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텝긴털족제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텝긴털족제비는 유럽족제비, 검은발족제비와 가까운 친척으로, 육식에 특화된 종이다. 몸길이는 320~562mm이며, 꼬리는 몸길이의 3분의 1 정도이다. 털 색깔은 계절에 따라 다르며, 겨울에는 밝은 황색 또는 백색 황색을 띤다. 7종의 아종이 있으며, 중앙유럽과 동유럽, 러시아,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뚜렷한 영역 행동은 보이지 않으며, 다른 동물의 굴을 사용한다. 1년에 한 번 번식하며, 주로 설치류를 먹이로 한다. 모피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서식지 변화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족제비속 - 페럿
페럿은 족제비과 동물로 유럽족제비로부터 가축화되어 사냥이나 쥐 퇴치에 활용되다가 현재는 다양한 털색과 품종으로 애완동물로 사육되며, 물건을 숨기는 습성과 영역성이 강하고 특정 질병에 취약하며 먹이 선호가 뚜렷한 특징을 가진다. - 족제비속 - 긴꼬리족제비
긴꼬리족제비는 북미에서 처음 나타나 굴을 파는 설치류 사냥에 유리하게 진화한 족제비과의 동물로, 현재 42종의 아종이 서식 환경에 따라 나뉜다. - 1827년 기재된 포유류 - 수마트라오랑우탄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에 서식하며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날씬하고 붉은 털을 가졌으며 과일을 선호하고 도구를 사용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1827년 기재된 포유류 - 오록스
오록스는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인도 아대륙에 서식했던 멸종된 소과 동물이며, 17세기에 멸종되었으나 오록스를 되살리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 아시아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아시아의 포유류 -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는 코끼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귀가 작으며 코 끝에 돌기가 있고,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스텝긴털족제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ustela eversmanii |
명명자 | Lesson, 1827 |
보존 상태 | 관심 필요 |
IUCN | 3.1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아목 | 개아목 |
과 | 족제비과 |
아과 | 족제비아과 |
속 | 족제비속 |
분포 | |
![]() | |
학술적 출처 | |
저널 | BMC Biology |
권 | 6 |
페이지 | 10 |
날짜 | 2008년 2월 |
DOI | 10.1186/1741-7007-6-10 |
참고 문헌 | |
연도 | 2002 |
페이지 | 1136-1137 |
2. 진화 및 분류
빌라프란치안 후기에 나타난 ''Mustela stromeri''는 가장 초기의 족제비로, 현재의 족제비보다 상당히 작았다. 이는 족제비의 진화가 비교적 늦은 시기에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스텝긴털족제비는 유럽족제비 및 검은발족제비와 ''Mustela stromeri''를 공통 조상으로 공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
