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무르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무르강은 몽골 고원에서 시작하여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을 따라 흐르는 강으로, 오호츠크해로 흘러든다. 역사적으로 흑룡강으로 불렸으며, 중국-러시아 관계에서 중요한 지정학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아무르강 유역은 퉁구스족, 몽골족 등 다양한 민족의 거주지였으며, 명나라와 러시아의 영토 분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현재는 러시아 아무르주와 중국 헤이룽장성의 경계를 이루며, 블라고베셴스크, 하바롭스크 등의 도시가 위치해 있다. 풍부한 수산자원을 가지고 있으나, 수질 오염 문제도 안고 있다. 아무르강을 가로지르는 교량과 터널이 건설되어 교통의 요지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무르주의 강 - 제야강
    제야강은 토코-스타노비크 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무르강과 합류하는 강으로, 제야 저수지를 통과하며 댐 건설로 유량이 조절되어 아무르강 유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겨울에는 얼어붙고 해빙기에는 항해가 가능하다.
  • 유대인 자치주의 강 - 비라강
  • 아무르강 - 한카호
    한카호는 중국 동북 지방에서 가장 큰 호수로, 멸종 위기종을 포함한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는 중요한 습지이며, 중국과 러시아 양국에서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 및 람사르 협약 등록지로 보호받고 있다.
  • 아무르강 - 후룬호
    후룬호는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한 면적 약 2,339km²의 담수호이며, 어업과 관광이 이루어지고 다라이호 국가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생태 환경을 보호받고 있지만 기후 변화와 경제 활동으로 인해 생태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아무르강
개요
아무르강
아무르강
다른 이름헤이룽강 (黑龙江)
어원몽골어 '아마르 (rest)'에서 유래
길이2,824 km (아무르-아르군-하이라르: 4,444 km)
유역 면적1,855,000 km² (미배수 지역 포함 시 2,129,700 km²)
최대 폭5,000 m
최대 깊이57 m
하구 평균 방류량 (2002-2020)12,360 m³/s
하구 평균 방류량 (1896-2004)11,330 m³/s
지리
국가러시아
중국
주요 도시블라고베셴스크
헤이허시
퉁장시
하바롭스크
아무르스크
콤소몰스크나아무레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발원지오논강-실카강 합류점
발원지 위치몽골 헨티 주 항헹티 특별보호구역
발원지 고도2,045 m
두번째 발원지아르군강
두번째 발원지 위치중국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 시 대싱안링 산맥
발원지 합류점 위치러시아 포크로프카 근처
발원지 합류점 고도303 m
하구타타르 해협
하구 위치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근처
하구 고도0 m
물줄기 진행타타르 해협 (오호츠크해)
수문 정보
보고로드스코예 지점 평균 방류량 (2008-2019)11,459 m³/s
보고로드스코예 지점 평균 방류량 (1896-2004)10,100 m³/s
콤소몰스크나아무레 지점 평균 방류량 (2012-2019)10,259 m³/s
하바롭스크 지점 평균 방류량 (2008-2018)8,384 m³/s
하바롭스크 지점 평균 방류량 (1896-2004)8,360 m³/s
블라고베셴스크 지점 평균 방류량 (1971-2000)2,859.1 m³/s
지류
왼쪽 지류실카강
아마자르강
올도이
제야강
부레야강
아르하라강
비잔
비라강
퉁구스카강
볼론
고린강
비치
암군강
팔빈스카야
오른쪽 지류아르군강
에무에르
후마강

쿠에르빈
쑹화강
농장강
우수리강
시타
넴타
아뉴이강
구르강
야이
기타 정보
중국어 이름黑龙江 (Hēilóng Jiāng)
만주어 이름ᠰᠠᡥᠠᠯᡳᠶᠠᠨ ᡠᠯᠠ (Sahaliyan ula)

2. 역사

아무르강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중국에서는 "흑수(黑水)", "약수(弱水)", "오환하(烏桓河)" 등으로 불렸으며, 13세기 요사에서 "흑룡강(黑龍江)"이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다. 만주어로는 "사할리얀 울라(ᠰᠠᡥᠠᠯᡳᠶᠠᠨ
ᡠᠯᠠ|Sahaliyan Ula|검은 강mn)"라고 불렸고, 몽골어로는 "하람렌(Хар Мөрөн|Khar Mörön|하라무렌mn)"이라고 불렸다. 러시아어 이름인 "아무르(Амур)"는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이름이 되었다. 사할린이라는 의 이름은 "사할리얀 울라의 하구 건너편"에 위치하여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1895년 하바롭스크 북쪽 아무르강을 따라 있는 나나이족 마을


아무르강은 중국-러시아 관계에서 중요한 상징이자 지정학적 요인이었다. 특히 1956년부터 1966년까지의 중국-소련 정치 분열 시기에 두드러졌다.

여진족(만주족)은 이 강을 이용하여 유역 민족(아무르강 하구 건너편의 사할린에 사는 아이누인 등)과 모피 등을 교환하는 산단 무역을 했다. 그러나 점차 동쪽으로 진출해 온 러시아인과의 거래 및 영토 분쟁이 발생했다.

17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러시아와 청나라 간에는 아무르강 유역을 둘러싼 분쟁이 지속되었다. 바실리 포야르코프와 예로페이 하바로프 등 러시아 탐험대가 아무르강 유역에 침입하면서 청나라러시아 제국 간의 청러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러시아는 아무르강 상류에 알바진 요새를 건설했으나, 청군에 의해 여러 번 포위되고 파괴되었다. 결국 러시아는 강화를 요청했고,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을 통해 아무르강 상류 서쪽을 제외한 유역이 청나라 영토로 확정되었다.

