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쇼네이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네이왕은 1587년부터 1620년까지 류큐 왕국의 왕이었다. 그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임진왜란 군사 제공 요청을 거부하고, 사쓰마의 침공으로 항복하여 일본에 복속되었다. 이후 사쓰마의 지배를 받는 동안에도 왕실 권위를 유지했으며, 1613년 아마미 제도를 사쓰마에 할양했다. 쇼네이는 류큐 침공 이후 사쓰마에 여러 맹세를 했으며, 1616년까지 사쓰마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통치권을 강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4년 출생 -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을 반박하고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지동설을 옹호하다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하여 "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1564년 출생 - 윌리엄 셰익스피어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잉글랜드의 극작가, 시인, 배우로서 영어로 쓰인 가장 위대한 작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희곡과 시들을 남겼고, 엘리자베스 시대 런던 연극계에서 글로브 극장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 1620년 사망 - 태창제
    만력제의 장남인 태창제는 황태자 책봉 과정의 정쟁과 암살 미수 사건을 겪고 즉위 29일 만에 급서하여,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관련된 미스터리는 명나라 말기 정치적 혼란의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는다.
  • 1620년 사망 - 이여백
    이여백은 명나라 군인으로, 이성량의 차남이며,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평양성 전투 등에서 활약했으나, 후금과의 전투 패배로 자결했다.
  • 류큐 국왕 - 쇼보쿠왕
    쇼보쿠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제13대 국왕으로 쇼케이왕의 장남이며, 왕비와 부인, 처를 두었고 5남 3녀를 두었다.
  • 류큐 국왕 - 쇼온왕
    쇼온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18대 국왕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교육 진흥과 대외 관계 유지에 힘썼으나 요절하였다.
쇼네이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쇼 네이 (尚寧)
출생명우미투쿠가니 (思徳金)
신호테다가수헤아지소헤 (日賀末按司添)
출생1564년
사망1620년 10월 14일
매장지우라소에 요도레, 우라소에, 오키나와
통치 정보
배우자아오리야에 아지-가나시
칭호류큐의 왕
재위1589년–1620년
이전 통치자쇼 에이
다음 통치자쇼 호
배우자아오리야에 아지-가나시
후궁니시노 아지
아다니야 오아지-시라레
가문
왕가제2 쇼 왕조
아버지쇼 이, 요나구스쿠 초켄 왕자
어머니슈리오키미 아지-가나시
기타 정보
쇼 네이 왕 서명
쇼 네이 왕 서명

2. 가족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쇼이(尚懿)요나시로왕자 쵸켄(与那城王子朝賢)
어머니슈리오오기미아지가나시 쇼씨 잇시(首里大君按司加那志 尚氏一枝)쇼겐왕의 딸
배우자
왕비아오리야헤아지가나시 쇼씨 란소(阿応理屋恵按司加那志 尚氏蘭叢)마제니가네(真銭金), 쇼에이왕의 장녀, 1663년 사망
부인니시노아지 덴씨 세이게쯔(西之按司 伝氏西月)마나베타루카네(真鍋樽金), 덴씨 일세 사베 친방 아츠시의 딸, 1604년 사망
부인아다니야오오아지시라레 쇼씨 료게쯔(安谷屋大按司志良礼 章氏涼月)마나베타루카네(真鍋樽金), 쇼씨 아자타야 친운상의 딸, 1561년 출생, 1634년 사망


3. 생애

쇼네이왕은 왕가의 분가인 오로쿠 고텐 3세 쇼이·요나시로 오지 조켄(제3대 쇼신왕의 손자)의 장남으로 쇼에이왕의 사위였다. 전 국왕 쇼에이왕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오로쿠 고텐 4세인 쇼네이왕이 뒤를 이었다. 이 시대는 후세의 고텐(왕가 분가의 칭호)이라는 개념이 아직 발달하지 않았다고 여겨지며, 그 본거지에서 쇼네이왕 일족을 쇼세이왕의 가계(슈리 쇼가)에 대해 "우라소에 쇼가"라고 칭하는 문헌도 있다.[7]