IRBP영어 유전자 분석에 따르면 스텝긴털족제비는 150만 년 전에 유럽족제비와 분화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cytochrome b영어 유전자 변환은 43만 년 전이라는 더 이른 시기를 나타낸다.[3] 스텝긴털족제비는 유럽족제비보다 육식에 더 특화된 형태를 보인다. 더 큰 설치류를 사냥하는 데 적합하도록 더 강한 이빨과 돌출부를 가진 두개골, 더 발달된 저작근을 가졌다. 또한 성장 속도가 유럽족제비보다 느려, 유럽족제비가 성체가 된 후에도 두개골 발달이 계속된다.[4] 이 종은 한때 플라이스토세 중기 알래스카에도 서식했을 수 있다.[5]
2. 1. 아종
2005년 기준으로, 7종의 살아있는 아종이 확인되었다.[6] 멸종한 아종에는 베링 육교 지역에서 서식했던 베링스텝긴털족제비(''M. e. beringiae'')와 현존하는 가장 큰 스텝긴털족제비인 바이칼스텝긴털족제비보다 더 컸던 ''M. e. michnoi'' 등이 있다.[31]알려진 7종의 아종은 다음과 같다:[30]
아종 | 삼명법 권위 | 설명 | 분포 | 동의어 |
---|---|---|---|---|
페트로파블로프스텝긴털족제비 M. e. eversmanii | Lesson, 1827 | 중간 크기의 아종으로 빽빽하고 부드러운 겨울털을 가지고 있으며, 털의 전체적인 색조는 옅은 밀짚색을 띤 흰색이며, 흰색의 하부 털을 가지고 있다. 엉덩이 부분의 털은 다른 아종보다 밝다.[7] | 볼가 강 서쪽, 볼고그라드 주에서 동쪽의 이르쿠츠크 주와 남쪽의 알타이 초원, 발하슈 호 인근, 세미레치예의 평야 지역, 그리고 옛 소련 외의 북부, 서부 및 동부 카자흐스탄; 동부 카자흐스탄과 인접한 중국 일부 지역에 서식하며, 동부 카자흐스탄과 인접한 중국 일부 지역에서도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 | aureus (Pocock, 1936), heptapotamicus (Stroganov, 1960), |
중국스텝긴털족제비 M. e. admirata | Pocock, 1936 | 허베이, 산시, 오르도스 | ||
아무르스텝긴털족제비 M. e. amurensis | Ognev, 1930 | 짧고 빽빽하며 부드러운 털을 가진 중간 크기의 아종이다. 등 부분의 전체적인 색상은 밝은 붉은 황토색으로, 어두운 색조가 거의 없다.[8] | 아무르 강 중류의 좌안, 옛 만주 동부, 그리고 남쪽으로 더 멀리까지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 | |
유럽스텝긴털족제비 M. e. hungarica | Éhik, 1928 | 털이 희소하고 거친 작은 아종으로, 털 색깔은 초원족제비 중 가장 어두우며, 상대적으로 어두운 갈색을 띠며 황색 하부 털과 어두운 황갈색의 서리가 내린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7] | 가장 서쪽의 러시아 유럽 지역, 러시아의 북부 경계까지 북쪽으로, 동쪽으로는 볼가강과 북부 코카서스까지, 옛 소련 외 지역; 옛 체코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북동부 옛 유고슬라비아, 북부 불가리아, 루마니아, 그리고 리비우와의 경계에 있는 폴란드의 작은 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 moravica (Kostron, 1948), occidentalis (Brauner, 1929), satunini (Migulin, 1928) |
티베트스텝긴털족제비 M. e. larvatus | Hodgson, 1849 | 잘 알려지지 않은 형태로, 대형일 가능성이 높다.[9] | 티베트와 카슈미르 | tibetanus (Horsfield, 1851) |
바이칼스텝긴털족제비 M. e. michnoi | Kastschenko, 1910 | 매우 크고 긴 겨울털과 거친 털을 가진 아종으로, 흰색을 띠며 검은색 털을 가지고 있고, 때로는 옅은 붉은색 털을 가지고 있다.[10] | 서쪽의 바이칼에서 동쪽의 M. e. eversmanii의 분포 지역까지, 자바이칼, 투바, 그리고 알타이 산악 지역; 과거에는 만주, 몽골, 그리고 북부 내몽골 자치구와 준가리아의 일부 동부 지역에서 서식했다. | dauricus (Stroganov, 1958), lineiventer (Hollister, 1913), sibiricus (Kastschenko, 1912), triarata (Hollister, 1913), tuvinicus (Stroganov, 1958) |
