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수꽃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수꽃다리는 '꽃이 마치 수수 꽃처럼 피어 있다'는 의미의 한국 고유어 이름으로,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자라는 식물이다. 잎은 마주나며 달걀 모양이고, 4-5월에 옅은 자주색 꽃이 무리지어 피며 향기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 9월에 맺힌다. 대한민국 중북부 지방에서 정원수로 흔히 심으며, 설악산 공룡능선 등지에서 자생한다. 중국 지린성 및 랴오닝성에도 분포하며, 여러 품종이 재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수꽃다리속 - 라일락
    라일락은 물푸레나무과 라일락속에 속하는 관상용 낙엽 활엽수 관목으로, 다양한 색상의 향기로운 꽃을 피우며 정원수로 널리 재배되고, 향수 원료 및 식용으로도 활용된다.
  • 수수꽃다리속 - 개회나무
    개회나무는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의 낙엽수로, 늦봄에서 초여름 사이 흰색의 향기로운 꽃이 피며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목재와 꽃, 뿌리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이 필요하다.
수수꽃다리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수수꽃다리
학명Syringa oblata subsp. dilatata
명명자(나카이) P.S.Green & M.C.Chang
이명Syringa dilatata
이명 명명자Nakai
수수꽃다리속
물푸레나무과
꿀풀목
미분류_목국화군
미분류_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_문속씨식물군
식물계
영어 이름Korean early lilac
기타
참고 자료Syringa oblata subsp. Dilatata (Nakai) P.S.Green & M.C.Chang — the Plant List
한국 자생 식물 영어 이름
다른 뜻수수꽃다리 (드라마)
다음 백과수수꽃다리

2. 이름

수수꽃다리는 ‘꽃이 마치 수수 꽃처럼 피어 있다’라는 뜻의 순 한국말이다.[6]

학명 ''Syringa oblatala'' var. ''dilatatala''에서 속명 ''Syringala''는 '피리' 또는 '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syrinx|시링크스grc''에서 유래했는데, 속이 빈 줄기로 피리를 만들었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요정 Syringa|시링가grc갈대로 변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5] 종소명 ''Oblatala''는 현대 라틴어 ''oblatusla''에서 유래했으며 '양쪽 끝이 약간 납작한, 타원형, 편평한'을 뜻하고, 변종명 ''Dilatatala''는 '넓어진', '퍼진', 또는 '팽창된'을 의미한다.[5]

3. 형태

수수꽃다리는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높이 1m~3m[2] 또는 최대 5m까지 자라며[3] 가지가 많다.[6][2]

비슷한 식물인 라일락은 원산지가 유럽이며, 꽃이 수수꽃다리보다 크고 향기가 강하다. 수수꽃다리는 개회나무, 털개회나무와 같은 여섯에서 여덟 종의 형제나무를 거느리고 있는데, 이들은 서로 매우 닮아 전문가가 아니면 구별하기 어렵다고 한다. 옛사람들은 수수꽃다리 꽃을 좋아하여 따로 구분하지 않고 중국 이름을 그대로 받아들여 정향(丁香)이라 불렀다고 한다.[6]

3. 1. 잎

잎은 마주나며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6] 모양은 난형에서 난상 원형,[2] 또는 넓은 심장 모양이며[3] 밑부분은 절단형에서 넓은 쐐기꼴 모양이고, 드물게 약간 심장형일 때도 있다. 잎 끝은 뾰족하며[3] 짧거나 긴 점첨두 형태를 이룬다.[2] 길이는 3cm–10cm[2] (혹은 최대 8cm[3]), 너비는 2.5cm–8cm이다. 잎은 어릴 때는 청동색을 띠다가 광택이 있는 중간 녹색으로 변하며, 가을에는 자주색[3] 또는 '와인색'으로 물든다.[2]

3. 2. 꽃

은 4-5월 무렵[6] 또는 늦봄인 5월에서 6월 사이에[2] 옅은 자주색으로 무리지어 피며 향기가 있다.[6] 원추꽃차례는 옆에서 나고(측생, 側生) 느슨하며, 크기는 5cm~10cm[2] 또는 12cm[3] x 8cm이다.[2] 꽃부리는 라일락[2][3]에서 붉은 라일락색 또는 보라색 라일락색을 띠며, 때로는 흰색을 띤다. 통의 길이는 1cm~1.7cm (드물게 2.2cm까지)이다. 엽(꽃잎)은 장타원형이며 크기는 5mm~8mm (때로는 10mm)이다. 수술은 꽃부리 통의 중간에 삽입된다.[2]

