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뇨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뇨관은 신장에서 방광으로 소변을 운반하는 약 20~30cm 길이의 관 모양 구조이다. 요관은 신우에서 시작하여 골반 가장자리를 지나 방광으로 연결되며, 직경은 1.5~6mm이다. 수뇨관은 요관 결석, 방광요관역류, 폐색, 암, 손상 등 다양한 임상적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의료 영상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치료는 결석 제거, 역류 방지, 폐색 완화, 암 제거 또는 손상 복구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줌 - 배뇨
    배뇨는 비뇨기계를 통해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생리 현상으로, 요의를 느끼고 뇌의 제어를 받아 이루어지며, 사회문화적 측면과 관련될 뿐 아니라 배뇨 관련 질병 및 장애도 존재한다.
  • 오줌 - 야뇨증
    야뇨증은 5세 이상 아동이 3개월 이상, 주 2회 이상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소변을 보는 증상으로, 야간성, 주간성, 일차성, 이차성으로 나뉘며 유전적 요인, 중추신경계 미성숙, 스트레스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며 행동, 알람, 약물 치료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
  • 비뇨계 - 오줌
    오줌은 신장에서 혈액을 여과하여 생성되는 액체 노폐물로, 체내 수용성 노폐물 배출과 삼투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건강 상태 지표가 될 수 있는 색깔, 냄새, pH, 비중 등을 가진다.
  • 비뇨계 - 방광
    방광은 골반저에 위치하여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속이 빈 근육 기관으로, 요관과 요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배뇨근으로 팽창과 수축을 하고, 뇌간의 배뇨 중추에 의해 배뇨가 조절된다.
  • 배설 - 요소 (화학)
    요소는 화학식 CO(NH₂)₂을 가지는 무색무취의 결정성 화합물로, 포유류와 양서류의 소변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비료, 목재 패널 제조, 배기가스 저감, 단백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1828년 뵐러에 의해 무기물에서 합성된 최초의 유기 화합물이다.
  • 배설 - 호흡
    호흡은 생명체가 생존을 위해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과정으로, 세포 호흡과 외호흡으로 나뉘며, 호흡 기관과 뇌간의 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며, 환경적 요인과 건강 관리에 영향을 받는다.
수뇨관
개요
요로계
요로계. 요관(4번)은 소변을 운반하고 신장을 방광에 연결하는 관이다.
라틴어ureter
그리스어οὐρητήρ (ourētḗr)
전구체요관싹
계통비뇨계
상세 정보
동맥상방광동맥
질동맥
콩팥동맥의 요관 가지
신경요관 신경얼기
림프림프관

2. 구조

''혈관:''
8. 신동맥 및 신정맥, 9. 하대정맥, 10. 복부 대동맥, 11. 총장골동맥 및 총장골정맥
''투명도 포함:''
12. , 13. 대장, 14. 골반]]

요관은 신우에서 방광으로 이어지는 약 20cm 길이의 관으로, 평활근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복막 뒤에서 여러 구조물과 만나면서 방광으로 이어진다.[1] 요관은 방광 뒤쪽에서 비스듬히 들어가는데, 이 부분을 방광요관 접합부라고 한다.[3][15]

2. 1. 위치 및 주행 경로

요관은 어른의 경우 약 20cm 길이의 관 모양의 구조로, 각 신장신우에서 방광으로 연결된다.[15] 신우에서 시작하여 요근 위로 내려가 골반 가장자리에 도달하며, 총장골동맥 앞에서 교차한다. 그런 다음 골반 측면을 따라 내려가 마지막으로 앞으로 굽어 방광 뒤쪽의 좌우에서 방광으로 들어간다.[1] 요관은 지름이 1.5mm이며,[15] 방광에 들어가기 직전 끝 부분에서 1cm의 평활근 층으로 둘러싸여 있다.[1]

요관은 방광 뒤쪽 표면에서 들어가 슬릿 모양의 '요관 구멍'에서 바깥쪽 뒤쪽 표면에서 각도를 이루며 방광으로 들어간다. 요관은 1.5cm 이동한다.[1][2] 이 위치는 방광요관 접합부라고도 한다.[3] 수축된 방광에서 요관 구멍은 약 25mm 떨어져 있으며 내요도구와 비슷한 거리에 있다. 팽창된 방광에서는 이러한 측정값이 약 50mm까지 증가할 수 있다.[1]

