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쇼카쿠 (항공모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카쿠는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쇼카쿠급 항공모함의 1번함이다. 야마토급 전함과 함께 ③계획으로 건조되었으며, 1941년 취역했다. 최대 속력 34노트의 고속 성능과 순양함의 포격에 견딜 수 있는 방어력을 갖췄지만, 비행 갑판에는 장갑이 없어 500kg 폭탄에 취약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진주만 공격, 산호해 해전, 남태평양 해전 등에 참전했으며, 1944년 마리아나 해전에서 미 해군 잠수함의 어뢰 공격을 받고 침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쇼카쿠급 항공모함 - 즈이카쿠 (항공모함)
    즈이카쿠는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 해군의 쇼카쿠급 항공모함 2번함으로, 진주만 공격, 미드웨이 해전 이후 기동부대의 주력으로 활약하다가 레이테 만 해전에서 침몰했다.
  • 요코스카 해군공창에서 건조된 선박 - 야마시로 (전함)
  • 요코스카 해군공창에서 건조된 선박 - 스즈야 (모가미급 중순양함)
    스즈야는 일본 해군의 모가미급 중순양함 4번함으로, 주포 교체 및 대공포와 레이더 증설 개장을 거쳐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으나 1944년 레이테 만 해전에서 침몰했다.
  • 1939년 선박 - 독일 전함 티르피츠
    독일 전함 티르피츠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해군이 건조한 비스마르크급 전함의 2번함으로, 자매함 비스마르크와 함께 독일 해군력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나 실제 해전에서 큰 활약은 없었고 연합군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남아 영국 해군 전력을 묶어두다 1944년 격침되었다.
  • 1939년 선박 - 운요 (항공모함)
    운요는 다이요급 항공모함의 2번함으로, 여객선 야하타마루에서 개조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 해군에서 항공기 수송 임무에 투입되었으나 1944년 미국 잠수함에 의해 격침되었다.
쇼카쿠 (항공모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쇼카쿠, 1941년 8월 23일 촬영
쇼카쿠, 1941년 8월 23일 요코스카에서 촬영 (준공 직후).
함명쇼카쿠 (翔鶴)
함명 의미비상하는 학
종류항공모함
소속일본 제국 해군
동형함즈이가쿠
착함 식별 문자
함 건조 정보
건조 조선소요코스카 해군 공창
계획쇼와 12년도 계획 (1937년), ③계획
기공1937년 12월 12일
진수1939년 6월 1일
취역1941년 8월 8일
건조 비용84,496,983 엔
제원 (건조 당시)
기준 배수량25,675 영국톤
공시 배수량29,800 톤
만재 배수량32,105.1 톤
전장257.5 미터
수선장250.00 미터
수선간장238.00 미터
26.0 미터
깊이23.00 미터 (비행 갑판까지)
흘수 (공시 평균)8.87 미터
흘수 (만재 평균)9.32 미터
비행 갑판 길이242.2 미터
비행 갑판 폭29.0 미터
엘리베이터3기
추진축4축, 300 rpm, 직경 4.200 미터
주기관함본식 터빈 (고중저압) 4기
출력160,000 마력
보일러로호 함본식 캔 (공기 여열기 부착) 8기
속력 (계획)34.0 노트
속력 (1944년 5월 조사)34.37 노트
연료 (계획)중유 5,000 톤
연료 (1944년 5월 조사)중유 5,070 톤
항속 거리 (계획)9,700 해리 / 18 노트
항속 거리 (1944년 5월 조사)12,251 해리 / 18 노트
승무원 (계획)1,660 명
탑재량91식 어뢰 45개
폭탄: 800kg 90개, 250kg 306개, 60kg 540개
항공기용 경질유 745톤
장갑 (계획)기관실 측면: 46mm CNC 강
기관실 갑판: 65mm CNC 강, 25mm DS 강
탄약고 측면: 165mm NVNC 강, 50DS 강
탄약고 갑판: 132mm NVNC 강, 25mm DS 강
탑재정12m 내화정 3척
12m 내화 런치 3척
8m 내화 런치 1척
9m 구조정 2척
6m 통선 1척
13m 특형 운화선 2척
무장
신조 시40구경 89식 12.7cm 연장 고각포 8기
25mm 3연장 기관총 12기
폭뢰 6개
최종 시40구경 12.7cm 연장 고각포 8기
25mm 3연장 기관총 18기
25mm 단장 기관총 (설상식) 14정
탑재기
계획0식 함상 전투기: 18+2기
99식 함상 폭격기: 27+5기
97식 함상 공격기: 27+5기
계: 상용 72기, 보용 12기
1941년 12월 7일 보유기0식 함상 전투기: 18기
99식 함상 폭격기: 27기
97식 함상 공격기: 27기
최종 시상용 74기, 정찰 3기
1944년 6월 19일 보유기0식 함상 전투기: 34기
텐잔 함상 공격기: 12기 (정찰용: 3기)
혜성 함상 폭격기: 18기
2식 함상 정찰기: 10기
99식 함상 폭격기: 3기
레이더 및 소나
레이더21호 전탐 1기
소나가칭 91식 4호 탐신 장치 1조 (후일 장비)
기타 정보
최후1944년 6월 19일 마리아나 해전에서 격침 40
제적1945년 8월 31일
모항요코스카

2. 특징

1937년의 제3차 함선 보충 계획(마루 3계획)에 따라 건조된 일본 제국 해군의 대형 정규 항공모함이다. 흔히 일본 해군이 건조한 함대형 정규 항모의 결정판으로 평가받는다.[35]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만료 후 설계되어, 당시 일본 해군이 이상적으로 여긴 고속 성능, 긴 항속거리, 강력한 방어력, 대규모 항공기 탑재 능력 등을 반영하고자 했다.

주요 특징으로는 일본 군함 최초로 채택된 구상 함수와 16만 마력의 강력한 기관을 바탕으로 최대 34kn의 고속을 낼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동시대 야마토급 전함의 출력을 능가하는 수치이다. 방어력 또한 충실하여 주요 구획은 순양함의 포격에 견딜 수 있었고, 폭약 450kg 어뢰에도 견딜 수 있는 방뢰 구조를 갖추었다. 배수량은 약 약 32513504.00kg에 달했으며, 70~80대의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었다.[3]

그러나 비행 갑판에는 장갑이 없어 폭탄 명중에 취약했고, 피해 대처 능력 면에서는 동시대 미국, 영국 항모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다. 미드웨이 해전에서 주력 항모 4척(카가, 아카기, 히류, 소류)을 잃은 경험을 바탕으로 가연물 철거나 가연성 도료 사용 금지 등 운용상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설계 단계에서는 좌현 함교가 검토되었으나, 아카기의 운용 경험상 배연에 의한 시야 방해 및 착함 시 기류 불안정 문제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우현 함교로 변경되었다.

