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위스 통일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위스 통일전쟁은 1847년 스위스에서 일어난 내전으로, 자유주의 성향의 연방 정부와 보수적인 가톨릭 칸톤들의 동맹인 존더분트 간의 갈등으로 발발했다. 전쟁의 배경에는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 이후 스위스 내 정치적, 종교적 갈등 심화가 있었으며, 특히 개신교와 자유주의 세력, 가톨릭과 보수주의 세력 간의 대립이 주요 원인이었다. 존더분트는 1845년 결성되어 연방 정부의 중앙 집권화 시도에 반대하며, 1847년 연방 의회의 해산 명령에 불복하면서 내전이 시작되었다. 앙리 뒤푸르 장군의 지휘 아래 연방군은 주요 거점을 점령하며 승리했고, 1848년 존더분트는 해체되었다. 전쟁 결과, 새로운 스위스 연방 헌법이 제정되어 연방 정부의 권한이 강화되었고, 예수회는 추방되었다. 또한, 유럽의 혁명 발발로 열강의 개입을 막아 스위스는 연방 국가 체제를 확립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7년 분쟁 - 멕시코-미국 전쟁
    멕시코-미국 전쟁은 1846년부터 1848년까지 텍사스 합병과 영토 분쟁으로 인해 미국과 멕시코 간에 벌어진 전쟁이며, 미국이 승리하여 멕시코로부터 광대한 영토를 할양받는 결과를 가져왔다.
  • 스위스가 참전한 전쟁 - 부르고뉴 전쟁
    부르고뉴 전쟁은 1474년부터 1477년까지 용담공 샤를의 부르고뉴 공국과 스위스 연방을 비롯한 여러 세력 간의 분쟁으로, 샤를의 패배와 전사, 부르고뉴 공국의 분할, 스위스 용병의 명성, 보병 중심 전술의 부각을 가져왔다.
  • 스위스가 참전한 전쟁 -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제4차 대프랑스 동맹은 아우스터리츠 전투 이후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이 붕괴되자 영국, 프로이센, 러시아, 작센, 스웨덴이 나폴레옹의 영향력 확대를 저지하기 위해 결성한 동맹으로, 틸지트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나 나폴레옹 전쟁 확대로 이어졌다.
스위스 통일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존더분트 전쟁 지도 (영어)
존더분트 전쟁 지도
날짜1847년 11월 3일 ~ 11월 29일
장소스위스
결과스위스 연방의 승리
존더분트 해체
1848년 연방 헌법 발효
교전 세력
교전국 1스위스 연방
아르가우주
아펜첼 AR
바젤란트주
바젤슈타트주
베른주
제네바주
글라루스주
그라우뷘덴주
샤프하우젠주
장크트갈렌주
졸로투른주
투르가우주
티치노주
보주
취리히주
교전국 2존더분트
프리부르주
루체른주
니트발덴주
옵발덴주
슈비츠주
우리주
발레주
추크주
지휘관 및 지도자
스위스 연방기욤 앙리 뒤푸르
존더분트요한 울리히 폰 잘리스조글리오
병력 규모
스위스 연방99,000명
존더분트79,000명
사상자 및 피해
스위스 연방60명 사망
386명 부상
존더분트33명 사망
124명 부상

2. 전쟁의 배경

1815년 빈 회의에서 스위스는 중립국으로 인정받았으나, 자유주의 및 급진주의 세력과 보수주의 세력 간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특히 개신교가 우세한 주와 로마 가톨릭이 우세한 주 간의 종교적 갈등은 정치적 대립으로 이어졌다.

1840년대에 이르러 개신교 중심의 자유주의 세력은 중앙집권적인 연방 국가를 지향하며 새로운 헌법 제정을 추진했다. 반면, 가톨릭 중심의 보수주의 세력은 주의 자치권을 옹호하며 이에 반대했다. 이러한 갈등은 1845년 가톨릭 7개 주가 존더분트를 결성하면서 내전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당시 스위스 연방 의회는 자유주의 세력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들은 존더분트가 1815년 연방 조약을 위반했다고 판단하여 해산을 명령했다. 그러나 존더분트는 이를 거부했고, 프랑스오스트리아 등 주변 국가들의 지원을 기대했으나 영국의 반대로 무산되면서 결국 연방군과의 무력 충돌이 불가피해졌다.

