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로바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로바코는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다룬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방영되었으며, P.A.WORKS에서 제작했다.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을 배경으로, 제작 진행 담당인 미야모리 아오이를 비롯한 등장인물들이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에피소드를 그린다. 작품은 애니메이션 업계의 전문 용어와 현실적인 묘사로 호평을 받았으며, TV 시리즈 외에도 만화, 소설, 라디오 드라마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너 브라더스 재팬 애니메이션 - 식극의 소마
츠쿠다 유토가 글을 쓰고 사에키 슌이 그림을 그린 만화 《식극의 소마》는 대중 식당 아들인 유키히라 소마가 명문 요리 학교에서 요리사들과 경쟁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2012년 연재를 시작하여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 워너 브라더스 재팬 애니메이션 - 리틀 버스터즈!
리틀 버스터즈!는 Key에서 발매한 연애 어드벤처 비주얼 노벨로, 나오에 리키와 리틀 버스터즈 멤버들의 우정과 성장을 다루며, 다양한 미니 게임과 미디어 믹스로 제작된 작품이다. - P.A.WORKS - 신이 된 날
신이 된 날은 마에다 준이 원작, 각본을 맡고 P.A.WORKS가 제작한 2020년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신이라 칭하는 소녀와 대학 입시를 앞둔 소년의 만남을 통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P.A.WORKS - 사쿠라 퀘스트
P.A. Works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사쿠라 퀘스트는 취업에 어려움을 겪던 고하루 요시노가 시골 마을 마노야마에서 미니 독립국의 국왕을 맡아 쇠퇴해가는 마을을 부흥시키기 위해 동료들과 노력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 2014년 만화 - 카케구루이
카케구루이는 카와모토 호무라 글, 나오무라 토오루 그림의 만화 시리즈로, 도박으로 계급이 정해지는 햣카오 학원을 배경으로 하며, 간간 조커에서 연재를 시작하여 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었다. - 2014년 만화 -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은 아카츠키 나츠메가 집필하고 미시마 쿠로네가 삽화를 담당한 일본의 라이트 노벨 시리즈로, 불의의 사고로 죽은 고등학생 사토 카즈마가 여신 아쿠아와 함께 이세계로 전생하여 겪는 모험을 코미디, 이세계 장르의 패러디로 그려내며,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시로바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코미디 일상 |
만화 (SHIROBAKO〜카미노야마 고등학교 애니메이션 동호회〜) | |
원작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
각본 | 스기하라 겐지 |
그림 | 미즈타마 |
대상 독자 | 소년 |
잡지 | 월간 코믹 전격 대왕 |
출판사 | 아스키 미디어 워크스 |
첫 연재 | 2014년 9월 27일 |
마지막 연재 | 2015년 11월 27일 |
권수 | 2권 |
만화 (SHIROBAKO) | |
원작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
구성 | 후지타 리나 |
그림 | 야토미 |
출판사 | 비글리 |
다른 출판사 | 부시로드 미디어 (단행본) |
잡지 | 만화 왕국 |
레이블 | 부시로드 코믹 (단행본) |
첫 연재 | 2020년 2월 28일 |
권수 | 기발행 4권 (2023년 3월 8일 기준) |
인터넷 | SHIROBAKO |
만화 (극장판 SHIROBAKO) | |
원작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
구성 | 후지타 리나 |
그림 | 후지타 잇칸 |
출판사 | 비글리 |
잡지 | 만화 왕국 |
첫 연재 | 2021년 6월 8일 |
인터넷 | 극장판 SHIROBAKO |
TV 애니메이션 | |
원작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
감독 | 미즈시마 츠토무 |
시리즈 구성 | 요코테 미치코 |
캐릭터 원안 | 퐁칸⑧ |
캐릭터 디자인 | 세키구치 가나미 |
음악 | 하마구치 시로 |
애니메이션 제작 | P.A.WORKS |
제작 | SHIROBAKO 제작위원회 |
방송사 | TOKYO MX TVA MBS TUT BS Fuji AT-X NHK |
첫 방송 | 2014년 10월 9일 |
마지막 방송 | 2015년 3월 26일 |
화수 | 전 24화+OVA 2화 |
라이선스 | 북미: Sentai Filmworks 호주: Madman Entertainment 영국: Anime Limited |
OVA (Exodus! Exit Tokyo) | |
감독 | 미즈시마 츠토무 |
각본 | 요시노 히로유키 |
음악 | 하마구치 시로 |
제작사 | P.A.WORKS |
발매일 | 2015년 2월 25일 |
상영 시간 | 25분 |
OVA (The Third Girls Aerial Squad: Falling Angel) | |
감독 | 미즈시마 츠토무 |
각본 | 요시노 히로유키 |
음악 | 하마구치 시로 |
제작사 | P.A.WORKS |
발매일 | 2015년 7월 29일 |
상영 시간 | 25분 |
극장판 애니메이션 | |
제목 | 극장판 SHIROBAKO |
원작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
감독 | 미즈시마 츠토무 |
각본 | 요코테 미치코 |
캐릭터 디자인 | 세키구치 가나미 |
음악 | 하마구치 시로 |
제작 | P.A.WORKS |
제작사 | 극장판 SHIROBAKO 제작위원회 |
배급사 | 쇼우게이트 |
개봉일 | 2020년 2월 29일 |
상영 시간 | 119분 |
소설 (SHIROBAKO イントロダクション) | |
제목 | SHIROBAKO 인트로덕션 |
저자 | 이토 미치코, 다나카 하지메, TAMA, 요시나리 이쿠코 |
출판사 | 슈에이샤 |
레이블 | 점프 제이 북스 |
발매일 | 2015년 1월 27일 |
라디오 (SHIROBAKO 라디오 BOX) | |
방송 시작일 | 2014년 10월 13일 |
방송 종료일 | 2015년 4월 6일 |
방송 시간 | 매주 월요일 |
방송 횟수 | 26회 |
방송 형식 | 스트리밍 |
방송국 | 인터넷 라디오 스테이션 온센, BEWE |
진행자 | 키무라 쥬리 요시무라 하루카 치스가 하루카 타카노 아사미 오오와다 히토미 |
제공 | SHIROBAKO 제작위원회 |
인터넷 | 1 |
2. 등장인물
등장인물이 많은 관계로 작품 초반 6화까지는 매화 캐릭터가 처음 등장할 때마다 직책과 이름이 자막으로 표시되었다. 등장인물 중에는 실존 인물을 모델로 한 캐릭터도 존재한다.[34][35][36]
2. 1. 주요 등장인물 (전 카미노야마 고교 애니메이션 동호회)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제작 진행 담당인 미야모리 아오이는 학창시절부터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심이 있어 카미노야마 애니메이션 동호회 활동을 했다.[124] 고교 졸업 후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 입사했으며, 밝고 쾌활하며 매사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성격이다.[124] 금발에 가까운 밝은 갈색 단발머리를 하고 있다. 콧노래를 부르며 회사차(스즈키 알토)를 드리프트 주행하는 모습도 등장한다.[124]야스하라 에마는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원화가다.[5] 입사 1년 반 만에 원화 담당으로 승진했으며, 얌전하고 근면 성실하지만 약간 내성적인 면이 있다.[124] 검은색 긴 머리를 양 갈래로 묶고 있다. 캐릭터의 연기를 섬세하게 그려내는 것이 특기인 애니메이터 호리우찌를 동경한다.[124]
아카오니 프로덕션 소속의 신인 성우인 사카키 시즈카는 이자카야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오디션에 도전하고 있다.[124] 적갈색 긴 머리를 반만 올려 당고머리를 하고 있다. 열심히 노력하지만 오디션 때 너무 긴장해서 떨어진 적이 있다.[124]
토도 미사는 CG 제작 회사인 수퍼미디어 크리에이션에서 3D 컴퓨터 그래픽을 담당했었다.[124] 애니메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G에 장래성이 있다고 판단해 입사했지만, 자동차 부품 모델링만 하는 것에 회의를 느껴 퇴사했다. 검은색 쇼트커트에 가까운 단발머리를 하고 있다.[124]
대학생이자 각본가 지망생인 이마이 미도리는 각본가 지망생이다.[124] 졸업 후에는 애니메이션 관련 회사에 취직을 희망하고 있으며, 스케일이 큰 판타지 시나리오를 쓰는 것이 꿈이다. 흑색이 도는 파란색 머리를 하얀색 고무줄로 왼쪽 위로 묶고 있다.[124]
미야모리 아오이, 야스하라 에마, 사카키 시즈카, 토도 미사, 이마이 미도리는 야마가타현에 있는 현립 가미노야마 고등학교(かみのやまこうこう) 애니메이션 동호회 전 멤버였다. 이들은 재학 중 문화제에서 『신불혼효 칠복진』을 완성하여 상영했고, 다시 같은 멤버로 애니메이션 작품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2.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마루카와 마사토 (丸川 正人일본어):성우 - 타카기 와타루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사장이다. 짧게 바싹 깎은 머리를 하고 있고, 앞니가 없는 60대 전후로 보이는 남자다. 항상 온화한 표정을 하고 있고, 회사에서 요리를 자주 만들어 사원들에게 먹인다.
;혼다 유타카 (本田 豊일본어)
:성우 - 니시지 슈우카
::제작 진행부의 부장이다. “엑소더스!” 제작 지원부의 총 사령탑 역할을 맡고 있다. 인품이 온화하고 우수한 인재지만 사소한 일에도 지나치게 걱정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어 옥에 티다. 곤란하거나 당황했을 때 말버릇은 ‘이젠 다 끝났어!(万策尽きた!일본어)’. 《시로바코》 제5화에서는 기일이 촉박한 “엑소더스!” 콘티를 완성하지 못하고 있는 키노시타 감독에게 질려, 회사 창고 구석에 있는 쇠창살로 만들어진 곳에 키노시타 감독을 감금하고, 콘티 한 장을 완성하면 튀김을 한개준다고 어르며, 키노시타 감독의 말 상대를 하면서 작업을 독려한다.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서 7년 만에 제작에 들어간 “엑소더스!”에 누구보다도 열정을 쏟으며 제작에 임하고 있다. 체격은 크고 키노시타 감독과 비슷한 비만 체질이다. 항상 니트를 어깨에 두르는 패션을 하고 있다. 엑소더스! 최종화의 콘티 작업이 끝나자, 자신의 진짜 꿈은 제빵이라며 애니메이션 일을 접고 빵집을 운영하면서 살겠다고 밝힌다. 최종화 제작 일정 때문에 장면을 수정해야 하자 몇년 만의 원청작품을 이렇게 할 수 없다며 항의한다.
;야노 에리카 (矢野 エリカ일본어)
:성우 - 야마오카 유리
::제작 진행을 담당하고 있다. 아오이와 타로의 사내 선배로서 하나에서 열까지를 가르치고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얼핏 겉모습과 말투를 보면 기가 세고 쌀쌀맞아 보이지만, 그것은 일에 항상 진지하게 임하고 있기 때문이며, 아오이와 타로에게는 기댈 수 있는 회사 선배 역할을 톡톡히 한다. 제작 진행부의 부장인 혼다나 다른 상사에게도 서슴지 않고 직언을 하는 타입으로, 현장의 혼란을 정리하는데 한 몫을 한다. 금발 머리를 리본으로 양갈래로 높게 묶고 있고, 귀여운 스타일의 옷을 자주 입고 등장한다. 아버지가 아프셔서 엑소더스! 작업에 몰두해서 잊어 보려고 했지만, 결국 아버지를 보살피러 간 적이 있다.
