 1일 부천군의 시 승격과 함께 '''부천역'''(富川驛)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1974년 7월 30일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고,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었다. 1980년 8월 10일 김포선이 폐선되었으며, 1982년 1월 1일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11] 1999년 2월 1일 민자역사가 준공되었다. 2008년 1월 17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10년 12월 30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12] 2013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017년 7월 7일 경인선 특급 운행이 개시되었다.3. 역 구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3. 1. 개요
3. 2. 승강장
부천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5개다.
3. 3. 배선도
부천역과 경인선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내선은 급행, 특급 열차가 이용하고, 외선은 완행 열차가 이용한다.
부천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4. 역 주변
부천역은 이마트 부천점, 교보문고 부천점, 신한은행 부천역지점이 입점해 있는 부천역사 쇼핑몰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롯데시네마 부천역, CGV 부천역 등 다수의 영화관과 국민은행 부천지점, 국민연금공단 부천지사가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부천남초등학교, 부천북초등학교, 원미초등학교 등 교육기관과 경원여객, 소신여객 차고지가 근처에 있으며, 대산동행정복지센터, 심곡본주민지원센터, 부천시립심곡도서관, 부천자유시장, 부천대학교, 심곡동행정복지센터, 심곡3주민지원센터, 원미어울마당, 원미2주민지원센터, 경기도일자리재단 등 다양한 시설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4. 1. 개요
4. 2. 시설 목록
부천역사 쇼핑몰에는 이마트 부천점, 교보문고 부천점, 신한은행 부천역지점이 있다. 롯데시네마 부천역과 CGV 부천역도 근처에 있다. 국민은행 부천지점, 국민연금공단 부천지사도 인근 시설이다.부천남초등학교, 부천북초등학교, 원미초등학교와 같은 교육 시설과 부천대학교가 근처에 있다. 경원여객, 소신여객과 같은 대중교통 회사도 부천역 근처에 위치한다.
대산동행정복지센터, 심곡본주민지원센터, 부천시립심곡도서관, 부천자유시장, 심곡동행정복지센터, 심곡3주민지원센터, 원미어울마당, 원미2주민지원센터, 경기도일자리재단 등 다양한 공공기관 및 편의시설이 있다.
5. 이용객 변동
wikitable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51,320 | 59,315 | 66,322 | 67,619 | 50,734 | 50,325 | 50,689 | 50,502 | 52,900 | 52,749 | [13] | ||
하차 | 45,325 | 56,804 | 62,095 | 64,284 | 50,626 | 50,806 | 50,059 | 50,827 | 52,772 | 52,391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호선 | 승차 | 53,574 | 55,271 | 53,015 | 45,128 | 44,095 | 43,230 | 42,358 | 41,850 | 40,535 | 39,890 | 28,203 | 28,060 | [13] |
하차 | 53,121 | 54,943 | 52,384 | 44,659 | 43,788 | 42,869 | 42,162 | 41,862 | 40,875 | 40,521 | 28,621 | 28,343 |
최근 1일 평균 이용객 추이는 다음과 같다.
노선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출처 | |
---|---|---|---|---|---|---|---|---|---|---|---|---|
18px경인선 | 승차 인원 | 51,320 | 59,315 | 66,322 | 67,619 | 50,734 | 50,325 | 50,689 | 50,502 | 52,900 | 52,749 | [8] |
하차 인원 | 45,325 | 56,804 | 62,095 | 64,284 | 50,626 | 50,806 | 50,059 | 50,827 | 52,772 | 52,391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출처 | |
18px경인선 | 승차 인원 | 53,574 | 55,271 | 53,015 | 45,128 | 44,095 | 43,230 | 42,358 | 41,850 | 40,535 | 39,890 | [8] |
하차 인원 | 53,121 | 54,943 | 52,384 | 44,659 | 43,788 | 42,869 | 42,162 | 41,862 | 40,875 | 40,521 | ||
노선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18px경인선 | 승차 인원 | 28,203 | 28,060 | 30,092 | 31,246 | |||||||
하차 인원 | 28,621 | 28,343 | 30,369 | 31,458 |
5. 1. 개요
5. 2. 상세 자료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51,320 | 59,315 | 66,322 | 67,619 | 50,734 | 50,325 | 50,689 | 50,502 | 52,900 | 52,749 | [13] | ||
하차 | 45,325 | 56,804 | 62,095 | 64,284 | 50,626 | 50,806 | 50,059 | 50,827 | 52,772 | 52,391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호선 | 승차 | 53,574 | 55,271 | 53,015 | 45,128 | 44,095 | 43,230 | 42,358 | 41,850 | 40,535 | 39,890 | 28,203 | 28,060 | [13] |
하차 | 53,121 | 54,943 | 52,384 | 44,659 | 43,788 | 42,869 | 42,162 | 41,862 | 40,875 | 40,521 | 28,621 | 28,343 |
노선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18px경인선 | 승차 인원 | 28,203 | 28,060 | 30,092 | 31,246 |
하차 인원 | 28,621 | 28,343 | 30,369 | 31,458 |
6. 인접한 역
경인선
경인선
경원-경인선 완행
경인선
경인선
경원-경인선 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