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핑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티븐 핑커(Steven Pinker, 1954년 ~ )는 캐나다 출신의 심리학자이자 언어학자이며, 인지과학 분야의 저명한 학자이다. 몬트리올에서 태어나 맥길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실험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MIT와 하버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언어 습득, 시각 인지, 인간 본성, 사회 사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저술 활동을 펼쳤다. 주요 저서로는 《언어 본능》, 《마음의 작동 방식》, 《백지 상태》, 《우리 본성의 더 나은 천사》 등이 있으며, 계몽주의의 가치를 옹호하고 폭력 감소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제시하는 등 사회적 문제에 대한 활발한 발언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달심리언어학자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발달심리언어학자 - 에드워드 클리마
에드워드 클리마는 미국의 언어학자로,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노엄 촘스키의 지도 아래 언어학 연구를 시작하여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언어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 캐나다의 언어학자 - 앤드루 카니
앤드루 카니는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을 연구하며 켈트어파 언어를 주로 연구하는 언어학자이다. - 캐나다의 언어학자 - 로스 킹
로스 킹은 한국 역사언어학, 한국 방언학, 한자 문화권 문학 연구에 기여하고 한국어 국제 언어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어 교육에 헌신한 미국의 학자이다. - 루마니아 유대계 캐나다인 - 제이콥 바이너
제이콥 바이너는 국제무역이론과 경제사상사 연구에 기여하고 시카고 학파를 확립하는 데 일조했으며, 신고전파 경제학의 미시경제학 분석 방법을 정립하고 루즈벨트 행정부의 경제 고문으로 활동한 캐나다 출신의 미국 경제학자이다. - 루마니아 유대계 캐나다인 - 폴 블레이
캐나다 몬트리올 출신의 재즈 피아니스트 폴 블레이는 프리 재즈 운동 참여, 무그 신시사이저 도입 등 혁신적인 시도를 통해 재즈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찰스 밍거스, 오넷 콜먼, 소니 롤린스 등 거장들과 협연하고 솔로 연주와 앙상블 활동, 음반사 설립을 통해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스티븐 핑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스티븐 아서 핑커 |
출생일 | 1954년 9월 18일 |
출생지 | 캐나다 퀘벡 주 몬트리올 |
국적 | 캐나다 미국 |
배우자 | 낸시 에트코프 (1980년 결혼, 1992년 이혼) 일라베닐 수비아 (1995년 결혼, 2006년 이혼) 레베카 골드스타인 (2007년 결혼) |
저명한 저서 | 언어 본능 (1994년)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1997년) 빈 서판 (2002년) 우리 본성의 더 나은 천사 (2011년) 지금, 계몽 (2018년) 합리성 (2021년) |
학력 | 맥길 대학교 (BA) 하버드 대학교 (PhD) |
친척 | 수잔 핑커 (여동생) |
웹사이트 | 스티븐 핑커 공식 웹사이트 |
학문 분야 | |
분야 | 진화심리학 실험심리학 인지과학 심리언어학 |
직장 | 하버드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뉴 칼리지 오브 더 휴머니티스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심적 이미지에서의 삼차원 공간 표상 |
박사 학위 논문 연도 | 1979년 |
박사 학위 지도 교수 | 스티븐 코슬린 |
수상 | |
수상 내역 | 트롤랜드 상 (1993년) 헨리 데일 상 (2004년, 왕립 학회) 월터 P. 키슬러 도서상 (2005년) 올해의 인문주의자 상 (2006년) CNS 조지 밀러 상 (2010년) 리처드 도킨스 상 (2013년) 칼 세이건 과학 대중화 상 (2018년) BBVA 재단 지식 프론티어 상 (2022년) |
2. 생애
핑커는 1954년 캐나다 몬트리올의 중산층 세속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모두 학구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었으며, 어린 시절부터 지적 호기심이 강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1973년 도슨 칼리지를 졸업하고, 1976년 맥길 대학교에서 심리학 학사 학위를, 1979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실험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1년간 연구원으로 재직한 후, 하버드 대학교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1982년부터 2003년까지 MIT 뇌 및 인지 과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 과학 센터 공동 디렉터(1985–1994) 및 인지 신경과학 센터장(1994–1999)을 역임했고, 1995~96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에서 안식년을 보냈다. 2003년부터는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런던의 뉴 휴머니티 칼리지에서 객원 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핑커는 세 번 결혼했다. 1980년 낸시 에트코프와 결혼했으나 1992년 이혼했고, 이후 재혼했다가 다시 이혼했다. 2007년 소설가이자 철학자인 레베카 골드스타인과 세 번째 결혼을 했다. 슬하에 두 명의 의붓딸을 두고 있으며, 13세에 무신론을 받아들였다. 그는 열렬한 자전거 애호가이기도 하다.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핑커는 1954년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지역 사회의 중산층 세속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9][20][21] 그의 조부모는 1926년 폴란드와 루마니아에서 캐나다로 이민 왔으며,[22][23] 몬트리올에서 작은 넥타이 공장을 소유했다.[24] 그의 아버지 해리(Harry)는 부동산 업계에서 일했으며 변호사였고, 어머니 로즐린(Roslyn)은 원래 주부였지만 나중에 상담 교사 및 고등학교 부교장이 되었다. 핑커는 그의 어머니를 "매우 지적인" 사람이며 "모든 것을 아는 열정적인 독자"라고 묘사했다. 그의 형제 로버트(Robert)는 캐나다 정부에서 행정가이자 정책 분석가로 일했으며, 그의 여동생 수잔 핑커는 심리학자이자 작가이다.[21][25][26]핑커는 1973년 도슨 칼리지를 졸업했다. 그는 1976년 맥길 대학교에서 심리학 문학사 학위를 받았고, 스티븐 코슬린 밑에서 하버드 대학교에서 실험 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아 1979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1년 동안 연구를 수행한 후 하버드, 그리고 나중에 스탠퍼드 대학교의 교수가 되었다.[27]
2. 2. 학술 경력
핑커는 스티븐 코슬린과 함께 시각 인지 연구를 통해 정신적 이미지가 특정 시점의 장면과 객체를 나타내며, 데이비드 마르의 "2.5차원 스케치" 이론과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7] 또한 마르의 이론과 달리 시각적 주의와 객체 인식에서 이러한 수준의 표현이 사용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심리언어학 분야에서 핑커는 계산적 학습 이론을 옹호하여 명성을 얻었다. 그는 이 분야에 대한 리뷰를 작성하고, 언어 습득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킨 두 권의 책과 아이들이 수동태, 여격, 처격 구문을 습득하는 방법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진행했다. 이 책들은 ''언어 학습 능력과 언어 발달''(1984)과 ''학습 능력과 인지: 논항 구조의 습득''(1989)이다.[38] 이후 그는 인간 언어에 필요한 두 가지 종류의 동사에 집중했다. 즉, 불규칙 동사의 과거형인 "bring"의 "brought"처럼 기억에서 전체 단어를 불러오는 것과, "walk"의 과거형인 "walked"처럼 규칙을 사용하여 단어의 일부를 결합하는 것이다.[38]
1988년 핑커와 앨런 프린스는 과거 시제 습득에 대한 연결주의 모델을 비판하는 논문을 발표했고, 이어서 사람들이 과거 시제를 어떻게 사용하고 습득하는지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진행했다. 여기에는 아이들의 불규칙 형태의 규칙화에 대한 모노그래프와 그의 대중적인 1999년 저서 ''단어와 규칙: 언어의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핑커는 언어가 단어 속의 소리와 그 의미를 연관적으로 기억하는 것과 문법에 대한 기호를 조작하는 규칙을 사용하는 것, 두 가지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연결주의에 반대하는 증거를 제시했는데, 연결주의에서는 아이가 모든 단어의 모든 형태를 배워야 하고 필요한 각 형태를 단순히 기억에서 불러와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오래된 대안 이론에서는 생성 음운론에 의해 결합된 단어와 규칙을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아이들이 "breaked"와 "comed"를 "broke"와 "came"처럼 사용하는 실수를 통해 기본 규칙을 사용하여 "-ed"와 같은 접미사를 추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는 이것이 영어의 불규칙 동사 형태가 개별적으로 학습되고 기억에서 불러와야 함을 보여주며, 이러한 실수를 하는 아이들은 정신적 규칙을 적용하여 열린 방식으로 규칙적인 "-ed" 어미를 예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동사 어간과 일반적인 접미사를 결합하는 이 규칙은 V과거 → V어간 + d로 표현될 수 있다.[40] 핑커는 또한 영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10개의 동사(be, have, do, say, make 등)가 모두 불규칙인 반면, 가장 덜 사용되는 천 개의 동사 중 98.2%가 규칙적이므로 빈도와 불규칙성의 "엄청난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took", "came", "got"과 같은 모든 불규칙 형태는 각 세대의 아이들이 기억해야 하거나 잃어버리며, 흔한 형태가 가장 쉽게 기억된다고 주장함으로써 이를 설명한다. 어떤 불규칙 동사가 인기가 떨어져 특정 지점을 지나면 사라지고, 모든 미래 세대는 이를 규칙 동사로 간주할 것이다.[40]
1990년 핑커는 폴 블룸과 함께 인간의 언어 능력은 자연 선택을 통해 진화했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41] 이 논문은 언어 진화에 대한 연속성 기반의 관점에 대한 주장을 제공했는데, 이는 언어가 ''호모 사피엔스''의 출현과 함께 일종의 진화적 사고로 갑자기 나타난다고 보는 당시의 단절성 기반 이론과 상반된다. 이 단절성 기반 관점은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와 스티븐 제이 굴드와 같은 두 명의 주요 권위자에 의해 두드러지게 주장되었다.[42] 이 논문은 널리 인용되었고 언어의 진화적 선사 시대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켰으며, "언어가 진화했는가?"에서 "언어가 ''어떻게'' 진화했는가?"로 논쟁의 핵심 질문을 전환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42][43] 이 기사는 또한 ''언어 본능''에 담긴 핑커의 주장을 예고했다.
