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텔러바다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텔러바다소는 고래를 제외한 포유류 중 가장 큰 종으로, 8~9m의 몸길이를 가졌으며, 1741년 게오르크 빌헬름 스텔러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들은 듀공과와 가까운 친척으로, 멸종 전 코만도르스키 제도 주변에 서식했으며, 켈프를 먹고 사회적인 무리를 이루어 생활했다. 스텔러바다소는 인간의 사냥으로 인해 발견된 지 27년 만인 1768년에 멸종되었으며, 멸종에는 인간의 남획 외에도 해달 개체수 감소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스콸로돈
    스콸로돈은 멸종된 이빨고래의 속으로, 조상 고래와 현대 이빨고래의 특징을 모두 가지며, 원시적인 치열과 반향정위의 기원을 보이는 특징을 나타낸다.
  • 1840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리조두스
    리조두스는 석탄기에 담수 환경에서 서식하며 중형 물고기나 사지동물 등을 잡아먹던 최상위 포식자 육기어류로, 22cm 크기의 송곳니와 큰 판 모양 비늘을 가졌고 몸길이는 최대 7m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1780년 기재된 포유류 - 스프링복
    스프링복은 남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영양으로, 등 중앙의 피부 주름, 잎을 주식으로 하는 점, 프롱킹이라는 도약 행동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징 동물로도 활용된다.
  • 1780년 기재된 포유류 - 흰꼬리사슴
    흰꼬리사슴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다양한 아종으로 나뉘고 잡식성으로 늑대, 쿠거 등의 포식자 위협을 받지만 문화적 상징으로도 여겨지며 기후 변화와 질병 문제에 직면한 사슴과의 동물이다.
스텔러바다소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분포 지역후기 갱신세 이후
기본 정보
이름스텔러바다소
학명Hydrodamalis gigas
명명자Zimmermann, 1780
다른 이름스텔러해우
멸종 정보
멸종 상태절멸 (EX)
멸종 시기1768년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바다소목
듀공과
아과스텔러바다소아과 (Hydrodamalinae)
스텔러바다소속 (Hydrodamalis)
신체적 특징
무게8–10 톤
길이9 미터
3 미터
이미지
핀란드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된 스텔러바다소 골격표본
골격 (핀란드 자연사 박물관)
캄차카 반도 동쪽의 코만도르 제도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서쪽의 더 큰 섬은 베링 섬입니다. 동쪽의 더 작은 섬은 메드니 섬(구리 섬)입니다.
코만도르 제도 지도
기타
동의어Hydrodamalis stelleri (Retzius, 1794)
Rytina manatus borealis (Illiger, 1811)
Rytina borealis (Illiger, 1815)
Rytina cetacea (Illiger, 1815)
Rytina stelleri (Desmarest, 1819)
Rytina borealis (Cuvier, 1836)
Rytina stelleri (Burmeister, 1837)
Rytina gigas (Gray, 1850)
Manati gigas (Zimmermann, 1780)
Manati balaenurus (Boddaert, 1785)
Manati borealis (Link, 1795)
Trichechus manatus borealis (Gmelin, 1788)
Trichechus borealis (Shaw, 1800)
Sirene borealis (Link, 1794)
Nepus stelleri (Fischer, 1814)
Stellerus borealis (Desmarest, 1822)
Haligyna borealis (Billberg, 1827)
Manatus gigas (Lucas, 1891)

2. 형태와 생태

스텔러바다소는 거의 잠수하지 못하고 둥글게 융기된 등 윗부분을 물 밖에 내놓은 채 바다를 떠다녔다. 이들은 섬 주변의 얕은 바다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했으며, 조류를 타고 해안가로 이동해 다시마 등의 갈조류를 먹었다. 겨울철 유빙이 해안을 뒤덮으면 먹이를 먹을 수 없어 굶주렸는데, 이때는 피부 아래 뼈가 비쳐 보일 정도였다고 한다.

얼음이 녹으면 다시 해조류를 먹기 시작했고, 초봄에 번식하여 1년 이상의 임신 기간을 거쳐 새끼 한 마리를 낳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새끼들은 무리의 중앙에서 자랐고, 짝과의 유대감이 매우 강했다.[13]

스텔러바다소는 몸집이 거대한 것 외에도 따뜻한 바다에 사는 듀공이나 매너티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발견 당시에는 코만도르스키 제도 주변의 한정된 지역에서만 서식했지만, 10만 년 전의 화석을 보면 이전에는 일본 연안에서 미국의 캘리포니아 근처까지 분포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알류샨 열도 바깥에서 사라진 것은 기후 변화 때문이지만, 12,000년~14,000년 전경 이 지역에 인간이 정착한 것도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범고래상어에게 사냥당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스텔러바다소의 부력 때문에 범고래가 익사시키기 어려웠을 수도 있고, 바다소가 살았던 다시마 숲이 상어를 막았을 수도 있다.

스텔러바다소 가족 상상도 (1898년)

2. 1. 신체적 특징

스텔러바다소는 몸길이가 8-9미터에 이르렀으며, 이는 바다소목은 물론이고 고래를 제외한 포유동물로서는 최대였다.[99][100] 몸무게는 8-10톤으로 매우 무거웠다.[101]

다른 해우과 동물과 달리, 스텔러바다소는 양성 부력을 가지고 있어 완전히 잠수할 수 없었다. 두께 2.5cm의 매우 두꺼운 외피는 날카로운 바위와 얼음으로부터의 부상을 방지하고, 물 위로 나온 피부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을 가능성이 있다.[5][32] 스텔러바다소의 피하지방은 8cm~10cm 두께로, 베링 해의 차가운 기후에 대한 또 다른 적응이었다.[10] 피부는 흑갈색이었고, 일부 개체는 흰색 반점이 있었다. 등은 매끄럽고 옆구리는 거칠었으며, 대부분 기생충에 의해 생긴 것으로 보이는 분화구 모양의 함몰이 있었다.[13]