청에 체류한 예수회 선교사, Jean-François Gerbillon(1697년–1782년)이 작성한 청나라 전도 중 아무르강 유역의 확대도. 하구의 작은 섬은 사할린 북단을 그린 것.


그러나 청나라가 약화되면서 러시아는 다시 아무르강 연안 영유를 목표로 탐험대를 보냈다. 결국 1858년 아이훈 조약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청나라 영토가 할양되면서 현재의 국경선이 확정되었다.

이후에도 아무르강과 그 지류에 있는 섬과 사주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중소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1969년 우수리강에서 대규모 군사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으나, 2004년 중러 양국이 동부 국경 확정을 완료하면서 대립은 진정되었다.

2019년에는 국경의 아무르강(흑룡강)에 최초의 철도 다리인 퉁장 철도 대교와 최초의 도로 다리인 흑하-블라고베시첸스크 다리가 완공되었다.[61][57][58][59]

2. 1. 고대

상서[63]와 《통전》(通典)[64]에 기록된 약수(弱水)의 '약(弱)'의 옛 발음이 'nziak' 혹은 'niak'이므로 약수가 눈강을 가리킨다는 설(說)[65]이 있으나, 《진서》(晋書)의 사료(史料)[66]에 유의한다면 아무르강을 가리킨다는 설[67]이 더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68]

조선 초 '흑룡강' 일대에 야인(野人)들이 살고 있었으며, 조선왕조실록에도 종종 등장한다. 청나라중국 영토에 흑룡강 일대를 덧붙였다. 러시아어 이름 아무르(Amur)는 "강"을 의미하는 퉁구스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20] 퉁구스 민족은 퉁구스어족 언어(또는 만주-퉁구스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언어-민족 집단으로, 시베리아와 동북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아무르(Amur)라는 이름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한 가지 이론은 에벤키어 단어 '아무르(amur)' 또는 에벤어 단어 '아마르(amar)'에서 러시아어로 전해졌다는 것이다. 두 단어 모두 각 퉁구스어족 언어로 "강"을 의미한다. 그러나 러시아어가 아무르라는 이름을 다른 언어가 아닌 퉁구스어족 언어에서 차용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또 다른 이론은 아무르(Amur)가 "큰 강"을 의미하는 몽골어 다구르어 단어 '무르(mur)'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다.[21]

고대 중국 이름은 '위수(Yushui)', '완수(Wanshui)', '흑수(Heishui)'였으며,[22] 후자의 이름은 "검은 물"을 의미하며, 현대 중국 이름인 '헤이룽장(Heilongjiang)' 또는 "검은 용강"의 근원이 되었다. 한편 만주어 이름인 '사할리얀 울라(Sahaliyan Ula)'와 몽골어 이름 '아마르 뫼론(Amar mörön)' (키릴 문자: Амар мөрөн)은 "쉬다"를 의미하는 "아마르(Amar)"와 검은 강을 의미하는 '카르 뫼론(Khar mörön)'(키릴 문자: Хар мөрөн)에서 유래되었다.[1] 역사적 기록들은 아무르강 지역을 만주(중국 동북부)와 외만주의 두 개의 지정학적 실체로 구분한다. 강 남쪽에 위치한 중국의 헤이룽장성은 강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북쪽에 위치한 러시아의 아무르주도 마찬가지다. 이 강을 신성하게 여기는 중국의 만주족과 그들의 청나라는 이 강을 '사할리얀 울라'(검은 강)라고 불렀다.

수세기 동안 아무르 계곡의 거주자들은 퉁구스족(에벤키족, 솔론족, 두체르족, 여진족, 나나이족, 울치족), 몽골족(다우르족), 일부 아이누족과 강 하구 근처의 니브흐족으로 구성되었다.[33] 이들 집단 중 많은 사람들에게 아무르강과 그 지류에서의 어업은 생계의 주요 수단이었다. 17세기까지 이들은 유럽인들에게 알려지지 않았고, 때로는 이들을 집합적으로 야인 여진으로 묘사했던 한족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중국어 용어 '위피 다즈'(魚皮韃子, "물고기 가죽 타타르족")는 물고기 가죽으로 만든 전통 의상 때문에 나나이족 및 관련 집단에도 적용되었다.[34]

티르에 있는 이시하의 기념비 잔해


이 지역을 원나라로 통치하던 몽골족은 13세기와 14세기에 하류 아무르강에 미약한 군사적 주둔지를 건설했다. 원나라 시대의 사원 유적이 티르 마을 근처에서 발굴되었다.[35]

영락제선덕제 시대(15세기 초)에 명나라는 만주로 알려지게 될 명나라의 북동쪽 인접 지역을 통제하기 위해 아무르강에 도달했다. 환관 이시하가 이끄는 탐험대는 1411년부터 1430년대 초까지 여러 차례 티르에 도달하여 용녕사를 재건(두 번)하고 하류 아무르강의 부족들을 명나라 정부에 형식적으로 복속시켰다.[36][37] 일부 자료에서는 같은 시기에 중류 아무르강에서도 중국의 존재를 보고하고 있는데, 자야강 하구에서 하류 아무르강 북서쪽 강둑에 약 20년 동안 아이군 요새가 있었다. 이 명나라 시대의 아이군은 후에 청나라 시대에 재배치된 아이군과 반대편 강둑에 위치해 있었다.[38] 어떤 경우든, 아무르강에서의 명나라의 존재는 일시적이고 미약했다. 영락제 시대가 끝난 직후, 명나라의 국경은 남만주로 후퇴했다.