2006년 핑커는 제프리 엡스타인의 변호사였던 핑커의 개인적인 친구 앨런 더쇼위츠에게 미성년자를 인터넷을 통해 불법 성행위로 유인하는 것과 관련된 연방법의 문구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제공했다. 더쇼위츠는 엡스타인에 대한 모든 연방 성매매 혐의가 기각된 플리바겐으로 이어진 절차 중에 법원에 보낸 서한에 핑커의 의견을 포함시켰다.[44] 2019년 핑커는 엡스타인에 대한 혐의의 성격을 알지 못했고, 그가 정기적으로 해왔던 대로 하버드 동료 더쇼위츠를 위해 무보수로 호의를 베풀었다고 진술했다. 그는 버즈피드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 편지를 쓴 것을 후회한다고 말했다.[44] 핑커는 엡스타인으로부터 돈을 받은 적이 없고 12년 이상 동안 세 번 만났으며,[45] 엡스타인을 전혀 참을 수 없었고 그와 거리를 두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44]
1973년 몬트리올의 도슨 칼리지를 졸업했다. 1976년 맥길 대학교에서 실험 심리학 학사 학위를, 1979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년 동안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연구를 한 후, 하버드와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1982년부터 2003년까지 MIT 뇌·인지 과학과에서 가르쳤으며, 그동안 인지 신경 과학 센터의 센터장을 역임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1년 동안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진화 심리학 연구의 거점 중 하나)에서 안식년을 보냈다.
2. 3. 개인사
핑커는 1954년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지역 사회의 중산층 세속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9][20][21] 그의 조부모는 1926년 폴란드와 루마니아에서 캐나다로 이민 왔으며,[22][23] 몬트리올에서 작은 넥타이 공장을 소유했다.[24] 아버지 해리(Harry)는 부동산 업계에서 일했으며 변호사였고, 어머니 로즐린(Roslyn)은 원래 주부였지만 나중에 상담 교사 및 고등학교 부교장이 되었다. 형제 로버트(Robert)는 캐나다 정부에서 행정가이자 정책 분석가로 일했으며, 여동생 수잔 핑커는 심리학자이자 작가이다.[21][25][26]핑커는 1973년 도슨 칼리지를 졸업했다. 1976년 맥길 대학교에서 심리학 문학사 학위를 받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실험 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아 1979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1년 동안 연구를 수행한 후 하버드, 그리고 나중에 스탠퍼드 대학교의 교수가 되었다.[27]
1982년부터 2003년까지 핑커는 MIT 뇌 및 인지 과학과에서 가르쳤으며, 인지 과학 센터의 공동 디렉터(1985–1994)를 거쳐 인지 신경과학 센터의 디렉터(1994–1999)가 되었다.[28] 2003년부터 그는 하버드 대학교의 존스톤 패밀리 심리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8년에서 2013년 사이에는 하버드 칼리지 교수의 직함도 역임했다.[29] 그는 현재 런던의 사립 대학인 뉴 휴머니티 칼리지에서 객원 교수로 강의를 하고 있다.[30][31]
핑커는 1980년 낸시 에트코프와 결혼하여 1992년에 이혼했으며, 1995년에 재혼했다가 다시 이혼했다.[32] 그는 2007년에 소설가이자 철학자인 레베카 골드스타인과 세 번째 결혼을 했다.[33] 그는 두 명의 의붓딸, 소설가 야엘 골드스타인 러브와 시인 다니엘 블라우를 두고 있다. 핑커는 13세에 무신론을 받아들였지만, 여러 시기에 "문화적 유대인"이었다.[34][35] 핑커는 열렬한 자전거 타는 사람이다.[36]
3. 언어 및 인지 이론
핑커는 심리학과 언어학 분야에서 다양한 이론을 제시하고 연구를 진행했다. 그의 주요 연구는 시각 인지, 언어 습득, 언어 진화 등이다.
핑커는 노엄 촘스키의 생성 문법 이론에 영향을 받아 언어가 선천적인 능력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언어 능력이 의사소통을 위한 적응으로 자연 선택에 의해 진화했다는 주장을 통해 촘스키 이론을 대중화했다.
하지만 핑커는 언어 능력이 다른 적응의 부산물이라고 생각하는 촘스키와 달리, 언어가 자연 선택에 의해 형성된 "본능" 또는 생물학적 적응이라고 주장하며, 이 점에서 촘스키와 대립한다.