2. 1. 사상 갈등

1840년대 개신교를 믿는 자유주의급진주의 세력은 중앙집권적인 연방 국가를 지향하며 새로운 헌법 제정을 추진했다. 이들은 주로 도시의 부르주아 계층을 기반으로 했다. 반면, 가톨릭을 믿는 보수주의 세력은 주의 자치권을 옹호하며 이에 반대했다. 이들은 주로 농촌 지역을 기반으로 했다.[4]

19세기 초 종교 분포


1840년대 초, 개신교가 우세한 칸톤에서 강세를 보인 스위스 자유민주당은 연방 의회에서 다수당이 되어 여러 칸톤을 더 긴밀하게 묶는 새로운 스위스 연방 헌법을 제안했다. 그러나 보수적인 도시 귀족과 가톨릭이 우세한 칸톤의 산악 또는 '원조 스위스'는 1843년에 새로운 헌법에 반대하며 1845년에 손더분트 동맹을 결성했다.[4]

1841년 연방 의회가 아르가우에서 수도원과 수녀원의 폐쇄 및 재산 몰수를 하자,[5] 루체른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같은 해 예수회를 불러 교육을 담당하게 했다. 그러자 무장한 급진주의자들이 칸톤을 침략했는데, 이는 주로 시골 칸톤이 울트라몬타니즘의 거점이었기 때문이었다.

1847년 10월 21일, 타크자퉁의 자유주의 다수는 손더분트 해산을 명령하는 투표를 했다. 이들은 손더분트가 별도의 동맹을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1815년 연방 조약 제6조를 위반했다고 간주했다.[6]

1815년의 빈 회의 조약에 따라, 주요 열강들은 새로운 스위스 헌법을 보장했으며, 필요하다는 데 모두 동의하면 개입할 권리를 가졌다. 이 시점에서 오스트리아프랑스는 보수적인 가톨릭 세력이었으며, 스위스 보수주의자들을 돕고 싶어했다. 그러나 영국 수상인 헨리 존 템플, 제3대 펄머스턴 자작은 자유주의를 지지하고 예수회의 추방을 원했기 때문에 어떤 개입도 거부했다.[6][7]

자유화와 민주화에 대항하기 위해 1845년 12월, 보수파 7개 칸톤(우리, 슈비츠, 옵발덴, 루체른, 추크, 프리부르, 발레)이 "보호 동맹"을 결성했다. 자유주의파는 이를 연방을 분리시키는 존재인 "'''분리 동맹'''"으로 간주하고, 1846년 8월 연방 회의에서 해산을 요구했다.

그러나 10월, 제네바에서 자유파의 혁명이 일어나고, 장크트갈렌에서도 선거에서 자유파가 승리하여 연방 회의에서 자유파가 과반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1847년 7월의 연방 회의에서 분리 동맹의 해산, 예수회 수도사 추방을 결정했다.

"분리 동맹"이 해산을 거부했기 때문에 같은 해 10월, 연방은 군사 행동에 나섰다. 연방은 스위스 인구의 75%, 재원 비율의 90%를 차지하고 있었고, "분리 동맹"은 이웃 국가인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으로부터의 원조를 기대했지만, 영국이 개입에 부정적이었기 때문에 실현되지 않았다.

2. 2. 종교 갈등

1841년 아르가우주 정부는 연방 협정(1815년 헌법)이 수도원 재산권을 보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가톨릭 수도원들의 해체를 명령하면서 종교 갈등이 격화되었다.[4] 이에 1843~44년 7개 가톨릭 주는 연방협정을 따르지 않는 모든 주와의 관계를 단절하기로 합의했다.