중국 설, "중국 신", 용, 나선, 두루마리, 농업, 축산, 난방, 철제 솥, 비단, 면과 같은 중국의 문화적 및 종교적 영향이 우데게족, 울치족, 나나이족과 같은 아무르 원주민들 사이에 퍼졌다.[39]

바실리 포야르코프와 예로페이 하바로프가 이끄는 러시아 코사크 탐험대는 각각 1643–44년과 1649–51년에 아무르강과 그 지류를 탐험했다. 코사크는 에벤키족의 옛 수도였던 자리에 상류 아무르강에 알바진 요새를 세웠다.

당시 만주족은 중국 정복에 바빴지만, 수십 년 후 강희제 시대(1661–1722)에 북만주 지역으로 관심을 돌렸다. 아이군은 1683–84년경 명나라의 추정 부지 근처에 재건되었고, 군사 원정대가 상류로 진격하여 러시아인들을 몰아냈다. 러시아의 알바진 설치로 인해 만주 통치자들은 이 지역의 솔론족과 다우르족이 공급해야 할 담비 털에 대한 조공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40] 알바진은 1685년의 짧은 군사 작전 중에 함락되었다. 1689년에 체결된 네르친스크 조약은 적대 행위의 종식을 의미했다. 이 조약으로 인해 실카강과 아르군강 합류 지점부터 하류의 아무르강 계곡 전체가 중국의 손에 넘어갔다.

표도르 소이모노프는 1757년에 당시 거의 탐험되지 않았던 아무르강 지역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는 중국 영토의 일부였던 실카강 지도를 만들었지만, 아르군강과의 합류 지점에 도달했을 때 되돌아갔다.[41] 아무르강을 따라 원주민들에게 러시아 동방 정교회를 전파하는 것은 청나라에 위협으로 여겨졌다.[42]

2. 2. 근대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조선 초 흑룡강 일대에는 야인(野人)들이 살고 있었다. 청나라중국 영토에 흑룡강 일대를 포함시켰다. 러시아어 이름 아무르(Amur)는 "강"을 의미하는 퉁구스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영락제선덕제 시대(15세기 초)에 명나라는 만주를 통제하기 위해 아무르강에 도달했다. 환관 이시하가 이끄는 탐험대는 1411년부터 1430년대 초까지 여러 차례 티르에 도달하여 용녕사를 재건하고 하류 아무르강의 부족들을 명나라에 복속시켰다.[36][37] 명나라 시대에 아이군 요새가 아무르강 북서쪽 강둑에 약 20년간 존재하기도 했다.[38] 그러나 명나라의 아무르강 지배는 일시적이었고, 영락제 시대 이후 명나라의 국경은 남만주로 후퇴했다.

바실리 포야르코프와 예로페이 하바로프가 이끄는 러시아 코사크 탐험대는 1643–44년과 1649–51년에 아무르강과 그 지류를 탐험했다. 코사크는 상류 아무르강에 알바진 요새를 세웠다.

당시 만주족은 중국 정복에 집중하고 있었으나, 강희제 시대(1661–1722)에 북만주 지역으로 관심을 돌렸다. 아이군은 1683–84년경 재건되었고, 군사 원정대가 상류로 진격하여 러시아인들을 몰아냈다. 1689년에 체결된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실카강과 아르군강 합류 지점부터 하류의 아무르강 계곡 전체가 중국 영토가 되었다.

표도르 소이모노프는 1757년에 아무르강 지역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는 실카강 지도를 만들었지만, 아르군강과의 합류 지점에 도달했을 때 되돌아갔다.[41]

아무르 지역은 그 후 150년 동안 청나라의 낙후된 지역으로 남아 있었으며, 아이군은 강에서 거의 유일한 주요 도시였다. 러시아인들은 19세기 중반에 강에 다시 나타났고, 만주족은 아이군 조약 (1858)에 의해 강 북쪽의 모든 영토를 러시아 제국에 양도해야 했다. 우스리강 동쪽과 하류 아무르강 지역도 베이징 조약 (1860)에 의해 러시아에 편입되었다.[43]

여진족(만주족)은 이 강을 이용하여 유역 민족과 모피 등과 청나라 생산품을 교환하는 거래(산단 무역)를 했지만, 러시아인과의 거래 및 영토 분쟁이 일어났다. 17세기에는 바실리 포야르코프나 에로페이 하바로프 등 러시아 탐험대가 아무르강 유역에 침입하여, 러시아 제국 간의 분쟁(청러 국경 분쟁, , , )이 일어났다. 러시아는 아무르강 상류에 알바진 요새를 건설했으나, 청군에 의해 여러 번 포위되어 파괴되었다. 러시아 측은 강화를 요청하여, 1689년의 넬친스크 조약에서 상류 서쪽 외 유역이 청나라 영토로 정해졌다.

그러나 청이 약화되자, 러시아는 다시 아무르강 연안의 영유를 목표로 탐험대를 보냈다. 1858년아이훈 조약(璦琿條約), 1860년베이징 조약으로 청나라 영토 할양을 거쳐 현재의 국경선으로 정해졌다.

이후, 아무르강 및 그 지류 안에 있는 많은 섬과 사주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중소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1969년에는 우수리강에서 대규모 군사 충돌이 발생했으나, 2004년에 중러 양국은 동부 국경 확정 완료를 선언하여 대립은 진정되었다.

2019년, 국경의 아무르강(흑룡강)에 놓이는 최초의 철도 다리인 퉁장 철도 대교와 최초의 도로 다리인 흑하-블라고베시첸스크 다리가 완공되었다[61][57][58][59]

2. 3. 현대

조선 초에는 '흑룡강' 일대에 야인(野人)들이 살고 있었으며, 조선왕조실록에도 종종 등장한다. 청나라중국 영토에 흑룡강 일대를 포함시켰다.