요관이 신장에서 방광으로 내려가는 경로에서 요관 위, 옆, 주변을 통과하는 여러 구조가 있다.[1] 윗부분에서 요관은 요근 위를 지나고 복막 바로 뒤에 위치한다. 요근을 따라 내려가면서 생식대퇴신경 위를 지난다. 하대정맥과 복부 대동맥은 각각 오른쪽 및 왼쪽 요관의 정중선에 위치한다.[1] 복부 아랫부분에서 오른쪽 요관은 하부 장간막과 말단 회장 뒤에 위치하며, 왼쪽 요관은 공장과 S상 결장 뒤에 위치한다.[1] 요관이 골반으로 들어가면 결합 조직으로 둘러싸이고 뒤쪽과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내장골동맥과 내장골정맥 앞에서 통과한다. 그런 다음 안쪽과 앞으로 이동하여 제, 하방광, 중간 직장 동맥을 가로지른다.[1] 수컷의 경우 정관 아래를 지나 정낭 앞으로 지나 삼각 부근의 방광으로 들어간다.[1] 여성의 경우 요관은 난소 뒤로 지나 자궁 광인대 아랫부분 정중선에서 이동한다. 짧은 부분 동안 자궁 동맥은 2.5cm 동안 위를 통과한다. 그런 다음 자궁 경부를 지나 안쪽으로 방광을 향해 이동한다.[1]

2. 2. 혈액 공급

수뇨관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은 수뇨관의 주행 경로에 따라 다르다. 신장에 가장 가까운 수뇨관 윗부분 3분의 1은 신동맥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는다.[1] 수뇨관의 중간 부분은 총장골동맥, 복부 대동맥에서 직접 분지되는 동맥, 그리고 생식선 동맥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는다.[15] 생식선 동맥은 남성의 경우 고환 동맥이고 여성의 경우 난소 동맥이다.[1] 방광에 가장 가까운 수뇨관 아랫부분 3분의 1은 내장골 동맥의 가지, 주로 상방광 동맥과 하방광 동맥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는다.[15] 동맥 공급은 가변적일 수 있으며, 기여하는 동맥으로는 중직장 동맥, 복부 대동맥에서 직접 분지되는 동맥, 그리고 여성의 경우 자궁 동맥과 질 동맥이 있다.[1]

수뇨관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은 수뇨관의 바깥막 내 혈관 네트워크로 끝난다.[15] 수뇨관 동맥 사이에는 많은 연결(anastamoses|애나스타모시스영어)이 있으며,[1] 특히 바깥막에서 그렇기 때문에,[4] 하나의 혈관 손상은 수뇨관의 혈액 공급을 손상시키지 않는다.[1][4]

2. 3. 림프 배출

림프는 점막하, 근육 내 및 바깥막 림프관에 모인다.[1] 신장에 더 가까운 림프관은 신장 수집 림프관으로 배출되고, 생식선 혈관 근처의 대동맥 옆 림프절로 배출된다.[1] 수뇨관의 중간 부분은 오른쪽의 우측 부대정맥 및 대동맥간 림프절과 왼쪽의 좌측 대동맥 옆 림프절로 배출된다.[15] 하부 수뇨관의 림프는 총장골 림프절로 배출되거나, 골반에서 총장골 림프절, 외장골 림프절, 또는 내장골 림프절로 배출될 수 있다.[1]

2. 4. 신경 분포

수뇨관은 신경 얼기(신경총)를 형성하는 신경에 의해 풍부하게 공급되는데, 이 신경 얼기는 수뇨관의 바깥막에 위치하는 요관 신경총이다.[1] 이 신경총은 여러 개의 신경근(T9–12, L1, S2-4)에서 직접 형성될 뿐만 아니라, 다른 신경총과 신경에서 갈라져 나온 가지로도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뇨관 상부 1/3은 신장 신경총과 복부 대동맥 신경총에서 신경 가지를 받으며, 중간 부분은 상부 상위 하복 신경총과 신경에서 가지를 받고, 하부 요관은 하부 하복 신경총과 신경에서 가지를 받는다.[1] 신경총은 바깥막에 위치하며, 이러한 신경들은 개별 다발로 이동하여 작은 혈관을 따라 요관 신경총을 형성한다.[1] 신장 가까이에서는 감각이 드물고 방광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한다.[1]