스텔러바다소의 머리는 거대한 몸에 비해 작고 짧았다. 윗입술은 크고 넓었으며, 아래턱을 훨씬 넘어서서 입이 두개골 아래쪽에 있는 것처럼 보였다. 다른 해우과 동물과 달리 스텔러바다소는 이빨이 없었고, 그 대신 윗입술에 촘촘하게 얽힌 흰색 강모가 있었다. 강모는 약 3.8cm 길이였고, 해초 줄기를 뜯어내고 음식을 잡는 데 사용되었다.[13] 스텔러바다소는 또한 구개와 하악골에 위치한 케라틴질 판, 즉 각질치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씹는 데 사용되었다.[20][11]

스텔러바다소의 척추는 7개의 경추(목), 17개의 흉추, 3개의 요추, 그리고 34개의 미추(꼬리) 척추를 가지고 있었다. 갈비뼈는 크고, 17쌍 중 5쌍이 흉골과 접촉했으며, 쇄골은 없었다.[13] 모든 해우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스텔러바다소의 뼈는 골화증이었는데, 이는 크기가 크고(뼈가 굵은) 밀도가 높음을 의미한다.[12][14]

2. 2. 식습관

스텔러바다소는 주로 다시마와 같은 갈조류를 먹었다. 이들은 이빨이 거의 퇴화하여 주둥이로 바위에 붙은 다시마를 뜯어 먹었으며, 입 안에서 잘게 부수지 않고 그대로 삼켰다.[99][100][101] 소화를 위해 매우 큰 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잘 씹히지 않은 해조류를 효과적으로 소화하기 위함이었다.[20][5][43]

스텔러바다소가 섭취한 해조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해조류 종류
Agarum spp.
Alaria praelonga
Halosaccion glandiforme
Laminaria saccharina
Nereocyctis luetkeana
Thalassiophyllum clathrus



스텔러바다소는 켈프의 부드러운 부분만 먹었으며, 단단한 줄기와 부착기는 해안에 쌓였다. 수관 켈프는 초식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화학적 억제제를 방출하지만, 낮은 농도의 화학물질을 방출하여 스텔러바다소가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었다.[20][5][43] 겨울철에는 켈프의 성장이 저조하여 스텔러바다소가 굶주리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 때문에 단식을 하기도 했다.[43] 잘피도 먹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주요 먹이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2. 3. 번식과 행동

스텔러바다소는 초봄에 번식하여 1년 이상 임신 기간을 거친 후 새끼 한 마리를 낳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스텔러의 기록에 따르면, 암컷이 포획되면 다른 바다소들이 사냥 보트를 공격했고, 사냥 후에도 죽은 동료를 따라 해안으로 왔다고 한다. 암컷은 유선이 한 쌍만 있었기 때문에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았을 가능성이 높다.[13] 새끼들은 무리의 중앙에서 자랐고, 짝과의 유대는 매우 강했다. 스텔러는 바다소가 매우 사교적이며, 작은 가족 무리를 이루어 다친 구성원을 돕고, 일부일처제를 보였다고 묘사했다. 스텔러바다소는 부모 돌봄을 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새끼는 포식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무리 앞에 있었다.

스텔러바다소는 거의 소리를 내지 않았고, 힘든 숨소리, 말처럼 거친 콧김, 한숨 같은 소리만 냈다.[13] 앞다리는 수영, 먹이 섭취, 얕은 물에서 걷기, 방어, 교미 중 배우자를 잡는 데 사용되었다.[13] 스텔러에 따르면, 앞다리는 강한 근해 파도에 휩쓸리지 않도록 바다소를 고정하는 역할도 했다.[5] 풀을 뜯을 때는 꼬리(지느러미)를 좌우로 움직여 천천히 이동했고, 더 빨리 움직일 때는 꼬리를 수직으로 강하게 움직였다. 먹이를 먹은 후에는 종종 등을 대고 잠을 잤다.

2. 4. 기생충

스텔러바다소의 피부에는 수많은 작은 갑각류가 기생하고 있었고, 해부한 장 안에는 선충이 기생하고 있었다고 한다.[99][100][101]

게오르크 빌헬름 슈텔러는 고래에 기생하는 따개비(''Cyamus ovalis'')와 비슷한 바다소의 외부기생충을 설명했지만, 슈텔러가 채집한 원래 표본이 모두 멸종되고 없어지면서 기생충은 확인되지 않았다.[17] 1846년 요한 프리드리히 폰 브란트에 의해 ''Sirenocyamus rhytinae''로 처음 공식적으로 기술되었지만, 그 이후 ''Cyamus'' 속의 ''Cyamus rhytinae''로 분류되었다.[18] 이는 해우류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된 유일한 시아미드 요각류 종이었다.[19] 슈텔러는 바다소에서 내부기생충을 확인했는데, 이는 아마 회충류 선충이었을 것이다.[20]

3. 분류

스텔러바다소는 듀공과에 속하며, 현생종 중에서는 듀공(''Dugong dugon'')과 가장 가깝다. 하지만 듀공과 달리 냉수에 적응했고 크기 등 형태적 요소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3. 1. 진화

스텔러바다소는 큰 해우류의 속인 ''Hydrodamalis''에 속했으며, 그 자매 분류군은 ''Dusisiren''이었다. 스텔러바다소와 ''Dusisiren''의 조상들은 모두 열대 맹그로브 숲에서 서식하다가 북태평양의 차가운 기후에 적응했다.[24] ''Hydrodamalis''와 ''Dusisiren''은 아과 Hydrodamalinae로 분류되며,[25] 다른 해우류에서 약 년에서 년 전에 갈라져 나왔다.[26] 스텔러바다소는 듀공과에 속하며, 이 과의 현존하는 유일한 종이자 스텔러바다소와 가장 가까운 현존 친척은 듀공 (''Dugong dugon'')이다.[27]