명나라영락제선덕제 시대(15세기 초)에 만주 북동쪽 인접 지역을 통제하기 위해 아무르강에 도달했다. 환관 이시하가 이끄는 탐험대는 1411년부터 1430년대 초까지 여러 차례 티르에 도달하여 용녕사를 재건(두 번)하고 하류 아무르강의 부족들을 명나라 정부에 복속시켰다.[36][37] 일부 자료에서는 같은 시기에 중류 아무르강에서도 중국의 존재를 보고하는데, 자야강 하구에서 하류 아무르강 북서쪽 강둑에 약 20년 동안 아이군 요새가 있었다고 한다. 이 명나라 시대의 아이군은 후에 청나라 시대에 재배치된 아이군과 반대편 강둑에 위치해 있었다.[38]

바실리 포야르코프와 예로페이 하바로프가 이끄는 러시아 코사크 탐험대는 각각 1643–44년과 1649–51년에 아무르강과 그 지류를 탐험했다. 코사크는 에벤키족의 옛 수도였던 자리에 상류 아무르강에 알바진 요새를 세웠다.

당시 만주족은 중국 정복에 바빴지만, 수십 년 후 강희제 시대(1661–1722)에 북만주 지역으로 관심을 돌렸다. 아이군은 1683–84년경 명나라의 추정 부지 근처에 재건되었고, 군사 원정대가 상류로 진격하여 러시아인들을 몰아냈다. 알바진은 1685년의 짧은 군사 작전 중에 함락되었다. 1689년에 체결된 네르친스크 조약은 적대 행위의 종식을 의미했다. 이 조약으로 인해 실카강과 아르군강 합류 지점부터 하류의 아무르강 계곡 전체가 중국의 손에 넘어갔다.

표도르 소이모노프는 1757년에 당시 거의 탐험되지 않았던 아무르강 지역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는 중국 영토의 일부였던 실카강 지도를 만들었지만, 아르군강과의 합류 지점에 도달했을 때 되돌아갔다.[41]

아무르 지역은 그 후 150년 동안 청나라의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으로 남아 있었으며, 아이군은 강에서 거의 유일한 주요 도시였다. 러시아인들은 19세기 중반에 강에 다시 나타났고, 만주족은 아이군 조약(1858)에 의해 강 북쪽의 모든 영토를 러시아 제국에 양도하도록 강요받았다. 우스리강 동쪽과 하류 아무르강 지역도 베이징 조약(1860)에 의해 러시아에 편입되었다.[43]

17세기에는 바실리 포야르코프나 에로페이 하바로프 등 러시아 탐험대가 아무르강 유역에 침입하여, 중국의 과 남하하는 러시아 제국 간의 분쟁(청러 국경 분쟁, , , )이 일어났다. 러시아는 아무르강 상류에 알바진 요새를 건설했으나, 청군에 의해 여러 번 포위되어 파괴되었다. 러시아 측은 강화를 요청하여, 1689년의 넬친스크 조약에서 상류 서쪽 외 유역이 청나라 영토로 정해졌다.

그러나 이후 청이 약화되자, 러시아는 다시 아무르강 연안의 영유를 목표로 탐험대를 보냈다. 1858년아이훈 조약, 1860년베이징 조약으로 청나라 영토 할양을 거쳐 현재의 국경선으로 정해졌다.

이후, 아무르강 및 그 지류 안에 있는 많은 섬과 사주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중소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1969년에는 우수리강에서 대규모 군사 충돌이 발생했으나, 2004년에 중러 양국은 아무르-우수리 합류점의 볼쇼이 우수리스키 섬(대(大)우수리 섬)을 비롯한 모든 지역에서의 동부 국경 확정 완료를 선언하여 대립은 진정되었다.

2019년, 국경의 아무르강(흑룡강)에 놓이는 최초의 철도 다리인 퉁장 철도 대교와 최초의 도로 다리인 흑하-블라고베시첸스크 다리가 완공되었다.[61][57][58][59]

3. 지리

상서[63]와 《통전[64]에 기록된 약수(弱水)의 '약(弱)'의 옛 발음이 'nziak' 혹은 'niak'이므로, 弱水가 눈강을 가리킨다는 설[65]이 있으나, 《진서》의 사료[66]에 유의한다면 아무르강을 가리킨다는 설[67]이 더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68]

조선 초 '흑룡강' 일대에는 야인(野人)들이 살고 있었으며, 조선왕조실록에도 종종 등장한다. 청나라중국 영토에 흑룡강 일대를 덧붙였다.

아무르강은 중국 동북부 서부 언덕에서 주요 지류인 실카강아르군강(에르구네강)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해발 303m에서 발원한다.[23] 동쪽으로 흘러 중국과 러시아의 경계를 이루며, 약 400km 동안 남동쪽으로 크게 활 모양을 그리며 흐른다. 이 과정에서 많은 지류를 받아들이고 여러 작은 마을을 지난다. 후마에서는 주요 지류인 후마강과 합류하고,[24] 이후 남쪽으로 계속 흘러 러시아 블라고베셴스크와 중국 헤이허시 사이에서 가장 중요한 지류 중 하나인 제야강과 합류하면서 크게 넓어진다.[25]

동쪽으로 활을 그리며 부레야강과 합류하는 지점에서 다시 남동쪽으로 방향을 튼 후, 약 250km를 더 흘러 퉁장시에서 가장 큰 지류인 쑹화강과 합류하기 전까지는 다른 주요 지류를 받지 않는다. 쑹화강과 합류한 지점에서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하바롭스크로 향하며, 우스리강과 합류하여 더 이상 러시아-중국 경계를 이루지 않는다.

