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 (춘추 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나라는 춘추 전국 시대에 존재했던 제후국으로, 상나라의 후예들이 건국했다. 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상나라 유민들을 위무하기 위해 주 왕실은 주왕의 아들 무경을 은에 봉하고, 그의 감시를 위해 삼감(관숙, 채숙)을 파견했다. 무경과 삼감의 난 이후, 주나라는 상나라 유민들을 송(지금의 상추 시)으로 이주시키고 미자를 초대 송공으로 봉하여 송나라를 건국했다. 송나라는 춘추 시대에는 진나라와 초나라 사이에서, 전국 시대에는 초, 제, 위나라의 공격을 받다가 기원전 286년에 멸망했다. 송나라는 묵자가 언급한 여러 춘추 시대 국가 중 하나이며, 멸망과정에서 척성군이 송 환공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하는 등 혼란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사 - 순치
    순치는 청나라 세조 순치제의 연호로, 1644년 명나라 멸망 후 베이징 천도와 함께 사용되어 1661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당시 다양한 세력의 연호와 병존했다.
  • 중국사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2013년
    2013년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교황 사임, 북한 핵실험, 용산 개발 사업 부도, 윤창중 사건, 스노든 폭로, 김연아 우승, 방탄소년단 데뷔, 넬슨 만델라 사망 등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송 (춘추 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공식 명칭송(宋)
유형고대 중국 국가
존속 기간 시작기원전 11세기
존속 기간 종료기원전 286년
멸망 원인제나라에 의해 멸망
위치하남성
수도상추시
주나라 국가 지도 (송나라 포함)
송나라를 포함한 주나라 시대의 지도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국가 원수공작 -> 왕
역사
건국무왕의 봉건
시조미자계
멸망제나라에 정복됨
언어 및 문화
사용 언어고대 중국어
종교중국 민간 신앙, 조상 숭배, 도교
경제
화폐중국 동전
기타
국성자성(子姓)
역사 기록사기 (권38 송세가)
춘추좌씨전 (은공 원년에 처음 등장)

2. 역사

상나라 왕족의 후예인 미자주나라 무왕에 의해 상구 지역에 봉해져 건국된 나라이다. 이는 주나라가 멸망시킨 상나라의 왕족이 조상 제사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한 이왕삼각 원칙에 따른 것이었다. 송나라는 전 왕조의 정통성을 인정받아 주나라 제후국 중 가장 높은 공작 작위를 받았다. 초기에는 주나라의 장자 상속 원칙 대신 상나라의 전통인 형제 상속 방식을 따르기도 했다.[5]

춘추 시대에 들어 송 양공제 환공 사후 패권을 장악하려 했으나, 초 성왕과의 홍수 전투에서 패배하며 실패했다. 이 전투에서 양공이 보인 행동은 융통성 없는 명분론을 비판하는 송양지인(宋襄之仁)이라는 고사성어를 낳았다. 이후 송나라는 진나라와 긴밀한 동맹 관계를 유지하며 초나라의 북진을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전국 시대 말기, 송 강왕 대에 이르러 일시적으로 국력이 강성해져 주변의 초나라, 위나라, 제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등나라를 병합하기도 했다. 그러나 강왕은 폭정을 일삼아 하나라의 걸왕에 비견되어 '걸송(桀宋)'이라 불릴 정도로 악명이 높았다. 결국 기원전 286년, 제나라초나라, 위나라와 연합하여 송나라를 공격했고, 동맹국이었던 진나라가 개입하지 않으면서 송나라는 멸망하여 그 영토는 세 나라에 분할되었다.