투르키스탄스텝긴털족제비 M. e. talassicus | Ognev, 1928 | 길고 빽빽하지만 거친 겨울털을 가진 작은 아종; 털의 전체적인 색조는 녹슨 색조가 없는 매우 옅은 흰색이다. 하부 털은 약간 노란색이며, 털은 검은색이고, 얼굴 가리개는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10] | 카스피해와 발하슈 호수 사이, 톈산 산맥의 서쪽 경계, 카자흐스탄 남부,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
2.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족제비아과의 계통 분류이다.[32]IRBP영어 기준으로 150만 년 전에 유럽족제비와 분화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cytochrome b영어 변환은 43만 년이라는 더 이른 시기를 나타낸다.[3] 스텝긴털족제비는 유럽족제비보다 육식에 더 특화된 형태를 보이며, 더 큰 설치류를 사냥하는 데 적합하다. 두개골은 더 강한 이빨과 돌출부를 가지며, 저작근이 더 발달했다. 성장 속도 또한 유럽족제비보다 느려, 유럽족제비가 성체가 된 후에도 두개골 발달이 계속된다.[4]
2005년 기준으로, 7종의 아종이 확인되었다.[6]
아종 | 삼명법 권위 | 설명 | 분포 | 동의어 |
---|---|---|---|---|
페트로파블로프 초원족제비 M. e. eversmanii (기준 아종) | Lesson, 1827 | 중간 크기로, 빽빽하고 부드러운 겨울털을 가졌다. 털은 옅은 밀짚색을 띤 흰색이며, 흰색 하부 털을 지닌다. 엉덩이 털은 다른 아종보다 밝다.[7] | 볼가강 서쪽, 볼고그라드주에서 동쪽 이르쿠츠크주, 남쪽 알타이 지방 초원, 발하슈 호 인근, 제티수 평야, 북부, 서부, 동부 카자흐스탄. 동부 카자흐스탄과 인접한 중국 일부 지역에도 서식 추정. | aureus (Pocock, 1936), heptapotamicus (Stroganov, 1960), nobilis (Stroganov, 1958), pallidus (Stroganov, 1958) |
중국 초원족제비 M. e. admirata | Pocock, 1936 | 허베이성, 산시성, 오르도스 만 | ||
아무르 초원족제비 M. e. amurensis | Ognev, 1930 | 중간 크기로, 짧고 빽빽하며 부드러운 털을 가졌다. 등은 밝은 붉은 황토색이며, 어두운 색조는 거의 없다.[8] | 아무르강 중류 좌안, 옛 만주 동부, 남쪽 | |
유럽 초원족제비 M. e. hungarica | Éhik, 1928 | 털이 희소하고 거친 작은 아종. 털색은 초원족제비 중 가장 어둡고, 짙은 갈색에 황색 하부 털, 어두운 황갈색 서리 모양.[7] | 러시아 유럽 서쪽, 북쪽 러시아 경계, 동쪽 볼가강과 북부 코카서스, 옛 소련 외 지역; 옛 체코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북동부 옛 유고슬라비아, 북부 불가리아, 루마니아, 리비우 접경 폴란드 일부. | moravica (Kostron, 1948), occidentalis (Brauner, 1929), satunini (Migulin, 1928) |
티베트 초원족제비 M. e. larvatus | Hodgson, 1849 | 알려지지 않은 대형 아종.[9] | 티베트, 카슈미르 | tibetanus (Horsfield, 1851) |
바이칼 초원족제비 M. e. michnoi | Kastschenko, 1910 | 매우 크고 긴 겨울털과 거친 털을 가진 아종. 흰색에 검은색 털, 때로는 옅은 붉은색 털.[10] | 서쪽 바이칼호에서 동쪽 M. e. eversmanii 분포 지역, 자바이칼, 투바 공화국, 알타이 지방 산악 지역; 과거 만주, 몽골, 내몽골 자치구, 준가리아 일부 동부. | dauricus (Stroganov, 1958), lineiventer (Hollister, 1913), sibiricus (Kastschenko, 1912), triarata (Hollister, 1913), tuvinicus (Stroganov, 1958) |
투르케스탄 초원족제비 M. e. talassicus | Ognev, 1928 | 길고 빽빽하지만 거친 겨울털을 가진 작은 아종. 털은 녹슨 색조 없는 옅은 흰색. 하부 털은 옅은 노란색, 털은 검은색, 얼굴 무늬는 희미.[10] | 카스피해와 발하슈 호수 사이, 톈산 산맥 서쪽 경계, 카자흐스탄 남부,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