1844년 루체른주예수회를 초빙하여 종교 교육을 담당하게 한 것은 개신교를 믿는 주들의 광범위한 대중의 분노를 촉발시켰다.[4]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1845년 가톨릭 성향의 7개 주들이 존더분트를 결성하는 결과를 낳았고, 스위스는 내전 상태에 돌입하게 되었다.[4]

2. 3. 존더분트 결성

1844년 루체른주예수회를 초청하여 종교 교육을 담당하게 했다. 이는 개신교를 믿는 다른 주의 광범위한 대중의 분노를 촉발시켰다. 1845년 봄, 프로테스탄트 주에서 의용군을 모집하여 루체른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가톨릭 성향의 7개 주(우리 주, 슈비츠 주, 옵발덴, 루체른 주, 추크 주, 프리부르 주, 발레 주)는 존더분트를 결성하여 스위스는 내전 상태에 돌입했다.[4]

1847년 여름, 스위스 의회의 다수파인 개혁주의 세력은 존더분트의 해체와 새 연방협정의 제정, 예수회의 추방을 지지했다. 주로 도시의 부르주아와 부르거로 구성되었으며, 개신교가 우세한 칸톤에서 강세를 보인 급진주의 (진보적 자유주의) 스위스 자유민주당은 1840년대 초 연방 의회(타크자퉁)에서 다수당이 되었다. 이들은 여러 칸톤을 더 긴밀한 관계로 묶는 새로운 스위스 연방 헌법을 제안했다. 1843년, 보수적인 도시 귀족과 가톨릭이 우세한 칸톤의 산악 또는 '원조 스위스'는 새로운 헌법에 반대했고, 1845년에 손더분트 동맹을 결성했다.[4] 스위스 정부의 중앙 집권화 외에도, 제안된 새로운 헌법은 무역 및 기타 진보적 개혁 조치에 대한 보호 조항도 포함했다.[4]

손더분트 동맹은 다수 칸톤의 승인을 받은 연방 의회가 1841년 아르가우에서 수도원과 수녀원의 폐쇄 및 재산 몰수를 한 후에 체결되었다.[5] 루체른이 이에 대한 보복으로 같은 해 예수회를 불러 교육을 담당하게 하자, 무장한 급진주의자들이 칸톤을 침략했다.

타크자퉁의 자유주의 다수는 1847년 10월 21일에 손더분트 해산을 명령하는 투표를 했다. 이들은 손더분트가 별도의 동맹을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1815년 연방 조약 제6조를 위반했다고 간주했다.

원래 스위스는 자유화와 민주화가 진전되었지만, 일부 칸톤은 가톨릭의 영향이 강하여 자유화를 거부했다. 자유화와 민주화에 대항하기 위해 1845년 12월, 보수파 7개 칸톤이 "보호 동맹"을 결성했다.

자유주의파는 이를 연방을 분리시키는 존재인 "'''분리 동맹'''"으로 간주하고, 1846년 8월의 연방 회의에서 해산을 요구했다. 그러나 분리 동맹은 이를 거부했고, 해산 권고 의결도 2표가 부족하여 스위스 내에 국가가 두 개 있는 상태가 지속되었다.

그러나 10월, 제네바에서 자유파의 혁명이 일어나고, 새로운 헌법이 이듬해 주민 투표에서 승인되었다. 또한, 장크트갈렌에서도 선거에서 자유파가 보수파에 승리하여 연방 회의에서 자유파가 과반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1847년 7월의 연방 회의에서 분리 동맹의 해산, 예수회 수도사 추방을 결정했다. 분리 동맹 해산에 반대한 것은 9개 칸톤뿐이었다.

3. 전쟁의 경과

뇌샤텔아펜첼이너로덴주는 강력한 가톨릭 소수 민족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분쟁에 대해 중립을 선언하고 연방에 군대 제공을 거부했다. 특히 보주는 뇌샤텔이 비밀리에 존더분트(Sonderbund)를 지원한다고 의심했다. 여러 사건이 발생했는데, 특히 보주 군대가 뇌샤텔의 호수 증기선을 나포한 사건이 있었다. 뇌샤텔의 공작인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국왕은 결국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쟁 기간 동안 공국을 "중립적이고 불가침"이라고 선언했다. 바젤 도시주는 한동안 의회의 요청에 저항했지만, 결국 교전이 시작된 지 이틀 후인 11월 6일까지 군대를 제공했다.