3. 1. 시각 인지 연구
핑커는 학위 지도 교수 스티븐 코슬린과 함께 시각 인지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를 통해 정신적 이미지가 특정 시점의 장면과 객체를 나타내며, 신경과학자 데이비드 마르의 "2.5차원 스케치" 이론과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7] 또한 마르의 이론과 달리 시각적 주의와 객체 인식(적어도 비대칭 모양의 경우)에서 이러한 수준의 표현이 사용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 2. 언어 습득 이론
핑커는 경력 초기에 어린 아이들의 언어 습득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계산적 학습 이론을 옹호하여 명성을 얻었다.[38] 그는 이 분야에 대한 튜토리얼 리뷰를 작성했고, 이후 언어 습득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킨 두 권의 책과 아이들이 수동태, 여격, 처격 구문을 습득하는 방법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진행했다. 핑커의 말에 따르면, 이 책들은 "아이들이 모국어의 단어와 문법 구조를 습득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언어 학습 능력과 언어 발달''(1984)과, "이 과정의 한 측면, 즉 자동사, 타동사, 보어와 간접 목적어를 조합하는 다양한 종류의 동사를 적절한 문장에서 사용하는 능력에 중점을 둔" ''학습 능력과 인지: 논항 구조의 습득''(1989)이다.[38]그 후 핑커는 인간 언어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두 가지 종류의 동사에 집중했다. 즉, 불규칙 동사의 과거형인 "bring"의 "brought"처럼 기억에서 전체 단어를 불러오는 것과, "walk"의 과거형인 "walked"처럼 규칙을 사용하여 단어 (의 일부)를 결합하는 것이다.[38] 1988년 핑커와 앨런 프린스는 과거 시제 습득에 대한 연결주의 모델을 비판하는 논문을 발표했고 (언어 습득의 교과서적인 문제), 이어서 사람들이 과거 시제를 어떻게 사용하고 습득하는지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진행했다. 여기에는 아이들의 불규칙 형태 규칙화에 대한 모노그래프와 그의 대중적인 1999년 저서 ''단어와 규칙: 언어의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핑커는 언어가 단어 속 소리와 그 의미를 연관적으로 기억하는 것, 그리고 문법에 대한 기호를 조작하는 규칙을 사용하는 것, 이 두 가지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연결주의에 반대하는 증거를 제시했는데, 연결주의에서는 아이가 모든 단어의 모든 형태를 배워야 하고 필요한 각 형태를 단순히 기억에서 불러와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오래된 대안 이론에서는 생성 음운론에 의해 결합된 단어와 규칙을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아이들이 "breaked"와 "comed"를 "broke"와 "came"처럼 사용하는 실수를 통해 기본 규칙을 사용하여 "-ed"와 같은 접미사를 추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영어의 불규칙 동사 형태가 개별적으로 학습되고 기억에서 불러와야 함을 보여주며, 이러한 실수를 하는 아이들은 정신적 규칙을 적용하여 열린 방식으로 규칙적인 "-ed" 어미를 예측하고 있다는 것이다. 동사 어간과 일반적인 접미사를 결합하는 이 규칙은 V과거 → V어간 + d로 표현될 수 있다.[40]
핑커는 또한 영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10개의 동사 (be, have, do, say, make ...)가 모두 불규칙인 반면, 가장 덜 사용되는 천 개의 동사 중 98.2%가 규칙적이므로 빈도와 불규칙성의 "엄청난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took", "came", "got"과 같은 모든 불규칙 형태는 각 세대의 아이들이 기억해야 하거나 잃어버리며, 흔한 형태가 가장 쉽게 기억된다고 설명한다. 어떤 불규칙 동사가 인기가 떨어져 특정 지점을 지나면 사라지고, 모든 미래 세대는 이를 규칙 동사로 간주할 것이다.[40]
1990년 핑커는 폴 블룸과 함께 인간의 언어 능력은 자연 선택을 통해 진화했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41] 이 논문은 언어 진화에 대한 연속성 기반의 관점에 대한 주장을 제공했는데, 이는 언어가 ''호모 사피엔스''의 출현과 함께 일종의 진화적 사고로 갑자기 나타난다고 보는 당시의 단절성 기반 이론과 상반된다. 이 단절성 기반 관점은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와 스티븐 제이 굴드와 같은 두 명의 주요 권위자에 의해 두드러지게 주장되었다.[42] 이 논문은 널리 인용되었고 언어의 진화적 선사 시대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켰으며, "언어가 진화했는가?"에서 "언어가 ''어떻게'' 진화했는가?"로 논쟁의 핵심 질문을 전환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42][43] 이 기사는 또한 ''언어 본능''에 담긴 핑커의 주장을 예고했다.
1994년 저서 ''언어 본능''은 인지 과학을 행동 유전학 및 진화 심리학과 결합한 최초의 여러 저서 중 하나였다. 이 책은 언어 과학을 소개하고, 언어가 마음의 선천적인 능력이라는 노엄 촘스키의 이론을 대중화했으며, 언어 능력이 의사소통을 위한 적응으로 자연 선택에 의해 진화했다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장을 담고 있다. 핑커는 언어에 대해 널리 퍼진 여러 생각들, 즉 언어는 가르쳐야 한다는 생각, 사람들의 문법은 좋지 않고 새로운 화법으로 인해 더욱 나빠지고 있다는 생각, 언어가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사고의 종류를 제한한다는 사피어-워프 가설, 그리고 다른 유인원들이 언어를 배울 수 있다는 생각을 비판한다. 핑커는 언어를 인간 고유의 것으로 보고, 사회적 수렵 채집인들 사이의 특정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화했다고 본다. 그는 언어가 거미의 거미줄 짓기나 비버의 댐 건설과 같은 다른 종의 특화된 적응 행동만큼이나 본능이라고 주장한다.
핑커는 서문에서 자신의 아이디어가 촘스키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고 밝히며,[46] 촘스키가 영향을 미친 과학자들, 즉 "어린이 발달 및 언어 지각에서 신경학 및 유전학에 이르기까지 언어 연구의 새로운 분야를 열어준"[46] 에릭 레네버그, 조지 밀러, 로저 브라운, 모리스 할레 및 앨빈 리버먼을 언급한다.[46] 브라운은 핑커의 논문을 지도했으며, 핑커는 브라운의 "재밌고 교훈적인"[47] 저서 ''단어와 사물''(Words and Things, 1958)이 ''언어 본능''의 영감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47][48]
이 이론의 설명적 적합성에 대한 논쟁이 있어 왔다. 2015년까지 핑커와 촘스키의 언어적 생득주의적 견해는 핵심 가정이 부정확하고 심리언어학과 아동 언어 습득의 연구 증거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근거로 여러 도전을 받았다.[49] 핑커가 제안한 언어 본능의 실재성과 문법이 선천적이며 유전적으로 기반을 둔다는 관련 주장은 1997년 저서 ''이브 교육: '언어 본능' 논쟁]''(Educating Eve: The 'Language Instinct' Debate)에서
3. 3. 언어 진화 이론
핑커는 1990년 폴 블룸과 함께 발표한 논문에서 인간의 언어 능력이 자연 선택을 통해 진화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41] 이 논문은 언어 진화에 대한 연속성 기반의 관점을 제시했는데, 이는 언어가 ''호모 사피엔스''의 출현과 함께 일종의 진화적 사고로 갑자기 나타난다고 보는 당시의 단절성 기반 이론과 상반된다. 단절성 기반 관점은 노엄 촘스키와 스티븐 제이 굴드와 같은 권위자들이 주장했다.[42] 이 논문은 언어의 진화적 선사 시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언어가 진화했는가?"에서 "언어가 ''어떻게'' 진화했는가?"로 논쟁의 핵심 질문을 전환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42][43] 이 논문은 ''언어 본능''에 담긴 핑커의 주장을 예고했다.핑커는 언어가 자연 선택에 의해 형성된 "본능" 또는 생물학적 적응이라는 개념을 대중화했다. 그는 언어를 인간 고유의 것으로 보고, 사회적 수렵 채집인들 사이의 특정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화했다고 본다. 그는 언어가 거미의 거미줄 짓기나 비버의 댐 건설과 같은 다른 종의 특화된 적응 행동만큼이나 본능이라고 주장한다. 이 점에서 언어 능력이 다른 적응의 부산물이라고 생각하는 촘스키 등과 대립한다.
핑커는 언어적 인지가 이전의 음악적 인지에서 진화했을 수 있다는 언어의 진화적 기원에 대한 이론을 비판한다. 그는 언어를 주로 논리적 추론 능력과 연관시키며, 인간의 음악적 성향은 그 자체로는 적응적이지 않지만, 더 광범위하게 실용적인 다른 특성을 통해 지속되어 선택된 스팬드럴일 수 있다고 추측한다.