송나라와 관련된 고사 중에는 수주대토(守株待兎)처럼 어리석거나 비합리적인 행동을 비판하는 이야기가 많다. 이는 주나라 중심의 역사관 속에서 상나라 계통인 송나라의 문화가 이질적으로 여겨져 폄하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6] 철학자 묵자는 여러 나라의 역사서와 함께 『송나라 춘추』를 언급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2. 1. 건국과 삼감의 난

상(商) 왕조 말기, 왕족인 미자주(周)무왕을 도와 상을 멸망시키는 데 기여했다. 상이 멸망한 후, 주 무왕은 이왕삼각(二王三恪)이라는 봉건 예법에 따라 패배한 상 왕조가 조상 제사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나라 유민들의 민심을 수습하고 통제하기 위해 마지막 왕 주왕의 아들인 무경(武庚) 녹보(祿父)를 옛 수도 은(殷) 지역에 봉했다. 그러나 무경의 반란을 우려하여 자신의 동생들인 관숙(管叔)과 채숙(蔡叔)에게 무경을 감시하고 보좌하도록 했는데, 이들을 삼감(三監)이라고 부른다. 문헌에 따라서는 무경까지 포함하여 삼감이라 하거나, 혹은 곽숙 처를 더해 관숙, 채숙, 곽숙을 삼감으로 보기도 하지만, 삼감이라는 명칭 자체나 그 정확한 구성원에 대해서는 여러 이견이 존재한다. 당시 주나라는 상나라 유민들을 다른 곳으로 강제 이주시키지 않고 기존 거주지에서 살게 하면서 감시하는 정책을 폈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043년경, 주 무왕이 사망하고 어린 성왕(成王)이 즉위하자 주공(周公) 단(旦)이 섭정을 맡았다. 이에 관숙과 채숙은 주공이 왕위를 찬탈할 것이라는 의심을 품고 소문을 퍼뜨렸으며, 결국 무경과 손을 잡고 반란을 일으켰다. 이것이 바로 삼감의 난이다. 주공은 소공(召公) 석(奭), 제 태공(齊太公) 등과 연합하고 아들 백금(伯禽)을 노(魯)에 보내 대비하는 등 미리 반란에 대비하고 있었다. 상 유민들의 저항이 거세어 전쟁은 3년간 이어졌으나, 결국 주공이 승리하여 무경과 관숙을 처형하고 채숙은 추방했다. 이때 미자는 주공 편에 서서 반란 진압을 도왔다.

삼감의 난 이후, 주나라는 상나라 유민에 대한 정책을 바꾸어 이들을 분산시키기 시작했다. 주공은 기존에 무경과 삼감이 통제하던 은(殷) 지역을 중심으로 위(衛)를 세우고 자신의 동생 강숙(康叔)을 봉하여 상 유민들을 직접 통치하게 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반란 진압에 공을 세운 미자에게 상나라 유민 일부를 주어 상추 지역에 봉했는데, 이곳이 바로 송(宋)의 시작이다. 송(宋)의 수도는 상구에 세워졌는데, 이는 '상나라 사람들의 언덕'이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미자가 사망한 후에는 그의 동생으로 알려진 미중연이 뒤를 이어 송나라의 2대 군주가 되었다. 송나라 초기의 계승 방식은 주나라의 장자 상속 원칙과는 달리, 상나라의 전통적인 형제 상속 후 자식에게 상속하는 원칙을 따랐다는 점이 특징이다.

상나라 유민들은 위나라와 송나라 외에도 낙양(洛陽), 호경 등 주나라의 중심지와 각지의 통제 거점에도 분산 이주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주나라 전역에 걸친 상 유민 사민(徙民) 정책이 시행되었음을 시사한다. 송나라는 이후 7대 송 희공 대에 공화(共和) 시기를 겪었고, 11대 송 대공 대에 춘추 시대로 접어들었다.

2. 2. 춘추 시대

은나라 주왕의 이복 형 미자계가 주나라에 의해 송(宋) 땅에 봉해진 나라로 알려져 있다.[5] 다만, 『사기』 「송미자세가」에 따르면 미자계의 뒤는 동복 동생 미중연이 이었으며, 미중까지는 미(微) 땅을 영토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5] 송나라는 망한 은나라 왕실의 후예라는 정통성 때문에 주나라로부터 최고 작위인 공작을 받았다.