스텝긴털족제비는 유럽긴털족제비와 외형, 체형, 습성이 매우 비슷하지만, 짧은 덮개털 때문에 몸이 약간 더 길어 보인다. 꼬리는 몸길이의 3분의 1 정도로 짧다.[11] 두개골은 유럽긴털족제비보다 더 무겁고 튼튼하며, 관골궁 사이가 더 넓고 시상 능선이 더 발달되어 있다.[12] 북아메리카의 검은발족제비와 매우 유사하지만, 스텝긴털족제비의 털이 훨씬 길고 부드러우며, 귀가 짧고, 구개 후구치 연장부가 짧다는 차이점이 있다.[13] 암컷은 4쌍의 젖꼭지와 잘 발달된 항문샘을 가지고 있어, 자기 방어를 위해 톡 쏘는 냄새가 나는 액체를 분비할 수 있다.[14]
3. 형태 및 특징
3. 1. 털
스텝긴털족제비의 겨울털은 부드럽고 길며, 짧고 빽빽한 속털과 길고 성긴 덮개털을 가지고 있다. 털은 일반적으로 유럽긴털족제비보다 짧고 덜 두껍다. 덮개털은 특히 허리 아래쪽에서 잘 발달되어 있지만, 유럽긴털족제비보다는 성기다. 스텝긴털족제비의 덮개털은 속털을 완전히 덮지 않는다. 겨울털의 기본 색상은 매우 밝은 황색 또는 백색 황색이다. 덮개털 끝은 검은 갈색 또는 갈색으로, 노란색 속털 위에 서리 효과를 낸다. 이 서리 효과는 덮개털이 더 밀집하고 길기 때문에 허리 중간과 아래쪽에서 더 강하다. 등 위쪽, 옆구리, 어깨 사이, 목 위쪽을 덮는 덮개털은 매우 짧아 뒷부분보다 색상이 더 밝다. 머리는 얼룩무늬이며, 눈 부위와 코 위쪽은 갈색 마스크로 덮여 있다. 마스크 뒤에는 흰색 띠가 뺨에서 뺨으로 가로지른다. 작은 갈색 영역이 일반적으로 각 귀 앞에 위치한다. 귀는 완전히 흰색이고, 목은 황백색 또는 거의 흰색이다. 때때로 머리가 완전히 흰색이기도 하다. 목 아랫면은 어두운 검은 갈색 또는 갈색이고, 가슴과 앞다리는 검은색 또는 검은 갈색이다. 복부는 밝은 황색-짚색이다. 사타구니는 앞다리와 같은 색이다. 꼬리 기부는 밝은색이고, 끝은 짙은 갈색이다. 여름 털은 겨울 털보다 짧고 거칠며, 덜 빽빽하고 밀착되며, 황토색 또는 붉은색조가 더 강하게 발달한다. 머리는 전체적으로 겨울보다 더 어둡고, 어두운색과 흰색 대비가 더 크다.[14]
3. 2. 크기
스텝긴털족제비는 전체적인 외형, 체형, 습성 면에서 유럽긴털족제비와 매우 유사하지만, 짧은 덮개털로 인해 몸이 약간 더 길어 보이는 경향이 있다. 꼬리는 짧으며, 몸 길이의 3분의 1을 차지한다.[11] 두개골은 유럽긴털족제비보다 더 무겁고 튼튼하며, 관골궁 사이가 더 넓고, 특히 시상 능선이 더 발달되어 있다.[12] 북아메리카의 검은발족제비와 매우 유사하며, 스텝긴털족제비의 훨씬 길고 부드러운 털, 짧은 귀, 짧은 구개 후구치 연장부만을 유일한 차이점으로 가진다.[13]
암컷은 4쌍의 젖꼭지와 잘 발달된 항문샘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 방어를 위해 톡 쏘는 냄새가 나는 액체를 분비할 수 있다.[14] 수컷의 몸길이는 320mm이며, 암컷은 290mm이다. 수컷의 꼬리 길이는 80mm이고 암컷은 70mm이다. 시베리아의 수컷은 최대 2kg까지 나갈 수 있으며, 암컷은 1.4kg이다. 세미레치예에서 발견된 한 거대한 긴털족제비는 몸길이가 약 775mm였다.[15] 전체적으로 거대증을 보이는 개체는 유럽긴털족제비보다 흔하며, 주로 서시베리아에서 발생하며, 이곳에서 시베리아족제비와 잡종 교배를 할 가능성이 있다.[16]
4. 분포 및 서식지
스텝긴털족제비는 서쪽으로는 중앙유럽과 동유럽에서부터 남부 러시아, 북부 조지아,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을 거쳐 몽골, 북부 및 서부 중국까지 분포한다.[1]
2014년에는 네팔의 안나푸르나 보존 지역인 어퍼 무스탕에서 5050m 고도에서 기록되었다.[17]
5. 생태 및 행동
스텝긴털족제비는 뚜렷하게 정해진 행동권을 갖지 않으며, 먹이의 분포와 번식 상태에 따라 서식지를 옮겨 다닌다. 겨울에는 더 활동적이며, 폭설 시에는 보다 유리한 지역으로 이동한다. 이들은 주로 다른 동물의 굴을 이용하며, 둥지 굴은 여러 개의 출구를 가진다.
번식은 주로 봄에 이루어지며, 임신 기간은 약 36~43일이다. 새끼는 눈이 멀고 털이 없는 상태로 태어나며, 성장하면서 어미의 보살핌을 받다가 독립한다.