3. 4. 촘스키와의 관계 및 비판
핑커는 노엄 촘스키의 생성 문법 이론에 영향을 받아 언어가 선천적인 능력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1994년 저서 《언어 본능》에서 촘스키의 이론을 대중화하고, 언어 능력이 의사소통을 위한 적응으로 자연 선택에 의해 진화했다는 주장을 펼쳤다.[46] 핑커는 언어가 인간 고유의 특성이며, 사회적 수렵 채집인들 사이의 특정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화했다고 보았다. 그는 언어가 거미의 거미줄 짓기나 비버의 댐 건설처럼 본능적인 행동이라고 주장했다.[46]핑커는 촘스키의 영향을 받은 에릭 레네버그, 조지 밀러, 로저 브라운, 모리스 할레, 앨빈 리버먼 등의 과학자들을 언급하며, 자신의 이론이 촘스키의 영향을 "깊이" 받았음을 밝혔다.[46] 특히 브라운은 핑커의 논문 지도교수였으며, 핑커는 브라운의 저서 《단어와 사물》(Words and Things, 1958)이 《언어 본능》에 영감을 주었다고 말했다.[47][48]
그러나 핑커와 촘스키의 생득주의적 견해는 여러 비판에 직면했다. 2015년에는 핵심 가정이 부정확하고 심리언어학 및 아동 언어 습득 연구 증거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9] 제프리 섐슨은 1997년 저서 《이브 교육: '언어 본능' 논쟁》(Educating Eve: The 'Language Instinct' Debate)에서 핑커가 제안한 언어 본능의 실재성과 문법이 선천적이며 유전적으로 기반을 둔다는 주장을 반박했다.[50][51] 섐슨은 언어 본능이 존재하지 않으며, 아이들이 언어를 배울 수 있는 것은 사람들이 무엇이든 배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51]
제프리 엘먼은 저서 《선천성 재고: 연결주의 관점에서 본 발달》(Rethinking Innateness: A Connectionist Perspective on Development)에서 핑커가 비판한 연결주의적 접근 방식을 옹호하며 생득주의적 관점을 비판했다.[53] 기계 지능 연구자 이고르 알렉산더는 핑커가 신경망을 이용한 언어 처리 시도에 대해 비판했지만, 나중에 신경망을 사용하여 과거 시제 동사 형태를 올바르게 생성한다고 썼다고 지적했다.[53]
핑커는 언어 능력이 다른 적응의 부산물이라고 생각하는 촘스키와 달리, 언어가 자연 선택에 의해 형성된 "본능" 또는 생물학적 적응이라고 주장하며, 이 점에서 촘스키와 대립한다.
4. 사회 사상
핑커는 좌파의 일부 측면에 비판적인 자유주의자로 알려져 있다.[79] 그는 동성 결혼, 기본 소득, 마약 합법화, 탄소세, 사형 폐지를 지지하며,[81] 민주당의 강력한 지지자이다.[82] 그러나 극좌가 대학 등에서 지적 불관용 분위기를 조성하고 검열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고 비판하며, 하버드에 학문적 자유 위원회를 결성하는 데 일조했다.[83] 그는 정의와 공개 토론에 관한 서한의 서명인이기도 하다.[84]
생명 윤리 대통령 자문 위원회 의장 레온 카스와 같은 사회 보수주의자들의 배아 줄기 세포 연구 반대를 비판하며, 그들의 도덕적 견해가 수백만 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치료법을 방해하는 혐오감의 표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85]
핑커는 현대 사회에 대한 과학의 기여를 둘러싼 공개 토론에 자주 참여하며, 저서 『백지 상태』와 같이 금기를 기꺼이 대면하려는 점에서 중요하고 대담하다는 평가를 받는다.[86] 2005년 1월, 핑커는 로렌스 서머스 하버드 대학교 총장의 수학 및 과학 분야의 성 격차 관련 발언을 옹호했다.[87][88][89] 핑커와 엘리자베스 스펠케의 성별과 과학에 대한 토론에서 핑커는 엘리트 대학에서 성별 대표성의 차이가 "사회화와 편견과 상호 작용하는 평균적인 기질과 재능의 생물학적 차이의 일부 조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명제에 찬성했다.[90]
2009년, 개인 유전자 프로젝트와 그것이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기사를 ''뉴욕 타임스''에 기고했다.[91] 2016년판 『백지 상태』 후기에서 후생유전학과 유전자-환경 상호 작용의 새로운 발전에 대해 논의했다.[92] 과학적 인종차별주의자의 데이터를 사용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으나, 핑커는 인종차별을 비난한다고 밝혔다.[93]
2009년 11월, ''뉴욕 타임스''에 말콤 글래드웰의 에세이에 대한 엇갈린 평가를 내리며 그의 분석 방법을 비판했다.[94] 고급 NFL 통계는 통계적으로 이 문제에 접근하여 핑커의 편을 들었다.[96]
BBC 월드 서비스의 ''경계에서의 교환'' 프로그램에서 문화와 인간 본성에서 미덕의 발전이 유전적 또는 후성 유전적 발현을 통해 우리의 생물학에서 표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핑커는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답했다.[97]
핑커는 마르크스주의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보다 대한민국에, 과거 동독보다 서독에 살고 싶어하는 이유를 설명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의 역사를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한다.[123] 역사상 가장 환경을 오염시킨 것은 자본주의 국가가 아닌 공산주의 국가이며, 마오쩌둥의 대제철·제강 운동은 경제 생산고에 비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사상 최대였다고 지적한다.[123]
지식인이 마르크스주의를 좋아하는 것은, 계획 경제에서는 톱다운 방식으로 지도하는 특별한 입장에 설 수 있지만, 시장 경제에서는 무수한 사람들의 의사 결정으로부터 바텀업 방식으로 부가 생산되기 때문에 특별한 역할이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123] "보이지 않는 손"보다 "계급 투쟁"이나 "정부의 계획"과 같은 해결책이 지식인에게는 이해하기 쉽다고 말한다.[123]
2020년, 미국 언어학회에 핑커를 LSA 펠로우 목록 및 미디어 전문가 목록에서 삭제해 달라는 공개 서한에 수백 명의 학자들이 서명했다.[102][103] 핑커는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104][105][106][107][108] 여러 학자들이 서한을 비판하고 핑커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102] 미국 언어학회 집행위원회는 핑커를 목록에서 삭제하는 것을 거부했다.[109]
4. 1. 계몽주의 옹호

2011년에 출판된 ''우리 본성의 더 나은 천사들''에서 핑커는 부족 간의 전쟁, 살인, 잔혹한 처벌, 아동 학대, 동물 학대, 가정 폭력, 린칭, 포그롬, 국제 및 내전을 포함한 폭력이 여러 시간 규모와 규모에 걸쳐 감소했다고 주장한다. 핑커는 인간 본성이 변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며, 인간 본성은 폭력에 대한 경향과 이를 상쇄하는 경향, 즉 "우리 본성의 더 나은 천사들"로 구성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본다. 그는 각자 고유한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원인이 있는 여러 "폭력의 주요 역사적 감소"를 설명한다.[69]
이 책에 대한 반응은 엇갈렸다. 많은 비평가들은 그의 주장이 설득력이 있고 방대한 양의 역사적 증거를 종합한 것이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70][71][72] 그러나 1인당 사망자 수를 지표로 사용한 점, 핑커의 자유주의적 휴머니즘, 유럽 중심적 관점, 역사적 데이터 해석, 원주민에 대한 묘사 등은 비판을 받았다.[73][74][75][76] 고고학자 데이비드 웽그로는 핑커의 고고학에 대한 접근 방식을 "현대 심리학자가 즉흥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요약했다.[77]
핑커는 이성, 과학, 휴머니즘, 진보라는 계몽주의의 이념을 중시하며, 우리는 계몽주의의 혜택을 누리면서도 그것에 너무 익숙해져 있다고 말한다. 그는 마르크스주의나 아나키즘, 환경 운동 등을 비판한다.
4. 2. 빈곤 문제에 대한 관점
핑커는 농업 기술의 진보가 기근 극복에 기여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환경 운동가들이 제기하는 비판에 대해 반박한다. 그는 1700년부터 2013년까지 1일 1인당 공급 칼로리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했으며, 영양 부족으로 인한 어린이 발육 부진도 감소했다는 사실을 제시한다.[69] 그는 20세기 중반부터 70년간 세계 인구가 50억 명이나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아율은 감소했다는 점을 강조한다.[69]20세기 말부터 21세기에 걸쳐 109개 개발도상국 중 70개국이 소득 배증을 이루는 고도 성장을 달성했고, 2008년에는 1인당 GDP의 세계 평균이 1964년의 서유럽 수준에 도달했다.[69] 핑커는 극빈층이 줄어들고 전 세계적으로 중산층이 확산되고 있다고 주장한다.[69] 산업 혁명 초기인 1800년에는 세계 인구의 95%가 극심한 빈곤 상태였지만, 2000년경에는 30~40%로 감소했다.[69]
핑커는 세계의 빈곤 탈출을 가능하게 한 요인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한다.
