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승부역은 강원도 봉화군 석포면에 있는 영동선의 역이다. 옛날 전쟁에서 승부가 난 마을이라는 유래를 가진 승부마을의 이름을 따서 역명이 정해졌다. 195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역사의 신축, 화물 및 소화물 취급 중지, 행정구역 변경 등의 변화를 겪었다. 2013년에는 영암선 개통 기념비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무인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승부역은 지상역으로, 1면 3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고 철도기념물이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화군의 건축물 - 현동역
현동역은 195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역사를 신축했으나, 화물 취급이 중지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봉화군의 건축물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 봉화군의 교통 - 현동역
현동역은 195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역사를 신축했으나, 화물 취급이 중지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봉화군의 교통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 1956년 개업한 철도역 - 현동역
현동역은 195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역사를 신축했으나, 화물 취급이 중지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1956년 개업한 철도역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승부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명 | 승부역 |
모국어 표기 | 승부 |
로마자 표기 | Seungbu |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역 등급 | 3급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1면 3선 |
개업 년월일 | 1956년 1월 1일 |
소속 노선 | 영동선 |
킬로미터 | 69.2 |
기점역 | 영주역 |
이전 역 | 양원 |
다음 역 | 석포 |
역간 거리 (이전) | 3.7 |
역간 거리 (다음) | 7.6 |
인접 역 | self |
한국어 표기 | |
한글 | 승부역 |
한자 | 承富驛 |
히라가나 | しょうふえき |
가타카나 | スンブヨク |
로마자 표기 | Seungbu Station |
철도역 정보 | |
역명 | 승부 |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 |
![]() | |
![]() | |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승부길 1162-5 |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춘양관리역 |
개업일 | 1956년 1월 1일 |
종별 | 무배치간이역 |
승강장 | 2면 3선 |
단말기 | 역코드 161 |
노선 | 영동본선 |
영업 거리 | 영주 기점 69.2 km |
이전 역 | 양원 |
이전 역 거리 | 3.7 |
다음 역 | 석포 |
다음 역 거리 | 7.6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유형문화재 정보 | |
유형 | 등록문화재 |
![]() | |
이름 | 영암선 개통 기념비 |
한자 이름 | 榮巖線 開通 記念碑 |
지정 번호 | 540 |
지정 연월일 | 2013년 2월 21일 |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승부길 1162-5 (승부리 산105-1) |
소유자 | 한국철도공사 |
2. 역명 유래
옛날 전쟁이 났을 때 승부(勝負)가 난 마을이라 하여 붙은 승부마을의 이름을 땄다.[2] 지금은 ‘부를 잇는다’(承富)는 한자를 사용하는데, 일설에는 옛날 이곳이 다른 마을보다 잘 살았고 부자 마을이라고 해서 불리게 된 이름이라고 한다.
3. 연혁
4. 역 정보
승부역은 주변 지형이 매우 험하여 자동차로 접근하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실제로는 춘양면에서 5일장이 열리는 날마다 석포면사무소까지 가는 마을버스가 운행된다.[2] 석포면 방향으로만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역무실에서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찍을 수 있으며, 승강장에 전시된 수동핸드카는 한국철도공사 선정 철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역 구내에는 다음과 같은 시가 바위에 새겨져 있다.
승부역은
하늘도 세평이요
꽃밭도 세평이나
영동의 심장이요
수송의 동맥이다
4. 1. 승강장
승강장은 1면 3선의 지상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