기원전 9세기 무렵 송 양공이 즉위하여 국력을 키우고자 했다. 제 환공이 사망하자, 양공은 제후들의 회맹을 주도하려 했으나,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초 성왕은 회맹에 참석한 양공을 감금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풀려난 양공은 이 치욕을 갚기 위해 홍수(泓水)에서 초나라 군대와 결전을 벌였다. 초나라 군대가 강을 건너는 도중이나 전열을 정비하는 중에 송나라 재상이 공격을 건의했지만, 양공은 "군자는 남의 약점을 이용해 이기지 않는다"며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결국 전열을 갖춘 초나라 군대에게 송나라는 참패했고(홍수 전투), 이 고사에서 분수에 맞지 않는 명분이나 동정을 일컫는 송양지인(宋襄之仁)이라는 말이 유래했다. 송 양공은 기원전 651년부터 637년까지 통치했으며, 일부에서는 그를 오패 중 한 명으로 보기도 했지만 패권을 유지하지는 못했다.

홍수 전투 이후, 진나라의 공자 중이가 송나라로 망명해 왔다. 양공은 중이의 비범함을 알아보고 패전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그를 극진히 대우했다. 훗날 진나라 군주가 된 중이는 이 은혜를 잊지 않고, 송나라가 초나라의 공격을 받자 대군을 보내 구원해주었다. 이후 송나라는 초 목왕의 침입에 잠시 굴복한 시기를 제외하면, 진나라와 초나라 사이에서 일관되게 진나라 편에 섰다. 초 장왕이 침입했을 때에는 성 안의 사람들이 서로 잡아먹는 극한 상황에서도 항복하지 않고 맞서 싸웠으며, 진나라와의 의리를 지켰다. 이러한 송나라의 외교 노선은 초나라의 북진을 저지하고 진나라가 이를 막는 춘추 시대 중기의 국제 질서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기원전 701년에는 송나라 옹씨 부인과 정 장공의 정략 결혼이 있었고, 송나라는 정나라의 유력 무사 제중(祭仲)을 체포하는 사건을 통해 정나라의 내정에 간섭하기도 했다.

춘추 시대 말기, 송 경공 대에는 조나라를 멸망시키고 그 영토를 병합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송 문공부터 송 평공 시대에는 화원, 향술과 같은 인물들의 활약이 기록되어 있다.

기원전 355년, 송 환공의 먼 후손이자 한때 환공 2세의 신하였던 대척성(戴剔成)이 왕위를 찬탈했다. 기원전 328년, 대척성의 동생인 대언(戴偃)이 다시 왕위를 빼앗고 스스로 강왕이라 칭했다. 강왕은 야심이 커 초나라, 위나라, 제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등나라를 병합하는 등 세력을 떨쳤으나, 폭정을 일삼아 하나라의 걸에 비유되어 '걸송(桀宋)'이라 불릴 정도로 악명이 높았다. 결국 기원전 286년, 제나라가 초나라와 위나라 군대를 동원하여 송나라를 공격했고, 송나라는 멸망했다. 당시 송나라의 동맹국이었던 진나라는 위나라 출신 책략가 소대의 설득에 따라 전략적, 외교적 이유로 개입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옛 동맹국의 멸망으로부터 이득을 얻게 되었다.

한편, 철학자 묵자는 그의 저서에서 "귀신의 분명한 존재"를 논하며 주나라, 연나라, 제나라의 역사서와 함께 『송나라 춘추』를 언급했으나, 이 책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2. 3. 전국 시대

전국 시대에 접어들면서 송나라에서도 진나라나 제나라와 유사하게 신하가 군주의 자리를 빼앗는 사건이 발생했다. 송 대공의 후손인 사성(司城) 자한(子罕), 또는 황희(皇喜)라고도 불리는 송 척성군(대척성, 戴剔成)이 기원전 355년 송 환공을 몰아내고 군주의 자리에 올랐다.[5] 이 사건을 두고 '대씨(戴氏)가 송나라를 차지했다'고 표현한다.