극적으로 사행천 형태를 띠며 동부 러시아의 넓은 계곡을 따라 북북동쪽으로 흘러 아무르스크콤소몰스크나아무레를 지난다. 약 200km 후 계곡이 좁아지고, 다시 북쪽으로 흘러 암군강과 합류하는 평원으로 들어선다. 얼마 지나지 않아 급격히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에서 하구를 이루며, 이 지점에서 약 20km 하류로 흘러 타타르 해협으로 들어간다.[26]

강수량이 많은 해에는 아무르강 수계가 케를렌강과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출구가 없는 내륙호인 후룬호는 케를렌강이 흘러들어가며, 호수 북쪽 기슭에서 무트나야 프로토카의 아로요 (수계)를 통해 범람하고, 물은 약 30km를 흐른 후 아르군강(에르구네)과 합류한다. 케를렌강-아르군강-아무르강 수계는 오호츠크해 강어귀까지 총 5052km에 달한다.[27]

북동 아시아를 가로질러 4444km 이상(두 지류 포함) 흐르며, 중국 북동부 에서 오호츠크해(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 근처)까지 뻗어 있다. 사막, 스텝, 툰드라, 타이가 등 다양한 풍경을 포함하는 놀라운 유역을 배수하며, 결국 타타르 해협을 통해 태평양으로 흘러 들어가 강어귀가 사할린섬 북쪽 끝을 마주한다.

아무르강은 항상 그 어귀에 있는 사할린섬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 지역 원주민 언어를 포함한 대부분의 섬 이름은 강 이름에서 파생되었다. '사할린'은 만주어 'sahaliyan'('검은' - 'sahaliyan ula', '검은 강'과 같은)과 관련된 퉁구스어족 방언 형태에서 유래되었으며, 아이누어와 일본어 '카라푸토' 또는 '가라후토'는 아무르강 또는 그 어귀의 아이누어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평균 연간 유출량은 6000m3/s(1980년)에서 12000m3/s(1957년)까지 다양하며, 연평균 9819m3/s 또는 310km3에 이른다. 측정된 최대 유출량은 1951년 10월 30700m3/s였으며, 최소 유량은 1946년 3월 514m3/s로 기록되었다.[52]

몽골 고원 동부 러시아중국 국경에 있는 실카강아르군강 합류 지점에서 시작하여, 중류부는 중국 헤이룽장성과 러시아 극동 지방 사이의 경계를 이룬다. 러시아 하바롭스크 부근에서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꿔 러시아 영내로 들어가 오호츠크해아무르 리만에 흘러든다. 리만은 강의 하구를 가리키며, 리만 해류는 동해를 흐르는 해류이다. 오호츠크해 유빙은 아무르강으로부터의 유수에 의해 염분 농도가 낮아져 어는점이 높아진 해수가 얼어 형성된다.

연안 일대 제야강과 부레야강 범람원[54], 힌간스키 자연보호구역[55] 및 산장 평원[56] 등은 람사르 조약 등록지이다.

3. 1. 지류

아무르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14][28]

  • 아르군 (우안)
  • 실카 (좌안)
  • 아마자르 (좌안)
  • 올도이 (좌안)
  • 후마 (우안)
  • 제야 (좌안)
  • 부레야 (좌안)
  • 쑹화 (우안)
  • 비라 (좌안)
  • 우스리 (우안)
  • 퉁구스카 (좌안)
  • 아뉴이 (우안)
  • 구르 (우안)
  • 고린 (좌안)
  • 암군 (좌안)


아무르강의 범람원에는 볼론, 훔미호, 우딜과 같은 큰 호수들이 있다.[29]