자매함 즈이카쿠와 함께 제5항공전대를 이루어 활약했으며, 두 함선은 외형이 매우 유사하여 식별이 어려웠다. 초기에는 비행 갑판 앞부분에 쇼카쿠는 'シ'(시), 즈이카쿠는 'ス'(스)라는 문자를 표기하여 구분했다. 또한 함교 직후 메인 마스트의 스피커 유무로 구별하기도 했으나 이는 특정 시기에만 해당되었다. 작전 중 쇼카쿠가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잦아 '손해 담당함'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으나[36][37], 실제 전적은 즈이카쿠와 큰 차이가 없으며 태평양 전쟁 중 손상을 입으면서도 꾸준히 분전한 항모로 평가받는다. 향상된 방어력 덕분에 산호해 해전과 산타크루즈 해전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고도 생존할 수 있었다.[3]

2. 1. 설계

1937년 일본 제국 해군의 제3차 함선 보충 계획(마루 3계획)에 따라 야마토급 전함과 함께 건조가 계획된 대형 정규 항공모함이다.[57][58] 1936년 12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이 만료되면서 조약의 제약에서 벗어나, 일본 해군이 이상적으로 생각했던 고속, 긴 항속거리, 강력한 방어력, 대규모 항공기 탑재 능력 등의 특징을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일본 제국 해군의 군함 중 처음으로 구상 함수를 채택하여 선체 저항을 줄이고 최대 34kn의 고속을 낼 수 있었다. 기관 출력은 16만 마력으로 야마토급 전함보다 높았다. 방어력 면에서는 기관부, 탄약고 등 함선 주요 구역에 순양함의 포격에 견딜 수 있는 수준의 장갑을 적용했고, 폭약 450kg 어뢰에도 견딜 수 있는 어뢰 방어 능력을 갖추었다.[4] 수직 장갑은 기관실, 탄약고, 항공 연료 탱크 위에 215mm 두께였고, 수평 장갑은 흘수선 부근의 장갑대(Waterline belt)가 기계실 구역은 215mm, 탄약고 외부 구역은 150mm 두께였다.[4] 배수량은 약 약 32513504.00kg으로, 장갑 강화로 인해 소류보다 1만 톤가량 무거웠다.[4]

쇼카쿠의 28명의 주요 조선공이 진수 전에 (1939년 5월 30일) 선박의 선수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외형적으로는 히류를 확대한 형태와 유사했으나, 전체 길이는 35.3m 더 길고 폭은 4.6m 더 넓었으며 함교도 더 컸다. 히류처럼 선수루를 상부 격납고 갑판 높이까지 올려 내항성을 개선했고, 함수 형상도 더 넓고 둥글며 크게 벌어진 형태로 만들어 대부분의 해상 조건에서 비행 갑판을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설계했다.[4]

그러나 약점도 존재했다. 비행 갑판에는 장갑이 없어 500kg 폭탄에 명중될 경우 항공기 운용이 불가능해질 수 있었다. 또한, 약 15만 갤런의 항공 가솔린을 저장하는 연료 탱크가 선체와 통합된 구조여서, 선체에 직접적인 타격이나 근접 폭발의 충격을 받으면 탱크가 파손되어 연료가 누출될 위험이 컸다.[5] 이는 영국 항공모함들이 연료 탱크를 해수로 둘러싸인 별도의 공간에 배치한 것과 대조적이었다. 피해 통제 능력 면에서도 동시대 미국과 영국 항공모함에 비해 부족한 점이 있었다. 미드웨이 해전 이후 연료 탱크 주변 빈 공간에 이산화탄소를 채우거나 콘크리트를 채우는 등의 개선 조치를 취했지만, 연료 누출과 화재 확산을 막는 데는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5]

1939년 6월 1일 요코스카에서 폭우 속에서 진수되는 ''쇼카쿠''


설계 단계에서 함교 위치에 대한 변경이 있었다. 초기 계획에서는 아카기처럼 좌현에 함교를 배치할 예정이었으나, 아카기의 운용 경험상 좌현 함교의 배기가스가 착함 시 시야를 방해하고 기류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쇼카쿠는 설계 단계에서 이 문제를 인지하여 건조가 진행되기 전에 함교를 우현으로 변경할 수 있었다. 자매함 즈이카쿠 역시 우현 함교로 건조되었다.

쇼카쿠는 1937년 12월 12일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기공되었고[57][58], 1939년 6월 1일 진수되었으며[62], 1941년 8월 8일 취역했다.[57] 쇼카쿠급 항공모함은 향상된 방어력 덕분에 산호해 해전과 산타크루즈 해전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고도 생존할 수 있었다.[3]

2. 2. 선체

1937년 마루 3계획에 따라 건조가 계획된 일본 제국 해군의 대형 정규 항공모함이다. 기술적으로는 동시에 계획 및 건조된 야마토급 전함과 유사점이 많다.[52] 일본 해군 군함 중 처음으로 구상 함수(벌버스 바우)를 채용하여 최대 속력 34kn의 고속성을 확보했으며,[52][53] 이는 특정 속도 범위에서 선체의 수중 저항을 줄여 속도와 항속 거리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했다. 비공식적으로 "테일러 배"라고도 불렸으나, 야마토급 전함에 장착된 것보다는 작아 선체 앞부분을 벗어나지는 않았다.[4] 기관 출력은 16만 마력으로, 보일러 12기를 탑재한 야마토급 전함보다 높은 수치이다 (쇼카쿠급은 보일러 8기 탑재).[52]

외관상으로는 히류를 확대한 형태와 유사했으나, 전체 길이는 35.3m 더 길고, 폭은 4.6m 더 넓었으며, 함교 구조물도 더 컸다. 히류처럼 선수루를 상부 격납고 갑판 높이까지 올려 내항성을 개선했으며, 대부분의 해상 조건에서 비행 갑판을 건조하게 유지하기 위해 더 넓고 둥글며 크게 벌어진 선수 형태를 가졌다.[4]

방어력 면에서는 기관부나 탄약고 등 주요 구역이 순양함의 포격에 견딜 수 있도록 장갑이 설치되었고, 폭약 450kg의 어뢰에도 견딜 수 있는 수중 방어 능력을 갖추었다. 구체적으로 수직 방어는 기계실, 탄약고, 항공 연료 탱크 위의 주 장갑 갑판에 215mm 두께로 이루어졌고, 수평 방어는 기계실을 따라 수선 벨트에 215mm, 탄약고 외부에서는 150mm로 감소하는 형태였다.[4] 그러나 영국 항모나 후속 함급인 다이호급 항공모함과 달리 비행 갑판에는 장갑이 없어, 500kg 폭탄이 명중하면 항공기 운용이 불가능해지는 약점이 있었다. 또한, 피해 통제 능력은 동시대 미국 및 영국 항공모함에 비해 부족한 면이 있었다.