# 과학의 응용에 의한 물질적 생활 향상
# 재화, 서비스, 아이디어 교환을 촉진하는 제도의 구축: 18세기 영국에서 연고주의 대신 열린 경제가 등장하여 누구와도 거래할 수 있게 되었고, 법규, 재산권, 계약, 은행과 같은 제도가 사람들의 경제 활동을 뒷받침했다.[69]
# 상업 정신의 평가: 18세기 영국, 네덜란드 및 계몽주의 사상에서 상업 정신은 파벌 및 종파 간 증오를 극복하는 힘으로 여겨졌다. 핑커는 계몽주의가 "어떻게 구원받을 것인가"라는 질문을 "어떻게 행복해질 것인가"라는 현실적인 질문으로 대체했다고 지적한다.[69]
그는 기원 1년부터 1800년까지 세계 총생산(GWP)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1820년부터 1900년까지 세계 소득은 3배 증가했고, 21세기 현재에는 1820년의 거의 100배가 되었다고 설명한다.[69] 핑커는 기술 진보로 인해 의류, 의료, 냉장고, 휴대 전화, 위키백과, 노트북 컴퓨터, 경구 피임약 등 다양한 혜택을 현대인이 누리게 되었으며, 총생산 증가 이상으로 인류가 풍요로워졌다고 강조한다.[69]
4. 3. 아나키즘 비판
핑커는 아나키즘 인류학자 데이비드 그레이버와 벵글로가 쓴 『만물의 여명』에서 수렵 채집 민족이나 고대인의 생활이 현대보다 위험하고 가혹했다는 핑커나 재레드 다이아몬드 등을 비판하며 과거 세계의 풍요로움과 평화로움을 강조한 것에 대해 반론한다.[123] 그는 매튜 화이트도 『살육의 세계사』에서 언급했듯이, 중국의 군벌 시대나 멕시코 내전 시대, 17세기 러시아의 동란 시대에는 정부가 너무 약했던 것이 원인이 되어 대량의 희생이 발생했으므로, 무정부 상태에서는 정부가 존재하는 상태보다 훨씬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기 쉽다고 주장한다.[123]루트거 브레그먼은 『Humankind 희망의 역사』에서, 본래 인간은 이타적이고 평화로운 존재이며, 평화롭고 협력적인 사회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핑커를 "인간은 이기적이라고 하는 이데올로기를 가져왔다"고 비판했다.[123] 핑커는 브레그먼과 같은 논의는 전쟁, 학살, 노예제 등 폭력과 착취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현실을 설명할 수 없고, "인간의 본성은 상냥하다"는 생각은 망상에 불과하며, "세계가 이렇게 되기를 바란다"는 규범에 관한 주장을 위해 "세계는 이렇다"는 사실에 관한 주장을 하는 "도덕주의적 오류"에 빠져 있으며, 희망과 사실을 혼동하고 있다고 비판한다.[123]
핑커는 '인간의 본성은 평화롭고 이타적이다'라는 기분 좋은 환상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협력하므로 법률이나 정부가 필요 없어질 것이라고 주장하는 아나키즘과 친화적이지만, 실제로 무정부 상태였던 미국의 서부 개척 시대, 시칠리아 섬이나 스코틀랜드의 고지대, 중국의 산악 지대 등에서는 부족 간의 다툼이나 피로 피를 씻는 복수가 다발했고, 정부가 있는 사회와 무정부 사회를 체계적으로 비교하면 무정부 사회 쪽이 폭력의 빈도가 높다고 반론한다.[123] 그는 인간에게는 폭력적인 본능이 존재하지만, 인간은 그 본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성이기 때문에 바꿀 수 없다"는 운명론을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123]
4. 4. 기타 사회적 견해
핑커는 좌파의 일부 측면에 비판적인 자유주의자로 알려져 있다.[79] 그는 동성 결혼, 기본 소득, 마약 합법화, 탄소세, 사형 폐지를 지지한다.[81] 민주당의 강력한 지지자이다.[82] 그러나 핑커는 극좌가 대학 캠퍼스 등에서 지적 불관용의 분위기를 조성했으며, 대학에서 검열이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다고 묘사하며 이를 막기 위해 하버드에 학문적 자유 위원회를 결성하는 데 일조했다고 주장했다.[83] 그는 정치적 문제에 대한 논의가 널리 퍼진 "반대 의견에 대한 불관용, 공개적인 망신과 배척에 대한 유행, 복잡한 문제를 구속력 있는 도덕적 확신으로 해소하려는 경향"에 의해 억압당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정의와 공개 토론에 관한 서한의 서명인이었다.[84]핑커는 전 생명 윤리 대통령 자문 위원회 의장 레온 카스와 같은 사회 보수주의자들이 배아 줄기 세포 연구에 반대하는 것을 맹렬히 비판하며, 그들의 도덕적 견해가 수백만 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치료법을 방해하는 혐오감의 표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85]
2005년 1월, 핑커는 당시 하버드 대학교 총장 로렌스 서머스의 발언을 옹호했다. 서머스는 사회적 요구와 차별 외에도 "높은 수준에서 다른 적성의 가용성"이 수학 및 과학 분야의 성 격차에 기여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87][88][89] 핑커와 엘리자베스 스펠케의 성별과 과학에 대한 토론에서 핑커는 엘리트 대학에서 성별 대표성의 차이가 "사회화와 편견과 상호 작용하는 평균적인 기질과 재능의 생물학적 차이의 일부 조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명제에 찬성했다.[90]
핑커는 과학적 인종차별주의자의 데이터(인종과 관련 없는 주제에 대해)를 사용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아왔으며, 저널리스트 안젤라 사이니는 "많은 사람들에게 핑커가 극우 및 백인 우월주의자의 작업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것은 도를 넘었다"고 말했다. 핑커는 인종차별을 비난한다고 밝혔다.[93]
2018년 저서 『지금 계몽』에서 핑커는 계몽주의의 합리성이 정치적 좌파와 정치적 우파 모두의 공격으로부터 방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99] 그는 이성, 과학, 휴머니즘, 진보라는 계몽주의의 이념을 중시하며, 우리는 계몽주의의 혜택을 누리면서도 그것에 너무 익숙해져 있다고 말한다. 그는 마르크스주의나 아나키즘, 환경 운동 등을 비판한다.