스텔러바다소는 쿠에스타 바다소 (''H. cuestae'')의 직계 후손이었다.[5] 쿠에스타 바다소는 특히 캘리포니아 연안의 서북 아메리카 해안에서 서식했던 멸종된 열대 바다소였다. 쿠에스타 바다소는 제4기 빙하기의 시작과 그에 따른 해양의 냉각으로 멸종된 것으로 생각된다. 많은 개체군이 멸종되었지만, 스텔러바다소의 계보는 더 차가운 온도에 적응할 수 있었다.[28] 일본의 타카이카와 바다소 (''H. spissa'')는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쿠에스타 바다소의 동물 분류학적 동의어로 간주되지만, 내부 골격 비교에 따르면 타카이카와 바다소와 스텔러바다소는 쿠에스타 바다소보다 더 유도된 형질을 가지고 있어, 일부 연구자들은 타카이카와 바다소가 별개의 종이라고 생각한다.[23] ''Hydrodamalis'' 속의 진화는 제4기 빙하기의 시작에 대한 반응으로 크기가 커지고 이빨과 지골이 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28][13]

일본열도에서는 특히 홋카이도도호쿠 지방에서 냉수 적응형 해우류의 화석이 비교적 많이 발견되었으며, 발굴 사례는 약 30기에 달한다. 그중에는 스텔러바다소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같은 속의 피리카해우, 스텔러바다소와 매우 가까운 것으로 여겨지는 타키카와해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형 해우류 중 하나로 여겨지는 삿포로해우[69], 스텔러바다소 자체의 화석인 기타히로시마해우(기타히로시마시 표본)가 포함되어 있다.[76]

2007년 5월 도쿄도 코마에시를 흐르는 다마가와 하상의 약 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대형 해우류의 전신 골격 화석은 조상 종에서 스텔러바다소로 진화하는 과정에 있는 신종으로 여겨진다. 이 화석은 턱에서 꼬리까지 전신의 100개 이상의 뼈가 거의 완전하게 남아 있으며, 어린 개체임에도 불구하고 전장 5m~6m로 추정된다. 갈비뼈는 좌우 각각 20개씩이며, 스텔러바다소보다 1개 많고, 그 조상 종보다 1개 적다는 점에서 진화 과정에서 갈비뼈를 줄여가고 있던 중간종으로 보인다.

3. 2. 학명과 연구사

1741년 게오르크 빌헬름 스텔러가 발견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스텔러바다소로 명명되었다. 스텔러는 난파된 배로 인해 베링섬에서 약 1년간 야생 동물을 연구했다.[29] 스텔러의 기록은 사후 출판물인 "De bestiis marinis"(바다의 짐승들)에 포함되었고, 1751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에 의해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출판되었다. 1780년 동물학자 에버하르트 폰 짐머만은 스텔러바다소를 ''Manati gigas''로 기재했다. 1794년 생물학자 안데르스 야한 레치우스는 스텔러를 기리기 위해 새로운 속인 ''Hydrodamalis''에 종명을 ''stelleri''로 명명하여 스텔러바다소를 분류했다.[4] 1811년 요한 카를 빌헬름 일리거는 스텔러바다소를 ''Rytina'' 속으로 재분류했고, 많은 저술가들이 이를 채택했다. ''Hydrodamalis gigas''라는 이름은 1895년 시어도어 셔먼 팔머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13]

해변에 옆으로 누워있는 죽은 스텔러바다소의 그림으로 세 명의 남자가 해체하고 있다.
슈타이네거의 1925년 스텔러바다소를 측정하는 G. W. 스텔러의 재구성


발견 후 수십 년 동안 스텔러바다소의 골격 유골은 알려지지 않았다.[32] 최초의 스텔러바다소 뼈는 1840년경에 발굴되었고, 최초의 부분적인 바다소 두개골은 1844년 일리아 보즈네센스키가 코만도르 제도에서 발견했다. 최초의 골격은 1855년 베링섬 북부에서 발견되었다.[32] 1878년부터 1883년까지가 발굴된 골격 유해 측면에서 가장 생산적인 시기였다. 1983년1991년에도 골격이 발견되었다.[32]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 베네딕트 디보브스키, 레온하르트 헤스 슈타이네거가 1800년대 후반에 여러 개체에서 많은 골격 유해를 발굴하여 복합 골격을 조립했다. 2006년 현재 거의 완전한 골격 27개와 완전한 두개골 62개가 발견되었지만, 대부분은 2~16개의 다른 개체에서 나온 뼈 조합이다.[32]

2021년, 골격 유해에서 이 종의 핵 게놈이 시퀀싱되었다.[16] 2022년 말, 세르게이 바친이 자금을 지원한 러시아 과학자 그룹은 이 종을 잠재적으로 부활시키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64]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의 벤 램도 이 종을 부활시키고 싶다고 말했다.[65]

본 종의 학명은 독일인 의사이자 박물학자였던 게오르크 빌헬름 스텔러(Steller)에서 유래했다.

냉수 적응형 해우류에 1과를 세워 대해우과로 분류하기도 하며, 이 경우 스텔러바다소는 '''스텔러대해우'''로 불린다.