항공 연료는 통상 150k의 항공 가솔린을 탑재했는데, 당시 일본 항모들은 연료 탱크를 선체 구조의 일부로 제작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는 충격 시 탱크 균열 및 연료 누출 위험을 안고 있었으며, 미드웨이 해전에서 주력 항모 4척(카가, 아카기, 히류, 소류)을 잃은 경험을 바탕으로 가연물을 제거하고 가연성 도료를 사용하지 않는 등 운용상의 개선과 함께 연료 탱크 주변 빈 공간에 비활성 이산화탄소 가스를 채우거나 콘크리트를 채우는 보강 조치가 취해졌다. 그러나 이는 1944년 필리핀해 해전에서 잠수함 카발라의 어뢰 공격으로 격침될 때 증명되었듯 큰 효과는 없었다.[5]

함교는 당초 아카기히류처럼 좌현 중앙에 배치될 예정이었으나, 배기가스로 인한 시야 방해 및 착함 시 기류 불안정 문제가 지적되었다.[54] 쇼카쿠급은 설계 단계에서 이 문제가 제기되어 건조 중 우현 전방 배치로 변경할 수 있었다.[54] 다만 악천후 시 함선 동요 측면에서는 기존 항모들보다 다소 불리하다는 평가가 있었으나, 항속력은 우수했다.[55][56] 비행 갑판 크기는 길이 242m, 폭 29m로 카가와 비슷했지만, 동시대의 에식스급 항공모함보다는 작았다.[53]

자매함 즈이카쿠와는 외형상 구별이 어려워 종종 탑승원들도 착함을 혼동할 정도였다. 초기에는 식별을 위해 비행 갑판 앞부분에 쇼카쿠는 가타카나 'シ'(시), 즈이카쿠는 'ス'(스)를 표기했다. 함교 바로 뒤 메인 마스트 중간에 확성기(스피커) 유무로 구별하기도 했으나(즈이카쿠에 설치), 이는 특정 시기에만 해당되는 식별법이었다. 쇼카쿠는 작전 중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잦아 '손해 담당함'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을 얻기도 했지만, 실제 전적은 즈이카쿠와 큰 차이가 없으며, 태평양 전쟁 기간 동안 손상을 입으면서도 꾸준히 분전한 항공모함으로 평가받는다.

2. 3. 기관

쇼카쿠에 장착된 기어식 터빈은 소류와 기본적으로 동일했으나, 최대 출력은 8,000축마력(shp) 증가하여 160,000축마력(shp)에 달했다.[6] 이는 야마토급 전함의 출력을 상회하는 수치로, 쇼카쿠는 보일러를 8기 탑재했다(야마토급은 12기).[52]

일본 제국 해군의 군함 중 처음으로 구상 선수(벌버스 바우)를 채택하여[52][53], 최대 속력 약 34kn의 고속성을 얻었다.[52][53] 추가된 장갑과 늘어난 배수량, 2.1m의 흘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시험 운행 중 34.2kn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6] 최대 연료 적재량은 4,100톤이었으며, 18kn의 속도로 9,700nmi의 항속 거리를 제공했다.[6]

함선의 우현, 함교 바로 뒤에는 동일한 크기의 아래로 굽은 굴뚝 2개가 위치했다. 이 굴뚝은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수평으로 배출했으며, 대부분의 풍향 조건에서 비행 갑판에 연기가 닿지 않도록 충분히 각을 이루어 설계되었다.[6]

2. 4. 비행 갑판 및 격납고

비행 갑판은 길이 242m의 나무 판자로 되어 있었고, 함선의 선수와 함미보다 약간 짧았다. 이 갑판은 격납고 앞쪽의 4개 강철 기둥과 뒤쪽의 2개 기둥으로 지지되었다.[7] 그러나 영국 항공모함이나 후속함인 다이호와 달리 비행 갑판에 장갑이 없어, 500kg 폭탄이 명중하면 항공기 운용이 불가능해지는 약점이 있었다.[52][53] 비행 갑판의 면적은 카가와 거의 비슷했지만(쇼카쿠형 242m×29m, 카가 249m×30.5m), 동시대 미국 해군에식스급 항공모함보다는 작았다.[53] 식별을 위해 비행 갑판 앞부분에는 가타카나로 「シ」(시)라고 쓰여 있었다.

비행 갑판과 2개의 격납고(상부 및 하부) 사이에는 3개의 엘리베이터가 운용되었다. 가장 큰 것은 앞쪽에 위치한 13m x 16m 크기의 엘리베이터였으며, 중간과 후방 엘리베이터는 각각 13m x 12m 크기였다. 세 엘리베이터 모두 최대 5000kg의 항공기를 운반할 수 있었으며, 승하강에는 약 15~20초가 소요되었다.[7]

착함 장비로는 히류와 동일한 표준 배열을 따르는 9개의 Type 4 전기 작동식 체포 와이어가 설치되었다(앞쪽 3개, 뒤쪽 6개). 이 장비는 6000kg 무게의 항공기가 60~78 노트의 속도로 착함할 때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었다. 또한, 3번째 충돌 방지 장치가 추가되었고, 함교 바로 앞쪽에는 가벼운 접이식 방풍 스크린이 설치되었다.[4]

상부 격납고는 길이 190m, 폭 20m, 높이는 약 4.8m였고, 하부 격납고는 길이 160m, 폭 20m, 높이는 약 4.8m였다. 두 격납고를 합친 총 면적은 약 7000m2였다.[8] 격납고 공간은 소류급에 비해 크게 늘어나지는 않아서, 통상 운용 가능한 항공기는 72대, 예비기 12대를 포함하여 총 84대로 소류급보다 9대 많은 수준이었다. 다만, 소류급과 달리 예비 항공기를 분해하지 않고 보관할 수 있어 즉시 투입 가능한 시간을 단축했다.[8]

2. 5. 무장

쇼카쿠의 주된 대공 무장은 89식 12.7cm/40구경 양용포 16문으로, 2문씩 묶인 연장 포좌 8기에 장착되었다. 이 포의 구경은 127mm였다. 이 포들은 비행갑판 아래, 선체 양쪽 측면에 돌출된 구조물(스폰슨)에 설치되었다. 각 측면에 4개의 포대가 있었고, 앞쪽에 2개, 뒤쪽에 2개가 배치되었다. 포의 조준을 돕는 사격 통제 장치는 총 4개가 설치되었는데, 왼쪽 측면(좌현)에 2개, 오른쪽 측면(우현)에 2개가 있었다. 추가로 함교 꼭대기에도 사격 통제 장치 1개가 더 있어서, 필요에 따라 이 127mm 포 전체 또는 일부를 통제할 수 있었다.[4]