하구에서부터 주요 지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좌안 지류우안 지류길이 (km)유역 면적 (km2)평균 유량 (m3/s)
아무르강(헤이룽장)4,4442,129,70012,791
하류 아무르
프로토카 팔빈스카야rowspan="2" |346,675.475.7
암군72354,602.6660
악차58987.711.1
프로토카 우흐타–비치33612,910.246.2
rowspan="3" |포토22845.75.8
카디52645.97.6
야이1183,865.428.8
리무리1684,125.316.4
살라수681,2056.9
피수이59856.22.7
마흐토바야1031,477.215.4
고린rowspan="3" |39021,953.6150
실린카78974.16.4
볼린431,219.814.1
구르34911,635.4226.3
엘반rowspan="2" |991,756.827
볼론–할피23913,129.7245.6
rowspan="7" |길리221,32825.1
호이두르41571.211.7
아뉴이39312,528.7298.4
피흐차90872.919.1
카르661,307.328
넴타(넵투)2306,290143.5
시타(스트렐카)1053,315.467.4
레바야rowspan="3" |421.49.9
다르가501,62836.8
퉁구스카–우르미54430,070.2595.6
우스리 (우수리장)897195,047.41,620
중류 아무르
크레스토바야701,361.218.6
농장4,469.930.1
페트로프스카야rowspan="3" |62996.811.4
비라4249,279.184.2
말라야 비라1501,94613
펑화2,740.513.6
솔로네치나야52963.44.7
rowspan="2" |쑹화 (숭가리)1,927552,629.82,591
완얀163.91,815.19
비잔rowspan="4" |2747,335.946.2
도브라야581,996.610.7
사마라1051,560.79.2
폼페예프카71635.63.9
rowspan="2" |자이인2,109.112.3
울라가1,213.57
싱안rowspan="2" |932,012.613.3
유릴1051,160.47.1
rowspan="2" |지에리에1,005.65.7
우윤2,239.412
아르하라rowspan="4" |1558,643.482.1
부레야73970,141.2932
라이치하977603.8
쿠프리아니카556893.4
rowspan="2" |쿠에르빈2215,826.222.2
슌(쒼허)15,624.862.6
자비타야rowspan="4" |2622,835.113.7
1,3486.5
탑코차44978.84.5
길친901,492.76.7
궁비엘라38.82,678.510.9
망가(빅 알림)58733.13.4
시진7593.2
제야1,232232,076.51,807
상류 아무르
rowspan="2" |파비엘라2,916.911.2
판큐허747.82.9
구란55781.33
콴허2,1596.7
벨라야rowspan="2" |771,069.73.7
베레야1462,013.56.3
후마54231,029.4130
벨라야rowspan="6" |1021,176.83.6
울민67985.83.2
보랴(오논)141,109.53.6
게르벨릭(헤르벨릭)43702.62.4
올가1582,905.310.1
부린다802,371.47.7
rowspan="2" |시에르겐치3,807.612.5
팡구1653,631.511.4
오제지나841,129.83.6
에무에르46916,106.146.2
볼쇼이 네베르rowspan="7" |1342,211.17.1
올도이2879,878.238.3
우루샤2003,442.313.4
오무트나야1712,163.17.6
우르카1611,897.36.9
아마자르29011,03137.9
실카(1)555206,000571.1
아르군 (에르구나)(2)944300,977408.5
아르군 주요 지류
옌헤하다2,130.84.5
가지무르rowspan="3" |59212,047.532.4
부듐칸911,410.42.8
우륨칸2264,337.59.3
우마헤(우마)1,817.33.8
우로브2904,288.810.3
rowspan="3" |아바헤(아바)2,3835.2
지리우46815,771.747.2
모리다가2,664.27
니즈냐야 보르쟈rowspan="4" |1,793.25.2
스레드냐야 보르쟈1181,632.24.3
베르흐냐야 보르쟈1534,028.810.7
우룰룽구이1898,924.117.9
rowspan="2" |데르부르6,779.317.7
겐헤(겐호)40015,787.858.1
달란 오롬(신카이)–헤를렌(3)1,284140,00040.7
하일라르55554,800139.1
하일라르 주요 지류
모르겔레3194,936.412.4
이민rowspan="2" |36021,332.139.6
모헤리 투가올레956.13.1
테니1,401.84.3
미안두6,659.828
쿠두르3,461.613.7
다얀(하일라르)1213,325.413
내륙 유역
울즈42035,0007.7
출처: [30][31][32]


  • (1) 아무르–실카오논: 4,354km
  • (2) 아무르–아르군–하일라르–다얀: 4,444km
  • (3) 아무르–아르군–달란 오롬–헤를렌: 5,052km


아무르강 유역과 지류의 경로.


아무르강은 몽골 고원 동부의 러시아중화인민공화국 국경에 있는 실카강아르군강의 합류 지점에서 시작하여, 중류부는 중국 헤이룽장성과 러시아 극동 지방 사이의 경계를 이룬다. 러시아 하바롭스크 부근에서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꿔 러시아 영내로 들어가 오호츠크해아무르 리만에 흘러든다.

''아래는 하류부터 나열한 주요 지류 목록이다.''

  • 암군강 - Henggunmnc
  • * 니멜렌강 - Imiienmnc
  • 고린강 - Gerinmnc

  • 아뉴이강 - Dondonmnc
  • 퉁구스카강 -
  • * 우르미강 -
  • * 쿠르강 - Kurumnc
  • 우스리강 - Usurimnc
  • * 물렌강 - Murenmnc
  • * 송가차강 (송아찰하) - 한카호 (흥개호)
  • * 호르강 - Hulumnc
  • *
  • * 대우스루카강 (구명칭 이만강) - Nimanmnc
  • 비라강 - Kimninmnc
  • 송화강 (숭가리강) - Sunggarimnc
  • * 목단강(무단강) - Mudanmnc
  • * 阿什河중국어 (역사적 명칭은 "按出虎水(알추흐강)")
  • * 눈강(논강) - Nonmnc
  • ** 간강(간강) - G’anmnc
  • ** 네머얼강(네메르강) - Nemermnc
  • ** Numinmnc
  • ** 야루강(야르강) - Yalmnc
  • ** 착얼강(초르강) - Colmnc
  • ** 도얼하(토르강) - Tormnc
  • * 饮马河중국어
  • ** 이통하(이퉁강) - itumnc
  • * 휘발하(후이파강) - hoifaimnc
  • 비잔강 - Bijanmnc
  • 부레야강 - Niomanmnc - 부레야 댐
  • * Urgalmnc
  • * 티르마강 - Siyarmimnc
  • * 니만강 - Olongkimnc

  • 제야강(징키리강) - Jingkirimnc - Зейская ГЭСru
  • * Томьru
  • * 셀렘자강 - Silimdimnc
  • * 뎁강 - Ningnimnc
  • * 길류이강 -
  • ** 틴다강 -
  • 후마얼강 - Humarmnc
  • Oldokonmnc
  • 우루샤강 - Ormnc
  • 아마자르강 - Amba Gerbicimnc
  • 실카강 - Шилка голmn
  • * 잉고다강 - Ингэдэй голmn/Enggidamnc
  • * 오논강 - Онон голmn/Ononmnc
  • 아르군(에르구네)강 - Эргүнэ мөрөнmn/Ergunemnc
  • * 겐강 - Гэгээн голmn/Genmnc
  • * 케를렌강 (크루렌강, 후룬호를 거쳐 아르군강으로 유입) - 乌尔逊河중국어 (Орчун голmn) - 부이르호 (베이얼호)
  • * 할하강 - Халх голmn/kalkasimnc
  • * 하이랄강 - Хайлаар мөрөнmn/kailarimnc

3. 2. 유역의 도시



아무르강은 러시아 측의 아무르주, 유대 자치주, 하바롭스크 지방과 중국 측의 헤이룽장성과의 국경을 이루고 있으며, 강을 따라 있는 주요 도시로는 러시아의 블라고베셴스크, 하바롭스크, 콤소몰스크나아무레,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중국 측의 헤이허시, 퉁장시 등이 있다.