사쓰마는 초기에 류큐의 정책을 결정하는 데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사쓰마에 충성하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왕실 정부 관리들을 숙청했지만, 1616년까지 이러한 접근 방식은 종식되었다.[3] "일본화" 조치가 사쓰마의 요청에 따라 번복되었고, 쇼 네이는 다시 한번 자신의 왕국에 대한 최고의 권한을 공식적으로 부여받았다. 쇼 네이는 통치 기간 동안 사쓰마가 설정한 틀 내에서 왕실 권위의 모든 면모를 계속 유지했으며, 자신의 영토에 대한 막대한 권력을 행사했다.

1613년, 아마미 제도를 사쓰마 번에 할양했다.

쇼 네이는 사망 후 슈리에 있는 왕실 묘소가 아닌 우라소에 성에 묻혔다. 대중의 믿음에 따르면, 이는 그가 사쓰마의 침략에 굴복함으로써 조상 앞에서 자신을 심각하게 모욕했고, 그들과 함께 묻히기에 부적합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그러나 쇼 네이는 원래 우라소에 출신이므로, 더 평범한 설명이 더 진실일 수 있다.

3. 1. 류큐 침공 이전

쇼네이왕 통치 초기, 일본도요토미 히데요시임진왜란을 계획했다. 히데요시는 사쓰마를 통해 류큐 왕국에 군사 지원을 명령했지만, 쇼네이왕은 이를 거부했다. 또한 히데요시는 류큐가 명나라에 대한 공식적인 사절단 파견을 잠정 중단하도록 명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절단은 쇼네이왕의 즉위와 관련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베이징으로 갔고, 그곳에서 중국 조정 관리들에게 히데요시의 계획을 알렸다.[2]

얼마 후, 쇼네이왕은 새로운 통치자 즉위 축하 관례에 따라 히데요시에게 서신을 보냈다. 그는 일본을 장악하고 평화와 번영을 가져온 것을 공식적으로 축하하며, 명나라 중국 칠기 선물을 보냈다. 이 편지에서 류큐를 "너무 멀리 떨어져 있고 자금이 부족하여 마땅히 경의를 표하지 못한 작고 겸손한 섬 왕국"이라고 언급했다.[2] 시마즈 요시히사는 류큐가 병력 대신 식량 및 기타 물품을 제공하도록 제안했고, 히데요시는 이를 수락했지만 쇼네이왕은 무시했다.

1598년 히데요시가 사망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권력을 잡자, 쇼네이왕은 사쓰마 번으로부터 새로운 쇼군에게 공식적으로 복종하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이 역시 무시했다.

3. 2. 류큐 침공

쇼네이 왕 통치 초기에,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임진왜란을 계획했다. 히데요시는 사쓰마를 통해 류큐 왕국에 군사 지원을 명령했지만, 쇼네이는 이를 거부했다. 또한 히데요시는 류큐가 중국에 대한 공식적인 사절단 파견을 잠정 중단하도록 명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쇼네이의 즉위와 관련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사절단은 베이징으로 갔고, 중국 조정 관리들에게 히데요시의 계획을 알렸다. 얼마 후 쇼네이는 히데요시에게 일본을 장악하고 평화와 번영을 가져온 것을 축하하는 서신을 보냈고, 명나라 중국 칠기 선물을 함께 보냈다. 이 편지에서 류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고 자금이 부족하여 마땅히 경의를 표하지 못한 작고 겸손한 섬 왕국"이라고 언급되었다.[2] 시마즈 요시히사는 류큐가 병력 대신 식량 및 기타 물품을 제공하도록 제안했고, 히데요시는 이를 수락했지만 쇼네이는 무시했다.

히데요시가 1598년에 사망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권력을 잡자, 쇼네이는 사쓰마로부터 새로운 쇼군에게 공식적으로 복종하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이 역시 무시했다.