초기 경대공 무장으로는 25mm 구경의 96식 25mm 대공포 12문이 3연장 포좌 형태로 설치되었다.[4] 이후 대공 능력 강화를 위해 여러 차례 증설이 이루어졌다:

  • 1942년 6월: 3연장 25mm 포 6문 추가. 배의 앞부분(선수)과 뒷부분(선미)에 각각 2문씩, 함교의 앞뒤에 1문씩 배치되었다. 선수와 선미에 새로 설치된 포 그룹에는 각각 95식 사격 통제 장치가 함께 설치되었다.
  • 1942년 10월: 3연장 25mm 포 1문씩 선수와 선미에 추가.
  • 1944년 6월 이전: 1문씩 단독으로 설치된 단장 포좌 10문 추가. 이는 필리핀 해 해전 이전에 이루어졌다.

3. 역사

쇼카쿠는 야마토급 전함 1번함 야마토, 2번함 무사시와 함께 제3차 함선 보충 계획(③계획)으로 건조되어 야마토와 거의 같은 시기에 준공되었다. 미국에식스급이나 영국의 일러스트리어스급처럼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종료 후 설계되어 필요 충분한 장비를 갖춘 대형 항공모함으로 완성되었다[35]。자매함 즈이카쿠와 함께 작전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쇼카쿠가 손상을 입는 경우가 더 잦았다[36][37]

쇼카쿠는 진주만 공격, 실론 해전, 산호해 해전, 제2차 솔로몬 해전, 산타크루즈 해전(남태평양 해전) 등 태평양 전쟁의 주요 해전에 참가하며 일본 제국 해군 기동 부대의 주력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1944년 마리아나 해전에서 미국 해군 잠수함의 공격을 받아 격침되었다. 주요 연혁은 아래와 같다.

날짜내용
1937년 12월 12일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기공.
1939년 6월 1일진수.
1941년 8월 8일취역.
1941년 8월 25일제5항공전대 편입.
1941년 12월 8일진주만 공격 참가.
1942년 1월 20일~1월 21일라바울 및 라에 공략 참가.
1942년 4월 5일~4월 9일인도양 기습(실론 해전) 참가.
1942년 5월 7일산호해 해전 참가. 중파.
1942년 6월 17일구레 해군 공창에서 수리 시작.
1942년 8월 24일제2차 솔로몬 해전 참가. 손상.
1942년 10월 26일산타크루즈 해전(남태평양 해전) 참가. 대파.
1944년 6월 19일마리아나 해전에서 미국 해군 잠수함 카바라(USS Cavalla)의 뇌격으로 침몰.
1945년 8월 20일제적.


3. 1. 제2차 세계 대전



쇼카쿠급 항공모함은 야마토급 전함 건조 계획의 일부로 추진되었다. 1936년 12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이 만료되면서 일본 제국 해군은 조약의 제약 없이 고속, 긴 항속 거리, 강력한 방어력, 대규모 항공기 탑재 능력 등 원하는 성능을 항공모함 설계에 반영할 수 있게 되었다. 쇼카쿠는 이러한 요구사항에 따라 설계되어 1937년 12월 12일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기공, 1939년 6월 1일 진수되었고, 1941년 8월 8일 취역했다.

쇼카쿠는 기준 배수량 약 약 32513504.00kg, 최고 속도 34kn에 달하는 성능을 갖추었으며, 70~80대의 함재기를 탑재할 수 있었다. 특히 동시대 연합군 항공모함에 비해 강화된 방어력 덕분에 산호해 해전과 산타크루즈 해전(남태평양 해전)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고도 침몰하지 않고 생존할 수 있었다.[3]

쇼카쿠의 강력한 대공 무장은 8기의 89식 12.7cm/40구경 양용포 연장 포좌에 장착된 16문의 127mm 포로 구성되었다. 이 포들은 비행갑판 아래 선체 측면에 돌출된 스폰슨에 설치되었으며, 4개의 사격 통제 장치가 이를 통제했다.[4] 초기 경대공 무장은 12문의 3연장 25mm 96식 25mm 대공포였으나[4], 1942년 6월 3연장 6문, 10월에 3연장 2문이 추가되었고, 1944년 6월 마리아나 해전 직전에 단장 포좌 10문이 추가되어 대공 화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1941년 8월 취역 후, 쇼카쿠는 자매함 즈이카쿠와 함께 제5항공전대를 이루어 태평양 전쟁의 주요 해전에 참전했다. 진주만 공격을 시작으로 1942년 1월 라바울 공략, 3~4월 인도양 기습(실론 해전) 등 초기 작전에 참여했다. 5월 산호해 해전에서는 세계 최초의 항공모함 간 전투를 치렀으며, 이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어 미드웨이 해전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자매함 즈이카쿠에 비해 쇼카쿠가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잦았다.[36][37]

수리 후 복귀하여 8월 제2차 솔로몬 해전, 10월 산타크루즈 해전(남태평양 해전)에 참가하여 미 항모 호넷 격침에 기여했지만, 또다시 심각한 피해를 입고 수리를 위해 전선을 이탈해야 했다. 이처럼 쇼카쿠는 여러 차례 큰 피해를 입었음에도 수리를 거쳐 복귀하며 일본 해군 기동 부대의 주력으로 활약했다.

1943년에는 알류샨 열도 방면 작전에 배정되었으나 작전 취소 후 주로 트루크에 기지를 두었다. 1944년에는 린가 제도로 이동하여 제1기동함대에 배속되었다.

1944년 6월 19일, 마리아나 해전에 참가 중이던 쇼카쿠는 미국 해군 잠수함 카바라(USS Cavalla)의 어뢰 공격을 받았다. 항공기 연료 보급 및 재무장 중 어뢰 3~4발이 우현에 명중하여[237][238][239] 항공 연료가 유폭하면서 대규모 화재가 발생했고, 통제 불능 상태에 빠졌다. 결국 쇼카쿠는 북위 11도 40분, 동경 137도 40분 해역에서 침몰했다. 이 전투에서 함장 마츠바라 히로시 대령을 포함한 570명은 구조되었으나 1,272명의 승무원이 함선과 운명을 함께했다.[2] 쇼카쿠는 1945년 8월 20일 제적되었다.