요관의 감각은 척수의 T11 - L2 분절에서 나오는 신경에 의해 제공된다.[1] 요관의 경련이나 결석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면, 연관통은 T11 - L2의 피부 분절 부위, 즉 복부의 등과 옆구리, 음낭(남성) 또는 큰 음순(여성) 및 허벅지 앞부분으로 나타날 수 있다.[1]

2. 5. 미세 해부학

수뇨관의 현미경 횡단면. 상피(보라색 세포)가 강 옆에 있으며, 상피를 둘러싼 많은 근육 섬유와 바깥쪽의 모험막이 보인다.


수뇨관은 팽창에 반응하는 이행 상피의 일종인 요로 상피로 덮여 있다. 이행 상피는 이완 시 원주 상피 세포층으로, 팽창 시 편평 상피 세포로 나타난다. 상피 아래에는 고유층이 있는데, 혈관, 정맥, 림프관이 산재한 탄성 섬유가 많은 느슨한 결합 조직이다. 수뇨관은 내측 종주 근육층과 외측 환상 또는 나선형 근육층의 두 근육층으로 둘러싸여 있다.[5][6] 수뇨관 하부 1/3에는 세 번째 근육층이 있다.[6] 이 층 바깥쪽에는 혈관, 림프관, 정맥을 포함하는 모험막이 있다.[6]

2. 6. 발생

요관은 성인의 경우 약 20cm의 튜브형 구조로, 각 신장의 신우에서 방광으로 연결된다. 신우에서 시작하여 요근 위로 내려가 골반 가장자리에 도달하며, 총장골동맥 앞에서 교차한다. 이후 골반 측면을 따라 내려가다 앞으로 굽어 방광 뒤쪽 좌우에서 방광으로 들어간다.[1] 요관의 직경은 방광에 들어가기 직전 끝 부분에서 평활근 층으로 둘러싸여 있다.[1]

요관은 요관 싹에서 발달하며, 이는 중신관에서 튀어나온 것이다. 중신관은 초기 배아에서 발견되는 중배엽에서 파생된 관이다.[7]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싹은 길어져 주변 중배엽 조직으로 이동하고, 팽창하여 왼쪽과 오른쪽 요관으로 나뉜다. 이 싹으로부터의 연속적인 분열은 요관뿐만 아니라 신장의 신우, 주요 및 부 신배, 집합관을 형성한다.[7]

중신관은 발달 과정에서 총배설강과 연결되며, 총배설강은 요생식동과 항문직장관으로 갈라진다.[7] 방광은 요생식동에서 형성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광이 커지면서 원시 요관의 주변 부분을 흡수한다.[7] 요관이 방광으로 들어가는 지점은 발달 중인 배아에서 신장의 상방 이동으로 인해 위쪽으로 이동한다.[7]

3. 기능

요관은 비뇨기계의 구성 요소이다.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은 요관을 따라 방광으로 이동한다. 이는 연동 운동이라고 하는 규칙적인 수축을 통해 이루어진다.[1]

의료 초음파에서 요관을 통해 방광(큰 검은색 부분)으로 들어가는 소변 흐름을 보여주는 모습

4. 임상적 의의

신장 결석은 신장에서 이동하여 요관 내부에 걸리면서 소변 흐름을 막아 등, 옆구리, 하복부에 심한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8] 신성 산통이라고 불리는 이 통증은 최대 2시간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10] 영향을 받은 신장은 수신증을 유발할 수 있다.[8]

요관 결석은 주로 다음 세 곳에 잘 생긴다.