;타카나시 타로 (高梨 太郎일본어)
:성우 - 요시노 히로유키
::제작 진행을 담당하고 있다. 입사 1년차로 아오이와는 거의 입사 동기이며, 금발의 모히칸 헤어스타일을 하고 있다. 언제나 근거 없는 자신감에 넘치고, 책임감이 부족해 제작 현장을 혼란스럽게 하기도 하는 ‘민폐’ 타입이다. 회사 책상에는 피큐어를 장식해 놓고, 예쁜 여자 성우에 관심을 갖는 등 유행에 휩쓸리는 경향이 있다. 입버릇은 ‘예엡!(しゃっす!, しゃーっす!일본어)’. 제1화에서는 “엑소더스!” 제3화의 원화 작업의 진척 관리 미비로 납품 일정에 위기를 겪게 되지만, 다른 동료들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한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그러한 문제를 크게 신경 쓰지 않아, 결국 그 어설픈 관리가 “엑소더스!”의 제작 일정에 크게 영향을 끼치게 된다. 같은 제작 진행 담당인 에리카는 타로에게 “스스로 평가한 자신의 점수와 타인이 평가한 타로의 점수는 크게 다르다”라고 하면서 타로의 평가를 일축한다. 제5화에서는 “엑소더스!”의 제8화 라스트컷 제작 진행 작업 도중에 작화 감독과 3D 감독 사이에서 얼렁뚱땅 적당히 양쪽의 말을 전달하다, 양쪽 감독이 서로 감정이 상하고 오해를 해, “엑소더스!” 제9화의 제작 작업에 큰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을 만들고 만다. 《시로바코》의 미즈시마 츠토무 감독은 ‘타로는 옛날의 접니다. 정말 미안합니다.’[125]라고 본인의 트위터에서 언급하고 있다.
;오치아이 타츠야 (落合 達也일본어)
:성우 - 마츠오카 요시츠구
::제작 진행을 담당했다. 말수가 적고 묵묵하게 일에 몰두하는 타입이다. 주위의 동료들로부터 두터운 신뢰를 받고 있다. 제7화에서 스튜디오 카난으로 회사를 옮긴다. 당초 “엑소더스!”의 제작을 끝마친 후에 이직할 예정이었으나, 스튜디오 카난에서 제작 중인 “내 수재 로봇의 사춘기로 큰일이야”의 제작 일정이 너무 촉박해져 이직을 앞당기게 되었다. 오치아이의 이직으로 인해 아오이가 “엑소더스!”의 최종화를 담당하게 된다.
;와타나베 슌 (渡辺 隼일본어)
:성우 - 마츠카제 마사야
::라인 프로듀서이다. ‘나베P’로 불리며, 마작을 좋아한다.
;오가사와라 린코 (小笠原 綸子일본어)
:성우 - 카야노 아이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간판 원화가. “엑소더스!”의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 감독을 담당하고 있다. 항상 고스로리 옷을 입고있어 사내에서는 ‘고스로리 님’으로 불린다. 말수가 적고 쓸데없는 행동은 하지 않는다. 총 작화 감독 수정을 할 때도 우아한 움직임으로 마치 서도가와 같이 아름다운 손동작으로 그려낸다.
;이구치 유미(井口 祐未일본어)
:성우 - 누마쿠라 마나미
::무사니의 최전선 원화가. “엑소더스!”의 총 작화 감독 보좌이다. 가시 돋친 말을 많이 하지만 작업 속도가 빠르다. 제 8화에서는 슬럼프에 빠진 에마에게 조언을 해 주기도 했다.
;도모토 치에미(堂本 知恵美일본어)
:성우 : 이토 시즈카
::동화검사 담당.
;우치다 아카네(内田 茜일본어)
:성우 : 타카하시 리에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애니메이터
;스기에 시게루(杉江 茂일본어)
:성우 - 카야나기 미토이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경력 많은 원화가이다. 실력이 우수하고 기본기가 많다. 말이 묵묵하고, 후배에게 조언을 하고 싶어하나 에마에게 조언을 한 것이 해가 된 적도 있다. 원래 다른 회사의 아동용 애니메이션 '냥과 윙타로'의 원화를 맡고 있었으나, 엑소더스! 스케줄이 촉박하여 엑소더스! 최종화의 클라이맥스 원화를 맡게 된다. '안데스 차키'를 원화를 담당하였으며, 챠키의 오프닝 작업을 혼자서 3일만에 마친 것은 '스기에 3일 전설'로 남고 있다. 칸노 미츠아키는 스기에 씨는 모에 애니메이션을 그린 적은 없지만 기본기가 있기 때문에 충분히 할 수 있다,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내에서 말을 그릴 수 있는 사람이 바로 스기에 씨인데 왜 자신에게 원화를 부탁했냐고 아오이에게 말한 적이 있다. 경험이 많아서 콘티를 보고 작업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유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러프[126]를 하는 방안으로 작업 시간을 단축시켰으며, 분위기를 띄워서 모두들 열심히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눈썰미가 좋아 조금 이상한 장면도 잡아낼 수 있다. 이러한 능력으로 엑소더스! 최종화를 완성시키는 것에 큰 공헌을 한다. '무사니의 짐짝'이 될 뻔 했는데 자신도 할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해 줘서 고맙다는 말을 아오이에게 했다. 이후 다른 애니메이터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전수해 준다.
;오키츠 유카 (興津 由佳일본어)
:성우 - 나카하라 마이
::총무 담당이다. 사내의 사무 및 총무 등의 관리를 맡고 있으며, 차가운 듯하면서도 예쁜, 이른바 ‘쿨뷰티’ 타입의 여성이다. 예전에는 제작 진행부에서 일한 경험도 가지고 있으며[127], 사내에서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면 가볍게 실력을 발휘해 도와주기도 한다. 애니메이션 업계 종사자로는 드물게 잔업을 안 하는 주의다. 검은색 쇼트커트 머리가 왼쪽 눈을 살짝 가린 스타일을 하고 있으며, 링 모양의 큰 귀걸이를 하고, 깔끔한 슈트 차림을 하고 있다.
;히라오카 다이스케 (平岡大輔일본어)
:성우 - 코바야시 유스케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제작진행. “제3 비행소녀대”의 제작 개시에 따라 입사.
;사토 사라 (佐藤沙羅일본어)
:성우 - 요네자와 마도카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신입 제작진행. “제3 비행소녀대”의 제작 개시에 따라 입사.
;안도 츠바키 (安藤つばき일본어)
:성우 - 하야마 이쿠미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신입 제작진행. “제3 비행소녀대”의 제작 개시에 따라 입사.
;쿠노기 아이 (久乃木 愛일본어)
:성우 - 이자와 시오리
::신인 원화가이며 “제3 비행소녀대”의 제작 개시에 따라 입사하였다. 다른 사람과의 의사 소통이 매우 서툴려서 이야기를 하면 당황해서 패닉에 빠지기 쉽다. 에마가 신인 지도 역할을 맡고 있어 그녀를 통해 타인과 상호작용을 한다.
2. 2. 1. 제작 데스크
-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제작 관리자. 그는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을 떠나 제과 제빵사가 되기로 결심한다. 그가 떠난 후, 그는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 간헐적으로 과자를 배달하러 올 때마다 살이 많이 빠진 것으로 드러난다.
-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제작 진행. 그는 혼다의 퇴사 후 제작 주임으로 승진한다. 그는 무책임하고 시끄럽고 자신의 자존심과 평판을 극도로 보호하는 것으로 회사 내에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그는 아오이와 에리카로부터 자주 질책을 받으며 다른 모든 등장인물들에게 짜증이나 무관심을 산다.
-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제작 진행. 그녀는 타츠야와 아오이의 가장 가까운 동료로, 짧은 성질과 관대한 태도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병든 아버지와 함께 우츠노미야에 살고 있으며, 이는 업무량에 문제를 일으킨다.
-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제작 진행. 그는 에리카 외에는 거의 누구에게도 말을 걸지 않지만 사무실에서 존경받는다. 그는 과거 동료의 도움 요청을 받아 스튜디오 카난의 제작 관리자가 되기 위해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을 떠난다.
-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제작 진행이자 오타쿠. 그녀는 너무 열정적이어서 무엇이 중요한지 잊어버린다.
-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제작 진행. 그녀는 매우 책임감이 강하지만 길을 찾는 데 서투르다.
- }} : 혼다의 퇴사 및 타로의 승진 이후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제작 진행이지만, 사실 경험이 매우 많다. 그는 쉽게 짜증을 내고 쌀쌀맞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경험은 그에게 쇼에 나오는 다양한 회사 및 사람들과의 인맥을 제공하지만, 그들은 모두 하는 일에 미숙하다. 그가 무사시노에 합류했을 때, 과거의 "트라우마" 때문에 그는 처음에 애니메이션은 완성되기만 하면 되고 품질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는 나중에 생각을 바꾸어 전문가들이 자신의 작업에 쏟는 노력과 품질이 실제로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2. 2. 2. 애니메이션 부서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스타 원화가, 캐릭터 디자이너, 총 작화 감독. 그녀는 『엑소더스!』의 캐릭터 디자이너였지만, 마지막 에피소드 이후 시게루의 말 애니메이션에 영감을 받아 원화가로 돌아가기로 결정한다. 그녀는 차분한 태도와 고딕 드레스 패션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또한 뛰어난 소프트볼 선수이다.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원화가. 『엑소더스!』의 보조 총 작화 감독이자 『제3 항공 소녀 부대』의 캐릭터 디자이너. 『제3 항공 소녀 부대』의 캐릭터 디자인이 여러 번 노가메에게 거절당한 후, 린코는 그녀에게 자신의 비밀 장소인 소프트볼 연습장을 알려준다. 그 후, 그녀는 더 이상 전형적인 캐주얼 복장을 하지 않고 보라색 줄무늬가 있는 분홍색 기모노를 입는다. 그녀는 또한 에마와 함께 옥상에서 운동 댄스를 추는데, 이는 둘만의 비밀이다.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원화가. 『엑소더스!』의 세 번째와 여덟 번째 에피소드의 작화 감독. 그는 세가와 미사토와 라이벌 관계이다. 그는 다른 등장인물들이 자신의 작품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말할 때 짜증을 낸다. 그는 이데폰을 좋아하며, 그것이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일하도록 영감을 준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CG 애니메이터인 시모야나기 유이치로와 공통 분모이다.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원화가.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원화가이자 엔도의 후배. 그는 손으로 그린 애니메이션이 CG 애니메이션보다 우월하다고 굳게 믿는 사람이다.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동화. 그녀는 나중에 『제3 항공 소녀 부대』의 원화가로 승진한다. 그녀는 극도로 긴장하고 수줍어하며 거의 완전한 단어를 말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그녀는 마치 마법처럼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해석하는 에마에게 매우 의존하게 된다. 그녀는 또한 곤충을 몹시 두려워한다.