3. 1. 1. 진주만 공격 (1941년 12월)

1941년 8월 8일 취역한 쇼카쿠는 같은 달 8월 25일 자매함 즈이카쿠와 함께 제5항공전대에 편입되었다. 두 항공모함은 진주만 공격 직전에 함재기 탑재를 완료했다. 각 항공모함의 함재기 편성은 미쓰비시 A6M 제로 전투기 18대, 아이치 D3A 발 급강하 폭격기 27대, 나카지마 B5N 케이트 뇌격기 27대로 구성되었다.

미쓰비시 A6M2 제로 전투기(전투기대 지휘관: 가네코 타다시)가 진주만 공격을 준비하는 모습.


쇼카쿠와 즈이카쿠는 나구모 주이치가 지휘하는 일본 제국 해군 연합 함대의 주력 항공모함 타격 부대인 기동 부대에 합류하였다. 1941년 11월 26일 히토캇푸 만(단관만)을 출격하여, 12월 8일 (일본 시간 기준) 진주만 공격에 참가하였다. 이 공격은 태평양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으며, 쇼카쿠는 이 작전을 시작으로 일본 제국 해군의 주요 해상 작전에 참여하게 된다.

3. 1. 2. 인도양 작전 (1942년 3~4월)

1942년 3월, 쇼카쿠는 인도양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3월 7일 요코스카를 출격한 직후 미국 기동부대 출현 정보에 따라 일본 동쪽 해역으로 이동했다가 조우하지 못하고 3월 16일 요코스카로 귀환했다.

3월 17일 다시 출항하여 3월 24일 술라웨시 섬 스털링 만에 도착, 나구모 기동 부대에 합류했다[100]。3월 27일, 제5항공전대 소속으로 기동 부대와 함께 스털링 만을 출항하여 인도양으로 진출했다. 이 작전은 실론 해전으로 이어졌다.

4월 5일, 쇼카쿠를 포함한 나구모 기동 부대는 실론 섬콜롬보 항구를 공습했다. 이 공격으로 항구 시설이 큰 피해를 입었으나, 쇼카쿠 소속 함상폭격기 1기가 돌아오지 못했다。같은 날, 기동 부대는 영국 중순양함 콘월과 도싯셔를 발견하여 격침시키는 데 기여했다.

4월 9일에는 트린코마리를 공습하고, 인근 해상에서 영국 항공모함 허미스와 호주 구축함 뱀파이어를 격침했다. 특히 허미스 공격 시 쇼카쿠 함상 폭격대는 18기 중 13발을 명중시키는 높은 명중률(72%)을 기록했다[101]

그러나 일본 제국 해군 함대는 수색 능력의 한계로 영국 해군 동양 함대의 주력 부대를 찾아내지 못해 더 큰 전과를 올릴 기회를 놓쳤다. 작전 중이던 4월 10일, 구축함 아키구모와 오보로는 제5항공전대에서 제외되었다[102]

3. 1. 3. 산호해 해전 (1942년 5월)

1942년 3월 26일 솔로몬 해전과 4월의 인도양 기습 작전을 마친 후, 쇼카쿠와 즈이카쿠로 구성된 일본 해군 제5항공전대는 트루크로 이동하여 뉴기니의 포트모르즈비 점령을 목표로 한 모 작전을 지원하게 되었다.

1942년 5월 7일, 쇼카쿠는 산호해 해전에 참가했다. 5월 8일, 쇼카쿠의 함재기는 미국 해군 항공모함 렉싱턴을 격침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동시에 미국 해군 항공모함 요크타운과 렉싱턴에서 발진한 급강하 폭격기들의 공격을 받아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 해전은 '''세계 최초의 항공모함 대 항공모함 전투'''로 기록되었다. 쇼카쿠는 총 세 발의 폭탄에 명중당했는데, 첫 번째는 좌현 함수 부분, 두 번째는 비행갑판 우현 선수 부분, 세 번째는 함교 바로 뒤쪽이었다.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했으나 진화되었다. 쇼카쿠는 산호해 해전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향상된 방어 설계 덕분에 침몰하지는 않았다.[3]

1942년 5월 8일, 산호해 해전미국 해군 요크타운 함재기의 공격을 받는 쇼카쿠. 우현에서 폭탄 근접 폭발로 인한 물기둥이 보이며, 함선은 우현으로 급선회하고 있다.


심각한 피해로 인해 쇼카쿠는 수리를 위해 일본으로 귀환해야 했다. 귀환 도중, 미국 해군 잠수함의 추격을 피하기 위해 고속으로 항해하는 과정에서 손상된 함수 부분으로 많은 양의 바닷물이 들어차고 악천후와 겹쳐 전복될 뻔한 위기를 겪기도 했다. 1942년 5월 17일 구레에 도착했고, 6월 17일부터 구레 해군 공창에서 본격적인 수리에 들어갔다. 수리는 열흘 만에 완료되었고, 2주 후인 7월 14일 제1항공전대에 재배치되었다.[9]

쇼카쿠는 수리 기간과 이 전투에서 입은 함재기 및 승무원 손실 때문에 자매함 즈이카쿠와 함께 미드웨이 해전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3. 1. 4. 제2차 솔로몬 해전 (1942년 8월)

산호해 해전에서의 손상 수리를 마치고 전선에 복귀한 ''쇼카쿠''는 자매함 즈이카쿠 및 경항공모함 즈이호와 함께 제1항공전대로 재편성되었다. 1942년 8월 24일, 제1항공전대는 제2차 솔로몬 해전(동부 솔로몬 해전)에 참가했다. 이 전투에서 ''쇼카쿠''의 함재기는 미국 해군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에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쇼카쿠'' 역시 ''엔터프라이즈''에서 발진한 급강하폭격기의 공격을 받아 손상을 입었고, 이로 인해 인근 헨더슨 비행장을 포격하려던 계획은 저지되었다.

3. 1. 5. 남태평양 해전 (1942년 10월)

동부 솔로몬 해전 이후, 쇼카쿠와 자매함 즈이카쿠는 경항공모함 즈이호와 함께 제1항공전대로 재편성되었다. 제1항공전대는 1942년 10월 26일 벌어진 산타크루즈 해전에 참가했다. 이 해전에서 쇼카쿠의 함재기는 미국 해군 항공모함 USS 호넷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데 기여했다(''호넷''은 이후 포기되었고, 일본 구축함 마키구모와 아키구모에 의해 격침되었다).

그러나 쇼카쿠 역시 ''호넷''과 USS 엔터프라이즈에서 발진한 15대의 SBD 돈틀리스 급강하 폭격기 편대로부터 최소 3발(일부 기록에는 최대 6발)의 약 453.59kg 폭탄을 맞고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한 달 전에 설치된 21형 레이더가 접근하는 미군 항공기를 조기에 감지하여 경보를 울렸고, 덕분에 갑판의 급유 담당 승무원들은 폭탄이 터지기 전에 항공 휘발유 라인을 비우고 정화할 시간을 벌 수 있었다. 이는 태평양 전쟁 중 많은 항공모함 침몰의 원인이었던 치명적인 항공 휘발유 화재와 폭발로부터 쇼카쿠를 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공격 당시 쇼카쿠에 탑재된 함재기가 거의 없었던 점도 운이 좋았다. 그 결과 심각한 항공 휘발유 화재는 발생하지 않았고 함선의 내항성은 유지되었다.