  • 요관과 신우가 만나는 곳
  • 장골 혈관이 요관을 교차하는 곳
  • 요관이 방광에 들어가는 곳[8]


그러나 의학 영상을 통한 연구에서는 장골 혈관 교차 지점에 결석이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결과도 있었다.[9]

대부분의 결석은 칼슘 옥살레이트나 인산 칼슘과 같은 칼슘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복부 CT 스캔으로 대부분의 결석을 찾을 수 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를 사용해 통증을 관리한다.[10] 작은 결석(4mm 미만)은 저절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큰 결석은 쇄석술이 필요할 수 있고, 합병증이 있으면 수술로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10]

방광요관역류는 방광에서 요관으로 체액이 거꾸로 흐르는 질환으로, 어린이에게서 요로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11] 어린이의 최대 28~36%에서 나타나며, 도플러 요로 초음파 등 다양한 영상 촬영법으로 진단한다.[11] 검사 방법 선택과 시기, 원인균 등에 따라 미국, 유럽 연합(EU), 영국 지침이 다르다.[11] 대부분의 방광요관역류는 저절로 좋아지기 때문에, 예방적 항생제 사용이나 수술 권장에 대한 국제 지침 간 차이가 있다.[11] 수술을 고려하는 경우, 주로 코헨 교차 삼각 재이식술을 시행한다.[11]

수뇨관 폐색은 수뇨관 내부 협착, 주변 구조물 압박, 섬유화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13] 협착은 수뇨관 결석, 암, 자궁내막증, 결핵, 주혈흡충증 등에 의해, 압박은 변비나 후복막 섬유증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13] 선천성 기형으로 인해 수뇨관 협착이 생기기도 하는데, 여기에는 수뇨관 중복, 이소성 수뇨관, 요관류 등이 있다.[12], [13] 신장 이식이나 방광요관역류 수술 후에도 수뇨관이 좁아질 수 있다.[14], [15]

수뇨관이 좁아지면 수뇨관 확장과 신장 부종(수신증)이 생길 수 있다.[12] 재발성 감염, 통증, 혈뇨, 신장 기능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12] 요로 초음파, CT, 핵의학 영상 등으로 원인을 찾고, 수뇨관 재이식, 확장, 수뇨관 스텐트 삽입 등으로 치료한다.[12], [13], [16] 원인 제거가 불가능하면 소변을 직접 장루 주머니로 배출하는 신루를 시행하기도 한다.[17]

수뇨관암은 수뇨관의 암으로, 대개 요로상피암이며, 40세 이후 남성에게서 더 흔하다.[18] 흡연과 방향족 아민, 알데히드 등 염료 노출이 위험 요인이다.[18] 주요 증상은 혈뇨이며, 이행 상피 세포 암종이 대부분이지만, 만성 염증으로 인해 편평 상피 세포 암종이 생기기도 한다.[18]

세포 검사, CT 요로 조영술, 초음파 검사 등으로 검사하고, 요관경 검사로 병변을 확인하고 생검을 한다.[18] 흉부, 복부, 골반 CT 스캔으로 전이 여부를 확인하고, 종양 병기에 따라 수뇨관과 신장 제거 개복 수술이나 요관경 검사를 통한 제거를 할 수 있다.[18] 종양 등급에 따라 예후가 달라지며, 궤양성 병변은 예후가 더 나쁘다.[18]

수뇨관 손상은 복부 관통상, 고속 자동차 사고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19] 자궁절제술과 같은 수술 중에도 손상될 수 있는데,[20] 특히 난소 지지 인대나 자궁 동맥 근처에서 발생한다.[21]

4. 1. 요관 결석

약 ×× 크기에 의 무게를 가진 거대한 수뇨관 결석으로, 19세 남성의 왼쪽 요관에서 추출


신장 결석은 신장에서 이동하여 요관 내부에 걸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변의 흐름이 막히면서 등, 옆구리 또는 하복부에 심한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8] 통증은 종종 최대 2시간 동안 파도처럼 나타났다가 가라앉는데, 이를 신성 산통이라고 한다.[10] 영향을 받은 신장은 신장의 일부가 소변 흐름의 막힘으로 인해 부어오르면 수신증을 유발할 수 있다.[8]

전통적으로 요관에는 신장 결석이 흔히 걸리는 세 곳이 있다고 설명한다.