-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베테랑 원화가. 그는 한때 지금은 없어진 무사시노 픽처스의 캐릭터 디자이너였다. 그의 나이 때문에 그는 더 이상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주요 프로젝트를 작업할 속도가 없지만, 그는 『엑소더스!』 마지막 에피소드의 완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그곳에서 다른 애니메이터들에게 말, 즉 시로바코가 일어날 시점에는 잃어버린 재능을 애니메이션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말 외에도 그는 다른 많은 동물을 디자인하고 애니메이션할 수 있다.
2. 2. 3. 기타 스태프
- 마루카와 마사토():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사장이다. 한때 지금은 없어진 무사시노 픽처스의 제작 데스크였다. 그는 종종 직원들을 위해 터무니없는 양의 음식을 요리하는 모습이 보인다. 과거에는 어깨까지 내려오는 긴 머리와 머리띠를 한 독특한 히피 스타일이었지만, 현재는 거의 대머리이고 앞니 두 개 사이에 뚜렷한 틈이 있다. 그의 이름과 디자인은 프로듀서이자 애니메이터인 마루야마 마사오를 기반으로 한다.
- 오키츠 유카():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총괄 매니저이자 전직 제작 진행이다. 그녀는 사무실에서 흡연이나 폭력을 용납하지 않으며, 상황을 진정시키는 데 능숙하다. 경찰은 그녀를 "음속의 여인"이라고 별명을 지었는데, 그녀는 방송 회사에 에피소드 테이프를 제때 배달하기 위해 과속을 할 것이다.
- 와타나베 준():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라인 프로듀서이다. 그는 동료들에게 종종 "나베-P"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 신카와 나오():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색상 설정 담당자이다.
- 사쿠라 요시키():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촬영 감독이다.
- 시모야나기 유이치로():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3D 감독이다. 그는 이데폰을 좋아하며, 그것이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일하도록 영감을 준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원화가인 엔도 료스케와 공통 분모이다.
- 도모토 치에미():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동화 검사이다.
- 나카바야시 와타루():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편집자이다.
2. 3. 제작진
기본적으로 “탈출!”와 같은 스태프로 구성된다. 변경된 직함 등은 각 등장인물의 항목을 참조할 것.; 연출진
- (히야마 노부유키): 애니메이션 《탈출!》과 《제3 소녀 공중 부대》의 감독이다. 그는 기름진 음식을 좋아하고, 에어컨을 켜는 것을 좋아하며, 일하지 않는 것을 좋아한다. 그의 작업 스타일은 종종 갑자기 이야기를 바꾸거나 콘티 작업을 거부하여 제작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과거의 가장 큰 실패작인 《말랑말랑 천국》을 언급하는 사람에게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을 먹으며 체중 감량을 축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를 미세한 그램 단위로 측정한다. 그의 캐릭터와 디자인은 부분적으로 미즈시마 세이지를 기반으로 한다.
- (하마다 켄지): 애니메이션 《탈출!》의 4화와 9화의 에피소드 연출가이자, 《제3 소녀 공중 부대》의 에피소드 연출가이다.
- (사이토 히로노리): 애니메이션 《탈출!》의 3화와 《제3 소녀 공중 부대》의 3화와 7화의 에피소드 연출가이다.
- (스가와라 마사요시): 애니메이션 《제3 소녀 공중 부대》의 5화의 에피소드 연출가이다. 그는 "수염 난 은둔자"로 알려진 에리카로부터 긴급 연락을 받으며, 돈이 거의 없다. 그는 종종 스튜디오 타이타닉에서 탈출하려는 시도를 하며, 땅굴을 파거나 환풍구를 통해 탈출하려고 하지만, 항상 마지막에 에리카에게 붙잡히며 코믹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 (하마노 다이키): 과거 《제3 소녀 공중 부대》의 5화의 에피소드 연출가로, 스튜디오 타이타닉 출신이다. 그는 세이이치나 애니메이션 작업에 전혀 관심이 없으며, 《말랑말랑 천국》을 언급하고, 아무것도 보지 않고 에피소드 컷을 승인한다. 이후 무사시노 애니메이션과의 만남 이후 행방불명된다.
; 음향 부서 (R&B 스튜디오)
- (이와타 미츠오): 음향 감독.
- (코부시 노부유키): 음반 프로듀서.
- (이토 시즈카): 음향 제작 감독.
- (노세 이쿠지): 믹서.
- (타카하시 리에): 어시스턴트 믹서.
- (타카하시 신야): 음향 효과. 사와라 스튜디오에서도 근무한다.
; 프리랜서 애니메이터
- (야마카와 코토미): 프리랜서 원화가. 애니메이션 《탈출!》의 4화와 9화의 작화 감독을 맡았다. 엔도 료스케는 그녀를 라이벌로 여기는데, 그들이 함께 일한 경력이 있기 때문이다. 그녀는 매우 근면하여 종종 밤샘 작업을 한다.
- (스가와라 마사요시): 프리랜서 원화가. 그는 매우 게을러서 "자신만의 리듬"에 들어서야 일을 하고, 오후 늦게까지 잠을 잔다. 그는 또한 열렬한 오토바이 애호가이다.
; 성우
- (나카하라 마이): 애니메이션 《탈출!》에서 아카네 역을 맡았다. 그녀의 이름과 외모는 나카하라 마이와 거의 동일하다.
- (이토 시즈카): 애니메이션 《탈출!》에서 아야 역, 《제3 소녀 공중 부대》에서 캐서린 웰러 역을 맡았다. 그녀의 이름과 외모는 이토 시즈카와 거의 동일하다.
- (카야노 아이): 애니메이션 《탈출!》에서 아루핀 역을 맡았다. 그녀의 이름과 외모는 카야노 아이와 거의 동일하다.
- (누마쿠라 마나미): 애니메이션 《탈출!》에서 오네에상 역을 맡았다.
- (카네모토 히사코): 《제3 소녀 공중 부대》에서 아리아 히토토세 역을 맡았다. 그녀의 디자인은 미야모리 아오이의 성우인 키무라 쥬리를 기반으로 한다.
- (누마쿠라 마나미): 《제3 소녀 공중 부대》에서 노아 아슈케나게 역을 맡았다.
- (요네자와 마도카): 《제3 소녀 공중 부대》에서 크리스틴 발데가르드 역을 맡았다.
- (야마오카 유리): 《제3 소녀 공중 부대》에서 타티아나 야코프레프 역을 맡았다.
- (타무라 유카리): 최고의 성우. 그녀의 디자인은 타무라 유카리를 패러디한 것이다.
- 마이타케 시메지일본어 (오키츠 카즈유키): 시나리오 라이터이다. 콘티가 완성되지 않은 감독이 최종화 내용을 바꾸고 싶다고 말하자 혼다가 불러 스토리와 각본 조정을 했다. 과거에 감독이나 메인 라이터가 하차한 작품을 대체 투입되어 재건한 실적이 있다.
- 아츠미 유지일본어 (하마노 다이키): 미술 담당. 『제3 비행 소녀대』의 배경 미술을 담당하기로 결정했다.
- 野亀 武蔵/노가메 타케조일본어 (사쿠라이 타카히로): 『제3 비행 소녀대』의 원작자.
- 三村健一/미무라 켄이치일본어 (오키츠 카즈유키): 스튜디오 타이타닉의 제작 데스크이다.
- 中垣内 伸昭/나카가이 노부아키일본어 (스가와라 마사요시): 스튜디오 카나분 사장.
- 大倉 正弘/오오쿠라 마사히로일본어 (타케토라): 오오쿠라 공방 사장.
- 磯川 久光/이소카와 히사미츠일본어 (카와다 신지): AC 츠치노코 사장.
- 원작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80]
- 감독·음향 감독 - 미즈시마 츠토무[81]
- 시리즈 구성 - 요코테 미치코
- 캐릭터 원안 - 폰칸8、노가미 타케시(『제3 비행 소녀대』)
- 캐릭터 디자인·총 작화 감독 - 세키구치 카나미、모리시마 노리코(『탈출!』)、니시하타 아유미(『제3 비행 소녀대』)
- 미술 감독 - 타케다 유스케、가키자카 츠카사
- 미술 설정 - 미야오카 마유미、가키자카 츠카사
- 색채 설계 - 이노우에 카즈에
- 촬영 감독 - 카지와라 사치요
- 3D 감독 - 스고 카즈야
- 편집 - 타카하시 아유무
- 음악 - 하마구치 시로
- 음악 프로듀서 - 도이 노리코
- 프로듀서 - 호리카와 켄지、야마자키 후미키、후쿠다 준、오카무라 타케마、카니와 코즈에、타지마 히로유키、이토 유키히로
- 프로듀스 - 카와세 코헤이、나가야 케이시
- 라인 프로듀서 - 소마 쇼지
- 애니메이션 제작 - P.A.WORKS
- 제작 - 「SHIROBAKO」제작 위원회
2. 3. 1. 연출진
키노시타 세이이치()는 애니메이션 《탈출!》과 《제3 소녀 공중 부대》의 연출가이다. 기름진 음식을 좋아하고 에어컨을 켜는 것을 좋아하며, 일하지 않는 것을 좋아한다. 그의 작업 스타일은 종종 갑자기 이야기를 바꾸거나 콘티 작업을 거부하여 제작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과거의 가장 큰 실패작인 《말랑말랑 천국》을 언급하는 사람에게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을 먹으며 체중 감량을 축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를 미세한 그램 단위로 측정한다. 그의 캐릭터와 디자인은 부분적으로 미즈시마 세이지를 기반으로 한다.야마다 마사시()는 애니메이션 《탈출!》의 4화와 9화의 에피소드 연출가이자, 《제3 소녀 공중 부대》의 에피소드 연출가이다.
마도카 히로노리()는 애니메이션 《탈출!》의 3화와 《제3 소녀 공중 부대》의 3화와 7화의 에피소드 연출가이다.
이케타니 히로시()는 애니메이션 《제3 소녀 공중 부대》의 5화의 에피소드 연출가이다. 그는 "수염 난 은둔자"로 알려진 에리카로부터 긴급 연락을 받으며, 돈이 거의 없다. 그는 종종 스튜디오 타이타닉에서 탈출하려는 시도를 하며, 땅굴을 파거나 환풍구를 통해 탈출하려고 하지만, 항상 마지막에 에리카에게 붙잡히며 코믹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야쿠시지 자루요시()는 과거 《제3 소녀 공중 부대》의 5화의 에피소드 연출가로, 스튜디오 타이타닉 출신이다. 그는 세이이치나 애니메이션 작업에 전혀 관심이 없으며, 《말랑말랑 천국》을 언급하고, 아무것도 보지 않고 에피소드 컷을 승인한다. 이후 무사시노 애니메이션과의 만남 이후 행방불명된다.
2. 3. 2. 음향 부서 (R&B 스튜디오)
- }}}}: 음향 감독.
- }}}}: 음반 프로듀서.
- }}}}: 음향 제작 감독.
- }}}}: 믹서.
- }}}}: 어시스턴트 믹서.
- }}}}: 음향 효과 엔지니어. 사와라 스튜디오에서도 근무한다.