산타크루즈 해전 중 미군 폭격으로 화재가 발생한 쇼카쿠 비행갑판에서 승무원들이 소화 작업을 하고 있다.


하지만 폭격으로 인해 비행 갑판과 격납고가 크게 파손되어, 쇼카쿠는 해전의 나머지 기간 동안 더 이상 항공 작전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7][10] 쇼카쿠는 수리를 위해 일본 본토로 귀환해야 했고, 이로 인해 수개월 동안 전선에서 이탈하게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다른 태평양 방어 작전에서 일본군의 항공 전력 부족을 심화시키는 한 요인이 되었다.

3. 1. 6. 마리아나 해전 (1944년 6월) 및 침몰

1944년 초, 쇼카쿠는 싱가포르 남쪽 린가 제도에 배치되었다. 3월 1일, 일본 해군은 제1기동함대 (사령장관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를 편성했고[229], 오자와 중장은 처음에는 쇼카쿠를 기함으로 삼았으나[230], 3월 10일 신예 장갑 항공모함 다이호가 제1항공전대에 편입되면서[232] 4월 15일 기함을 다이호로 옮겼다[234]. 당시 제1항공전대는 쇼카쿠, 즈이카쿠, 다이호 3척의 대형 항모로 구성되었다[231].

6월 15일, 미국군의 사이판 섬 상륙에 대응하여 일본군은 "''A-Go''" 작전을 발동, 마리아나 해전이 시작되었다. 쇼카쿠는 오자와가 이끄는 기동 부대의 일원으로 출격했다. 당시 쇼카쿠의 항공 전력은 제로식 함상 전투기 34대, 텐잔 함상 공격기 12대(정찰기 3대 포함), 스이세이 함상 폭격기 18대, 2식 함상 정찰기 10대, 99식 함상 폭격기 3대로 총 77대였다[235]. 쇼카쿠가 속한 기동 부대 본대는 대형 항모 3척과 중순양함 2척(하구로, 묘코), 경순양함 1척(야하기)에 비해 호위 구축함이 7척(아사구모, 이소카제, 우라카제, 하츠즈키, 아키즈키, 와카츠키, 시모츠키)에 불과하여 방어력이 부족한 상태였다[236].

6월 19일 11시 20분경[237], 쇼카쿠는 항공기 발진 및 연료 보급 작업을 하던 중 미국 해군 잠수함 카바라(USS Cavalla, SS-244)가 발사한 어뢰 6발 중 3발 또는 4발[237][238][239]이 우현에 명중했다. 카바라는 이미 17일 저녁부터 오자와 기동 부대를 발견하고 추적하며 공격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241][242]. 카바라 측 기록에 따르면 일본 함대는 잠수함의 접근을 전혀 눈치채지 못했고, 약 1000m 거리까지 접근하여 어뢰를 발사했다고 한다[236][241].

어뢰 명중으로 쇼카쿠는 3축 운전 상태가 되고 전력이 끊겼으며 속도가 크게 떨어졌다[241]. 함내에서는 좌현에 물을 채워 기울기를 바로잡으려 했으나, 오히려 과도한 주수로 좌현으로 기울어졌다[241]. 또한 함수부에 명중한 어뢰로 인해 함수가 크게 가라앉았고 엘리베이터도 고장났다. 피격 시 기화된 항공 연료가 함내에 가득 찼고[237], 이것이 인화되어 대규모 폭발과 화재가 발생했다[243]. 결국 쇼카쿠는 14시 1분[244]에서 14시 10분[245] 사이에 북위 11도 40분, 동경 137도 40분 지점에서 함수부터 급격히 가라앉으며 침몰했다. 침몰 직전, 비행 갑판 후부에 모여 있던 승무원 다수가 배가 앞으로 기울면서 엘리베이터 구멍으로 떨어져 희생되었다. 이 전투로 쇼카쿠 승무원 1,272명이 전사했다[246]. 함장 마츠바라 히로시 대령을 포함한 570명은 경순양함 야하기[247]와 구축함 우라카제[248], 와카츠키, 하츠즈키[249]에 의해 구조되었다[2]. 쇼카쿠는 취역한 지 2년 10개월 만에 최후를 맞았다[250].

쇼카쿠 침몰 직후, 기동 부대 기함이었던 다이호 역시 미 잠수함 앨버코어(USS Albacore, SS-218)의 뇌격으로 인한 화재와 폭발로 침몰했다[238][242]. 다음 날인 6월 20일에는 미군 공습으로 항공모함 히요와 유조선 2척이 격침되었고, 즈이카쿠, 준요, 치토세, 치요다, 하루나, 마야 등 다수의 함선이 손상을 입었다[251]. 마리아나 해전에서 쇼카쿠, 다이호, 히요 등 주력 항모 3척을 잃으면서 일본 해군은 항모 기동 부대로서의 작전 능력을 사실상 상실하게 되었다[251]. 쇼카쿠 생존자들은 구조된 후 자매함 즈이카쿠나 중순양함 마야 등으로 옮겨져 일본 본토로 귀환했다[252].

쇼카쿠는 1945년 8월 31일, 다른 주력함들과 함께 제국 군함적에서 공식적으로 제적되었다[253].

4. 함장

(작성할 내용 없음)

5. 동형함

쇼카쿠급 항공모함은 쇼카쿠즈이카쿠 두 척으로 구성된다. 이 두 함선은 외형이 매우 유사하여 식별이 어려웠으며, 심지어 함선에 탑승하는 승조원들조차 착함 시 혼동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전해진다.[64][66][69][71][167][209][218][254]

두 함선을 구별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었지만, 시기에 따라 유효성이 달랐다.


  • 함교 구조물: 초기에는 함교 바로 뒤 메인 마스트 중앙에 설치된 확성기(스피커) 유무로 구별할 수 있었다. 쇼카쿠는 이 위치에 스피커가 있었지만, 진주만 공격 당시에는 두 함선 모두 같은 위치에 스피커를 갖추고 있었다. 1942년 말, 쇼카쿠가 이 스피커를 함교 좌측 벽으로 이전하면서 이 식별 방법은 특정 짧은 기간에만 유효하게 되었다.
  • 비행 갑판 식별 기호: 비행 갑판 앞부분에는 대공 식별을 위해 가타카나 대문자로 함선 이름의 첫 글자를 표기했다. 쇼카쿠는 'シ'(시), 즈이카쿠는 'ス'(스)라고 적혀 있었다.