1845년 12월, 보수파 7개 칸톤(우리, 슈비츠, 옵발덴, 루체른, 추크, 프리부르, 발레)은 자유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보호 동맹"을 결성했다. 자유주의파는 이를 연방을 분리시키는 '''분리 동맹'''으로 간주하고, 1846년 8월 연방 회의에서 해산을 요구했지만, 분리 동맹은 이를 거부했다.

1847년 7월, 연방 회의에서 분리 동맹 해산과 예수회 수도사 추방을 결정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10월에는 제네바에서 자유파의 혁명이 일어나고, 장크트갈렌에서도 자유파가 선거에서 승리하여 연방 회의에서 자유파가 과반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분리 동맹이 해산을 거부하자, 연방은 앙리 뒤푸르 장군을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군사 행동에 나섰다.

스위스 인구의 75%, 재원 비율의 90%를 차지하는 연방은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분리 동맹은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 이웃 국가의 원조를 기대했지만, 영국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결국, 스위스 내전은 연방의 압승으로 끝나고 분리 동맹은 해산되었다. 전사자는 양군을 합쳐 130명, 부상자는 400명 정도였다.

3. 1. 연방군의 군사 작전

연방군 참모: 쿠르츠, 민셔, 엔로프, 봉떵, 게르버, 뮐러, 지글러, 부르크하르트, 뒤푸르, 릴리에 드 콩스탕, 루비니, 도나츠, 오흐젠바인, Gmür


존더분트 전쟁 당시 스위스 군대 군복


1847년 10월 21일, 연방 의회는 제네바 출신 기욤 앙리 뒤푸르 장군을 연방군 총사령관으로 선출했다. 뒤푸르는 망설였고,[8] 베른 정부는 울리히 오흐젠바인을 임명하려 노력했지만, 의회는 뒤푸르를 선택했다. 10월 22일, 뒤푸르는 의회에 보낸 수락 서한에서 "전쟁의 불가피한 재앙을 완화하기 위해 모든 것을 하겠다"고 강조했다.[9]

10월 24일, 취임 선서를 하기 직전 뒤푸르는 자신의 명령(독일어로 작성됨)에 대한 설명을 요청했고, 보주 대표인 쥘 에이텔의 부적절한 발언에 사령관직을 거부하고 의회 회의를 떠났다. 뒤푸르가 재고하도록 설득하고 10월 25일에 선서를 하도록 하기까지 두 차례의 비공개 회의와 제네바 대표단의 설득이 필요했다.[10]

10월 26일, 뒤푸르는 사단 사령관으로 보수파에서 페터 루드비히 폰 도나츠 (그라우뷘덴주), 요하네스 부르크하르트, 에두아르트 지글러 (취리히주)를 임명했고, 급진파에서는 루이 릴리에 드 콩스탕 (보주), 도미니크 Gmür, 지아코모 루비니 (티치노주), 그리고 오흐젠바인 (베른주)을 임명했다. 10월 30일, 의회는 군대의 전면 동원을 명령했고, 11월 4일에는 존더분트 해산을 명령하는 법령을 군사적으로 집행했다.

11월 9일, 뒤푸르는 프리부르를 상대로 첫 번째 공세를 시작했다. 그는 프리부르를 첫 번째 목표로 선택했는데, 다른 반란 연방주들로부터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었고, 베른과 가까웠기 때문이다. 프리부르를 점령하면 뒤푸르는 병력을 국토 중앙에 집중시킬 수 있었다. 11월 10일과 11일, 연방군은 에스타바예르-르-라크와 보주에 있는 프리부르의 월경지, 그리고 무르텐 구역의 대부분을 저항 없이 점령했다. 필리프 드 마이야르도 대령 휘하의 프리부르 군대는 수도를 방어하기 위해 후퇴했다.