기원전 328년, 척성군의 동생인 대언(戴偃)이 왕위를 차지하고 스스로 송 강왕이라 칭했으며, 척성군은 살해되거나 추방되었다. 강왕은 쇠퇴하던 송나라를 일시적으로 강성하게 만들었다. 그는 전국 칠웅처럼 스스로 왕을 칭했으며, 초나라, 제나라, 위나라를 공격하여 영토를 넓히고 등나라를 병합했으며, 서쪽의 강국 진나라와 동맹을 맺기도 했다.

그러나 송 강왕은 점차 폭군으로 변모하여 폭정을 일삼았고, 이로 인해 '걸송(桀宋)'이라는 비판적인 별명까지 얻게 되었다. 이는 하나라의 폭군 왕에 빗댄 것이다. 결국 송나라에 땅을 빼앗겼던 제나라, 위나라, 초나라가 연합하여 송나라를 공격했다. 기원전 286년, 송나라는 이들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였고, 그 영토는 세 나라가 나누어 가졌다. 당시 송나라의 동맹국이었던 진나라는 위나라 출신 책략가 소대의 설득에 따라 전략적, 외교적 이유로 개입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송나라의 멸망으로 이득을 보게 되었다.

한편, 철학자 묵자는 그의 저서에서 주나라, 연나라, 제나라 등 여러 나라의 역사서와 함께 '송나라 춘추'를 언급하며 송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서적이 있었음을 시사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2. 4. 멸망

양공 이후 송나라는 제나라, 초나라, 진나라와 같은 주변 강대국들 사이에서 점차 그 지위를 잃어갔다. 문공부터 평공 시대에는 화원이나 향술과 같은 인물들의 활약이 있었으나, 전반적인 국력 쇠퇴를 막기는 어려웠다.

기원전 355년, 환공 2세의 신하였던 대척성(戴剔成)이 왕위를 찬탈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기원전 328년에는 대척성의 동생인 대언(戴偃)이 다시 왕위를 빼앗고 스스로 강왕(송 강왕)이라 칭했다. 대척성은 살해되거나 추방된 것으로 전해진다.

강왕은 야심이 큰 군주로, 초반에는 , , 의 군대를 격파하고 을 병합하는 등 세력을 확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폭군으로 악명이 높아, 과거 하나라의 왕에 비유되어 '걸송(桀宋)'이라고 불릴 정도였다.

강왕의 폭정과 무리한 확장 정책은 주변국들의 경계심을 샀고, 결국 기원전 286년, 나라가 , 의 군대와 연합하여 송나라를 공격했다. 이때 송나라의 오랜 동맹국이었던 출신 책략가 소대의 설득에 따라 전략적, 외교적 이유를 들어 개입하지 않았다. 소대는 송나라가 멸망하면 진나라가 이득을 볼 것이라 예측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결국 송나라는 제나라에 의해 병합되어 멸망하였다.

철학자 묵자는 그의 저서 "귀신의 분명한 존재" 장에서 송나라를 언급하며 , 연, 등 여러 나라의 ''춘추''를 거론했지만, ''송나라 춘추''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5]

3. 문화

송나라 사람이 밭을 갈다가 우연히 달려온 토끼가 그루터기에 목을 부딪쳐 죽는 것을 목격했다. 그는 아무 노력 없이 토끼를 얻게 되자 다음 날부터 밭일은 제쳐두고 또 토끼가 나타나 그루터기에 부딪히기를 기다렸다. 당연히 토끼는 다시 나타나지 않았고, 그의 밭은 잡초만 무성해졌다.

이 이야기는 한비한비자에서 옛 제도만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판하기 위해 인용한 유명한 고사이다. 이로부터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이나 방식만 고집하는 태도를 '그루터기를 지킨다'는 뜻의 수주(守株)라고 부르게 되었다. 일본의 시인 기타하라 하쿠슈는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기다림이라는 를 짓기도 했다.