5. 논란
핑커는 좌파의 일부 측면에 비판적인 자유주의자로, 동성 결혼, 기본 소득, 마약 합법화, 탄소세, 사형 폐지를 지지하는 민주당의 강력한 지지자이다.[79][81][82] 그러나 그는 극좌가 대학 등에서 지적 불관용 분위기를 조성한다고 비판하며, 정의와 공개 토론에 관한 서한에 서명하기도 했다.[83][84]
핑커는 배아 줄기 세포 연구에 반대하는 사회 보수주의자들을 비판하며, 그들의 도덕적 견해가 수백만 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치료법을 방해한다고 주장했다.[85] 그는 현대 사회에 대한 과학의 기여를 둘러싼 공개 토론에 자주 참여하며, 『백지 상태』와 같이 금기를 기꺼이 대면하려는 점에서 중요하고 대담하다는 평가를 받는다.[86]
2009년 1월, 핑커는 개인 유전자 프로젝트와 그것이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기사를 ''뉴욕 타임스''에 기고했다.[91] 그는 2016년판 『백지 상태』 후기에서 후생유전학과 유전자-환경 상호 작용의 새로운 발전에 대해 논의했다.[92]
2018년 저서 『지금 계몽』에서 핑커는 계몽주의의 합리성이 정치적 좌파와 우파 모두의 공격으로부터 방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99] 탈식민주의 이론가 호미 바바는 계몽주의 철학이 불평등, 노예 제도, 제국주의 등 부도덕한 결과를 낳았다고 비판했지만, 핑커는 바바가 인과 관계를 "거꾸로" 인식했다고 반박했다.[100] ''커런트 어페어스''의 편집자 나단 J. 로빈슨은 핑커가 자신의 작품에 대한 비평가들의 주장을 잘못 표현한다고 비판했다.[101]
BBC 월드 서비스의 ''경계에서의 교환'' 프로그램에서 한 청중은 문화와 인간 본성에서 미덕의 발전이 유전적 또는 후성 유전적 발현을 통해 우리의 생물학에서 표현될 수 있는지 질문했다. 핑커는 "일부 쇠퇴는 생물학적 진화로는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발생했다"고 답하며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답했다.[97] 헬가 비에리히와 캐서린 타운센드는 2015년 9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그가 한 강연에 대한 응답으로 인간의 폭력과 전쟁 패턴에 대한 핑커의 광범위한 "문명"적 설명을 비판하는 리뷰를 작성했다.[98]
5. 1. 로렌스 서머스 발언 옹호
2005년 1월, 핑커는 당시 하버드 대학교 총장 로렌스 서머스의 발언을 옹호했다. 서머스는 사회적 요구와 차별 외에도 "높은 수준에서 다른 적성의 가용성"이 수학 및 과학 분야의 성 격차에 기여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87][88][89] 핑커와 엘리자베스 스펠케의 성별과 과학에 대한 토론에서 핑커는 엘리트 대학에서 성별 대표성의 차이가 "사회화와 편견과 상호 작용하는 평균적인 기질과 재능의 생물학적 차이의 일부 조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명제에 찬성했다.[90]5. 2. 제프리 엡스타인 관련 논란
2020년, 미국 언어학회(LSA)는 핑커를 LSA 펠로우 및 미디어 전문가 목록에서 삭제해 달라는 공개 서한에 수백 명의 학자들이 서명하면서 논란이 일었다.[102][103] 이 서한은 핑커가 "특히 폭력적인 행위 및/또는 그것들을 만들어낸 시스템에 대한 항의 직후에 인종차별적이고 성차별적인 폭력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억누르는 패턴"을 보인다고 비난하며, 핑커의 트윗 6개를 예시로 들었다.[104]핑커는 이에 대해 이 서한과, 더 중요하게는 보호받지 못하는 젊은 학자들이 "아이디어의 장을 억압하는 위협의 정권"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104][105][106][107][108] 여러 학자들이 이 서한을 비판하고 핑커를 지지했다.[102] 미국 언어학회 집행위원회는 핑커를 목록에서 삭제하는 것을 거부하며, "학회의 사명은 회원들의 의견이나 그들의 표현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109]
5. 3. 과학적 인종차별주의 비판
핑커는 스티븐 세일러와 같은 과학적 인종차별주의자의 데이터(인종과 관련 없는 주제에 대해)를 사용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아왔다. 저널리스트 안젤라 사이니는 "많은 사람들에게 핑커가 극우 및 백인 우월주의자의 작업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것은 도를 넘었다"고 말했다. 핑커는 인종차별을 비난한다고 밝혔다.[93]5. 4. 말콤 글래드웰과의 논쟁
2009년 11월, 핑커는 ''뉴욕 타임스''에 게재된 기사에서 말콤 글래드웰의 에세이에 대해 엇갈린 평가를 내리며 그의 분석 방법을 비판했다.[94] 글래드웰은 핑커의 지능 지수의 중요성과, 유추하자면, 내셔널 풋볼 리그에서 쿼터백의 드래프트 순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평에 이의를 제기하며 답변했다.[95] 고급 NFL 통계는 통계적으로 이 문제에 접근하여 핑커의 편을 들었고, 방법론의 차이가 두 사람의 상반된 의견을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96]6. 저작
스티븐 핑커는 언어학, 인지 과학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폭넓은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의 주요 저작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분야 | 주요 저서 |
---|---|
언어학 | |
인지 과학 | |
기타 |
핑커는 신경생물학자 스티븐 로즈, 인지 심리학자 엘리자베스 스펠케 등과 다양한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6. 1. 단행본
- ''Language Learnability and Language Development'' (1984)
- ''Visual Cognition'' (1985)
- ''Connections and Symbols'' (1988)
- ''Learnability and Cognition: The Acquisition of Argument Structure'' (1989)
- ''Lexical and Conceptual Semantics'' (1992)
- ''언어 본능'' (1994)
-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1997)
- ''단어와 규칙: 언어의 구성 요소'' (1999)
- ''백지 상태: 인간 본성에 대한 현대적 부정'' (2002)
- ''The Best American Science and Nature Writing'' (편집자 및 서문 저자, 2004)
- ''Hotheads''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의 발췌, 2005)
- ''사고의 재료: 인간 본성을 들여다보는 언어'' (2007)
- ''우리 본성의 더 나은 천사: 폭력이 왜 감소했는가'' (2011)
- ''Language, Cognition, and Human Nature: Selected Articles'' (2013)
- ''스타일 감각: 21세기를 위한 사고하는 사람을 위한 글쓰기 안내서'' (2014년 9월 30일)
- ''지금 계몽하자: 이성, 과학, 휴머니즘, 진보를 옹호하며'' (2018년 2월 13일)
- ''Rationality: What It Is, Why It Seems Scarce, Why It Matters'' (2021년 9월 28일)
6. 2. 한국어 번역본
- 《언어 본능》 (The Language Instinct : How the Mind Creates Language영어, 1994), 김한영·문미선·신효식 번역, 동녘사이언스, 2008
-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How the Mind Works영어, 1997), 김한영 번역, 동녘사이언스, 2007
- 《빈 서판》 (The Blank Slate: The Denial of Human Nature in Modern Intellectual Life영어, 2002), 김한영 번역, 사이언스북스, 2004
-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Why Violence Has Declined영어, 2011), 김명남 번역, 사이언스북스, 2014
- 《지금 다시 계몽》 (Enlightenment Now: The Case for Reason, Science, Humanism, and Progress영어, 2018), 김한영 번역, 사이언스북스, 2021
6. 3. 논문 및 에세이
- Pinker, S. (2003) "인지적 틈새에 대한 적응으로서의 언어" In M. Christiansen & S. Kirby (Eds.), ''언어 진화: 최신 기술''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 노무라 야스유키 역 "인지적 틈새에 대한 적응으로서의 언어", 나탈리아 L. 코마로바, 제임스 R. 하포드, 마틴 A. 노바크 공저, 노무라 야스유키 편역 『언어 진화란 무엇인가 - 언어가 생물학과 만날 때』 대학 교육 출판, 2006년 수록.
- [http://old.richarddawkins.net/articles/1449,Steven-Pinker Pinker, S. (2007), "위험한 아이디어의 옹호" ''시카고 선타임스'', 2007년 7월 15일]
- Pinker, S. (2012). [http://edge.org/conversation/the-false-allure-of-group-selection "집단 선택의 허위 매력"]. ''Edge'', 2012년 6월 19일.
- Pinker, S. (2013). [http://www.newrepublic.com/article/114127/science-not-enemy-humanities 과학은 당신의 적이 아니다]. ''뉴 리퍼블릭'', 2013년 8월 6일.
- Pinker, S. (2014). [http://www.newrepublic.com/article/119321/harvard-ivy-league-should-judge-students-standardized-tests "하버드의 문제점: 아이비 리그는 망가졌고, 표준화된 시험만이 이를 고칠 수 있다"]. ''뉴 리퍼블릭'', 2014년 9월 4일.