최초의 행동은 존더분트에 의해 취해졌다. 우리에서 온 병력은 11월 초, 방어되지 않은 고트하르트 고개를 점령하여 중앙 스위스와 발레를 푸르카 고개를 통해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산베르나르디노 고개가 연방군에게 열려 있었기 때문에, 이 작전은 티치노의 루비니 휘하 연방군과 그리종의 연방군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데 실패했다. 전쟁의 첫 번째 사망자는 11월 4일에 발생했는데, 우리 출신 장교 1명과 병사 1명이 티치노인에 의해 살해되었다.

11월 7일, 장-울리히 데 살리-소글리오와 폰 엘거가 직접 지휘하는 존더분트군은 아르가우의 프라이암트 지역으로 두 번째 공세를 준비했다. 그들은 로이스강 위의 다리를 파괴한 후, 연방군을 둘로 나누고 동맹군 영토에 포위된 프리부르를 구원하기 위해 11월 12일 아르가우로 진입했다. 그러나 몇 차례의 진격을 한 후, 지글러에 의해 저지당했고, 손실을 입고 루체른 주로 퇴각했다.

3. 2. 주요 전투

지시콘 전투에서의 루스트 포대

  • '''프리부르 공방전''' (11월 13일 ~ 14일): 앙리 뒤푸르가 이끄는 연방군의 승리로 프리부르가 항복했다.[11] 뒤푸르는 프리부르를 첫 번째 목표로 삼았는데, 이는 다른 존더분트 소속 주들로부터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었고, 베른과 가까웠기 때문이다. 11월 13일 아침, 뒤푸르는 프리부르 정부에 항복을 권고하는 메시지를 보냈고, 프리부르는 휴전을 요청했다. 그러나 명령 오류로 인해 보주군은 베르티니 요새를 공격했다가 격퇴되었다. 11월 14일 아침, 프리부르 주 정부는 항복을 결정하고 뒤푸르에게 알렸다.
  • '''기슬리콘 전투''' (11월 23일): 존더분트 전쟁에서 가장 크고 많은 사상자를 낸 전투로, 연방군의 승리로 끝났다.[8] 이 전투는 스위스 군 역사상 마지막 정규전이었다. 연방군은 로이스 강을 건너기 위해 부교를 건설했고, 존더분트군은 고지대에 병력을 집중시켰다. 두 번의 공격이 실패한 후, 지글러 대령이 직접 세 번째 공격을 이끌어 승리했다. 존더분트 사령관 폰 살리스-소글리오는 부상을 입고 후퇴를 명령했다. 이 전투는 전용 마차를 사용하여 부상자를 치료한 최초의 전투이기도 하다.
  • '''마이어스카펠 전투''' (11월 23일): 연방군이 슈비츠 군을 격파하고 루체른과 추크 사이의 연결을 끊었다. 존더분트 군은 잠시 저항하다가 후퇴했다. 뒤푸르는 슈비츠 병력이 추크 호수 반대편으로 물러나 고립되었다는 사실에 만족감을 표했다.

3. 3. 존더분트의 항복

앙리 뒤푸르의 활약으로 11월 14일 프리부르가 점령되었고, 11월 23일 기슬리콘에서 존더분트 군대는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11] 11월 24일, 존더분트의 본거지인 루체른이 함락되었다.[11] 발레 주는 11월 28일에 진압되었고, 11월 29일 존더분트의 마지막 병사가 항복하면서 전쟁은 종식되었다.[11]

4. 전쟁의 결과 및 영향

존더분트 전쟁은 연방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스위스가 중앙집권적인 연방 국가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전쟁 결과, 존더분트에 가입했던 주들은 전쟁 배상금을 물어야 했다.[4] 뇌샤텔아펜첼이너로덴은 중립을 지켰음에도 벌금을 냈다.[15]

전쟁 후 연방군은 전사자 78명, 부상자 260명을 기록했고, 존더분트 측 피해는 더 적었다.[13] 이후 연구에서는 연방군 측 사상자를 사망 60명, 부상 386명, 존더분트 측 사상자를 사망 33명, 부상 124명으로 수정했다.[14]

1848년 2월, 모든 연방군은 점령지에서 철수했다.[15]