  • 요관이 신우와 만나는 곳
  • 장골 혈관이 요관을 교차하는 곳
  • 요관이 방광에 들어가는 곳[8]


그러나 의학 영상을 기반으로 한 결석의 위치에 대한 후향적 사례 연구는 장골 혈관이 교차하는 지점에 많은 결석이 나타나지 않았다.[9]

대부분의 결석은 칼슘 옥살레이트 및 인산 칼슘과 같은 칼슘을 함유한 화합물이다. 첫 번째 권장 검사는 거의 모든 결석을 감지할 수 있는 복부 CT 스캔이다. 관리에는 종종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를 사용한 진통이 포함된다.[10] 작은 결석(4mm 미만)은 자연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더 큰 결석은 쇄석술이 필요할 수 있고, 수신증이나 감염과 같은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제거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10]

4. 2. 방광요관역류

방광요관역류는 방광에서 요관으로 체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11] 이 질환은 특히 어린이들에게서 요로 감염과 관련될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역류는 어린이의 최대 28~36%에서 나타난다.[11] 이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도플러 요로 초음파를 포함한 다양한 의료 영상 촬영법이 사용된다. 어떤 검사 방법을 선택할지는 어린이가 요도 카테터를 받을 수 있는지, 배변 훈련을 받았는지 등에 따라 달라진다.[11] 어린이가 처음으로 질병에 걸렸을 때 이러한 검사를 할지, 아니면 나중에 할지, 그리고 원인균이 ''E. coli''인지 등 다른 요인에 따라 미국, 유럽 연합(EU), 영국 지침이 다르다.[11]

관리 방법 또한 다양한데, 예방적 항생제 사용 여부 및 수술 권장 여부와 같은 문제에 대해 국제 지침 간의 차이가 있다.[11] 그 이유는 대부분의 방광요관역류가 저절로 좋아지기 때문이다.[11] 수술을 고려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요관을 방광의 다른 부위에 다시 연결하고, 방광 벽 안에 있는 요관의 부분을 연장하며, 가장 흔한 수술 방법은 코헨 교차 삼각 재이식술이다.[11]

4. 3. 요관 폐색

수뇨관의 폐색 또는 막힘은 수뇨관 내부의 협착, 수뇨관 주변 구조물의 압박 또는 섬유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13] 협착은 수뇨관 결석, 암 관련 덩어리, 자궁내막증, 결핵, 주혈흡충증과 같은 기타 병변의 결과일 수 있다.[13] 변비 및 후복막 섬유증과 같이 수뇨관 외부에 있는 것들도 수뇨관을 압박할 수 있다.[13] 일부 선천성 기형 또한 수뇨관 협착을 유발할 수 있다. 수뇨관 및 요로의 선천성 질환은 유아의 10%에 영향을 미친다.[12] 여기에는 수뇨관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중복(이중 수뇨관), 또는 두 번째로 불규칙하게 위치한(이소성) 수뇨관의 형성,[12] 또는 방광과의 연결 부위가 기형이거나 요관류가 발생하는 경우(보통 해당 위치에서)가 포함된다.[13] 신장 이식 또는 방광요관역류에 대한 과거 수술과 같이, 수술의 결과로 수뇨관이 재위치된 경우 해당 부위가 좁아질 수 있다.[14][15]

좁아진 수뇨관은 수뇨관 확장(확장)을 유발하고 신장 부종(수신증)을 유발할 수 있다.[12] 관련 증상으로는 재발성 감염, 통증 또는 혈뇨가 있을 수 있으며, 검사 시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12] 이는 수술이 필요한 상황으로 간주된다.[12] 요로 초음파, CT 또는 핵의학 영상을 포함한 의료 영상 검사가 많은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된다.[12][13] 여기에는 수뇨관을 방광의 새로운 위치에 다시 삽입(재이식)하거나 수뇨관을 확장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12] 수뇨관 스텐트를 삽입하여 폐색을 완화할 수 있다.[16] 원인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 신루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신우에 연결되어 소변을 직접 장루 주머니로 배출하는 튜브를 삽입하는 것이다.[17]