2. 3. 3. 프리랜서 애니메이터
세가와 미사토(瀬川 美里)는 프리랜서 애니메이터로, 《엑소더스!》 제4화와 9화의 작화감독을 맡았다.[44] 야마카와 코토미가 성우를 맡았다. 엔도 료스케는 그녀를 라이벌로 여기는데, 그들이 함께 일한 경력이 있기 때문이다. 그녀는 매우 근면하여 종종 밤샘 작업을 한다.키사 미츠히데(木佐 光秀)는 프리랜서 애니메이터이다. 스가와라 마사요시가 성우를 맡았다. 그는 매우 게을러서 "자신만의 리듬"에 들어서야 일을 하고, 오후 늦게까지 잠을 잔다. 그는 또한 열렬한 오토바이 애호가이다.
2. 3. 4. 성우
- (中春 鳴일본어, 성우 : 나카하라 마이): 엑소더스에서 아카네 역을 맡은 성우이다.
- (伊藤 鈴鹿일본어, 성우 : 이토 시즈카): 엑소더스에서 아야 역과 제3 비행소녀대에서 캐서린 웰러 역을 맡은 성우이다.
- (茅菜 夢衣일본어, 성우 : 카야노 아이): 엑소더스에서 아루핀 역을 맡은 성우이다.
- (相馬 りな일본어, 성우 : 타무라 유카리): 최고의 성우이다.
- (성우 : 누마쿠라 마나미): 엑소더스에서 오네에상 역을 맡았다.
- (성우 : 카네모토 히사코): 제3 비행소녀대에서 아리아 히토토세 역을 맡았다. 그녀의 디자인은 미야모리 아오이의 성우인 키무라 쥬리를 기반으로 한다.
- (성우 : 누마쿠라 마나미): 제3 비행소녀대에서 노아 아슈케나게 역을 맡았다.
- (성우 : 요네자와 마도카): 제3 비행소녀대에서 크리스틴 발데가르드 역을 맡았다.
- (성우 : 야마오카 유리): 제3 비행소녀대에서 타티아나 야코프레프 역을 맡았다.
- 아이바 레나 (성우 : 타무라 유카리): 『내 하렘이 조금씩 붕괴하고 있을지도 모르지만 아마 기분 탓일지도 몰라 (가제)』 오디션에 온 성우. 『배덕 로보 사도카마조카』, 『몽몽 비요리』 등의 레귤러 작품 10개를 가진 인기 성우.
- 나가이 츠카사 (성우 : 야마오카 유리) : 『야구의 프린세스님』 주연 성우 중 한 명. 『제3비행소녀대』의 오디션에도 참가.
- 모리 시노부 (성우 : 타카하시 리에): 24프로듀스 소속. 『내 하렘이 조금씩 붕괴하고 있을지도 모르지만 아마 기분 탓일지도 몰라 (가제)』 오디션에 온 성우.
- 사쿠마 히로미 (성우 : 타카하시 리에): 아카오니 프로덕션에 소속된 성우. 시즈카와 함께 『야구의 프린세스님』의 엑스트라를 담당.
- (성우 : 요코오 마리): 성우. 시즈카가 다니던 성우 양성소의 강사이기도 하며, 선술집 "쇼테이"에 모습을 보러 왔다. 오디션을 잘 해내지 못했다고 고민하는 시즈카에게, 올지 안 올지 모르는 결과 연락을 기다리는 고통을 이해하면서, 관련 연극 연습 참관을 권유하고, 성우로서의 자세를 타이른다.
2. 4. 기타
}} : 『제3 비행 소녀대』를 제작하고 배급하는 회사의 편집장이다.- }} : 『제3 비행 소녀대』를 제작하고 배급하는 회사의 편집자이다. 노가메를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서 만나려는 시도에 대해 알리지 않은 채 해고되었다. 그는 노가메와 상의하지 않고 출연진이 요청하는 모든 것을 승인하며, 무사시노 애니메이션과의 회의 중에 종종 휴대폰으로 문자를 보낸다. 그는 또한 회의를 갑자기 떠나, 다른 회의를 잡았다는 말과 함께 대화를 중단하지만, 골프 연습장에 가는 것과 같은 여가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강하게 암시된다. 그는 "웃긴 이야기"라는 유행어로 알려져 있다. 그는 실제로 아무 이야기가 없는데도 이메일과 일반 대화에서 매우 자유롭게 사용한다.
- }} : A.C 츠치노코의 사장 겸 수석 제작 보조자이며, 에리카와 히라오카의 기술 학교 동창이다.
- }} : 슈퍼 미디어 크리에이션즈의 사장이며 미사의 전 상사이다.
- }} : 스튜디오 카나분 사장이자 미사의 현재 상사이다.
- }} : 사와라 스튜디오의 음향 부서 사운드 효과 엔지니어.
- }} : 더 본의 사장. 그는 솔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종종 면접 지원자가 긴장하거나 특정 문구("무엇이든 하겠습니다"가 특히 해당됨)를 말하는 것을 거부한다. 그는 또한 건망증이 심하고 시끄럽고 야구 유니폼을 입는다.
- }} : 더 본의 수석 제작 보조. 그는 마사히코의 반대 인물이며, 그가 너무 지나치게 요구하거나 무뚝뚝하다는 것을 종종 상기시킨다.
- }} : 더 본에서 일하는 에피소드 감독이자 전직 원화가. 그는 "야행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늦은 오후까지 출근하지 않는다.
- }} : 아오이의 라이벌로, G.I. 스태프 (프로덕션 I.G와 J.C.STAFF의 합작)에서 일하며, 같은 사람들을 위한 심부름을 할 때 자주 그녀와 경쟁한다.
- }} : 코모로 스튜디오의 사장. 그는 한때 현재는 해체된 무사시노 픽쳐스의 색채 설정자였다.
- }} : 요타카 서점 조직의 대표.
- }} : 빅 재팬 광고의 프로듀서.
- }} : 『제3 비행 소녀대』를 광고하는 회사의 프로듀서.
- }} : 스튜디오 타이타닉의 수석 제작 보조. 그는 직장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며, 에리카가 스튜디오 타이타닉에 들어오면 잠을 자고 인터넷조차 켜지 않는다.
- }} : 북코미 게임즈의 프로듀서. 그는 야라세 타쿠미와 마쿠라다 츠요시와 함께 『제3 비행 소녀대』에 관심이 없으며, 각자 회사를 위한 돈만 벌려고 한다. 스게스케는 특히 『제3 비행 소녀대』의 게임 홍보를 위해 『제3 비행 소녀대』에 잘 알려진 성우를 원한다. 그는 품질을 위해 준의 성우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 }} : 고리오시 뮤직의 프로듀서. 그는 엔조 스게스케와 마쿠라다 츠요시와 함께 『제3 비행 소녀대』에 관심이 없으며, 각자 회사를 위한 돈만 벌려고 한다. 타쿠미는 특히 자신의 회사가 더 많은 레코드를 판매할 수 있도록 『제3 비행 소녀대』에 노래 실력이 좋은 성우를 원한다. 그는 품질을 위해 준의 성우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 }} : DK 레이스의 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 그는 엔조 스게스케와 야라세 타쿠미와 함께 『제3 비행 소녀대』에 관심이 없으며, 각자 회사를 위한 돈만 벌려고 한다. 츠요시는 특히 자신의 회사가 컨벤션에서 더 큰 패널을 가질 수 있도록 『제3 비행 소녀대』에 외모가 매력적인 성우를 원한다. 그는 품질을 위해 준의 성우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 }} : 아오이가 가끔 살아있다고 상상하는 인형. 미무지는 보라색과 검은색 긴 드레스를 입고 눈 가리개를 한 여성 인형이다. 그녀는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알지 못하며 회의와 작업을 지루하게 생각한다. 그녀는 또한 로로를 괴롭히고 아오이의 부정적인 목소리를 내며, 그녀에게 일을 그만두고 왜 애니메이션에서 일하는지 질문한다. 로로는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을 설명하는 하얀 테디 베어다. 그는 아오이에게 긍정적인 목소리를 내며, 그녀에게 왜 애니메이션에서 일하고 있는지 상기시켜준다. 시로바코의 마지막 에피소드 크레딧에서 쿠누기 아이는 미무지와 로로가 살아있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는다.
- }} : 아오이의 언니로, 신킨 은행에서 불행하게 일한다. 그녀는 시골에 살며, 도쿄 방문 동안 전형적인 관광객처럼 행동하여 미도리를 당황하게 한다. 그녀는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이 합법적인 회사인지 의문을 제기하지만, 결국 아오이를 인정한다.
- }} : 『탈출!』의 메인 작가이자 『제3 비행 소녀대』의 작가 중 한 명. 그의 이름은 실제 소설 작가인 나스 키노코를 바탕으로 하며, 그의 외모는 실제 시나리오 작가인 요시노 히로유키와 유사하다.
- }} : 『제3 비행 소녀대』의 미술 감독. 그는 구름을 특징으로 하는 그의 미술 연출, 그리고 쇼의 다른 어떤 캐릭터보다 더 긴 그의 이마로 유명하다.
- }} : 『제3 비행 소녀대』의 특정 배경 장면을 처리하기 위해 고용된 미술 감독. 그는 한때 현재는 해체된 무사시노 픽쳐스의 원화가였다. 그는 재능 있는 화가이다. 그의 캐릭터와 디자인은 부분적으로 오구라 히로마사를 기반으로 한다.
- }} : 전직 성우이자 시즈카의 멘토.
- }} : 여러 유명 애니메이션 작품에 참여한 유명 애니메이터. 그의 이름은 실제 감독이자 애니메이터인 안노 히데아키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며, 그의 외모도 안노와 비슷하다. 안노와 마찬가지로 그는 인기 있는 메카 애니메이션의 미술 감독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안노의 경우, 이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이다.
- }} : 료스케의 아내.
- }} : 아오이와 카오리의 어머니.
- }} : 에마의 어머니.
- }} : 스기에의 아내로, 그녀는 현재는 해체된 무사시노 픽쳐스에서 만났으며, 그곳에서 중간 작화 감독으로 일했다.
- }} : 현재는 해체된 무사시노 픽쳐스의 미술 감독. 그는 큰 콧수염과 단호한 성격으로 즉시 알아볼 수 있으며, 그는 종종 제작 보조로서 미술 부서에 특정 그림을 요청한 마루카와 마사토를 향했다.
- }} : 『제3 비행 소녀대』의 원작자. 그는 쇼의 다른 어떤 캐릭터와 달리, 정기적으로 전통적인 일본 기모노를 입는 것으로 보인다. 그의 이름은 만화가 노가미 타케시를 바탕으로 한다.
- 토미가야 : 성우 - 이와타 미츠오 : G.I.STAFF 제작 진행. 『SDDR II』 담당. 세가와 집에 한 대뿐인 주차 공간을 아오이와 다투고 있다. 직업의 목표는 "페크서 같은 회사를 설립하여 독립하는 것"이라고 내걸고 있다.
- 키타노 사부로 : 성우 - 노나카 히데노리 : 『초비공요함 마지다스』에서 "키타노 서커스"라고 불리는 기법을 만들어낸 전설적인 애니메이터. 손으로 그리는 것을 주로 하는 애니메이터지만, 현재는 3D 애니메이션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에게 "재패니메이션의 요령"을 가르치고 있다. 엔도에게 술자리에 초대받아 호리타를 포함한 3명이 이야기를 나누던 중, 현장에서의 3D반과의 대립에 대한 화제가 나와, 3D 처리에 의한 작화 기법을 완강히 부정하며 "그쪽 인간"이라고 선을 그으려는 엔도를 일갈하고, 3D 측과의 융화나 대처법에 대해 이야기했다.