4. 분포

스텔러바다소는 1741년 게오르크 빌헬름 슈텔러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에는 코만도르스키 제도 주변의 한정된 지역에서만 서식하고 있었다.[42][32][13] 그러나 10만 년 전의 화석을 보면 이전에는 일본 연안에서부터 적어도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근처까지 분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81][91][87]

발견 당시에는 베링해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모식표본의 산지(기준산지·타입산지·모식산지)는 베링섬이다.[66][67]

홋카이도 키타히로시마시[79]에서 발견된 스텔러바다소 키타히로시마 표본(키타히로시마바다소)은[76] 키타히로시마시 중앙 시민회관·홋카이도 개척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화석은 약 100만 년 전의 전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된 세계 최초의 본 종 화석이었다.[76]

4. 1. 역사적 분포

스텔러바다소는 발견 당시 코만도르스키 제도 주변의 얕은 바다에만 서식하고 있었는데, 베링 섬과 메드니 섬이 포함된다.[42][32][13] 그러나 화석 증거를 통해 과거에는 훨씬 넓은 지역에 분포했음을 알 수 있다.

스텔러바다소 서식지; 노란색은 플라이스토세 시대, 빨간색은 고고학적 증거, 파란색은 역사적 기록


코만도르스키 제도 외부에서 발견된 최초의 화석은 암치트카의 간빙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되었고,[12] 후기 플라이스토세에 해당하는 추가 화석은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 만과 일본 혼슈에서 발견되었다.[32][36][37] 가장 남쪽에서 발견된 것은 일본 보소 반도에서 발견된 중기 플라이스토세의 갈비뼈 화석이다.[38]

플라이스토세에는 보소반도까지의 일본 열도 연안[75]에서 북아메리카 대륙의 캘리포니아주 부근까지 분포하고 있었다.[81][91][87] 이후 알류샨 열도 및 그 근처에 서식이 한정된 것은 기후변화뿐만 아니라 인류의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81][91][87]

뼈 조각과 알류트 원주민들의 기록에 따르면, 스텔러바다소는 역사적으로 니어 제도에도 서식했고,[39] 1741년 스텔러가 발견하기 전에 서부 알류샨 열도에서 인간과 접촉하는 생존 가능한 개체군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키스카섬에서 발견된 스텔러바다소 갈비뼈는 연대 측정 결과 약 1,000년 전 (해양 저수지 효과를 고려하면 1710년에서 1785년 사이)의 것으로 나타났다.[40] 아닥 섬과 불디르 섬에서 발견된 스텔러바다소 뼈는 각각 약 1,700년 전, 1,600년 전의 것으로 밝혀졌다.[41] 세인트 로렌스 섬에서 발견된 스텔러바다소의 갈비뼈는 800년에서 920년 CE 사이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42]

5. 인간과의 관계

스텔러바다소는 범고래상어에게 사냥당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부력 때문에 범고래가 익사시키기 어려웠고, 바다소가 살았던 다시마 숲이 상어를 단념시켰을 수도 있어 확실하지 않다.

게오르크 빌헬름 슈텔러는 바다소의 체외 기생충을 설명했지만, 표본이 없어 확인되지 않았다. 이 기생충은 1846년 요한 프리드리히 폰 브란트에 의해 사이렌로시아무스 라이티나에(Sirenocyamus rhythinae)로 명명되었으며, 사이렌 족에 서식하는 유일한 종이었다. 스텔러는 또한 아스카리드 선충류일 가능성이 있는 내분비성(Endoparasite)을 확인했다.

스텔러바다소는 초식동물로, 하루 대부분을 먹이를 먹는데 보냈고, 4-5분마다 숨을 쉬기 위해 머리를 들어 올렸다. 주요 식량원은 켈프(Kelp)였으며, 여러 종의 다시마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스텔러바다소는 켈프의 부드러운 부분만 먹는 경향이 있었다. 해초를 먹었을지는 알 수 없지만, 생존 가능한 인구를 부양할 만큼 흔하지 않았고 주요 식량원이 될 수 없었다. 또한, 바다소의 범위에서 사용 가능한 해초는 너무 깊은 물에서 자라거나 너무 단단하여 섭취할 수 없었을 것이다. 바다소는 조수 아래 1미터(3.3피트) 이하의 먹이밖에 접근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캐노피 켈프(Canopy kelp)를 먹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시마는 방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화학억제제를 방출하지만, 캐노피 켈프는 더 낮은 농도의 화학물질을 방출하여 바다소가 안전하게 풀을 뜯을 수 있게 한다.

스텔러는 추운 겨울 동안 바다소가 야위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낮은 다시마 성장으로 인한 단식 기간을 나타낸다. 스텔러는 바다소가 매우 사교적이며, 작은 가족 집단을 이루고 부상당한 구성원을 도왔으며, 일부일처제로 보인다고 묘사했다. 스텔러바다소는 부모의 보살핌을 받았을 수 있고, 어린 바다소들은 포식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무리의 앞쪽에 있었다. 스텔러는 암컷이 포획되면 다른 바다 소떼가 사냥 보트를 공격했고, 사냥 후에는 죽은 동료가 배를 따라 해안가로 갔다고 전했다.

덴마크 출신 탐험가 비투스 베링이 이끈 러시아 제국의 캄차카 탐험대는 1741년 코만도르스키 제도의 무인도(베링 섬)에 조난당했다. 게오르크 빌헬름 슈텔러를 포함한 생존자들은 바다소 덕분에 생존했다. 스텔러바다소의 고기는 송아지고기와 비슷했고, 지방은 단 아몬드 오일 맛이 났으며, 램프 연료로도 사용되었다. 가죽은 장화, 벨트, 보트 덮개로, 젖은 버터로 가공되었다.

스텔러바다소 이야기가 퍼지자 캄차카의 모피 상인과 사냥꾼들이 몰려들어 남획이 시작되었다. 스텔러바다소는 둔하고 경계심이 없으며, 동료애가 강해 쉽게 사냥당했다. 1768년 스텔러의 옛 동료 이반 포포프가 마지막 바다소를 죽였다고 보고하면서 발견 27년 만에 멸종되었다.