4. 4. 요관암

수뇨관의 은 수뇨관암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대개 수뇨관 표면을 덮는 세포인 요로상피의 암으로 인해 발생한다. 요로상피암은 40세 이후에 더 흔하며,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이 걸린다.[18]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흡연과 방향족 아민 및 알데히드와 같은 염료에 대한 노출이 있다.[18] 암이 있을 때 가장 흔한 증상은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이며, 늦은 시기가 아니면 증상이 없거나 신체 진찰도 정상이거나 거의 정상이기도 하다.[18] 수뇨관암은 대부분 수뇨관을 덮고 있는 세포의 암인 이행 상피 세포 암종으로 인해 발생하지만, 드물게 요도 안을 덮는 세포 유형이 결석 또는 주혈흡충증과 같은 만성 염증으로 인해 변화한 경우 편평 상피 세포 암종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18]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검사에는 세포 검사라는 현미경 검사를 위한 소변 검체 채취와 CT 요로 조영술 또는 초음파 검사를 이용한 영상 의학 검사가 포함된다.[18] 문제가 있는 병변이 관찰될 경우, 병변을 관찰하고 생검을 하기 위해 요관경 검사라는 유연한 카메라를 요관에 삽입할 수 있으며, 다른 신체 부위(흉부, 복부 및 골반의 CT 스캔)의 CT 스캔을 수행하여 전이성 병변의 유무를 확인한다.[18] 암의 종양 병기를 정한 후, 치료에는 침범된 수뇨관과 신장을 제거하는 개복 수술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병변이 작은 경우 요관경 검사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18] 예후는 종양 등급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궤양성 병변의 경우 예후가 더 나쁘다.[18]

4. 5. 요관 손상

수뇨관 손상은 복부 관통상, 고속으로 달리다 갑작스럽게 멈추는 경우(예: 고속 자동차 사고) 등에 발생할 수 있다.[19] 수뇨관은 주변 구조물에 대한 수술 중 손상될 수 있다.[20] 질식 자궁절제술의 경우 10,000건당 2건, 복식 자궁절제술의 경우 10,000건당 13건에서 손상되며,[20] 대개 난소 지지 인대 근처 또는 자궁 동맥 근처에서 수뇨관이 자궁 동맥의 혈관과 가깝게 지나가는 부위에서 발생한다.[21]

5. 영상 검사

수뇨관과 요로를 보기 위해 여러 형태의 의료 영상 기술이 사용된다.[22] 초음파 검사는 신장과 신우의 수신증으로 인해 막힘의 증거를 보여줄 수 있다.[22] 수뇨관을 더 잘 보여주기 위해 조영제정맥 내로 주사하는 것을 포함한 CT 스캔과, 병변을 더 잘 보여주기 위해 조영제를 사용하는 CT 스캔은 양성 병변과 악성 병변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22] 조영제를 수뇨관이나 신장으로 직접 주사할 수도 있는데, 전방성 신우 조영술은 조영제를 신우에 직접 주사하는 것이고, 역행성 신우 조영술은 카테터를 통해 요로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수뇨관으로 역류시키는 것이다.[22] 더 침습적인 영상 기술로는 유연한 내시경을 요로에 삽입하여 수뇨관을 관찰하는 요관경 검사가 있다.[23] 요관경 검사는 덜 침습적인 제거 방법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중/대형 결석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23]

6. 다른 동물에서의 요관

모든 척추동물은 복부 뒤쪽에 위치한 두 개의 신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신장은 소변을 생성하고 소변 내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24] 수뇨관은 양막류 (포유류, 조류파충류)에 존재하는 구조이다.[24] 이러한 동물들은 후신에서 파생된 성체 신장을 가지고 있으며, 신장과 연결되어 소변을 배설하는 관이 수뇨관이다.[24] 태반 포유류에서 수뇨관은 방광과 연결되며, 여기서 소변은 요도를 통해 배출된다.[25] 단공류에서는 소변이 수뇨관에서 총배설강으로 흐른다.[26] 수뇨관은 수컷 태반 포유류에서는 정관의 복측에 위치하지만, 유대류에서는 정관의 배측에 위치한다.[27]

7. 역사

"수뇨관"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οὖρον|ouron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소변"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히포크라테스 시대에 처음 사용되어 요도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8] 수뇨관의 해부학적 구조는 서기 40년에 기록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 천 년 이상 동안 "수뇨관"과 "요도"라는 용어는 서로를 지칭하는 데 다양하게 사용되었다.[28] 바르톨로메오 에우스타키와 자크 뒤부아와 같은 해부학자들이 1550년대에 이르러서야 현대 영어에서 수뇨관과 요도라고 부르는 것을 구체적이고 일관되게 지칭하는 데 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28] 그 이후 19세기와 20세기에는 수뇨관염 및 수뇨관 조영술과 같은 구조와 관련된 여러 용어가 만들어졌다.[28]