- 호조 히로아키 : 성우 - 테즈카 히로미치 : 스튜디오 카난의 라인 프로듀서. 『내 손으로 만든 로봇이 사춘기에 큰일입니다』의 스케줄이 파탄 직전의 상황에서, 원래 말을 걸어 두었던 대학 후배인 오치아이에게, 예정보다 앞당겨 이적하도록 부탁했다.
- 코노 유키야스 : 성우 - 아오야마 죠 : 사와라 스튜디오에 소리의 자료로서 돈브라를 전해준 아오이를 입구에서 불러 세운 음향 효과. 30년 전에 영화 일을 꿈꾸며, 아는 사람의 소개로 음향 효과의 세계에 들어섰다. "계속하지 않으면 일이 재미있어지지 않으니까"라며 지속하는 것으로 일의 동기 부여, 재미를 볼 수 있다는 입장의 이야기를 아오이에게 하고 있다.
- 칸노 미츠아키 : 성우 - 카시이 쇼토 : 제11화 마지막에 화제가 되고, 제12화에 등장한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현역 애니메이터이기도 하다. 대표작은 『신세대 아방가르드』. 1인칭은 "와시". 아오이로부터의 원화 의뢰는 거절하지만,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 소속된 스기에가 그 그림 콘티의 영상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물이라는 사실을, 몇 가지 에피소드와 함께 아오이에게 전한다. 또한, "애니메이터는 화려함보다는 움직임의 기본을 배워야 한다", "애니메이터도 인간이므로 '너밖에 할 수 없다'는 말을 듣고 싶어한다"는 지론과 힌트를 아오이에게 이야기하고 있다.
- 『제3비행 소녀대』 스폰서 관계자
:: 미즈야마 야스히로(성우 - 타카기 와타루), 광고 대리점 프로듀서. 엔조 에이스케(성우 - 토비타 노부오), 붓코미 게임스 프로듀서. 야라세 타쿠미(성우 - 마도노 미츠아키), 고리오시 뮤직 프로듀서. 마쿠라다 츠요시(성우 - 코야스 타케히토), DK 레이스・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
:: 『제3비행 소녀대』의 성우 오디션 회의에 참석한 각 관계 프로듀서, 엔조, 야라세, 마쿠라다가 각자 이해 관계나 개인적인 취향에 기준을 두고 선택한 성우들만을 추천하여, 회의를 엉망으로 만들고 길게 끌었다.
- 『산 고슴도치 안데스 챠키』 스태프
:: 모리미야 사부로(성우 - 이에나카 히로시), 감독. 사가모리 코우지(성우 - 노세 이쿠지), 미술 감독.
- 『내 하렘이 조금씩 붕괴하고 있을지도 모르지만 아마 착각일지도 몰라(가제)』 스태프
:: 시노다 토시키(성우 - 야마기시 하루오), 감독. 츠지타 미츠요시(성우 - 사이토 히로히토), 라인 프로듀서. 나카야마다 노부오(성우 - 마츠모토 시노부), 메이커 프로듀서. 와카바시 히로카즈(성우 - 오노 아츠시), 음향 감독. 키시타니 히로시(성우 - 에고시 아키노리), 음향 제작.
- 슈퍼 미디어・크리에이션즈 관계자
:: 타테이시 코이치(성우 - 하야시 유키), 사장. 도바시(성우 - 노세 이쿠지), 라인 디렉터. 나츠키(성우 - 히노 마리), 차의 내장을 담당하고 있다. 미우라(성우 - 아와즈 타카시), 차의 외장을 담당하고 있다.
-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 더 본 관계자
:: 이나미 마사히코(성우 - 타카기 와타루). 타케쿠라 케이지(성우 - 야스무라 마코토). 오노데라(성우 - 무라타 타이시), 연출가.
- 미야이 카에데 : 성우 - 사쿠라 아야네 : 극장판에 등장. 웨스턴 엔터테인먼트의 어시스턴트 프로듀서.
- 미사키 요시오 : 성우 - 스즈무라 켄이치 : 극장판에 등장. 주식회사 게-페-우-의 사장.
2. 4. 1. 기타 회사
- }} : 『제3 비행 소녀대』를 제작하고 배급하는 회사의 편집장이다.[48]
- }} : 『제3 비행 소녀대』를 제작하고 배급하는 회사의 편집자이다. 노가메를 무사시노에서 만나려는 시도에 대해 알리지 않은 채 해고되었다. 그는 노가메와 상의하지 않고 출연진이 요청하는 모든 것을 승인하며, 무사시노 애니메이션과의 회의 중에 종종 휴대폰으로 문자를 보낸다. 그는 또한 회의를 갑자기 떠나, 다른 회의를 잡았다는 말과 함께 대화를 중단하지만, 골프 연습장에 가는 것과 같은 여가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강하게 암시된다. 그는 "웃긴 이야기"라는 유행어로 알려져 있다. 그는 실제로 아무 이야기가 없는데도 이메일과 일반 대화에서 매우 자유롭게 사용한다.
- }} : A.C 츠치노코의 사장 겸 수석 제작 보조자이며, 에리카와 히라오카의 기술 학교 동창이다.
- }} : 슈퍼 미디어 크리에이션즈의 사장이며 미사의 전 상사이다.
- }} : 스튜디오 카나분 사장이자 미사의 현재 상사이다.
- }} : 사와라 스튜디오의 음향 부서 사운드 효과 엔지니어.
- }} : 더 본의 사장. 그는 솔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종종 면접 지원자가 긴장하거나 특정 문구("무엇이든 하겠습니다"가 특히 해당됨)를 말하는 것을 거부한다. 그는 또한 건망증이 심하고 시끄럽고 야구 유니폼을 입는다.
- }} : 더 본의 수석 제작 보조. 그는 마사히코의 반대 인물이며, 그가 너무 지나치게 요구하거나 무뚝뚝하다는 것을 종종 상기시킨다.
- }} : 더 본에서 일하는 에피소드 감독이자 전직 원화가. 그는 "야행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늦은 오후까지 출근하지 않는다.
- }} : 아오이의 라이벌로, G.I. 스태프 (프로덕션 I.G와 J.C.STAFF의 합작)에서 일하며, 같은 사람들을 위한 심부름을 할 때 자주 그녀와 경쟁한다.
- }} : 코모로 스튜디오의 사장. 그는 한때 현재는 해체된 무사시노 픽쳐스의 색채 설정자였다.
- }} : 요타카 서점 조직의 대표.
- }} : 빅 재팬 광고의 프로듀서.
- }} : 『제3 비행 소녀대』를 광고하는 회사의 프로듀서.
- }} : 스튜디오 타이타닉의 수석 제작 보조. 그는 직장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며, 에리카가 스튜디오 타이타닉에 들어오면 잠을 자고 인터넷조차 켜지 않는다.
- }} : 북코미 게임즈의 프로듀서. 그는 야라세 타쿠미와 마쿠라다 츠요시와 함께 『제3 비행 소녀대』에 관심이 없으며, 각자 회사를 위한 돈만 벌려고 한다. 스게스케는 특히 『제3 비행 소녀대』의 게임 홍보를 위해 『제3 비행 소녀대』에 잘 알려진 성우를 원한다. 그는 품질을 위해 준의 성우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 }} : 고리오시 뮤직의 프로듀서. 그는 엔조 스게스케와 마쿠라다 츠요시와 함께 『제3 비행 소녀대』에 관심이 없으며, 각자 회사를 위한 돈만 벌려고 한다. 타쿠미는 특히 자신의 회사가 더 많은 레코드를 판매할 수 있도록 『제3 비행 소녀대』에 노래 실력이 좋은 성우를 원한다. 그는 품질을 위해 준의 성우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 }} : DK 레이스의 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 그는 엔조 스게스케와 야라세 타쿠미와 함께 『제3 비행 소녀대』에 관심이 없으며, 각자 회사를 위한 돈만 벌려고 한다. 츠요시는 특히 자신의 회사가 컨벤션에서 더 큰 패널을 가질 수 있도록 『제3 비행 소녀대』에 외모가 매력적인 성우를 원한다. 그는 품질을 위해 준의 성우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 '''주식회사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본작의 무대가 되는 가상의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 본작의 원작자(공동 필명)로 크레딧에 표기되어 있다.[48] 약칭은 "무사니". 사내에서의 호칭이나, 웹사이트의 도메인 이름(musani.jp)에서 볼 수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가 많은 도쿄도무사시노시에 소재한다는 설정으로, 가장 가까운 역으로 무사시자카이역이 그려져 있다.
- '''슈퍼 미디어 크리에이션즈''': 타테이시 코이치가 사장을 맡고 있는 CG 제작을 하는 기업.
- '''스튜디오 타이타닉 (Studio TAITANIC)''': 히라오카의 소개로 『제3 비행 소녀대』를 그로스 작업한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
- '''스튜디오 카나분''': 시모야나기의 후배인 나카가이토 노부아키가 설립한 CG 제작 회사.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하청 형태로, 『제3 비행 소녀대』의 제작에 관여한다.
- '''유한회사 무사시노 동화''':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전신이 되는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 『산 고슴도치 안데스 챠키』 등을 제작한 회사로, 마루카와 사장이나 스기에 부부, 모모세 부부 등이 소속되어 있었다. 40년 전쯤에 도산했으며, 사옥은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이 창고로 관리, 사용하고 있다.
2. 4. 2. 기타 등장인물
- 키노시타 세이이치 (木下 誠一일본어)
: 성우 - 히야마 노부유키
:: “엑소더스”와 “제3 비행소녀대”의 감독이다. 뚱뚱한 체형 때문에 더위를 잘 타고, 튀김을 좋아하며, 일이 바빠지면 과식 후 바로 잠든다. 당황하면 자기 뱃살을 움켜쥐고 흔드는 버릇이 있다.
:: 첫 감독 작품은 “벌거벗은 최면술사”이며, 이후 “허니와 클로버”, “망원 기동대” 등으로 좋은 평가를 받아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주목받는 감독이었다. 애니메이션 제작에 대한 신념이 강하지만 우유부단하여 제작 중 설정을 갑자기 바꾸는 등 제작 일정에 큰 영향을 주기도 한다. 《시로바코》 제2화에서는 “엑소더스”의 캐릭터 설정을 변경하여 제작진에게 추가 작업을 요구하기도 했다. 스스로 말주변이 없다고 하지만, 애니메이션에 대한 열정으로 열변을 토한다. 이혼 경험이 있고 위자료를 지불하고 있다. 제5화에서는 콘티가 늦어져 혼다에게 회사 창고에 감금당한다.
:: 첫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탱글탱글 천국”은 제작 일정이 크게 틀어져 혹평을 받았다. 이후 6년 동안 OVA와 WEB 애니메이션 일만 맡아왔고, TV 애니메이션 일은 들어오지 않았다. “탱글탱글 천국”의 혹평 이후 네티즌 반응에 민감하며, 반응을 외면하게 되었다.