19세기 후반, 멸종된 스텔러바다소의 뼈와 화석은 귀중품으로 거래되었다. 고밀도 피질뼈는 칼 손잡이와 장식 조각에 사용되었다. 스텔러바다소가 멸종되었기 때문에, 알래스카에서 만들어진 "인어 상아" 공예품은 해양 포유류 보호법(MMPA)이나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의 제약 없이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판매될 수 있다. 그러나 화석화되지 않은 뼈의 판매는 금지되며, 뼈 제품 거래는 규제된다.

민족지학자 엘리자베스 포르피리에브나 올로바는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알류트족을 연구하면서 스텔러바다소의 뼈로 하는 "카칸"(돌)이라는 게임을 기록했다.

스텔러바다소 멸종에는 인류의 직접적, 간접적 영향이 거론된다. 중세 온난기로 인한 다시마 서식지 변화, 해달 남획으로 성게가 증가하여 해조류가 감소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알류트족과 시베리아 유픽족의 해양 포유류 이용, 중세 온난기로 인한 켈프 감소 등도 원인으로 거론되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불확실하다. 유럽인 발견 당시 이미 멸종위기종이었다.



스텔러바다소의 초기 묘사에 관한 그림 자료는 다음과 같다.

그림설명제작 연도
--1840년
--1893년
요한 프리드리히 폰 브란트가 팔라스 그림을 바탕으로 그린 이상적인 이미지
1846년
--1868년
--1891년
--1891년


5. 1. 멸종

덴마크 출신 탐험가 비투스 베링이 이끈 러시아 제국의 캄차카 탐험대는 1741년 11월에 폭풍우를 만나 코만도르스키 제도의 무인도(베링 섬)에 좌초되었다. 게오르크 빌헬름 슈텔러를 포함한 생존자들은 보트를 만들어 이듬해 8월에 섬을 탈출하여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츠키로 귀환했는데, 베링을 포함한 승무원 절반 이상은 괴혈병, 굶주림, 추위로 사망했다.

슈텔러는 조난된 무인도에서 발견한 거대한 바다소(길이 7.5미터, 허리둘레 6.2미터)를 보고했다. 섬 주변에는 약 2,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바다소 1마리에서 3톤 남짓의 고기와 지방을 얻을 수 있었다. 그 고기는 송아지고기와 비슷했고, 조난 중인 슈텔러 일행에게 훌륭한 식량원이었다. 맛뿐만 아니라 저장성이 좋아 섬 탈출에 큰 도움이 되었다. 가죽은 장화, 벨트, 보트 덮개로, 젖은 버터로 가공되었고, 지방은 램프 연료로 사용되었다.

스텔러바다소의 이야기가 퍼지자 캄차카의 모피 상인과 사냥꾼들이 코만도르스키 제도로 몰려들어 남획이 시작되었다. 스텔러는 1751년에 이 동물의 특징과 생태를 자세히 기록했다. 스텔러바다소는 동작이 둔하고, 인간에 대한 경계심이 없었으며, 방어 수단도 없었다. 동료가 살해당하면 돕듯이 몰려드는 습성이 있었는데, 특히 암컷이 부상당하면 수컷 여러 마리가 몰려와 작살이나 로프를 떼려고 했다. 이러한 습성은 사냥꾼에게 이용되었다.

1768년에 슈텔러의 옛 동료 이반 포포프가 섬에 남아 있던 바다소 2, 3마리를 죽였다고 보고했는데, 이것이 스텔러바다소의 마지막 기록이다. 결국 발견 후 불과 27년 만에 멸종된 것이다.

유전적 증거에 따르면 코만도르스키 제도의 스텔러바다소는 북태평양 연안에 널리 분포했던 개체군의 마지막이었다. 이들은 랭겔 섬의 털매머드와 같이 유전적 다양성이 낮고 근친 교배된 상태였다. 빙하기와 해수면 및 기온 감소로 서식지가 후퇴하여 개체군이 분열되었고, 해수면이 안정된 약 5,000년 전에는 이미 개체군이 급감했다. 이는 인간의 영향 없이도 스텔러바다소는 이미 대부분 멸종되었고, 남은 소수는 멸종 소용돌이로 인해 심각한 위험에 처했을 것임을 시사한다.[16]

알류트족의 서쪽 이동과 사냥, 시베리아 유픽족의 해양 포유류 의존, 중세 온난기로 인한 켈프 감소, 해달 사냥으로 인한 성게 증가와 켈프 감소 등은 스텔러바다소 멸종의 원인으로 거론되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불확실하다.[12][40][41] 베링이 도착했을 무렵 바다소의 서식지는 무인도 연안 지역으로 제한되었고, 이미 멸종위기종이었다.[44][45]

유럽인들이 발견했을 당시 스텔러바다소는 2,000마리 정도였으며,[16] 모피 무역업자, 물개 사냥꾼 등에 의해 빠르게 멸종되었다.[46] 귀중한 피하지방을 얻기 위한 사냥도 이루어졌다. 1754년 이반 크라실니코프와 1762년 이반 코로빈은 이 동물을 사냥했지만, 1772년 드미트리 브라긴과 그 이후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보지 못했다. 브란트는 유럽인에 의해 발견된 지 27년 후인 1768년까지 이 종이 멸종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1][36][47] 1887년, 스테이네거는 스텔러가 발견했을 당시 남아 있던 개체가 1,500마리 미만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이미 바다소 멸종의 즉각적인 위험이 있었다고 주장했다.[1]

스텔러와 선원들은 강인한 힘과 두꺼운 가죽 때문에 처음에는 사냥에 실패했다. 큰 갈고리와 케이블로 동물을 꿰뚫고 해안으로 끌어들이려 했지만 가죽을 뚫을 수 없었다. 한 달 후 작살꾼이 한 마리를 꿰뚫었고, 해안에 있는 사람들이 끌어들이는 동안 다른 사람들은 총검으로 반복적으로 찔렀다. 얕은 물로 끌려간 후 조수가 빠져나가 해변에 올라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해체했다.[30] 이후, 스텔러바다소는 비교적 쉽게 사냥되었고, 문제는 동물을 해안으로 끌어들이는 것이었다. 이러한 풍부한 자원은 해양 모피 무역업자들이 코만도르스키 제도로 우회하여 북태평양 탐험 중 식량을 보충하도록 자극했다.[12]