- [http://richannel.org/steven-pinker-the-better-angels-of-our-nature 인간 본성의 더 나은 천사], 로열 연구소, 2011년 11월
- [http://richannel.org/linguistics-style-and-writing-in-the-21st-century 21세기의 언어학, 스타일, 글쓰기: 스티븐 핑커와 함께], 로열 연구소, 2015년 10월
- * [http://richannel.org/qampa--linguistics-style-and-writing Q&A – 언어학, 스타일, 글쓰기, 스티븐 핑커와 함께], 로열 연구소, 2015년 10월
- [http://pinker.wjh.harvard.edu/articles/ 하버드 대학교 교원 페이지에서 호스팅되는 선별된 논문 및 기타 작품 모음]
- [https://www.youtube.com/watch?v=RQgNQhBDcRY&t=515s 스티븐 핑커 & 마이클 셔머], Pangburn, 2018년 9월
- [http://www.edge.org/3rd_culture/pinker_rose/pinker_rose_p1.html 두 스티브의 논쟁] 신경생물학자 스티븐 로즈와의 논쟁
- [http://www.edge.org/3rd_culture/debate05/debate05_index.html 성과 과학의 과학] 인지 심리학자 엘리자베스 스펠케와의 논쟁 ([https://www.youtube.com/watch?v=-Hb3oe7-PJ8 유튜브에서 진행된 논쟁 영상])
- [http://iai.tv/video/the-decline-of-violence 폭력의 감소] 경제학자 주디스 마퀀드, BHA 대표 앤드루 콥슨, BBC 방송인 로저 볼턴과의 논쟁
7. 수상 및 명예
연도 | 수상 및 명예 |
---|---|
1984 | 미국 심리학회 초기 경력상 |
1986 | 미국 심리학회 보이드 맥캔들리스 상 |
1993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트롤랜드 연구상 |
1998 | 퓰리처상 최종 후보 |
1999 | 미국 업적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 상[116] |
2001 | 임프라블 연구 연보 과학자를 위한 풍성한 머리결 클럽(LFHCfS) 첫 번째 멤버[120] |
2003 | 퓰리처상 최종 후보 |
2004 | 영국 왕립 연구소 헨리 데일 상,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110] |
2005 | 프로스펙트와 포린 폴리시 선정 100대 지성인[111] |
2006 | 미국 인본주의 협회 올해의 인본주의자 상[117] |
2008 | 프로스펙트와 포린 폴리시 선정 100대 지성인,[112] 아메리칸 헤리티지 사전 용법 패널 의장 (2018년까지)[119] |
2010 | 인지신경과학회 조지 밀러 상, 포린 폴리시 선정 최고의 글로벌 사상가[113] |
2011 | 포린 폴리시 선정 최고의 글로벌 사상가,[114] 아메리칸 헤리티지 사전 5판 용법 에세이 |
2016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115] |
2022 | BBVA 재단 지식의 경계상 "인문 사회 과학" 부문[118] |
뉴캐슬 대학교, 서리 대학교, 텔아비브 대학교, 맥길 대학교,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 트롬쇠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참조
[1]
간행물
Steven Pinker
http://www.bbc.co.uk[...]
2013-06-30
[2]
웹사이트
Steven Pinker Biography
https://www.britanni[...]
1999-11-06
[3]
웹사이트
Steven Pinker: the mind reader
https://www.theguard[...]
1991-11-06
[4]
서적
How the Mind Works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1997
[5]
서적
The Blank Slate: The Modern Denial of Human Nature
https://books.google[...]
Penguin
2016
[6]
웹사이트
Steven Pinker on Cognitive Psychology, Computational Theory, and Conversation
https://www.online-p[...]
2019-10-04
[7]
Youtube
YouTube
https://www.youtube.[...]
[8]
웹사이트
Understanding common knowledge
https://news.harvard[...]
2023-10-09
[9]
문서
The Sense of Style
[10]
간행물
The 2004 Time 100
https://content.time[...]
2004-04-26
[11]
웹사이트
World Thinkers 2013
https://www.prospect[...]
[12]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psycnet.apa.[...]
[13]
웹사이트
Steven Pinker
http://www.nasonline[...]
[14]
웹사이트
Humanist of the Year Award
https://americanhuma[...]
[15]
웹사이트
George A. Miller Award
https://www.cogneuro[...]
[16]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of Steven Pinker
https://stevenpinker[...]
[17]
웹사이트
Developmental Review Editorial Board
https://www.journals[...]
Elsevier
[18]
서적
The Sense of Style: The Thinking Person's Guide to Writing in the 21st Century
https://stevenpinker[...]
Penguin
2014
[19]
서적
Language Learnability and Language Development, With New Commentary by the Autho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20]
웹사이트
A Montreal pilgrimage in the footsteps of Leonard Cohen (the girl standing next to the young Cohen in the group photo is my mother, Roslyn Wiesenfeld Pinker).https://www.jta.org/2018/04/24/news-opinion/montreal-pilgrimage-footsteps-leonard-cohen#.WucYP-F0APc.twitter …
https://twitter.com/[...]
2018-04-30
[21]
Youtube
Sex Differences, Human Nature, & Identity Politics (Pt. 1) {{!}} Steven Pinker {{!}} ACADEMIA {{!}} Rubin Report
https://www.youtube.[...]
2023-06-22
[22]
뉴스
At home: Steven Pinker
https://www.ft.com/c[...]
2012-12-14
[23]
서적
Curious Minds: How a Child Becomes a Scientist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2015-10-16
[24]
뉴스
Groups and Genes
https://newrepublic.[...]
2006-06-26
[25]
서적
The Pinker Instinct
http://www.accessmyl[...]
Skeptics Society & Skeptic Magazine
2001-03-01
[26]
웹사이트
Steven Pinker: the mind reader
https://www.theguard[...]
2006-11-25
[27]
웹사이트
Britannica Encyclopedia
https://www.britanni[...]
2019-10-12
[28]
Citation
Curriculum Vitae
http://stevenpinker.[...]
Harvard University
2017-06-23
[29]
웹사이트
Official Biography. Harvard University
http://pinker.wjh.ha[...]
Pinker.wjh.harvard.edu
2012-01-20
[30]
웹사이트
The professoriate
http://www.nchum.org[...]
2011-06-08
[31]
웹사이트
Professor Steven Pinker
https://web.archive.[...]
2014-11-04
[32]
웹사이트
Biography for Steven Pinker at imdb
https://www.imdb.com[...]
2007-09-12
[33]
웹사이트
How Steven Pinker Works
http://pinker.wjh.ha[...]
2006-02-03
[34]
웹사이트
Steven Pinker: the mind reader
https://www.theguard[...]
2006-02-03
[35]
웹사이트
Podcast:Steven Pinker - Evolutionary Psychology and Human Nature
http://www.pointofin[...]
Point of Inquiry with D.J. Grothe
2014-12-29
[36]
웹사이트
This Harvard Cognitive Psychologist Can't Stop Thinking Deeply About Cycling
https://www.bicyclin[...]
2022-04-01
[37]
문서
The nature of the language faculty and its implications for evolution of language
[38]
웹사이트
Steven Pinker: Long Biography
http://pinker.wjh.ha[...]
Harvard University
2014-05-18
[39]
웹사이트
The Irregular Verbs
http://pinker.wjh.ha[...]
[40]
웹사이트
Words and rules (essay)
http://pinker.wjh.ha[...]
Harvard University
2014-05-24
[41]
논문
Natural language and natural selection
[42]
웹사이트
Language Development:The First Word. The Search for the Origins of Language
http://www.humanjour[...]
[43]
간행물
The 20th Anniversary of Steven Pinker & Paul Bloom: Natural Language and Natural Selection (1990)
http://www.replicate[...]
Replicatedtypo.com
2014-06-09
[44]
웹사이트
Jeffrey Epstein's First Criminal Case Was Helped By A Famous Harvard Language Expert
https://www.buzzfeed[...]
2019-07-12
[45]
뉴스
Jeffrey Epstein, the academy and questions about male dominance in science
https://www.washingt[...]
2019-09-17
[46]
서적
The Language Instinct
Penguin
[47]
간행물
Obituary: Roger Brown
http://pinker.wjh.ha[...]
[48]
간행물
Roger William Brown 1925–1997
http://www.nasonline[...]
2014-05-17
[49]
서적
Handbook of Psycholinguistics
Academic Press
2006
[50]
서적
The 'Language Instinct' Debate
http://sro.sussex.ac[...]
University of Sussex
2014-06-08
[51]
웹사이트
Empiricism v. Nativism: Nature or Nurture?
http://www.grsampson[...]
GRSampson.net
2014-06-08
[52]
간행물
The baby, the bathwater and the 'language instinct' debate
[53]
서적
Impossible Minds
Imperial College Press
[54]
웹사이트
Q&A: Steven Pinker of 'Blank Slate'
http://pinker.wjh.ha[...]
2002-10-30
[55]
웹사이트
Words and Rules (book)
http://pinker.wjh.ha[...]
Harvard University
2014-05-24
[56]
간행물
Dig-dug, think-thunk (review of ''Words and Rules'' by Steven Pinker)
http://www.lrb.co.uk[...]