- 야마다 마사시(山田 昌志일본어) : 성우 - 하마다 켄지 : 엑도더스 4화의 작화감독.
- 엔도 료스케(遠藤 亮介일본어) : 성우 - 마츠모토 시노부) : 원화가. 엑소더스의 제 3화와 8화의 직감을 맡았다.
- 堀田 光
- 마도카 히로노리(円 宏則일본어) : 성우 - 사이토 히로노리) : 엑소더스 제 3화의 연출가.
- 시모야나기 유이치로(下柳 雄一郎일본어) : 성우 - 마지마 쥰지)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3D 담당
- 向井
- 사쿠라 요시키(佐倉 良樹일본어) : 성우 - 타카나시 켄고)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촬영 감독.
- 신카와 나오(新川 奈緒일본어) : 성우 - 히노 마리) :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색상지정 및 검사 담당.
- 한토 타츠야(半藤 達也일본어) : 『제3 비행 소녀대』를 제작하고 배급하는 회사의 편집장.
- 차자와 신스케(茶沢 信輔일본어) : 『제3 비행 소녀대』를 제작하고 배급하는 회사의 편집자.
- 이소카와 히사미츠(磯川 久光일본어) : A.C 츠치노코의 사장 겸 수석 제작 보조자.
- 타테이시 코이치(立石 孝一일본어) : 슈퍼 미디어 크리에이션즈의 사장.
- 나카가이치 노부아키(中垣内 伸昭일본어) : 스튜디오 카나분 사장.
- 카와노 토시야스(河野 幸泰일본어) : 사와라 스튜디오의 음향 부서 사운드 효과 엔지니어.
- 이나미 마사히코(伊波 政彦일본어) : 더 본의 사장.
- 타케쿠라 케이지(竹倉 圭司일본어) : 더 본의 수석 제작 보조.
- 오노데라(小野寺일본어) : 더 본에서 일하는 에피소드 감독이자 전직 원화가.
- 토미가야 (富ヶ谷일본어) : G.I. 스태프에서 일함.
- 모모세 이사무(百瀬 勇일본어) : 코모로 스튜디오의 사장.
- 오노우에 마사토(尾之上 将人일본어) : 요타카 서점 조직의 대표.
- 사쿠라다 노부히로(桜田 伸広일본어) : 빅 재팬 광고의 프로듀서.
- 미즈야마 야스히로(水山 康宏일본어) : 『제3 비행 소녀대』를 광고하는 회사의 프로듀서.
- 미무라 켄이치(三村 健一일본어) : 스튜디오 타이타닉의 수석 제작 보조.
- 엔조 스게스케(遠城 営助일본어) : 북코미 게임즈의 프로듀서.
- 야라세 타쿠미(屋良瀬 匠일본어) : 고리오시 뮤직의 프로듀서.
- 마쿠라다 츠요시(枕田 強일본어) : DK 레이스의 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
- 미무지 & 로로(ミムジー&ロロ일본어) : 성우 - 키무라 쥬리[45]
: 패션돌 미무지와 곰 봉제인형 로로. 아오이의 사유물로, 고민이나 갈등을 겪을 때 조작하여 대변하게 한다. 제3자의 시점에서는 화면상에 존재하지 않고, 아오이의 혼잣말로 표현된다. 미무지가 의문이나 불만을 제기하고, 로로가 훈계하거나 타이르는 경우가 많다.
- 미야모리 카오리(宮森 かおり일본어) : 성우 - 모리야 사토미
: 아오이의 언니. 지역 신용금고에 근무하며, 자유분방한 성격이다. 극장판에서는 기혼자가 되어 아들을 낳았다.
- 아오이의 어머니(あおいの母일본어) : 성우 - 케이쵸 유카
: 아오이의 아버지와 함께 살고 있다. 『엑소더스!』를 케이블 TV로 시청하며 아오이를 응원한다.
- 마이타케 시메지(舞茸 しめじ일본어) : 『탈출!』의 메인 작가이자 『제3 비행 소녀대』의 작가 중 한 명.
- 아츠미 유지(渥美 祐治일본어) : 『제3 비행 소녀대』의 미술 감독.
- 오쿠라 마사히로(大倉 正弘일본어) : 『제3 비행 소녀대』의 특정 배경 장면을 처리하기 위해 고용된 미술 감독.
- 타테오 마리(縦尾 まり일본어) : 전직 성우이자 시즈카의 멘토.
- 칸노 미츠아키(菅野 光明일본어) : 여러 유명 애니메이션 작품에 참여한 유명 애니메이터.
- 엔도 마유미(遠藤麻佑美일본어) : 료스케의 아내.
- 에마의 어머니(絵麻の母親일본어) : 성우 - 히노 마리)
- 스기에의 아내(杉江の妻일본어) : 성우 - 키시모토 모모에, 나카하라 마이 (어린 시절)
- 사가모리 코지(佐賀森 幸次일본어) : 현재는 해체된 무사시노 픽쳐스의 미술 감독.
- 노가메 타케조(野亀 武蔵일본어) : 『제3 비행 소녀대』의 원작자.
2. 5. 극중 애니메이션
다음은 《시로바코》에 등장하는 극중 애니메이션 작품들이다.;신불혼효 일곱신 (神仏混淆 七福陣일본어, 신부츠콘고 시치후쿠진)
:카미노야마 고교 애니메이션 동호회의 회원 다섯 명이 제작해 학교 문화제 때 발표한 애니메이션이다.
;탱글탱글 천국(ぷるんぷるん天国일본어)
:기노시타 감독이 이전에 제작한 저예산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다. 당초 예산과 일정 등 모든 조건이 힘든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감독이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이로 인해 제작 작업량이 늘고 일정이 틀어져 제9화에서는 작화 붕괴가 발생해 애니메이션 질의 저하뿐만이 아니라 납품 일정이 늦어져 총집편을 세번이나 방송해서 시간을 때워야 하는 사태까지 초래하게 만들었다.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탱글탱글 천국’의 제9화를 줄여 말해 ‘탱글구(ぷるんキュー일본어)’라는 인터넷 신조어가 생겼고, 그 뜻은 ‘여러의미(나쁜의미)에서 전설話. 탱글구를 넘어서는(밑으로 넘어서는?) 애니는 금세기에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뒷말이 있다 카더라’라는 전설이 된 애니메이션이다. 그리고 이일은 애니메이션 관계자들 사이에서 쉬쉬하는 사건이 되었다.
;전설의 거대 로봇 이데폰 (伝説巨大ロボット イデポン일본어)
;(山はりねずみアンデスチャッキー일본어)
;이 몸의 하렘이 조금씩 붕괴하고 있는지도 모르지만 아마도 기분 탓일꺼야(가칭)(俺様のハーレムが少しずつ崩壊してるかもしれないけどたぶん気のせいかもしれない일본어)
:사카키 시즈카가 성우 오디션에 참가한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超飛空要艦マジダス일본어)
;엑소더스! (えくそだすっ!일본어)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에서 7년 만에 하청이 아닌 직접 제작을 맡은 전 13화로 구성된 TV 애니메이션이다. 아이돌이 되고자 하지만 어느 이유 때문에 경찰에게 쫓기고 있는 아이돌 그룹을 그리는 작품이다.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이 《시로바코》의 중심 내용이 되고 있으며, DVD와 블루레이 제3권에는 "엑소더스!" 제1화가 특전으로 수록되어 있다.
- '''캐릭터'''
- *
:7월 25일생. 혈액형은 AB형, 신장은 152cm, 체중은 44kg이다. 메인 컬러가 노란색으로 디자인된 캐릭터이다. 공식적으로는 17세지만 실제 나이는 29세이다. 돈벌이를 위해 아이돌이 되었다고 하며, 여섯 형제 중 장녀다. 학창시절에는 열심히 아르바이트만 했다. 얼핏 보면 4차원적이고 분위기 파악을 못하는 것 같지만, 작품을 끌어가는 견인 역할을 하고 있다. 《시로바코》 본편 제2화를 보면 ‘언니’와는 오래전부터 알고 있던 사이라는 설정이 공식적으로 추가되었다.
- *
:4월 15일생. 혈액형은 A형이고, 신장은 158cm, 체중은 41kg이다. 메인 컬러가 빨간색으로 디자인된 캐릭터이다. 여고 출신이며, 예쁜 여자를 동경하고 아이돌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갑파 할아버지에게 길러져 친부모의 행방은 모른다.
- *
:12월 2일생. 혈액형은 O형이고, 신장은 158cm, 체중은 38kg이다. 메인 컬러가 파란색으로 디자인된 캐릭터이다. 능숙한 춤과 노래를 익히기 위해 아이돌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모님은 맞벌이로 나중에 이혼한다. 가장 친한 친구였던 곰인형에게도 배신을 당한 것 같다.
- *
:당초 메인 캐릭터들과 친한 사이였으나 이후 대립적인 관계로 변한다는 설정이 《시로바코》 본편에 드러난다.
- '''에피소드'''
- * 제2화 - 쌩얼 이야말로 인생
- * 제3화 - 더 더 퍼부어!
;제3 비행소녀대 (第三飛行少女隊일본어)
: 제9화에 등장한 누계 100만부를 돌파 한 인기 만화로 약칭은 ‘산죠(三女일본어)’이다. 전투기를 모는 소녀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타사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을 희망하기도 했지만, 결국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을 맡게 된다.
:* }} : 일본 출신 파일럿으로, 주요 등장인물이다. 냉철하고 계산적인 성격으로 "얼음 인형"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307 공중 기동대, 즉 "헬 앨리스"의 멤버로, 미쓰비시 F-1을 조종한다. 성우는 스즈키 쿄코.
:* }} : 미국 출신 파일럿으로, 아리아의 동료이다. 헬 앨리스의 멤버이며,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II를 조종한다. 성우는 이토 시즈카.
:* }} : 스웨덴 출신 파일럿이며, 아리아의 동료이다. 헬 앨리스의 멤버로, 사브 37 비겐을 조종한다. 성우는 마키세 아야노.
:* }} : 이스라엘 출신 파일럿으로, 아리아의 동료이다. 헬 앨리스의 멤버이며, IAI 크피르를 조종한다. 성우는 아사카미 에리.
:* }} : 국적 불명의 파일럿으로, 아리아의 동료이다. 헬 앨리스의 멤버이며, 미코얀 MiG-23을 조종한다. 성우는 토키와 히로코.
:* }} : 조후 기지의 지휘관이며, 헬 앨리스의 리더이다.
:* }} : 중령이자 헬 앨리스의 비행대장으로, 아리아와 캐서린을 구하기 위해 희생한다.
:* }} : 헬 앨리스의 항공기를 감독하고 수리하는 책임을 맡은 후방 장군이다.
:* }} : 조후 기지에 부품을 공급하는 클로우 코퍼레이션의 대표로 추정된다.
:* }} : 캐서린의 여동생으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위해 특별히 제작되었다. 성우는 시즈카.
:* }} : 미드웨이 필러 공격에 참여한 파일럿으로, 격추되어 사망한다.
이 외에도 본작의 배경에 그려지는 포스터나 대사 등에는 실존하는 작품 등의 오마주나 패러디로 생각되는 것들이 다수 등장한다.