이 고사나 송양지인 고사처럼 송나라에 관한 이야기 중에는 비합리적이거나 어리석은 판단을 비웃는 내용이 많은 편이다. 일각에서는 주나라 중심의 중원 문화와 다른 상나라(은나라)의 후예인 송나라의 문화[6]하나라의 후예인 기(杞)의 문화가 당시 주류 세력에게 멸시받았기 때문에, 편견이 섞여 실제보다 더 과장되거나 부정적으로 묘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4. 역대 군주

송나라의 군주들은 춘추 시대전국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사건들을 겪었다.

기원전 701년, 송나라는 정 장공과의 정략결혼 및 정나라의 유력 무사였던 제중(祭仲)을 체포하는 사건을 통해 정나라의 내정에 간섭하기도 했다.

기원전 651년 즉위한 양공패자를 지향했으나, 이상주의적인 외교 정책과 군사적 실패로 인해 초나라에게 패배하며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송나라가 춘추 시대의 강대국 사이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기 어려웠음을 보여준다.

전국 시대 후기에 이르러, 기원전 355년에는 대척성(戴剔成)이 왕위를 찬탈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기원전 328년, 그의 동생인 대언(戴偃)이 다시 왕위를 빼앗아 스스로 강왕(康王)이라 칭했다. 강왕은 야심찬 군주로, 초나라, 위나라, 제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등나라를 병합하는 등 세력을 확장했다. 그러나 지나친 팽창 정책은 주변국들의 경계를 샀고, 결국 기원전 286년 제나라의 공격을 받아 멸망하였다. 이때 송나라의 동맹국이었던 진나라는 소대의 외교적 설득에 따라 송나라를 돕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송나라의 멸망으로 이득을 얻게 되었다.

한편, 사상가 묵자는 그의 저서에서 송나라를 언급하며 당시 여러 나라의 역사 기록인 ''춘추'' 중 하나로 ''송나라 춘추''를 거론하기도 했으나, 이 책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4. 1. 군주 가계도

주나라 무왕이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주나라는 이왕삼각이라는 봉건 예법에 따라 상나라 왕족이 조상 제사를 이어갈 수 있도록 했다. 상나라의 마지막 왕 제신의 아들인 무경이 잠시 은허에서 제사를 이었으나, 무왕 사후 반란을 일으켰다가 주공에게 진압되었다. 이후 상나라 왕족이자 제신의 형인 미자 계(微子 啟)가 '상나라의 언덕'이라는 뜻의 상구에 봉해져 송나라를 세웠다. 이는 상나라 유민들이 조상 숭배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송나라는 초기에는 주나라의 장자 상속 원칙과 달리 상나라의 전통인 형제 상속과 부자 상속이 혼용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아래는 송나라 군주 목록과 가계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다음 군주는 이전 군주의 아들이다.