이 외에도 야마토무사시처럼 소속된 항구(예: 오나, 요코스카 등)의 차이로 구별할 수 있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Bōeichō Bōei Kenshūjo
[2] 웹사이트 Japanese Navy Ships – ''Shokaku'' (Aircraft Carrier, 1941–1944) https://web.archive.[...] U.S. Naval Historical Center 2008-02-13
[3] 서적 Stille
[4] 서적 Brown
[5] 서적 Brown
[6] 서적 Brown
[7] 서적 Brown
[8] 서적 Stille
[9] 서적 Stille
[10] 웹사이트 Japanese Repair Ships http://www.combinedf[...]
[11] 문서 내령昭和17년5월(1)
[12] 문서 전사총서31해군군전비1
[13] 문서 쇼와20년8월 쇼와20년11월 해군공보(종전관계)
[14] 문서 함정특무함정적일람표
[15] 문서 전사총서31해군군전비1
[16] 문서 항공모함 일반계획요령서 부현황조사
[17] 문서 해군제도연혁권팔
[18] 문서 항공모함 일반계획요령서 부현황조사
[19] 문서 항공모함 일반계획요령서 부현황조사
[20] 문서 쇼와조선사1
[21] 문서 항공모함 일반계획요령서 부현황조사
[22] 문서 항공모함 일반계획요령서 부현황조사
[23] 문서 일본공모이야기
[24] 문서 항공모함 일반계획요령서 부현황조사
[25] 문서 항공모함 일반계획요령서 부현황조사
[26] 문서 항공모함 일반계획요령서 부현황조사
[27] 문서 일본공모이야기
[28] 문서 항공모함 일반계획요령서 부현황조사
[29] 문서 항공모함 일반계획요령서 부현황조사
[30] 서적 전사총서10 하와이작전
[31] 문서 항공모함 일반계획요령서 부현황조사
[32] 문서 달쇼와14년5월
[33] 문서 해군제도연혁(권8, 1940)
[34] 문서 내령쇼와18년9월(6)
[35] 서적 조함테크놀로지의 싸움
[36] 書籍 続海軍くろしお
[37] 書籍 空母瑞鶴生涯
[38] 書籍 海軍歴史巻之23船譜(1)
[39] 法令 達大正10年2月
[40] 法令 達大正10年3月
[41] 法令 達大正9年4月
[42] 法令 達大正9年4月
[43] 法令 達大正10年10月
[44] 法令 達大正10年10月
[45] 문서 艦船要目公表範囲(昭和17年12月31日)
[46] 문서 新艦起工予定及同造船所名の件
[47] 문서 加賀空母改造件
[48] 문서 大正12年雑款
[49] 法令 達大正12年11月
[50] 法令 達大正12年11月
[51] 法令 達大正12年11月
[52] 書籍 空母二十九隻
[53] 書籍 空母二十九隻
[54] 書籍 空母二十九隻
[55] 문서 S1612五航戦(参考)
[56] 문서 S1612五航戦(参考)
[57] 문서 艦船要目公表範囲(昭和17年12月31日)
[58] 書籍 続海軍くろしお
[59] 書籍 続海軍くろしお
[60] 法令 海軍制度沿革(巻8、1940)
[61] 신문 Shin Sekai Asahi Shinbun 1939.05.23、新世界朝日新聞/nws_19390523 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62] 신문 Shin Sekai Asahi Shinbun 1939.06.02、新世界朝日新聞/nws_19390602 スタンフォード大学フーヴァー研究所
[63] 書籍 海軍美談
[64] 공문서 昭和15年5月21日(発令5月2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481号
[65] 공문서 昭和15年5月23日(木)海軍公報(部内限)第3509号
[66] 공문서 昭和15年10月15日(発令10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543号
[67] 공문서 昭和17年11月24日(発令11月2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994号
[68] 공문서 昭和18年8月16日(発令8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191号
[69] 공문서 昭和15年10月15日(発令10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543号
[70] 공문서 昭和15年11月15日(発令11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555号
[71]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6年4月17日(発令4月17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622号 1941-04-17
[72]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6年7月12日(土)海軍公報(部内限)第3843号 1941-07-12
[73]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6年8月8日(発令8月8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686号 1941-08-08
[74]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6年8月27日(水)海軍公報(部内限)第3882号 1941-08-27
[75]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6年9月11日(木)海軍公報(部内限)第3895号 1941-09-11
[76]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6年9月13日(土)海軍公報(部内限)第3897号 1941-09-13
[77] 문서 昭和17年度帝国海軍戦時編制・駆逐隊他
[78] 문서 昭和17年度帝国海軍戦時編制・駆逐隊他
[79] 문서 昭和17年度帝国海軍戦時編制
[80] 문서 川崎戦歴
[81]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6年11月21日(金)海軍公報(部内限)第3951号 1941-11-21
[82] 문서 真珠湾攻撃時の機動部隊の編制
[83] 서적 面白いほどよくわかる太平洋戦争 日本文芸社
[84] 문서 S1612五航戦(参考)
[85] 문서 S1612五航戦(経過)
[86] 문서 S1612五航戦(経過)
[87] 문서 S1701五航戦(経過)
[88] 문서 叢書49南東方面
[89] 문서 S1701五航戦(経過)
[90] 문서 叢書49南東方面
[91] 문서 S1701五航戦(経過)
[92] 문서 S1701五航戦(経過)
[93] 문서 S1701五航戦(参考)
[94] 서적 戦史叢書第29巻 北東方面海軍作戦
[95] 서적 戦史叢書第29巻 北東方面海軍作戦
[96] 서적 戦史叢書第29巻 北東方面海軍作戦
[97] 서적 戦史叢書第29巻 北東方面海軍作戦
[98] 서적 戦史叢書第29巻 北東方面海軍作戦
[99] 서적 戦史叢書第29巻 北東方面海軍作戦
[100] 문서 続海軍くろしお
[101] 문서 続海軍くろしお
[102] 문서 S1704五航戦(経過)
[103] 문서 叢書49南東方面
[104] 문서 叢書49南東方面
[105] 문서 叢書49南東方面
[106]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07]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08]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09] 서적 S1612馬公警備府日誌(5)
[110]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11] 서적 太平洋の試練(下)
[112]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13] 서적 太平洋の試練(下)
[114] 서적 続海軍くろしお
[115]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16]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17]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18] 서적 海軍くろしお(文庫)
[119]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20] 서적 太平洋の試練(下)
[121]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22] 서적 完本太平洋戦争上
[123] 서적 完本太平洋戦争上
[124] 서적 続海軍くろしお
[125] 서적 太平洋の試練(下)
[126]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27]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28]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29] 서적 続海軍くろしお
[130]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31] 서적 太平洋の試練(下)
[132]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33]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34]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35] 서적 太平洋の試練(下)
[136] 서적 海軍軍医日記抄, 続海軍くろしお