수뇨관


신장 결석은 기록된 역사 기록이 존재하는 기간만큼이나 오래전부터 확인되고 기록되었다.[29] 수뇨관을 포함한 요로와 신장에서 소변을 배출하는 기능은 갈레노스에 의해 서기 2세기에 기술되었다.[30]

수술이 아닌 내시경적 접근 방식인 수뇨관경 검사를 통해 수뇨관을 처음으로 검사한 사람은 1929년 햄프턴 영이었다.[29] 이 기술은 VF 마샬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그는 1964년에 광섬유를 기반으로 한 유연한 내시경의 최초 사용을 발표했다.[29] 수뇨관과 요로를 우회하여 신우에 배액관을 삽입하는 신루술은 1941년에 처음 기술되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이전 2천 년 동안 사용된 요로계 내의 개복 수술 접근 방식과는 크게 달랐다.[29]

수뇨관의 최초 방사선 영상은 X선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초기 X선의 낮은 출력으로는 뚜렷한 영상을 얻기에 충분히 복부를 투과할 수 없었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었다.[31] 1908년 에드윈 허리 펜윅이 X선에 보이는 물질로 덮인 튜브를 수뇨관에 삽입하는 기술을 개척했고, 20세기 초에는 요로에 외부에서 조영제를 주입(역행성 신우 조영술)했을 때 더 유용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31] 불행히도, 이전의 역행성 신우 조영술은 대부분 또는 요오드화 나트륨을 기반으로 한 조영제로 인해 신장이 심각하게 손상되는 합병증을 겪었다.[31] 1929년 Hryntshalk는 정맥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신장과 배설될 때 요로를 강조하는 정맥 내 요로 조영술 개발을 개척했다.[31] 모세스 스윅과 레오폴트 리히트비츠가 1920년대 후반에 상대적으로 무독성 조영제를 개발하면서 상황이 개선되었지만, 누가 주요 발견자인지에 대한 출판을 둘러싼 논란이 있었다.[31] 토스텐 알멘이 1969년에 다른 염분 농도를 가진 호수에서의 수영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된 독성이 덜한 저삼투압 조영제를 기반으로 획기적인 논문을 발표하면서 영상 촬영과 관련된 부작용이 더욱 개선되었다.[31]

참조

[1]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2]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3] 서적 Essentials of Nephrology, 2/e https://books.google[...] BI Publications Pvt Ltd 2009
[4] 서적 Campbell-Walsh Urology Elsevier
[5] 서적 Human histology Elsevier Mosby 2005
[6] 서적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a text and colour atlas. Elsevier 2013-11-04
[7] 서적 Langman's medical embryology Wolters Kluwer 2019
[8]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9] 논문 Third Place: Stones Lodge at Three Sites of Anatomic Narrowing in the Ureter: Clinical Fact or Fiction? 2013-03
[10]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Elsevier 2018
[11] 논문 Vesicoureteric reflux in children https://macpeds.mcma[...] 2020-07-06
[12]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Elsevier 2018
[13] 웹사이트 Ureteral obstruction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0
[14] 논문 Ureteral stenosi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1999-10-01
[15] 서적 Smith's textbook of endourology John Wiley & Sons Ltd
[16] 논문 Ureteric stents: Overview of current clinical applications and economic implications 2019-09-23
[17] 논문 Nursing care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 nephrostomy https://www.nursingt[...] 2019-10-14
[18]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Elsevier 2018
[19] 논문 An update on urotrauma 2015-07
[20] 논문 Management of iatrogenic ureteral injury 2014-06
[21] 웹사이트 Ureteral Trauma http://emedicine.med[...] Medscape 2012-04-11
[22]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Elsevier 2018
[23] 웹사이트 Ureteroscopy https://www.kidney.o[...] 2020-07-04
[24] 서적 Vertebrates : comparative anatomy, function, evolution McGraw-Hill 2019
[25] 서적 Hyman's Comparative Vertebrate Anatom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09-15
[26] 서적 Vertebrate Biology: Systematics, Taxonomy, Natural History,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20-08-04
[27] 서적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hysiology of Mammal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1-10
[28] 논문 Uro-words making history: Ureter and urethra 2010
[29] 논문 The History of Urinary Stones: In Parallel with Civilization 2013
[30] 논문 The history of urologic surgery: from reeds to robotics. 2011
[31] 서적 The History of Radiology OUP Oxford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