1609년, 사쓰마는 류큐 침공을 감행했다. 사쓰마가 오키나와 북부에 상륙하여 나키진 성을 공격했을 때, 왕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쇼 코쿠시가 전투 중에 사망했다. 쇼네이는 사쓰마가 슈리 성을 포위하고 함락시킨 후 항복했다.[3] 쇼네이는 여러 관료들과 함께 슨푸 성으로 끌려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만났고, 이후 에도로 가서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공식적인 알현을 했으며, 마지막으로 가고시마로 가서 공식적으로 항복하고 시마즈 가문에 여러 맹세를 해야 했다. 에도에서 쇼군은 쇼네이가 섬에 대한 그의 가문의 오랜 통치 역사를 고려하여 권력을 유지하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말했다.[3]

이는 외국 군주가 처음으로 일본에 온 것이었으며,[4] 시마즈 다다쓰네는 이 기회의 정치적 가치를 활용했다. 그의 후임자들은 외국 왕을 신하로 둔 유일한 다이묘라는 지위를 이용하여 더 큰 정치적 특권, 봉급 및 조정 서열을 확보했다. 1611년, 침공 2년 후, 쇼네이는 슈리에 있는 자신의 성으로 돌아갔다.

쇼네이 왕의 석관


쇼네이 재위 중인 1609년 (만력 37년, 게이초 14년)에 사쓰마 번의 시마즈 씨에게 침공당하여 항복했다. 이후 류큐는 일본 (사쓰마 번)에 속하게 되었고, 일본의 의향에 따라 무역을 위해 명나라에도 속하는 형세를 취하게 되었다. 쇼네이 왕은 사쓰마 번에 의해 에도로 연행되어 정이대장군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알현한 후 류큐로 돌아왔다.

3. 3. 류큐 침공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임진왜란을 계획하면서 사쓰마를 통해 류큐 왕국에 군사 지원을 명령했지만, 쇼 네이는 이를 거부했다. 또한 중국에 대한 사절단 파견 중단을 명령받았으나, 쇼 네이는 즉위 관련 업무를 위해 베이징에 사절단을 보내 중국 관리들에게 히데요시의 계획을 알렸다. 이후 쇼 네이는 히데요시에게 서신을 보내 일본 통일을 축하하고 명나라 중국 칠기를 선물했다. 이 편지에서 류큐를 "너무 멀리 떨어져 있고 자금이 부족하여 마땅히 경의를 표하지 못한 작고 겸손한 섬 왕국"이라고 언급했다.[2] 사쓰마의 영주 시마즈 요시히사는 류큐가 병력 대신 식량 등을 제공하도록 제안했고, 히데요시는 이를 수락했지만 쇼 네이는 무시했다.

히데요시 사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집권하자, 쇼 네이는 사쓰마로부터 복종 요청을 받았으나 이 역시 무시했다.

1609년 봄, 사쓰마는 류큐 침공을 감행했다. 사쓰마 군이 오키나와 북부에 상륙하여 나키진 성을 공격할 때 왕세자 쇼 코쿠시가 전사했다. 쇼 네이는 슈리 성이 포위 함락된 후 항복했다.[3] 쇼 네이는 관료들과 함께 슨푸 성으로 끌려가 퇴임한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만났고, 에도로 가서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알현했으며, 가고시마에서 시마즈 가문에 공식적으로 항복하고 여러 맹세를 했다. 에도에서 쇼군은 쇼 네이가 섬에 대한 오랜 통치 역사를 고려하여 권력을 유지하도록 허용했다.[3]

이는 외국 군주가 처음으로 일본에 온 것이었으며,[4] 사쓰마 영주 시마즈 타다츠네는 이 기회를 정치적으로 활용했다. 그의 후임자들은 외국 왕을 신하로 둔 유일한 다이묘라는 지위를 이용하여 더 큰 정치적 특권 등을 얻었다. 1611년, 침공 2년 후 쇼 네이는 슈리로 돌아갔다.