2. 5. 1. 엑소더스!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에서 7년 만에 하청이 아닌 직접 제작을 맡은 전 13화로 구성된 TV 애니메이션이다. 아이돌이 되고자 하지만 어느 이유 때문에 경찰에게 쫓기고 있는 아이돌 그룹을 그리는 작품이다.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이 《시로바코》의 중심 내용이 되고 있으며, DVD와 블루레이 제3권에는 "엑소더스!" 제1화가 특전으로 수록되어 있다.[131][132]- '''캐릭터'''
- * 아루핀 (아루핀/あるぴん일본어)
:7월 25일생. 혈액형은 AB형, 신장은 152cm, 체중은 44kg이다. 메인 컬러가 노란색으로 디자인된 캐릭터이다. 공식적으로는 17세지만 실제 나이는 29세이다. 돈벌이를 위해 아이돌이 되었다고 하며, 여섯 형제 중 장녀다. 학창시절에는 열심히 아르바이트만 했다. 얼핏 보면 4차원적이고 분위기 파악을 못하는 것 같지만, 작품을 끌어가는 견인 역할을 하고 있다. 《시로바코》 본편 제2화를 보면 ‘언니’와는 오래전부터 알고 있던 사이라는 설정이 공식적으로 추가되었다.
- * 아카네 (아카네/あかね일본어)
:4월 15일생. 혈액형은 A형이고, 신장은 158cm, 체중은 41kg이다. 메인 컬러가 빨간색으로 디자인된 캐릭터이다. 여고 출신이며, 예쁜 여자를 동경하고 아이돌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갑파 할아버지에게 길러져 친부모의 행방은 모른다.
- * 아야 (아야/あや일본어)
:12월 2일생. 혈액형은 O형이고, 신장은 158cm, 체중은 38kg이다. 메인 컬러가 파란색으로 디자인된 캐릭터이다. 능숙한 춤과 노래를 익히기 위해 아이돌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모님은 맞벌이로 나중에 이혼한다. 가장 친한 친구였던 곰인형에게도 배신을 당한 것 같다.
- * 언니 (언니/お姉さん일본어)
:당초 메인 캐릭터들과 친한 사이였으나 이후 대립적인 관계로 변한다는 설정이 《시로바코》 본편에 드러난다.
- '''에피소드'''
- * 제2화 - 쌩얼 이야말로 인생
- * 제3화 - 더 더 퍼부어!
2. 5. 2. 제3 소녀 공중 기동대
《시로바코》에 등장하는 가상의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약칭은 ‘산죠(三女일본어)’이다.[133] 전투기를 조종하는 소녀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원작은 누계 100만 부를 돌파한 인기 만화이다. 다른 회사에서도 애니메이션화를 원했지만, 최종적으로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서 제작을 맡게 되었다.- }} : 일본 출신 파일럿으로, 주요 등장인물이다. 냉철하고 계산적인 성격으로 "얼음 인형"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307 공중 기동대, 즉 "헬 앨리스"의 멤버로, 미쓰비시 F-1을 조종한다. 성우는 스즈키 쿄코.
- }} : 미국 출신 파일럿으로, 아리아의 동료이다. 헬 앨리스의 멤버이며,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II를 조종한다. 성우는 이토 시즈카.
- }} : 스웨덴 출신 파일럿이며, 아리아의 동료이다. 헬 앨리스의 멤버로, 사브 37 비겐을 조종한다. 성우는 마키세 아야노.
- }} : 이스라엘 출신 파일럿으로, 아리아의 동료이다. 헬 앨리스의 멤버이며, IAI 크피르를 조종한다. 성우는 아사카미 에리.
- }} : 국적 불명의 파일럿으로, 아리아의 동료이다. 헬 앨리스의 멤버이며, 미코얀 MiG-23을 조종한다. 성우는 토키와 히로코.
- }} : 조후 기지의 지휘관이며, 헬 앨리스의 리더이다.
- }} : 중령이자 헬 앨리스의 비행대장으로, 아리아와 캐서린을 구하기 위해 희생한다.
- }} : 헬 앨리스의 항공기를 감독하고 수리하는 책임을 맡은 후방 장군이다.
- }} : 조후 기지에 부품을 공급하는 클로우 코퍼레이션의 대표로 추정된다.
- }} : 캐서린의 여동생으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위해 특별히 제작되었다. 성우는 시즈카.
- }} : 미드웨이 필러 공격에 참여한 파일럿으로, 격추되어 사망한다.
3. 용어
《시로바코》는 애니메이션 제작 업체의 이야기를 다룬다는 설정의 특성상 애니메이션 업계 특유의 전문용어나 표현 등이 다수 사용된다. 특히 전문용어는 애니메이션 제작회사에 따라 그 정의나 해석이 다르기 때문에 《시로바코》의 공식 사이트에는 애니메이션 제작 순서에 관한 개요 및 용어집도 실려있으며,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사내에서 사용되는 해석이라고 명시되어있다.[128] 더불어 방송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용어가 추가되고 있다.[128] 본 작품에서는 업계 특유의 표현이나 작업 등이 있으며, 회사에 따라 해석이나 정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공식 사이트에는 작업 절차의 개요[46]나 용어집[47]이 준비되어 있으며,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내에서의 정의가 명시되어 있다. 이것들은 방영 시마다 필요에 따라 추기되도록 되어 있다.
'''각종 용어'''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가 납품용으로 만든 아직 패키지 디자인이 들어가 있지 않은 하얀 상자에 들어있는 비디오 테이프를 가리키는 영상 업계의 용어는 시로바코 (시로바코/白箱일본어)이다. 화려한 판매용 패키지와는 대조적으로 막 완성된 애니메이션을 상징하며, 《시로바코》 제목의 유래가 되었다. 납품용 외에 관계자에게 배포되는 것도 있으며, 《시로바코》에서는 애니메이션이 저장된 광 디스크가 각 직원의 책상에 놓여 있는 장면도 있다.
《시로바코》의 무대가 되는 가상의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로, 주식회사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가부시키가이샤 무사시노 아니메숀/株式会社 武蔵野アニメーション일본어)이 있다.[129] 도쿄도 무사시노시에 소재한다는 설정이며, 자본금은 천만엔이고 사업내용은 영상제작이다.[129] 코믹 마켓 86의 워너 부스에서 미야모리 아오이의 명함과 설정 자료를 본뜬 《시로바코》의 소개를 넣은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로고가 삽입된 컷 봉투가 배포되기도 했다. 명함 등에 기재된 전화번호인 03-6908-8821은 실제로 사용가능 한 번호이며, 전화를 걸면 등장인물의 목소리로 《시로바코》의 방송 소개를 들을 수 있다.[130] 또한 명함에 적힌 이메일 주소 miyamori@musani.jp으로 메일을 보내면 자동으로 작품 안내 답장을 받아볼 수 있다.[130]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무사니’라고 줄여 말하는 모습도 애니메이션에 자주 등장한다.
슈퍼 미디어 크리에이션즈 (스파메디아 구리에인숀즈/スーパーメディア・クリエインションズ일본어)는 CG 제작회사로 다테이시 고이치가 사장을 맡고 있다. 사원은 50명 정도이며, 창립한지 10년 미만인 벤처기업이다. 예전에는 동물 캐릭터 등 여러 장르의 CG 작업도 진행했지만, 최근 6, 7년에는 자동차 CG 제작에 특화 한 경영을 하고 있으며, 자동차 CG로는 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스튜디오 타이타닉 (Studio TAITANIC)은 히라오카의 소개로 ‘제3 비행소녀대’의 그로스 발주를 타진 받은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이다. 사내 풍경은 물건이 널려있고 지저분하다. 회사 건물은 일본 이바라키현의 오아라이정에 있는 빈티지 클럽 ‘무라이’를 참고하여 그리고 있어 특징적이다. 그러나 실재 참고로 한 건물은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가 아닌 비어 바이다.
스튜디오 풍뎅이 (스튜디오 가나분/スタジオ カナブン일본어)는 시모야나기의 후배인 나카가이치 노부아키가 설립한 CG 제작 회사이다. 사원은 5명 정도로 규모는 작다.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서 하청을 받아 ‘제3 비행소녀대’의 제작에 참여한다.
'''극중 애니메이션'''
《시로바코》에는 작중에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외에도, 배경에 그려진 포스터나 대사 등을 통해 실제 애니메이션 작품에 대한 오마주나 패러디가 다수 등장한다.
- '''신불혼효 일곱신'''(神仏混淆 七福陣일본어, 신부츠콘고 시치후쿠진): 카미노야마 고교 애니메이션 동호회 회원 다섯 명이 제작하여 학교 문화제 때 발표한 애니메이션이다.
- '''탱글탱글 천국'''(ぷるんぷるん天国일본어): 키노시타 감독이 이전에 제작한 저예산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다. 예산과 일정 등 어려운 조건 속에서도 감독의 신념으로 제작되었으나, 제9화에서 작화 붕괴가 발생하여 큰 논란이 되었다.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탱글구(ぷるんキュー일본어)'라는 신조어가 생겨났으며, 이는 '여러 의미(나쁜 의미)에서 전설적인 에피소드'를 뜻한다.
- '''전설의 거대 로봇 이데폰''' (伝説巨大ロボット イデポン일본어): 극중에서 35주년을 맞이하는 로봇 애니메이션이다. 아키하바라 WXP에서 전시가 열릴 정도로 인기가 높다. 무한한 에너지를 둘러싼 처절한 전쟁을 다룬다. 엔도와 시모야나기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모티베이션의 원점이 되고 있다.
- '''山はりねずみアンデスチャッキー일본어''': 아오이가 좋아하는 동물 애니메이션으로, 스기에는 메인으로 원화를 그렸던 오래된 작품이다. 아오이는 재방송으로 시청했다.
- '''이 몸의 하렘이 조금씩 붕괴하고 있는지도 모르지만 아마도 기분 탓일꺼야(가칭)'''(俺様のハーレムが少しずつ崩壊してるかもしれないけどたぶん気のせいかもしれない일본어): 사카키 시즈카가 성우 오디션에 참가한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 '''超飛空要艦マジダス일본어''': 본작 제5화에 등장하는 키타노 사부로가 과거에 스태프로 참여하여, "키타노 서커스"라는 표현 기법을 사용한 SF 로봇 애니메이션이다.
- '''엑소더스!''' (えくそだすっ!일본어):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서 7년 만에 직접 제작을 맡은 전 13화 TV 애니메이션이다. 아이돌 그룹이 경찰에게 쫓기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이 《시로바코》의 중심 내용이다. DVD와 블루레이 제3권에는 "엑소더스!" 제1화가 특전으로 수록되어 있다.
- '''캐릭터'''
- '''아루핀''' (あるぴん일본어): 7월 25일생, AB형, 152cm, 44kg. 노란색 메인 컬러, 공식 나이 17세(실제 29세). 돈벌이를 위해 아이돌이 된 여섯 형제의 장녀. 4차원적이지만 작품을 이끄는 견인차 역할.
- '''아카네''' (あかね일본어): 4월 15일생, A형, 158cm, 41kg. 빨간색 메인 컬러. 여고 출신으로 예쁜 여자를 동경하여 아이돌을 목표로 한다. 갑파 할아버지에게 길러져 친부모의 행방은 불명.