스텝긴털족제비는 유럽족제비와 달리, 주로 쥐와 같은 작은 설치류보다는 땅다람쥐, 햄스터, 피카 및 어린 개체나 부상당한 성체 마멋과 같은 더 큰 스텝 서식 포유류를 잡아먹는다. 땅다람쥐는 일년 내내 가장 흔한 먹이이며, 땅다람쥐가 없는 지역에서는 햄스터나 피카, 물쥐 등을 먹는다. 강과 호수 기슭에서는 물고기, 닭, 썩은 고기를 먹기도 하며, 가끔 새, 양서류, 파충류를 사냥하기도 한다.
5. 1. 영역 행동
스텝긴털족제비는 뚜렷하게 정해진 행동권을 갖지 않는다. 따뜻한 계절, 특히 땅다람쥐가 많은 지역에서는 늙은 긴털족제비가 먹이를 없앨 때까지 비교적 안정적인 영역을 유지한다. 어린 긴털족제비는 덜 정착하여 죽인 땅다람쥐의 굴에서 밤을 지낸다. 새끼를 키우는 암컷은 가장 정착하지만, 새끼가 함께 다닐 수 있을 만큼 자라면 돌아다니기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스텝긴털족제비는 며칠 또는 최대 몇 달 동안 하나의 행동권만 차지한다. 겨울에는 스텝긴털족제비가 더 활동적이며 하루에 12km 이동한다. 폭설이 내리는 동안 스텝긴털족제비는 스텝 협곡의 비탈, 정착지 및 겨울 캠프와 같은 더 유리한 지역으로 이동한다.[18]이 종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굴을 파지 않고, 대신 마멋, 땅다람쥐, 햄스터, 두더지, 쥐, 사막쥐 등의 굴을 약간 넓혀서 사용한다. 굴은 재구성을 할 만큼 오래 살지 않기 때문에 종종 허술하게 만들어진다. 둥지 굴은 안감을 대지 않으며 3개에서 20개에 이르는 많은 출구를 가지고 있다. 둥지 방 옆에는 식량 창고가 있다. 독립적으로 파낸 굴은 일반적으로 얕고 단순하게 만들어진다.[18]
5. 2. 굴
스텝긴털족제비는 보통 자신이 직접 굴을 파지 않고, 마멋, 땅다람쥐, 햄스터, 두더지, 쥐, 사막쥐 등의 굴을 약간 넓혀서 사용한다. 굴은 재구성을 할 만큼 오래 살지 않기 때문에 종종 허술하게 만들어진다. 둥지 굴은 안감을 대지 않으며 3개에서 20개에 이르는 많은 출구를 가지고 있다. 둥지 방 옆에는 식량 창고가 있다. 독립적으로 파낸 굴은 일반적으로 얕고 단순하게 만들어진다.[18]5. 3. 번식
사육 상태에서 짝짓기는 3월 초부터 말까지 관찰되었다. 모스크바 동물원에서는 4월 9일부터 6월 9일까지 족제비 7마리의 짝짓기가 관찰되었다.[19] 발정 증상은 3월 12~13일에 나타났으며, 2~3주 동안 계속되었다. 짝짓기 후 이러한 증상은 3~4주 이내에 사라졌다. 서시베리아의 번식기는 3월에 발생하며, 자바이칼에서는 5월 말까지 발생한다. 교미는 20분에서 3시간까지 지속된다. 암컷이 새끼를 낳지 못하거나 새끼가 조기에 죽는 경우 발정 기간이 더 길어지거나 반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텝긴털족제비는 1년에 한 번 짝짓기를 하고 한 번의 새끼를 낳는다. 임신 기간은 36~43일이다. 태반 형성은 짝짓기 후 2주 후에 발생하며, 배반포 단계는 7~8일 지속된다. 새끼는 일반적으로 3~6마리로 구성되지만, 18마리의 새끼가 있는 경우도 알려져 있다.[19]새끼는 눈이 멀고 털이 없으며, 피부는 옅은 장밋빛이고 귀에는 막이 있다. 태어났을 때 길이는 6.5cm에서 7cm이고 무게는 4.5g이지만, 모스크바 동물원에서 태어난 족제비는 10g이었다. 3일 후 몸에 얇고 흰 솜털이 나타나고, 몸길이는 두 배로 늘어나고, 무게는 최대 33g까지 6배 증가한다. 젖니는 거의 같은 시기에 나고 발이 어두워지기 시작한다. 20일째에 새끼는 색깔이 어두워지고 무게는 70g에서 72g이다. 눈은 28~34일 후에 뜨고, 새끼는 더욱 활동적으로 변하여 어미 젖에 의존하면서도 먹이를 찢어 먹으려고 한다. 생후 1개월이 되면 새끼는 길이가 190mm이고 무게는 138g이다. 45일이 되면 어린 땅다람쥐를 사냥할 수 있고, 60일이 되면 성체를 목표로 하기 시작한다. 새끼는 2.0~2.5개월 동안 가족 굴에 머문다. 새끼는 7월 이후부터 흩어지기 시작하며, 생후 10개월에 성적 성숙에 도달한다. 2살에 성체가 된다.[19]
5. 4. 먹이