5. 2. 멸종 이후

1768년 이후에도 스텔러바다소로 여겨지는 바다짐승의 포획이나 목격이 여러 차례 보고되었다.[91] 19세기 중반에도 목격담이 드물지 않았으며, 1962년에는 소련 포경선 선원이 아나디리만에서 스텔러바다소를 닮은, 대략 6~8m 길이의 동물 6마리를 목격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 목격담은 1년 후 소련 학계에도 보고되었다. 1977년 캄차카의 한 낚시꾼이 표류 중인 스텔러바다소와 비슷한 동물과 접촉했다는 보고도 있었으나, 현재로서는 신빙성이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92][93][94]

아투섬에서는 1800년대까지 스텔러바다소 사냥이 이루어졌다는 보고가 있다.

가장 최근의 목격 보고는 1963년 7월 캄차카반도 아나디르만에서 소련 과학자들이 6~8m 길이의 낯선 해양 포유류 6마리를 관찰했다는 것이다. 이 동물들이 스텔러바다소인지, 아니면 다른 해양 포유류를 잘못 본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이들은 얕은 물에서 해조류를 먹고 있었고, 긴 코와 갈라진 입술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쿠릴열도 북부, 캄차카반도, 추크치반도에서도 현지 어부들의 스텔러바다소 목격담이 보고되고 있다.

알류샨 열도에 스텔러바다소가 서식했던 것은 알류트족이 서쪽으로 이동하여 사냥하게 된 원인이 되었을 수 있다. 이는 해당 지역에서 바다소의 절멸로 이어졌을 수 있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불확실하다. 세인트 로렌스 섬 연안에서 스텔러바다소 멸종의 한 요인은 2,000년 동안 섬에 거주해 온 시베리아 유픽족일 수 있다. 원주민들의 식생활이 해양 포유류에 크게 의존했기 때문에, 이들이 바다소를 멸종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중세 온난기의 시작으로 켈프가 줄어들면서 해당 지역에서 지역적 멸종이 일어났을 수도 있다. 또한 스텔러바다소의 감소는 원주민들의 해달 사냥에 의한 간접적인 영향이었을 수도 있다. 해달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성게 개체수가 증가했고, 이는 바다소의 주요 먹이인 켈프의 개체수 감소로 이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원주민의 사냥은 국지적인 지역에서만 해달 개체수를 감소시켰고, 바다소는 원주민 사냥꾼에게 쉬운 먹잇감이었기 때문에 해달 사냥과 동시에 또는 해달 사냥 없이도 접근 가능한 개체군이 멸종되었을 수 있다. 베링이 도착했을 무렵 바다소의 서식지는 무인도 연안 지역으로 제한되었고, 이미 멸종위기종이었다.

유럽인들이 발견했을 당시, 남아 있던 스텔러바다소 개체군은 2,000마리 정도였을 것이다. 이 작은 개체군은 비투스 베링의 항로를 따라 알래스카로 향했던 모피 무역업자와 물개 사냥꾼 등에 의해 빠르게 멸종되었다. 이들은 귀중한 피하지방을 얻기 위해 스텔러바다소를 사냥했다. 1754년 이반 크라실니코프와 1762년 이반 코로빈은 스텔러바다소를 사냥했지만, 1772년 드미트리 브라긴과 그 이후 사람들은 바다소를 보지 못했다. 브란트는 유럽인 발견 27년 후인 1768년에 스텔러바다소가 멸종되었다고 결론내렸다. 1887년, 스테이네거는 스텔러가 발견했을 당시 남아 있던 개체가 1,500마리 미만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하며, 이미 멸종의 즉각적인 위험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약간 누런 종이에 검은 잉크로 그려진 그림. 물 밖으로 팔을 쭉 뻗고 있는 흰 바다표범 코틱이 그려져 있다. 코틱은 어둡게 묘사된, 큰 콧구멍과 작은 눈, 땅딸막한 몸매에 해초로 뒤덮인 바다소를 향하고 있다. 코틱 뒤에는 해초를 먹고 있는 또 다른 바다소가 있으며, 배경에는 많은 바다소들이 있다. 바다소 중 하나는 돌고래와 비슷한 꼬리를 물 밖으로 내밀고 있다. 오른쪽에는 해안선이 보인다.
키플링의 『정글북』(1895)에 나오는 흰 바다표범 코틱이 바다소들과 이야기하는 장면


러디어드 키플링의 『정글북』에 수록된 단편 "흰 바다표범"에서, 베링해를 배경으로 드문 흰 바다표범(Leucism)인 코틱이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는 여정 중 바다소와 상담한다.

『바다소 이야기』는 아이슬란드계 프랑스 예술가 에티엔 드 프랑스가 제작한 2012년 다큐픽션 영화로, 2006년 그린란드 해안에서 스텔러바다소가 발견되었다는 허구적인 이야기를 다룬다. 이 영화는 유럽의 미술관과 대학교에서 상영되었다.

스텔러바다소는 두 권의 시집에도 등장한다. 빈프리트 게오르크 제발트의 『자연에 따라』(1995)와 러시아 시인 안드레이 브론니코프의 『사라져 가는 종』(2009)이다. 브론니코프의 시집은 스텔러의 시각에서 본 대북방탐험의 사건들을 묘사하고 있으며, 제발트의 시집은 스텔러바다소의 멸종을 포함하여 인간과 자연의 갈등을 다룬다.