- '''아야''' (あや일본어): 12월 2일생, O형, 158cm, 38kg. 파란색 메인 컬러. 능숙한 춤과 노래를 위해 아이돌을 목표로 한다. 부모님은 맞벌이 후 이혼, 친한 친구였던 곰인형에게 배신당한 경험이 있다.
- '''에피소드'''
- 제2화 - 쌩얼 이야말로 인생[132]
- 제3화 - 더 더 퍼부어!
- '''제3 비행소녀대''' (第三飛行少女隊일본어): 제9화에 등장한 누계 100만 부를 돌파한 인기 만화로, 약칭은 '산죠(三女일본어)'이다. 전투기를 모는 소녀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을 맡게 된다.
- '''세일러복과 F3''' : 노가메 무사시 원작의 만화로, 한때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이외의 회사에 의해 애니메이션화되었다. 히라오카가 당시 소속되어 있던 회사에서 그로스 하청을 했던 작품이지만, 애니메이션판은 원작을 무시한 엉망진창인 스토리에 저품질의 마무리를 했기 때문에 호평을 받지 못했다.
- '''내 손으로 만든 로봇이 사춘기라서 큰일입니다''': 제7화에 등장하는, 스튜디오 카난이 현재 제작하고 있는 오리지널 로봇 애니메이션이다. 약칭은 '로보하루' 방영 기간은, 작중의 다음 해 1월부터, 2쿨의 예정이다.
- '''야구의 프린스님''': 야구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약칭은 '야키푸리'. 남성 성우 메인의 작품이기 때문에, '야구의 프린스님' 제16화에 사카키 시즈카와 사쿠마 히로미가 여성 엑스트라로 불려 출연했다.
- '''신세대 아방가르드(AVA)''': 칸노 미츠아키가 과거에 감독을 맡고, 키노시타 세이이치가 연출로 참여한 히트작으로 약칭은 '아바'. 1995년에 미야모리가 2살 무렵 TV 방영되었고, 그 후에 극장판이 공개된 것이 제12화에서의 미야모리와 칸노의 대화에서 밝혀졌다.
- '''아침 세움 우주군''': 오쿠라 마사히로가 과거에 배경 미술로 참여한 작품이다.
3. 1. 각종 용어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가 납품용으로 만든 아직 패키지 디자인이 들어가 있지 않은 하얀 상자에 들어있는 비디오 테이프를 가리키는 영상 업계의 용어는 시로바코 (시로바코/白箱일본어)이다. 화려한 판매용 패키지와는 대조적으로 막 완성된 애니메이션을 상징하며, 《시로바코》 제목의 유래가 되었다. 납품용 외에 관계자에게 배포되는 것도 있으며, 《시로바코》에서는 애니메이션이 저장된 광 디스크가 각 직원의 책상에 놓여 있는 장면도 있다.《시로바코》의 무대가 되는 가상의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로, 주식회사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가부시키가이샤 무사시노 아니메숀/株式会社 武蔵野アニメーション일본어)이 있다.[129] 도쿄도 무사시노시에 소재한다는 설정이며, 자본금은 천만엔이고 사업내용은 영상제작이다.[129] 코믹 마켓 86의 워너 부스에서 미야모리 아오이의 명함과 설정 자료를 본뜬 《시로바코》의 소개를 넣은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로고가 삽입된 컷 봉투가 배포되기도 했다. 명함 등에 기재된 전화번호인 03-6908-8821은 실제로 사용가능 한 번호이며, 전화를 걸면 등장인물의 목소리로 《시로바코》의 방송 소개를 들을 수 있다.[130] 또한 명함에 적힌 이메일 주소 miyamori@musani.jp으로 메일을 보내면 자동으로 작품 안내 답장을 받아볼 수 있다.[130]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무사니’라고 줄여 말하는 모습도 애니메이션에 자주 등장한다.
슈퍼 미디어 크리에이션즈 (스파메디아 구리에인숀즈/スーパーメディア・クリエインションズ일본어)는 CG 제작회사로 다테이시 고이치가 사장을 맡고 있다. 사원은 50명 정도이며, 창립한지 10년 미만인 벤처기업이다. 예전에는 동물 캐릭터 등 여러 장르의 CG 작업도 진행했지만, 최근 6, 7년에는 자동차 CG 제작에 특화 한 경영을 하고 있으며, 자동차 CG로는 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스튜디오 타이타닉 (Studio TAITANIC)은 히라오카의 소개로 ‘제3 비행소녀대’의 그로스 발주를 타진 받은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이다. 사내 풍경은 물건이 널려있고 지저분하다. 회사 건물은 일본 이바라키현의 오아라이정에 있는 빈티지 클럽 ‘무라이’를 참고하여 그리고 있어 특징적이다. 그러나 실재 참고로 한 건물은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가 아닌 비어 바(beer bar)이다.
스튜디오 풍뎅이 (스튜디오 가나분/スタジオ カナブン일본어)는 시모야나기의 후배인 나카가이치 노부아키가 설립한 CG 제작 회사이다. 사원은 5명 정도로 규모는 작다.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서 하청을 받아 ‘제3 비행소녀대’의 제작에 참여한다.
3. 2. 극중 애니메이션
《시로바코》에는 작중에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외에도, 배경에 그려진 포스터나 대사 등을 통해 실제 애니메이션 작품에 대한 오마주나 패러디가 다수 등장한다.- '''신불혼효 일곱신'''(神仏混淆 七福陣일본어, 신부츠콘고 시치후쿠진): 카미노야마 고교 애니메이션 동호회 회원 다섯 명이 제작하여 학교 문화제 때 발표한 애니메이션이다.
- '''탱글탱글 천국'''(ぷるんぷるん天国일본어): 키노시타 감독이 이전에 제작한 저예산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다. 예산과 일정 등 어려운 조건 속에서도 감독의 신념으로 제작되었으나, 제9화에서 작화 붕괴가 발생하여 큰 논란이 되었다.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탱글구(ぷるんキュー일본어)'라는 신조어가 생겨났으며, 이는 '여러 의미(나쁜 의미)에서 전설적인 에피소드'를 뜻한다.
- '''전설의 거대 로봇 이데폰''' (伝説巨大ロボット イデポン일본어): 극중에서 35주년을 맞이하는 로봇 애니메이션이다. 아키하바라 WXP에서 전시가 열릴 정도로 인기가 높다. 무한한 에너지를 둘러싼 처절한 전쟁을 다룬다. 엔도와 시모야나기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모티베이션의 원점이 되고 있다.
- '''山はりねずみアンデスチャッキー일본어''': 아오이가 좋아하는 동물 애니메이션으로, 스기에는 메인으로 원화를 그렸던 오래된 작품이다. 아오이는 재방송으로 시청했다.
- '''이 몸의 하렘이 조금씩 붕괴하고 있는지도 모르지만 아마도 기분 탓일꺼야(가칭)'''(俺様のハーレムが少しずつ崩壊してるかもしれないけどたぶん気のせいかもしれない일본어): 사카키 시즈카가 성우 오디션에 참가한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 '''超飛空要艦マジダス일본어''': 본작 제5화에 등장하는 키타노 사부로가 과거에 스태프로 참여하여, "키타노 서커스"라는 표현 기법을 사용한 SF 로봇 애니메이션이다.
- '''엑소더스!''' (えくそだすっ!일본어):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서 7년 만에 직접 제작을 맡은 전 13화 TV 애니메이션이다. 아이돌 그룹이 경찰에게 쫓기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이 《시로바코》의 중심 내용이다. DVD와 블루레이 제3권에는 "엑소더스!" 제1화가 특전으로 수록되어 있다.
- '''캐릭터'''
- '''아루핀''' (あるぴん일본어): 7월 25일생, AB형, 152cm, 44kg. 노란색 메인 컬러, 공식 나이 17세(실제 29세). 돈벌이를 위해 아이돌이 된 여섯 형제의 장녀. 4차원적이지만 작품을 이끄는 견인차 역할.
- '''아카네''' (あかね일본어): 4월 15일생, A형, 158cm, 41kg. 빨간색 메인 컬러. 여고 출신으로 예쁜 여자를 동경하여 아이돌을 목표로 한다. 갑파 할아버지에게 길러져 친부모의 행방은 불명.
- '''아야''' (あや일본어): 12월 2일생, O형, 158cm, 38kg. 파란색 메인 컬러. 능숙한 춤과 노래를 위해 아이돌을 목표로 한다. 부모님은 맞벌이 후 이혼, 친한 친구였던 곰인형에게 배신당한 경험이 있다.
- '''에피소드'''
- 제2화 - 쌩얼 이야말로 인생[132]
- 제3화 - 더 더 퍼부어!
- '''제3 비행소녀대''' (第三飛行少女隊일본어): 제9화에 등장한 누계 100만 부를 돌파한 인기 만화로, 약칭은 '산죠(三女일본어)'이다. 전투기를 모는 소녀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을 맡게 된다.
- '''세일러복과 F3''' : 노가메 무사시 원작의 만화로, 한때 무사시노 애니메이션 이외의 회사에 의해 애니메이션화되었다. 히라오카가 당시 소속되어 있던 회사에서 그로스 하청을 했던 작품이지만, 애니메이션판은 원작을 무시한 엉망진창인 스토리에 저품질의 마무리를 했기 때문에 호평을 받지 못했다.
- '''내 손으로 만든 로봇이 사춘기라서 큰일입니다''': 제7화에 등장하는, 스튜디오 카난이 현재 제작하고 있는 오리지널 로봇 애니메이션이다. 약칭은 '로보하루' 방영 기간은, 작중의 다음 해 1월부터, 2쿨의 예정이다.
- '''야구의 프린스님''': 야구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약칭은 '야키푸리'. 남성 성우 메인의 작품이기 때문에, '야구의 프린스님' 제16화에 사카키 시즈카와 사쿠마 히로미가 여성 엑스트라로 불려 출연했다.
- '''신세대 아방가르드(AVA)''': 칸노 미츠아키가 과거에 감독을 맡고, 키노시타 세이이치가 연출로 참여한 히트작으로 약칭은 '아바'. 1995년에 미야모리가 2살 무렵 TV 방영되었고, 그 후에 극장판이 공개된 것이 제12화에서의 미야모리와 칸노의 대화에서 밝혀졌다.
- '''아침 세움 우주군''': 오쿠라 마사히로가 과거에 배경 미술로 참여한 작품이다.
4. 방영 목록
오히가시 유리, 카와즈라 코스케
카와즈라 코스케, 오히가시 유리
카와구치 치사토, 스즈키 리사, 니시하타 아유미
타케다 요시히로[82], 카와즈라 코스케
스즈키 리사, 아키야마 유키, 오히가시 유리
사토 요코, 이마이즈미 켄이치, 쥬겐탁
미야카와 치에코, 쥬겐탁, 카와무라 나츠키
카와무라 나츠키, 타케다 마키코, 롱홍, 서정덕
스기누마 후미히코
오타 토모아키
타케다 마키코, 롱홍, 쥬겐탁, 니시하타 아유미
허총
허총
타케다 마키코, 쥬겐탁, 사토 요코
니시하타 아유미, 세키구치 카나미
코자와 카즈노리(이펙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