4. 생태

나나이족이 아무르강에서 개 썰매를 타는 모습, 1895년


아무르강에는 23개 과에 속하는 최소 123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은 잉어목의 ''잉어아과''에 속하며, 다음으로 연어과가 많다. 여러 종은 고유종이다. ''Pseudaspius''와 ''Mesocottus''는 아무르강과 인근 연안 강에서만 발견되는 단형 분류군 속이다.[22]

철갑상어과에 속하는 칼루가, 아무르 철갑상어, 사할린 철갑상어, 스텔렛 4종이 발견될 수 있다. 칼루가와 아무르 철갑상어는 고유종이다. 스텔렛은 1950년대 오비강에서 도입되었다.[51] 이 지역은 칼루가 물고기(철갑상어목)의 서식지이다.

이 지역에 서식하는 다른 동물로는 아무르매, 아무르표범, 아무르호랑이 등이 있으며, 주목할 만한 지역 식물로는 아무르 코르크나무, 아무르 단풍나무, 아무르 인동덩굴 등이 있다.[50]

5. 산업

아무르강은 영양분이 풍부하여 연어를 비롯한 풍부한 수산 자원의 혜택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홋카이도 오호츠크해 연안 및 해역은 좋은 어장이 되고 있다. 한편, 2005년 11월 13일에 발생한 중국 지린성 지린시 석유화학 공장 폭발 사고로 지류인 쑹화강으로 유입된 유독한 대량의 벤젠 화합물에 의한 대규모 오염을 비롯하여 하천 오염이 심각하다.[1] 러시아 측 아무르강 주변 주민들은 하천 오염을 우려하고 있으며, 오호츠크해 등의 환경 오염으로 일본도 경계하고 있다.[1]

6. 교량 및 터널

하바롭스크 다리는 아무르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한때 러시아 제국과 유라시아에서 가장 길었다.


아무르강을 가로지르는 최초의 영구적인 다리인 하바롭스크 다리는 1916년에 총 길이 2590m로 완공되어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열차가 페리나 강 얼음 위에 설치된 철로를 사용하지 않고 연중 아무르강을 건널 수 있게 되었다. 1941년에는 철도 터널도 추가되었다.

이후 콤소몰스크나아무레에 도로와 철도를 함께 사용하는 아무르강 다리(1975년, 1400m)와 하바롭스크 도로 및 철도 다리(1999년, 3890m)가 건설되었다.

퉁장-니즈넬레닌스코예 철도교는 2007년 러시아 유대 자치주 부지사인 발레리 솔로모노비치 구레비치에 의해 제안되었다. 아무르강을 가로지르는 이 철도교는 퉁장 시와 유대 자치주의 니즈넬레닌스코예를 연결할 것이다.[44] 다리의 중국 측 부분은 2016년 7월에 완공되었다.[45] 2016년 12월, 다리의 러시아 측 부분 공사가 시작되었다. 다리 양측의 구조적 연결은 2019년 3월에 완료되었다.[46][47] 철도 교통 개통은 거듭 지연되었으며, 2019년 12월 추정치는 "2020년 말",[48] 그리고 2021년 3분기였다.[49]

하류에서부터 순서대로, 다음 장소에 다리와 터널이 놓여있다.

7. 한국과의 관계

상서[63]와 《통전》(通典)[64]에 기록된 약수(弱水)의 '약(弱)'의 옛 발음이 'nziak' 혹은 'niak'이므로 약수가 눈강을 가리킨다는 설(說)[65]이 있으나, 《진서》(晋書)의 사료(史料)[66]에 유의한다면 아무르강을 가리킨다는 설[67]이 더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68]

조선 초 '흑룡강' 일대에는 야인(野人)들이 살고 있었으며, 조선왕조실록에도 종종 등장한다. 청나라중국 영토에 흑룡강 일대를 덧붙였다.