스텝긴털족제비는 유럽족제비와 달리, 주로 쥐와 같은 작은 설치류보다는 땅다람쥐, 햄스터, 피카 및 어린 개체나 부상당한 성체 마멋과 같은 더 큰 스텝 서식 포유류를 잡아먹는다.[20] 땅다람쥐는 일년 내내 가장 흔한 먹이이며, 따뜻한 시기에는 지상에서 사냥하고, 가을에는 굴에서 파낸다.[20] 수컷 족제비는 종종 다람쥐 굴을 넓혀야 들어갈 수 있지만, 어린 개체나 암컷 족제비는 보통 쉽게 들어갈 수 있다.[20] 땅다람쥐가 없는 지역에서는 스텝긴털족제비가 주로 햄스터와 피카를 먹거나, 물가에서는 물쥐를 먹는다.[20] 강과 호수 기슭에서는 물고기, 닭 및 썩은 고기가 먹이가 될 수 있다.[20] 스텝긴털족제비에게 가끔 사냥당하는 조류로는 회색자고새와 버들 닭이 있다.[20] 양서류와 파충류는 거의 먹지 않는다.[20]6. 질병 및 기생충
스텝긴털족제비는 숲쥐역 페스트, 야생토끼병 및 개 디스템퍼에 약하게 취약하다. 쇠약해진 개체는 파스퇴렐라증에 취약하다. 기생충 감염과 진드기 감염이 이 종에서 널리 퍼져 있다. 스텝긴털족제비를 감염시키는 벼룩 종은 최대 11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일부는 먹이로부터 옮겨진다.[21]
7. 인간과의 관계
스텝긴털족제비는 구 소련 국가들에게 매우 큰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이들은 농업에 해를 끼치고 질병을 퍼뜨리는 수많은 설치류를 죽인다. 스텝긴털족제비 한 마리는 1년에 최소 200마리의 땅다람쥐를, 또는 겨울철에만 1,500마리의 생쥐 종류 설치류를 없앨 수 있다. 또한 구 소련의 모피 무역에도 매우 중요하여, 카자흐스탄 및 기타 지역에서 수확되는 모피 동물의 1위를 차지한다.[22] 그러나 1926~1929년과 1956~1959년 사이에 스텝긴털족제비의 개체 수가 눈에 띄게 감소했는데, 이는 스텝 지형의 변화, 설치류 개체 수 조절에 화학적 방법을 적용하면서 종의 자연 먹이 감소, 처녀지 개척 사업 및 농화학적 방법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22] 스텝긴털족제비는 비교적 쉽게 포획할 수 있으며, 주로 사람이 사는 굴 근처에 설치된 턱덫으로 잡는다.[22]
참조
[1]
Iucn
"''Mustela eversmanii''"
2016
[2]
서적
[3]
학술지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divergence times among mustelids (Mammalia: Carnivora)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of the nuclear interphotoreceptor retinoid binding protein and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s
http://www.fukuyama-[...]
2011-06-02
[4]
서적
[5]
학술지
Ferret from the Pleistocene of central Alaska
null
[6]
MSW3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Synopsis of the weasels of North America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ing Office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학술지
First record of Steppe Polecat ''Mustela eversmanii'' in Nepal
https://www.research[...]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IUCN
Mustela eversmannii
[24]
저널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http://www.biomedcen[...]
2008-02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MSW3
[31]
저널
Pleistocene mammals of North America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32]
저널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