비슷한 식물인 라일락은 원산지가 유럽이며, 꽃이 수수꽃다리보다 크고 향기가 더 강하다. 수수꽃다리의 꽃을 좋아했던 옛사람들은 따로 구분하지 않고 중국 이름을 그대로 받아들여 정향(丁香)이라 불렀다고 한다.[6]

3. 3. 열매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蒴果) 형태로, 씨방이 여러 개 들어있다. 크기는 7mm에서 12mm 정도이며 드물게 15mm까지 자라기도 한다. 9월에 열매를 맺는다.[2]

4. 생태

수수꽃다리는 더위에 약한 편이며, 주로 석회암 지대나 고산지 암석 지대와 같이 자갈이 많은 환경에서 자생한다.[6][2] 대한민국에서는 중북부 지방을 중심으로 정원수로도 흔히 심는다.

4. 1. 자생지

수수꽃다리는 더위에 약해 한국 중북부 지방에서 정원수로 흔하게 심는다. 설악산 공룡능선에서도 널리 자생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특히 공룡능선에서 가장 높은 1275봉 바위 꼭대기에서도 자란다. 고산지 암석 지대라는 자생 환경 탓인지, 자생지에서는 일반 정원수보다 키가 작으며, 5월 말에서 6월 초에 꽃을 피운다. 북한의 황해도 동북부와 평남함남석회암 지대에 걸쳐 자란다.[6] 자갈이 많은 산의 해발 100m에서 700m 고도에서 자생한다.[2]

4. 2. 분포

북한의 황해도 동북부와 평남함남석회암 지대에 걸쳐 자생한다.[6] 중국에서는 지린성랴오닝성에 분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설악산 공룡능선 일대의 고산지 암석 지대에서 자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공룡능선에서 가장 높은 1275봉 바위 꼭대기에서도 자란다. 자생지의 환경 탓인지 정원수보다 키가 작은 편이며, 설악산 자생지에서는 5월 말에서 6월 초에 꽃을 피운다.

더위에 약해 한국 중북부 지방에서 정원수로 흔하게 심기도 하며, 전국적으로 분포한다.[2]

5. 재배

널리 재배된다. 주목할 만한 품종으로는 다음이 있다.[2]


  • '비치우드'
  • '샤이엔'
  • '도날디이'
  • '나카이'
  • '와일드 파이어'

6. 어원

수수꽃다리는 ‘꽃이 마치 수수 꽃처럼 피어 있다’라는 뜻의 순 한국말이다.[6]

학명 중 ''Oblata''는 현대 라틴어 oblatusla에서 유래했으며, '양쪽 끝이 약간 납작한, 타원형, 편평한'을 의미한다. ''Dilatata''는 '넓어진', '퍼진', 또는 '팽창된'을 의미한다. 속명인 ''Syringa''는 '피리' 또는 '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syrinx|시링크스el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속이 빈 줄기를 사용하여 피리를 만들었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요정 Syringa|시링가el갈대로 변했다는 이야기가 있다.[5]

7. 유사종

비슷한 식물인 라일락은 원산지가 유럽이며, 꽃이 수수꽃다리보다 크고 향기가 강하다. 수수꽃다리는 개회나무, 털개회나무와 같은 여섯에서 여덟 종의 형제나무를 거느리고 있는데, 이 식물들은 특징이 너무 닮아서 전문가가 아니면 구분하기 거의 불가능하다고 한다. 수수꽃다리의 꽃을 좋아하는 옛사람들은 이들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중국 이름을 그대로 받아들여 정향(丁香)이라 불렀다고 한다.[6]

참조

[1] 웹사이트 Syringa oblata subsp. Dilatata (Nakai) P.S.Green & M.C.Chang — the Plant List http://www.theplantl[...]
[2] 서적 Lilacs: a gardener's encyclopedia Timber Press 2008
[3] 서적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A-Z of Garden Plants (Volume 2: K-Z) Dorling Kindersley Ltd. 2008
[4]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12-24
[5] 서적 The Names of Pla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6] 웹인용 수수꽃다리 http://100.daum.net/[...] 2015-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