2000-08-24
[57]
웹사이트
The Stuff of Thought
http://pinker.wjh.ha[...]
Harvard University
2014-05-30
[58]
간행물
Current Advances in the Cognitive Neuroscience of Music
http://digitool.libr[...]
2019-08-16
[59]
간행물
Music. Cognitive Function, Origin, And Evolution Of Musical Emotions
[60]
간행물
Neurobiology: Music, maestro, please!
[61]
문서
Is music the most important thing we ever did? Music, development and evolution.
[6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aniel Levitin
https://www.pbs.org/[...]
Pbs.org
2009-05-20
[63]
웹사이트
Steven Pinker's Cheesecake For The Mind
http://cogweb.ucla.e[...]
Cogweb.ucla.edu
2012-12-29
[64]
서적
This Is Your Brain On Music: The Science of a Human Obsession
Dutton/Penguin
[65]
서적
How the Mind Works
W. W. Norton & Company
[66]
서적
The Language Instinct
Harper Perennial
[67]
서적
The Language Instinct
Harper Perennial
[68]
문서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Allen Lane
[69]
웹사이트
The Decline of Violence
http://iai.tv/video/[...]
IAI
2014-01-03
[70]
뉴스
Book Review: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http://www.courier-j[...]
Courier Journal
2012-09-28
[71]
뉴스
"Book Review: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The Decline of Violence in History and its Causes', By Steven Pinker"
https://www.independ[...]
2011-10-07
[72]
웹사이트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The Decline of Violence in History and its Causes by Stephen Pinker
http://www.spectator[...]
2014-05-30
[73]
서적
War, Peace and Human Nature: The Convergence of Evolutionary and Cultural Views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74]
웹사이트
Book Review
http://www.scientifi[...]
2011-10
[75]
간행물
Peace In Our Time: Steven Pinker's History of Violence in Decline
https://www.newyorke[...]
2011-10-03
[76]
웹사이트
"The case of the 'Brutal Savage': Poirot or Clouseau?: Why Steven Pinker, like Jared Diamond, is wrong"
http://assets.surviv[...]
Survival International
[77]
서적
The Dawn of Everything: A New History of Humanity
2021
[78]
웹사이트
Steven Pinker: Using Grammar as a Tool, Not as a Weapon
http://www.pointofin[...]
Center for Inquiry
2014-11-10
[79]
서적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 Why Violence Has Declined
https://books.google[...]
Penguin
2023-12-17
[80]
뉴스
Pinker's Progress: The Celebrity Scientist at the Center of the Culture Wars
https://www.theguard[...]
2023-12-17
[81]
서적
Enlightenment Now: The Case for Reason, Science, Humanism, and Progress
https://books.google[...]
Penguin
2023-12-17
[82]
뉴스
Steven Pinker and the Fight Over Academia's Future
https://www.thecrims[...]
Harvard Crimson
2023-12-17
[83]
뉴스
Why We Created Harvard's Academic Freedom Council
https://www.persuasi[...]
Persuasion
2023-12-17
[84]
뉴스
A Letter on Justice and Open Debate
https://harpers.org/[...]
Harper’s Weekly
2023-12-17
[85]
뉴스
The Stupidity of Dignity
https://newrepublic.[...]
2023-12-17
[86]
웹사이트
A decade after Steven Pinker's The Blank Slate, why is human nature still taboo?
http://blogs.telegra[...]
2014-05-30
[87]
뉴스
Full Transcript: President Summers' Remarks at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Jan. 14 2005
https://www.thecrims[...]
The Harvard Crimson
2022-01-25
[88]
논문
Sex and the university system.
[89]
뉴스
"Psychoanalysis Q-and-A: Steven Pinker"
https://www.thecrims[...]
2019-03-07
[90]
웹사이트
The Science of Gender and Science: Pinker Vs. Spelke, A Debate
http://edge.org/3rd_[...]
Edge.org
2014-05-10
[91]
뉴스
My Genome, My Self
https://www.nytimes.[...]
2017-02-25
[92]
웹사이트
A Talk with Professor Steven Pinker
https://impakter.com[...]
2020-07-22
[93]
뉴스
Pinker's progress: the celebrity scientist at the centre of the culture wars
https://www.theguard[...]
2023-07-29
[94]
뉴스
Malcolm Gladwell, Eclectic Detective
https://www.nytimes.[...]
2017-02-25
[95]
뉴스
Let's Go to the Tape
https://www.nytimes.[...]
2017-02-25
[96]
웹사이트
Steven Pinker vs. Malcolm Gladwell and Drafting QBs
http://www.advancedn[...]
Advanced NFL Stats
2012-01-20
[97]
문서
Exchanges At The Frontier 2011
http://www.bbc.co.uk[...]
[98]
문서
Human violence and morality
http://online.liverp[...]
[99]
문서
Can Science Justify Itself?
https://harvardmagaz[...]
2018-03
[100]
웹사이트
Does the Enlightenment Need Defending?
https://iainews.iai.[...]
2018-12-04
[101]
논문
The World's Most Annoying Man
https://www.currenta[...]
2019-05-29
[102]
뉴스
The Chilling Effect of an Attack on a Scholar
https://www.theatlan[...]
2020-08-10
[103]
웹사이트
Open Letter to the LSA
https://docs.google.[...]
2020-07
[104]
뉴스
How a Famous Harvard Professor Became a Target Over His Tweets
https://www.nytimes.[...]
2020-08-16
[105]
뉴스
Steven Pinker – The man who refused to be cancelled
https://www.telegrap[...]
2020-07-18
[106]
웹사이트
Steven Pinker and the Debate Over 'Cancel Culture'
https://www.fairobse[...]
2020-07-22
[107]
뉴스
The stink of academic hypocrisy: Steven Pinker usurps the very humanist values he claims to hold
2020-07-20
[108]
뉴스
Steven Pinker: I had to speak out. Cancel culture is Orwellian
https://www.thetimes[...]
2023-03-22
[109]
뉴스
Steven Pinker Beats Cancel Culture Attack
https://reason.com/2[...]
2020-08-10
[110]
웹사이트
Steven Pinker: How Our Minds Evolved
http://pinker.wjh.ha[...]
2006-02-08
[111]
웹사이트
The Prospect/FP Top 100 Public Intellectuals
https://foreignpolic[...]
2006-02-08
[112]
웹사이트
Intellectuals
https://web.archive.[...]
[113]
웹사이트
The FP Top 100 Global Thinkers (2010)
https://web.archive.[...]
Foreignpolicy.com
[114]
웹사이트
The FP Top 100 Global Thinkers (2011)
https://web.archive.[...]
Foreignpolicy.com
[115]
간행물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Members and Foreign Associates Elected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6-05-14
[116]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2020-06-30
[117]
뉴스
Steven Pinker Receives Humanist of the Year Award
https://web.archive.[...]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2006-05-12
[118]
웹사이트
BBVA Foundation Frontiers of Knowledge Award 2022
https://www.frontier[...]
2023-03-09
[119]
웹사이트
Usage Panel
https://www.ahdictio[...]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21-01-05
[120]
웹사이트
The Luxuriant Flowing Hair Club for Scientists
https://web.archive.[...]
Annals of Improbable Research
2018-01-14
[121]
BookTV
In Depth with Steven Pinker
http://www.c-spanvid[...]
C-SPAN
2008-11-02
[122]
episode
Steven Pinker
http://www.bbc.co.uk[...]
2013-06-30
[123]
기사
【独占インタビュー】スティーブン・ピンカーが語った「マルクス主義とアナーキズムの何が間違っているのか」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講談社
2022-11-25
[124]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温室効果ガス排出量(世界)
https://www.jccca.or[...]
全国地球温暖化防止活動推進センター(JCCCA)
[125]
기타
'The Dawn of Everything’ and the Politics of Human Prehistory'
https://quillette.co[...]
Quillette
2022-10-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정치적 신념이 뇌 신경 구조까지 바꾼다고?! [.txt]
“모든 걸 녹여버리는 위험한 사상” 과학철학의 눈으로 본 다윈 혁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