참조

[1] 백과사전 Amur River https://www.britanni[...] 2016-08-31
[2] 서적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Ecosystems 2008
[3] 서적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Ecosystems 2008
[4] 학술지 Intra-Seasonal Variability of Sea Level on the Southwestern Bering Sea Shelf and Its Impact on the East Kamchatka and East Sakhalin Currents
[5] 웹사이트 DRAINAGE BASINS OF THE SEA OF OKHOTSK AND SEA OF JAPAN https://unece.org/fi[...]
[6] 서적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Ecosystems 2008
[7] 서적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Ecosystems 2008
[8] 학술지 A hydraulic model of the Amur River informed by ICESat-2 elevation https://doi.org/10.1[...]
[9] 웹사이트 Variations of the Present-Day Annual and Seasonal Runoff in the Far East and Siberia with the Use of Regional Hydrological and Global Climate Models https://www.iwp.ru/u[...]
[10] 학술지 A hydraulic model of the Amur River informed by ICESat-2 elevation https://doi.org/10.1[...]
[11] 학술지 A hydraulic model of the Amur River informed by ICESat-2 elevation https://doi.org/10.1[...]
[12] 웹사이트 Heilong Jiang-Amur https://www.riversne[...]
[13] 간행물 Manchu Veritable Record Upper Vol《滿洲實錄上函/manju-i yargiyan kooli dergi dobton》 Liaoning province's archive
[14] 백과사전 Амур (река в Азии) http://bse.sci-lib.c[...]
[15] 서적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Ecosystems 2008
[16] 웹사이트 Species in Amur https://www.fishbase[...] 2019-02-17
[17] 백과사전 Amur River http://www.eoearth.o[...] 2012-11-30
[18] 학술지 A new species of Pelodiscus from northeastern Indochina (Testudines, Trionychidae)
[19] 학술지 Nutritional composition, physiological functions and processing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 seeds: a review
[20] 학술지 Tracking long-term floodplain wetland changes: A case study in the China side of the Amur River Basin 2020-10-01
[21] 웹사이트 Languages in Contact: Solon and Dagur https://www.academia[...]
[22] 웹사이트 The fishes of the Amur River:updated check-list and zoogeography https://pfeil-verlag[...]
[23] 문서 Source elevation derived from Google Earth
[24] 학술지 The Amur River border. Once a symbol of conflict, could it turn into a water resource stake? https://journals.ope[...] 2023-11-29
[25] 학술지 Wetland changes in the Amur River Basin: Differing trends and proximate causes on the Chinese and Russian sides https://www.scienced[...] 2023-11-29
[26] 백과사전
[27]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amur-heilong.[...]
[28] 웹사이트 Река Амур
[29] 웹사이트 Water of Russia - Khabarovsk Krai https://water-rf.ru/[...]
[30] 웹사이트 Поиск по данным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водного реестра https://textual.ru/g[...]
[31] 웹사이트 Heilong Jiang-Amur https://www.riversne[...]
[32] 서적 Amur-Heilong River Basin Reader https://wwfeu.awsass[...] Ecosystems 2008
[33] 서적 The Global Prehistory of Human Migration John Wiley & Sons 2014-11-10
[34] 학술지 Udi, Udihe, and the language(s) of the Kyakala https://www.academia[...] 2018
[35] 웹사이트 «Тырские стелы и храм „Юн Нин“ в свете китайско-чжурчжэньских отношений XIV—XV вв.» http://www.ethnonet.[...] 2008-11-14
[36]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I (A-L) Columbia University Press
[37] 서적 Perpetual Happiness: The Ming Emperor Yong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8] 서적 Description géographique, historique, chronologique, politique et physique de l'empire de la Chine et de la Tartarie chinoise http://web2.bium.uni[...] P.G. Lemercier 2009-04-01
[39] 서적 https://books.google[...]
[40] 서적
[41] 서적 Muscovite and Mandarin
[42] 학술지 Saints for Shamans? Culture, Religion and Borderland Politics in Amuria from the https://www.jstor.or[...]
[43] 웹사이트 The Convention of Peking of 1860 is concluded https://www.prlib.ru[...] 2022-07-12
[44] 뉴스 Proposed bridge to boost bilateral trade http://english.peopl[...] China Daily 2007-06-19
[45] 뉴스 An Unfinished Bridge, and Partnership, Between Russia and China https://www.nytimes.[...] 2016-07-16
[46] 뉴스 Russia Completes Construction of First-Ever Rail Bridge to China https://www.themosco[...] 2019-03-21
[47] 뉴스 Россия и Китай соединил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мост через Амур https://www.rbc.ru/r[...] RBK Group 2019-03-21
[48] 웹사이트 Railway bridge over Amur river to China will be built by end of 2020, envoy says https://tass.com/eco[...]
[49] 웹사이트 Новости Хабаровска https://www.dvnovost[...]
[50] 학술지 Impact of Deforestation on Streamflow in the Amur River Basin 2019-06
[51] 웹사이트 Endemic sturgeons of the Amur River: kaluga, Huso dauricus, and Amur sturgeon, Acipenser schrencki https://link.springe[...]
[52] 웹사이트 Amur at Komsomolsk https://web.archive.[...] UNESCO
[53] 문서 満洲実録・巻一
[54] 웹사이트 Zeya-Bureya Plains https://rsis.ramsar.[...] 1997-01-01
[55] 웹사이트 Khingano-Arkharinskaya Lowland https://rsis.ramsar.[...] 1997-01-01
[56] 웹사이트 San Jiang National Nature Reserve https://rsis.ramsar.[...] 2008-01-01
[57] 웹사이트 First Ever Russia-China Railway Bridge Completed on Amur River https://russiabusine[...] Russia Business Today 2019-03-22
[58] 웹사이트 ロシア・中国間、越境道路橋が完成 来春開通へ https://www.cnn.co.j[...] CNN 2019-12-01
[59] 웹사이트 中ロ間の道路橋完成 来春開通、極東で式典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9-11-29
[60] 문서 2013年7月以降のアムール川流域の多雨について https://www.data.jma[...]
[61] 웹사이트 Russia Completes Construction of First-Ever Rail Bridge to China https://www.themosco[...] Moscow Times 2019-03-21
[62] 웹사이트 Amur River http://www.uv.es/EBR[...] Universitat de Valencia
[63] 문서 상서
[64] 문서 통전
[65] 문서 夫餘國の始祖東明王の傳說に就いて
[66] 문서 진서
[67] 서적 東アジア民族史 平凡社
[68] 웹인용 중국정사조선전 주석보기 > 三國志 卷 030 魏書 30 東夷傳 第 030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