4. 1. 정치적 변화

존더분트는 해체되고, 패배한 가톨릭 주들에는 자유주의 정부가 들어섰다.[15] 1848년, 새로운 스위스 연방 헌법이 제정되어 칸톤들의 독립성을 크게 제한하고 연방 정부의 권한을 강화했다.[17]

슈비츠 주에서는 보수 정부가 해산되고 새로운 임시 정부와 헌법이 수립되었다.[16] 1848년의 새로운 헌법은 주의 정부를 개혁했는데, 가장 큰 변화는 이전 최고 권위였던 란츠게마인데를 폐지한 것이었다.[16] 정부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의 세 가지 부서로 나뉘었고, 지방 자치 단체, 지역, 주를 3단계로 구성했다. 비례 대표제를 도입하고, 국민이 법률과 헌법 개정에 투표할 수 있도록 했다.[16]

예수회는 헌법에 의해 스위스에서 추방되었다. 이 특별 조항은 1973년 5월 20일, 국민 투표를 통해 해제되었다.[17][18]

1848년에 들어서자 영국을 제외한 다른 강대국들은 스위스에 개입하려 했다. 이들은 존더분트의 승리가 자국의 자유주의 세력에 영향을 줄 것을 우려했다. 그러나 2월에 프랑스에서 혁명이, 3월에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혁명이 일어나면서, 이들은 스위스에 개입할 여유가 없어졌다.

스위스에서는 연방 국가를 목표로 체제 정비가 빠르게 이루어졌다. 4월에는 헌법 초안이 제출되었고, 9월에는 1848년 헌법이 발효되었다. 이 헌법은 현재의 스위스에도 이어지고 있다.

4. 2. 종교적 변화

새 스위스 연방 헌법에 따라 예수회는 스위스에서 추방되었고, 선교활동이 금지되었다. 이 조항은 1973년 국민 투표를 통해 해제될 때까지 유지되었다.[17][18]

4. 3. 국제 관계

1815년 빈 회의에서 주요 열강들은 새로운 스위스 헌법을 보장하고 필요하다면 개입할 권리를 가졌다. 당시 오스트리아와 프랑스는 가톨릭 세력을 지원하고자 했으나, 영국의 헨리 존 템플, 제3대 펄머스턴 자작 수상이 자유주의를 지지하고 예수회 추방을 원했기 때문에 개입을 반대하여 무산되었다.[6][7]

1848년에는 영국을 제외한 열강들이 스위스에 개입하려 했다. 이들은 존더분트 전쟁에서 연방이 승리하여 자국의 자유주의 세력에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하여, 스위스의 영세 중립을 명분으로 개입을 시도했다.

그러나 1848년 2월 프랑스에서 혁명이 발생하고, 3월에는 독일(Deutschen Revolution 1848/1849|독일 3월 혁명de)과 오스트리아 (Austrian Revolution of 1848|오스트리아 3월 혁명영어)에서 혁명이 일어나면서, 열강들은 스위스 문제에 개입할 여력이 없어졌다. 그 결과 스위스는 열강의 군사 개입 없이 독자적으로 헌법을 제정하고 연방 국가를 수립할 수 있었다.

5. 한국에 대한 시사점

존더분트 전쟁은 이념 및 종교 갈등이 극단으로 치달을 경우 국가적 분열과 내전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사회도 진보와 보수, 종교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존더분트 전쟁의 교훈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5. 1. 이념 및 종교 갈등 극복

존더분트 전쟁은 이념 및 종교 갈등이 극단으로 치달을 경우 국가적 분열과 내전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사회도 진보와 보수, 종교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존더분트 전쟁의 교훈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제2사단, 리타우 앞에서 엠메강을 건너다.