핀란드 작가이자 문학 학자인 이이다 투르페이넨의 소설 『엘롤리셋』(살아있는 것들)(2023)은 스텔러바다소와 그 멸종을 중심 주제로 삼고 있다. 스텔러의 탐험부터 시작하여 완전한 골격이 어떻게 보존되어 헬싱키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되게 되었는지, 이 동물과 관련된 여러 시대의 여러 인물들을 다룬다.

2021년, 골격 유해에서 스텔러바다소의 핵 게놈이 시퀀싱되었다. 재구성된 게놈은 스텔러가 발견하기 이전에 기후 변화와 구석기 시대 인류의 사냥으로 인해 이미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이며 쇠퇴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털매머드의 블랑겔 섬 마지막 개체군과 유사하다. 2022년 말, 세르게이 바친이 자금을 지원한 러시아 과학자 그룹은 스텔러바다소를 부활시켜 베링해에 다시 도입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Artic Sirenia는 유전자 편집을 통해 해우를 이용하여 이 종을 부활시킬 계획이지만, 적절한 대리 임신 종이 없기 때문에 살아있는 바다소를 잉태하려면 인공 자궁이 필요하다.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의 벤 램도 그의 회사가 처음 네 프로젝트(털매머드, 도도, 주머니늑대, 북부흰코뿔소)를 완료하고 인공 동물 자궁을 개발한 후에 스텔러바다소를 부활시키고 싶다고 말했다.