[137]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38] 서적 太平洋の試練(下)
[139] 서적 海軍美談, 続海軍くろしお
[140] 서적 海軍軍医日記抄
[141] 서적 海軍美談、続海軍くろしお
[142]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43] 서적 第7駆逐隊詳報
[144] 서적 軍医官日記
[145] 서적 第七駆逐隊
[146]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47] 서적 太平洋の試練(下)
[148] 서적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49] 기록 昭和18年3月25日(木)海軍公報(部内限)第4349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50] 서적 叢書38中部太平洋(1)
[151] 서적 日本海軍の驕り症候群 下 中公文庫
[152] 서적 戦史叢書43巻ミッドウェー海戦
[153] 서적 S1705五航戦(経過)
[154] 서적 S1705五航戦(令達2)
[155] 서적 海軍美談
[156] 서적 海軍美談
[157] 서적 続海軍くろしお
[158] 서적 海軍美談、続海軍くろしお
[159] 서적 続海軍くろしお
[160] 서적 海軍美談
[161] 서적 海軍くろしお(文庫)
[162] 기록 昭和17年10月27日(発令10月26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972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3] 기록 昭和18年1月6日(発令1月6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025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4] 기록 昭和18年2月25日(発令2月2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059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5] 기록 昭和19年8月11日(発令8月5日付)海軍辞令公報(甲)第1560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6] 서적 海軍美談
[167] 기록 昭和17年5月25日(発令5月2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66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8] 기록 昭和17年6月22日(発令6月2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86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9] 기록 昭和18年9月1日(発令9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203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70]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71] 서적 叢書49南東方面
[172] 서적 S1707佐鎮日誌(4)
[173] 서적 続海軍くろしお
[174] 기록 昭和17年7月14日(発令7月14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99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75] 기록 昭和17年7月14日(発令7月14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99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76] 간행물 昭和17年7月22日(水)海軍公報(部内限)第4148号 p.38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77] 간행물 叢書49南東方面
[178] 간행물 機動部隊支隊の作戦-龍驤の沈没 叢書49南東方面
[179] 간행물 本隊の作戦 叢書49南東方面
[180] 간행물 第一次攻撃 叢書49南東方面
[181] 간행물 第二次攻撃 叢書49南東方面
[182] 간행물 戦果及び被害 叢書49南東方面
[183] 간행물 金龍丸及び睦月の沈没 叢書49南東方面
[184] 간행물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185] 간행물 続海軍くろしお
[186] 간행물 海軍美談、続海軍くろしお
[187] 간행물 続海軍くろしお
[188] 간행물 戦史叢書第83巻 南東方面海軍作戦<2>ガ島撤収まで
[189] 간행물 戦史叢書第83巻 南東方面海軍作戦<2>ガ島撤収まで、日本空母戦史
[190] 간행물 日本空母戦史
[191] 간행물 南雲艦隊の航進体系 連合艦隊の栄光(角川)
[192] 간행물 早くも瑞鳳脱落 空母機動部隊(2010)
[193] 간행물 海軍美談、続海軍くろしお
[194] 간행물 続海軍くろしお
[195] 간행물 運命をになって 続海軍くろしお
[196] 간행물 海軍美談、続海軍くろしお
[197] 간행물 翔鶴沈没を救ったもの 海軍くろしお(文庫)
[198] 간행물 海軍美談
[199] 간행물 原(復刻版)
[200] 간행물 燃料計はついにゼロをさす 空母二十九隻
[201] 간행물 続海軍くろしお
[202] 간행물 昭和17年10月29日(木)海軍公報(部内限)号外 p.32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3] 간행물 S1711七戦隊日誌(1) p.22
[204] 간행물 海軍美談
[205] 간행물 続海軍くろしお
[206] 간행물 海軍軍医日記抄
[207] 간행물 勝利の裏にあるもの 続海軍くろしお
[208] 간행물 昭和17年11月11日(発令11月1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985号 p.47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9] 간행물 昭和18年2月16日(発令2月16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054号 p.45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10] 간행물 昭和18年2月15日(発令2月12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053号 p.27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11] 文書 S1803五十航戦日誌経過
[212] 書籍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213] 書籍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214] 書籍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215] 書籍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216] 文書 S1806二水戦日誌(5)
[217] 文書 S1806二水戦日誌(5)
[218] アーカイブ 昭和18年11月18日(発令11月17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264号 https://www.jacar.go[...]
[219] 文書 S1806二水戦日誌(5)
[220] 文書 S1806二水戦日誌(6)
[221] 文書 S1812二水戦日誌(1), S1812十戦隊日誌(1)
[222] 文書 S1812十戦隊日誌(1)
[223] 文書 S1812十戦隊日誌(1)
[224] 文書 S1812十戦隊日誌(1), 同部隊戦時日誌
[225] 文書 S1812十戦隊日誌(2)
[226] 文書 S1812十戦隊日誌(3)
[227] 文書 S1812十戦隊日誌(3)
[228] 文書 S1812十戦隊日誌(4)
[229] アーカイブ 昭和19年3月1日(発令3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352号 https://www.jacar.go[...]
[230] 文書 第1機動部隊日誌
[231] 文書 第1機動艦隊戦時日誌
[232] 文書 第1機動部隊日誌
[233] 文書 S1812十戦隊日誌(4)
[234] 文書 S1812十戦隊日誌(5)
[235] 文書 あ号作戦翔鶴詳報
[236] 書籍 完本太平洋戦争上
[237] 書籍 空母二十九隻
[238] 書籍 サイパン・レイテ海戦記
[239] 書籍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240] 書籍 空母二十九隻
[241] 書籍 撃沈戦記II
[242] 書籍 ニミッツの太平洋海戦史
[243] 書籍 空母二十九隻
[244] 文書 あ号作戦詳報(1)
[245] 雑誌 週刊『栄光の日本海軍パーフェクトファイル』(No.21)
[246] 서적 撃沈戦記II
[247] 서적 あ号作戦詳報(2)
[248] 서적 あ号作戦詳報(2)
[249] 서적 空母二十九隻
[250] 서적 続海軍くろしお
[251] 서적 完本太平洋戦争上
[252] 서적 あ号作戦戦時日誌(1)
[253] 간행물 海軍公報 第5175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5-09-03
[254] 간행물 海軍辞令公報甲(部内限)第1522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44-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