대수시호이름(휘)재위 기간비고
1대미자(微子)계(啟)? ~ ?상나라 마지막 왕 제신의 형
2대미중(微仲)연(衍)? ~ ?1대 미자의 동생
3대송공(宋公)계(稽)? ~ ?2대 미중의 아들
4대정공(丁公)신(申)? ~ ?3대 송공 계의 아들
5대민공(湣公)공(共)? ~ 기원전 859년4대 정공의 아들, 공자의 조상으로 추정[1]
6대양공(煬公)희(熙)기원전 859년 ~ 기원전 831년5대 민공의 동생
7대여공(厲公)부사(鮒祀)기원전 831년 ~ 기원전 801년5대 민공의 아들
8대희공(僖公)거(舉)기원전 801년 ~ 기원전 800년7대 여공의 아들
9대혜공(惠公)견(覵)기원전 800년 ~ 기원전 766년8대 희공의 아들
10대애공(哀公)?기원전 766년 ~ 기원전 748년9대 혜공의 아들
11대대공(戴公)?기원전 748년 ~ 기원전 729년10대 애공의 아들
12대무공(武公)사공(司空)기원전 729년 ~ 기원전 720년11대 대공의 아들
13대선공(宣公)력(力)기원전 720년 ~ 기원전 711년12대 무공의 아들
14대목공(穆公)화(和)기원전 711년 ~ 기원전 692년13대 선공의 동생
15대상공(殤公)여이(與夷)기원전 692년 ~ 기원전 682년13대 선공의 아들
16대장공(莊公)풍(馮)기원전 682년14대 목공의 아들
17대민공(閔公)첩(捷)기원전 682년 ~ 기원전 651년16대 장공의 아들
18대자유(子游)유(游)기원전 651년17대 민공의 아들, 즉위 3개월 만에 암살됨
19대환공(桓公)어설(御說)기원전 651년 ~ 기원전 637년17대 민공의 동생
20대양공(襄公)자부(茲父)기원전 637년 ~ 기원전 620년19대 환공의 아들
21대성공(成公)왕신(王臣)기원전 620년20대 양공의 아들
22대(禦)어(禦)기원전 620년 ~ 기원전 611년21대 성공의 동생, 즉위 한 달 만에 암살됨
23대소공(昭公)저구(杵臼)기원전 611년 ~ 기원전 589년21대 성공의 아들
24대문공(文公)포(鮑) / 포혁(鮑革)기원전 589년 ~ 기원전 576년23대 소공의 동생
25대공공(共公)하(瑕)기원전 576년 ~ 기원전 532년24대 문공의 아들
26대평공(平公)성(成)기원전 532년 ~ 기원전 517년25대 공공의 아들
27대원공(元公)좌(佐) / 차(差)기원전 517년 ~ 기원전 469년26대 평공의 아들
28대경공(景公)두만(頭曼) / 란(欒)기원전 469년27대 원공의 아들
29대계(啟)계(啟)기원전 469년28대 경공 사후 옹립되었으나 곧 폐위됨, 27대 원공의 증손자인 소공(득)의 형제 또는 친척으로 추정
30대소공(昭公)득(得) / 특(特)기원전 469년 ~ 기원전 404년27대 원공의 증손자
31대도공(悼公)구유(購由)기원전 404년 ~ 기원전 385년30대 소공의 아들
32대휴공(休公)전(田)기원전 385년 ~ 기원전 363년31대 도공의 아들
33대환공(桓公)벽병(辟兵)기원전 363년 ~ 기원전 350년?32대 휴공의 아들
34대척성군(剔成君)희(喜)기원전 350년? ~ 기원전 329년11대 대공의 후손, 33대 환공을 몰아내고 즉위
35대강왕(康王)언(偃)기원전 329년 ~ 기원전 286년34대 척성군의 동생, 송나라 마지막 군주



공자는 전통적으로 송나라 5대 군주 민공(閔公)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그의 후손들은 연성공이라는 작위를 세습했다.

또한 후한 시대에는 공자의 후손인 공안(孔安중국어)에게 상나라의 제사를 잇게 한다는 의미로 '은나라를 잇고 숭상하는 공작(殷紹嘉公중국어)'이라는 작위가 수여되기도 했다. 이는 공자가 상나라 혈통을 이었기 때문이며, 연성공 가계와는 별개의 가문이다.[2][3]

5. 천문학

송나라는 에타 뱀주인자리 별로 표현되며, 천시원의 좌원에 속한다. 이는 중국 천문학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참조

[1] 학술지 The background of the Kong family of Lu and the origins of R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 학술지 Wise man of the wilds: fatherlessness, fertility, and the mythic exemplar Kongz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 서적 Confucius: the Man and the Myth John Day
[2]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https://books.google[...] Brill 2006-12-28
[3] 문서 《汉书·杨胡朱梅云传》
[4]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23 日 http://aeea.nmns.edu[...]
[5] 서적 周―理想化された古代王朝 中央公論新社
[6] 문서 「杞憂」等の表現。
[7] 문서 代 (戦国)|代は趙 (戦国)|趙の亡命政権であり、秦に滅ぼさ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