기지콘과 마이어스카펠에서 연방군이 승리하면서 연방군은 루체른을 공격할 수 있는 거리에 도달했다. 11월 23일 저녁, 루체른 지도부와 예수회는 도시를 버리고 우리로 도망쳤다. 다음 날 아침 승리한 연방군은 저항 없이 도시에 입성했다.[13]

5. 2. 외부 세력의 개입과 극복

11월 14일 저녁, 발레주는 프리부르의 지원 요청에 따라 보에를 공격하려 했으나, 프리부르의 항복 소식이 빠르게 전해지면서 티치노 공격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프리부르는 존더분트에서 탈퇴하고 군대를 해산하며, 연방 점령군에 물자를 제공하기로 했다.[14] 11월 15일에는 급진적인 새 정부가 선출되어 예수회를 추방했다. 보주의 사령관은 연방군의 약탈을 막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해야 했다.

프리부르 함락 이후, 루체른과 발레주는 병사들에게 이 패배가 연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가톨릭 신문들은 항복을 의심하거나 발레주가 샤블레로 공세를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연방 측에서는 대중의 신뢰와 군대의 사기가 높아졌다. 뒤푸르는 서부 전역을 릴레-콩스탕에게 맡기고 스위스 중부로 이동했다. 11월 15일, 연방군은 베른을 거쳐 16일 저녁 아라우에 도착했다.

11월 17일, 우리주 군대는 니트발덴 증원군과 함께 티치노로 진격하여 아이롤로를 점령하고, 다음 날 파이도, 21일에는 비아스카까지 진격했다. 티치노군은 그리종에서 온 지원군을 받아 전력을 강화했다. 11월 26일, 존더분트 평의회는 플뤼엘렌에서 해산되었다. 11월 25일부터 29일 사이, 연방군은 중앙 스위스와 발레로 평화롭게 진입했다. 운터발덴(11월 25일), 슈비츠(11월 26일), 우리주(11월 27일)가 차례로 항복했다.[13] 스위스 종교 연합의 마지막 저항 세력인 발레주가 11월 29일에 항복하면서 전쟁은 끝났다.

전쟁 결과, 연방군은 78명 사망, 260명 부상, 종교 연합군은 더 적은 사상자를 냈다. 이후 연구에서는 연방군 60명 사망, 386명 부상, 종교 연합군 33명 사망, 124명 부상으로 수정되었다.[14] 종교 연합 정부는 해산되고, 프리부르, 루체른, 발레주에서는 자유주의 정부가 들어섰다. 뇌샤텔아펜첼이너로덴은 전쟁 미망인과 고아 지원 기금을 납부했다. 1848년 2월까지 모든 연방군은 점령지에서 철수했다.[15]

슈비츠주에서는 보수 정부가 해산되고 새 임시 정부와 헌법이 수립되었다. 새 헌법은 란츠게마인데를 폐지하고 정부를 입법, 행정, 사법부로 나누었으며, 지방 자치 단체, 지역, 주의 3단계 구조와 비례 대표제를 도입했다. 국민 투표 제도 역시 마련되었다.[16]

참조

[1] 서적 A very civil war. The Swiss Sonderbund War of 1847
[2] 간행물 200 Jahre Ulrich Ochsenbein https://www.e-period[...] 2011
[3] 서적 Three Weeks in November: A Military History of the Swiss Civil War of 1847
[4] 논문 "The War of the Sonderbund" https://www.jstor.or[...] 1895
[5] EB1911 Switzerland/History/Constitution
[6]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European politics, 1763–1848 Oxford University Press
[7] 논문 "Guizot and the 'Sonderbund' Crisis, 1846–1848." https://www.jstor.or[...] 1971
[8] 서적 La Guerre du Sonderbund vue par le Général Dufour Slatkine
[9] 문서 In Reverdine (1997), op.cit., p. 28
[10] 서적 Nouvelliste vaudois 1847-10-29
[11] 서적 Souvenirs d'un officier fribourgeois 1798–1848
[12] 문서 Cited by O. Reverdin in La Guerre du Sonderbund vue par le Général Dufour, p. 69
[13] 서적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vol. X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HDS Sonderbund
[15] 서적 History of Switzerland, 1499-1914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Press
[16] HDS Canton of Schwyz
[17] 웹사이트 Official results http://www.admin.ch/[...]
[18] 웹사이트 Cantonal Results of Referendum http://www.admin.ch/[...] 2018-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