참조

[1] IUCN Hydrodamalis gigas 2022-02-17
[2] MSW3
[3] MSW3
[4] 논문 The Earliest Name for Steller's sea cow and Dugong http://digitalcommon[...]
[5] 서적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Sirenia: Dugongs and Manate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Found: The Massive Skeleton of a Steller's Sea Cow https://www.atlasobs[...] 2017-11-17
[7] 웹사이트 Steller's sea cow – Sunken flagship of the Bering Sea... – The AMIQ Institute http://www.amiq.org/[...]
[8] 웹사이트 Skeleton of Ancient Sea Cow Found on Bering Island http://komandorsky.r[...] The Commander Islands Nature and Biosphere Reserve Named Marakov S.V.
[9] 논문 The Weight of the Steller Sea Cow 2022-11-00
[10] 서적 Return to the Sea: The Life and Evolutionary Times of Marine Mammal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서적 Systematische Phylogenie der Wirbelthiere (Vertebrata) https://books.google[...] Georg Reimer 2021-07-16
[12] 논문 Steller's Sea Cow (Hydrodamalis gigas) of Late Pleistocene Age from Amchitka, Aleutian Islands, Alaska http://pubs.usgs.gov[...]
[13] 논문 Hydrodamalis gigas http://www.science.s[...]
[14] 서적 Marine Mammals: Evolutionary Biology Academic Press
[15] 논문 Dusisiren dewana, n. sp. (Mammalia: Sirenia), a new ancestor of Steller's sea cow from the upper Miocene of Yamagata Prefecture, northeastern Japan https://www.jstage.j[...]
[16] 논문 Steller's sea cow genome suggests this species began going extinct before the arrival of Paleolithic humans
[17] 서적 Parasitology: A Conceptual Approach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Group
[18]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Cyamus rhytinae (J.F. Brandt, 1846) https://www.marinesp[...] 2021-08-19
[19] 논문 Historical Extinctions in the Sea https://www.uv.mx/pe[...]
[20]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1] 논문 The ghost of a giant – Six hypotheses for how an extinct megaherbivore structured kelp forests across the North Pacific Rim https://onlinelibrar[...]
[22] 논문 Interordinal gene capture,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Steller's sea cow based o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and the macroevolutionary history of Sirenia
[23] 논문 A phylogeny of the North Pacific Sirenia (Dugongidae: Hydrodamalinae) based on a comparative study of endocranial casts
[24] 서적 Sirenian evolution in the North Pacific Ocean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Geological Sciences
[25] 화석 Hydrodamalinae 2017-03-12
[26] 논문 Sirenian molecular systematics—including the extinct Steller's sea cow (Hydrodamalis gigas)
[27] 서적 Fauna of Australia CSIRO
[28] 논문 An Ecological Model for Late Tertiary Sirenian Evolution in the North Pacific Ocean
[29] 서적 Journal of a Voyage with Bering, 1741–1742 Stan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Bering: The Russian Discovery of America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Look, no hands: Steller's sea cow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 Science Animal magic 2016-03-25
[32] 논문 An Annotated List of Extant Skeletal Material of Steller's Sea Cow (Hydrodamalis gigas) (Sirenia: Dugongidae) from the Commander Islands https://www.research[...]
[33] 서적 Georg Wilhelm Steller, the Pioneer of Alaskan Natural His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34] 논문 Nordischen Seekuh https://books.google[...]
[35] 논문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Diversity in the Aleuts of the Commander Island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Genetic History of Beringia
[36] 논문 Competition, Predation, and the Evolution and Extinction of Steller's Sea Cow, ''Hydrodamalis gigas'' 1995-07
[37] 서적 Recent Mammals of Alask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ska Press
[38] 논문 Steller's sea-cow (Sirenia: ''Hydrodamalis gigas'') from the Middle Pleistocene Mandano Formation of the Boso Peninsula, central Japan https://www.jstage.j[...]
[39] 서적 Human Impacts on Ancient Marine Ecosystem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0] 논문 Steller's sea cow in the Aleutian Islands https://www.research[...]
[41] 논문 Dynamics of sea mammaland bird populations of the Bering Sea region over the last several millennia
[42] 논문 Rewriting the history of an extinction—was a population of Steller's sea cows (''Hydrodamalis gigas'') at St Lawrence Island also driven to extinction?
[43] 논문 Sea otters, kelp forests, and the extinction of Steller's sea cow
[44] 서적 No Turning Back: The Life and Death of Animal Species https://archive.org/[...] Harper Perennial
[45] 논문 Modelling the extinction of Steller's sea cow
[46] 서적 Alaska: An American Colon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47] 논문 A 'Havock Made among Them': Animals, Empire, and Extinction in the Russian North Pacific, 1741–1810 2011-09
[48] 논문 Serial depletion of marine invertebrates leads to the decline of a strongly interacting grazer 2007-09
[49] 논문 A marine megafaunal extinction and its consequences for kelp forests of the North Pacific https://open.library[...] 2021-08-19
[50] 서적 The Dodo, the Auk and the Oryx Puffin Books
[51] 논문 Ischezla li Stellerova korova? http://paleoglot.org[...]
[52] 논문 Does the 'extinct' sea cow survive? https://books.google[...]
[53] 서적 Steller's Island: Adventures of a Pioneer Naturalist in Alaska
[54] 논문 Illegal Trade of Marine Mammal Bone Exposed: Simple Test Identifies Bones of 'Mermaid Ivory' or Steller's Sea Cow (''Hydrodamalis gigas'') https://www.research[...]
[55] 논문 Fieldwork on the Commander Islands Aleuts http://www.alaskaant[...]
[56] 서적 The Jungle Books
[57] 서적 The Jungle Books https://books.google[...] Penguin UK
[58] 웹사이트 Tales of a Sea Cow (2012) https://www.imdb.com[...] IMDb 2017-01-20
[59] 웹사이트 Etienne de France, 'Tales of a Sea Cow' — Exhibition at Parco Arte Vivente, Torino, Italy http://www.alan-shap[...] 2014-05-01
[60] 웹사이트 Tales of a Sea Cow: A Fabulatory Science Story http://www.annickbur[...] 2016-08-19
[61] 서적 Species Evanescens Reflections
[62] 웹사이트 Nach der Natur Sebald https://www.hanser-l[...] Hanser Literaturverlage 2017-01-19
[63] 웹사이트 Elolliset https://kustantamo.s[...] Schildts&Söderströms 2023-01-06
[64] 웹사이트 Arctic Sirenia https://arcticsireni[...] 2024-11-19
[65] 뉴스 Extinct animals could suddenly be brought back to life https://www.newsweek[...] 2024-11-19
[66] 웹사이트 Hydrodamalis gigas 2019-07-06
[67] 서적 Order Sireni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8] 논문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日本哺乳類学会
[69] 웹사이트 札幌市博物館活動センター https://hokkaido-dig[...]
[70] 서적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Sirenia: Dugongs and Manate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저널 The Weight of the Steller Sea Cow 1972-11-01
[72] 저널 Dusisiren dewana, n. sp. (Mammalia: Sirenia), a new ancestor of Steller's sea cow from the upper Miocene of Yamagata Prefecture, northeastern Japan https://www.jstage.j[...]
[73] 서적 絶滅野生動物事典 角川ソフィア文庫
[74] 서적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Sirenia: Dugongs and Manate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저널 Steller's sea-cow (Sirenia: Hydrodamalis gigas) from the Middle Pleistocene Mandano Formation of the Boso Peninsula, central Japan https://www.jstage.j[...]
[76] 웹사이트 北広島遺産ハンドブック https://www.city.kit[...] 北広島市エコミュージアムセンター 知新の駅
[77] 뉴스 千葉の博物館でチバニアン期の古生物展 子供無料&全身骨格も! https://report.iko-y[...] いこーよニュース 2023-07-31
[78] 저널 北太平洋海牛類(ヒドロダマリス亜科 : Hydrodamalinae)の進化と古環境(<特集>生物イベントとしての哺乳類の海生適応) https://www.palaeo-s[...] 日本古生物学会 2005-03-01
[79] 웹사이트 ステラーダイカイギュウの親子【模型】 https://www.hm.pref.[...] 北海道博物館
[80] 저널 Hydrodamalis gigas http://www.science.s[...]
[81] 저널 Steller's Sea Cow (Hydrodamalis gigas) of Late Pleistocene Age from Amchitka, Aleutian Islands, Alaska http://pubs.usgs.gov[...]
[82] 저널 Rewriting the history of an extinction—was a population of Steller's sea cows (Hydrodamalis gigas) at St Lawrence Island also driven to extinction?
[83] 저널 Steller's sea cow genome suggests this species began going extinct before the arrival of Paleolithic humans
[84] 서적 No Turning Back: The Life and Death of Animal Species https://archive.org/[...] Harper Perennial
[85] 저널 Modelling the extinction of Steller's sea cow
[86] 서적 Human Impacts on Ancient Marine Ecosystem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7] 저널 Sea otters, kelp forests, and the extinction of Steller's sea cow
[88] 저널 Competition, Predation, and the Evolution and Extinction of Steller's Sea Cow, Hydrodamalis gigas 1995-07-01
[89] 서적 カムチャツカ発見とベーリング探検 龍吟社
[90] 저널 Historical Extinctions in the Sea https://www.uv.mx/pe[...]
[91] 저널 Steller's sea cow in the Aleutian Islands https://www.research[...]
[92] 서적 The Dodo, the Auk and the Oryx Puffin Books
[93] 저널 Ischezla li Stellerova korova? http://paleoglot.org[...]
[94] 저널 Does the 'extinct' sea cow survive? https://books.google[...]
[95] 웹사이트 東海大学海洋科学博物館・自然史博物館 https://x.com/Muse_T[...]
[96] 간행물 標本たちのメッセージ(9)-ステラーカイギュウ https://aquarium.co.[...] 鳥羽水族館 1997-01-01
[97] 웹사이트 絶滅した巨大カイギュウの骨格を発見、ロシア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17-11-27
[98] 저널 Hydrodamalis gigas
[99] 서적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Sirenia: Dugongs and Manate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저널 Modelling the extinction of Steller's sea cow
[101] 저널 The Weight of the Steller Sea Cow 1972-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