사쓰마는 초기 류큐 정책 결정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왕실 정부 관리들을 숙청했지만, 1616년까지 이러한 접근 방식은 종식되었다.[3] "일본화" 조치가 번복되고 쇼 네이는 다시 왕국에 대한 최고 권한을 부여받았다. 쇼 네이는 통치 기간 동안 사쓰마가 설정한 틀 내에서 왕실 권위를 유지하며 자신의 영토에 대한 막대한 권력을 행사했다.

쇼 네이는 사망 후 슈리의 왕실 묘소가 아닌 우라소에 성에 묻혔다. 대중의 믿음에 따르면, 이는 그가 사쓰마의 침략에 굴복하여 조상들을 모욕했고, 그들과 함께 묻히기에 부적합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그러나 쇼 네이는 원래 우라소에 출신이므로, 더 평범한 설명이 더 진실일 수 있다.

쇼네이왕은 왕가 분가인 오로쿠 고텐 3세 쇼이·요나시로 오지 조켄(제3대 쇼신왕의 손자)의 장남으로 쇼에이왕의 사위였다.

쇼에이왕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오로쿠 고텐 4세인 쇼네이왕이 뒤를 이었다. 이 시대는 후세의 고텐(왕가 분가의 칭호)이라는 개념이 아직 발달하지 않았다고 여겨지며, 그 본거지에서 쇼네이왕 일족을 쇼세이왕의 가계(슈리 쇼가)에 대해 "우라소에 쇼가"라고 칭하는 문헌도 있다.[7]

쇼네이 재위 중인 1609년 (만력 37년, 게이초 14년)에 사쓰마 번의 시마즈 씨에게 침공당하여 항복했다. 이후 류큐는 일본 (사쓰마 번)에 속하게 되었고, 일본의 의향에 따라 무역을 위해 명나라에도 속하는 형세를 취하게 되었다. 쇼네이왕은 사쓰마 번에 의해 에도로 연행되어 정이대장군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알현한 후 류큐로 돌아왔다.

1613년, 아마미 제도를 사쓰마 번에 할양했다.

4. 맹세

쇼네이는 가고시마에 머무는 동안 여러 차례 맹세를 해야 했다.[5] 쇼네이와 그의 왕국은 공식적으로 시마즈 씨족의 봉신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15개 조항 (掟十五ヶ条|오키테 주고카조일본어)은 가장 중요한 조항 중 하나였으며, 주로 정치 및 외교 문제와 관련되었다. 이 조항들은 다른 조건들 중에서 류큐가 사쓰마 번의 동의 없이 외국과 무역 또는 외교 관계를 맺지 않을 것이라고 명시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해상 제한 및 기타 조건들과 함께 250년 이상 류큐의 국내 상황과 외교 관계를 규제했다.

쇼네이와 그의 삼사관 구성원들은 또한 왕국이 오랫동안 사쓰마의 종속국이었다는 (거짓) 맹세를 해야 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사쓰마에 대한 의무를 다하지 못한 것이 이 침략, 즉 징벌 조치를 자초했음을 인정해야 했다. 이 맹세는 사쓰마가 국왕과 그의 고문들이 왕국으로 돌아가 계속 통치하도록 허락한 관대함을 인정했다. 쇼네이는 이러한 맹세를 자신의 후손들에게 전수하여 류큐가 사쓰마와 맺은 봉신 관계의 상대적인 영속성을 더욱 보장할 것을 맹세했다.[6]

5. 대중문화

참조

[1] 웹사이트 ja:琉球国王の神号と『おもろさうし』 http://ir.lib.u-ryuk[...]
[2] 서적 Okinawa: The History of an Island People Tuttle Publishing 2000
[3] 서적 Visions of Ryukyu: Identity and Ideology in Early-Modern Thought and Politic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4] 서적
[5] 서적 The Fifteen Injunctions, and the King's Oath
[6] 서적 The Government of the Kingdom of Ryukyu, 1609–1872 Yui Publishing Co. 2001
[7] 서적 琉日戦争一六〇九 ボーダーインク 2009
[8] 웹인용 ja:琉球国王の神号と『おもろさうし』 http://ir.lib.u-ryuk[...] 2021-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