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불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빌라는 고대부터 르네상스 시대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하며 예언을 했던 여성들을 지칭한다. 시빌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로, 신성한 조언을 뜻하며, 델포이, 쿠마이, 에리트라이 등 여러 지역의 시빌들이 존재했다. 이들은 각기 다른 특징과 전승을 가지며, 로마인들은 쿠마이 시빌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시빌의 예언은 종종 정치적, 종교적 선전에 이용되었으며, 시빌린 문서는 로마에서 존중받는 신탁집으로, 정치적 위기나 천재지변 시에 활용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예술과 문학에서 여성 예언자로서 시빌의 모습이 묘사되었으며, 미켈란젤로의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빌린 신탁은 시빌의 명성을 이용하여 위작된 예언서로, 유대교와 기독교 신자들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기독교 미술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불라 - 쿠마에 무녀
    쿠마에 무녀는 로마 신화에서 예언 능력을 가진 여성으로, 시빌린 문서 판매 일화로 유명하며, 로마 문학 작품에서 지하 세계 안내자이자 미래 예언자로 묘사되고, 키메리아 무녀와 혼동되거나 그리스도 탄생 예언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 시불라 - 델포이 신탁
    델포이 신탁은 고대 그리스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에서 퓌티아 여사제를 통해 신의 뜻을 전달하던 사제 또는 신탁 자체를 의미하며,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시불라

2. 역사

"시빌(sibyl)"(ˈsɪbəl영어)이라는 영어 단어는 중세 영어를 거쳐, 고대 프랑스어 sibilefro라틴어 sibyllala에서 유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고대 그리스어 Σίβυλλα|시뷜라grc에서 왔다.[5]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는 이 단어가 아이올리스 그리스어의 ''sioboulla''에서 왔다고 보았는데, 이는 아티카 방언의 ''theobule''("신성한 조언")에 해당한다.[6] 그러나 현대 참고서에서는 이 어원을 받아들이지 않고, 기원이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본다.[7] 19세기 언어학에서는 이탈리아어파[8] 또는 셈어파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9]

시빌을 처음 언급한 그리스 작가는 헤라클레이토스(기원전 500년경)로 알려져 있다.[10] 그는 시빌을 "광란에 찬 입으로... 신의 도움으로 천 년에 이르는 목소리를 가진" 존재로 묘사했다. 발터 부르케르트는 "신의 말씀을 전하는 광란에 찬 여성"이 기원전 2천 년대의 시리아의 마리와 기원전 1천 년대의 아시리아에서 이미 기록되었다고 언급한다.[11]

로마 작가들이 문학적으로 각색하기 전까지, 시빌들은 개인적인 이름이 아닌, 신전의 위치, 즉 ''temenos''를 나타내는 이름으로 구별되었다.

파우사니아스의 ''그리스 안내기''에 따르면, 델포이의 첫 번째 시빌("이전" 시빌)은 매우 오래된 존재였으며, 리비아인들이 "시빌"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12] 파우사니아스가 언급한 두 번째 시빌인 "헤로필"은 사모스 섬 출신이지만, 클라로스, 델로스, 델포이 등 다른 신전을 방문하여 노래했으며, 델포이에도 자체적인 시빌이 있었다.[12]

제임스 프레이저는 파우사니아스에 대한 번역 및 해설에서[13] 그리스의 시빌 중 역사적인 인물은 에리트라의 헤로필레와 사모스의 피토 두 명뿐이라고 언급한다. 그는 그리스인들이 처음에는 단 하나의 시빌만 알고 있었던 것 같다고 하며, 헤라클레이데스 폰티쿠스[14]를 여러 시빌을 구별한 최초의 고대 작가로 예시로 든다. 헤라클레이데스는 프리기아의, 에리트라의, 헬레스폰토스의 시빌, 이렇게 최소 세 명의 시빌을 언급한다.[15] 학자 데이비드 S. 포터는 "기원전 5세기 말에는 '시빌라'가 영감을 받은 단일 여예언자에게 주어진 이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라고 적고 있다.[16]

플라톤도 헤라클레이토스처럼 단 하나의 시빌에 대해서만 이야기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수는 아홉 명으로 늘어났고, 로마인들이 티부르티나 시빌을 추가하여 총 열 명이 되었다. 락탄티우스의 ''신의 섭리'' (제1권, 제6장)에 따르면, 바로(기원전 1세기)는 페르시아, 리비아, 델포이, 킴메리아, 에리트레아, 사모스, 쿠마, 헬레스폰토스(트로이 영토), 프리기아(앙키라), 그리고 티부르티나(알부네아라고 불림)의 열 명을 열거한다.

"시빌라"는 본래 고유 명사였다고 하며[40], 기원전 7세기부터 기원전 6세기경의 이오니아에 기원이 있었다고도 한다. 하지만, 현재 확인된 가장 오래된 언급은 기원전 5세기의 헤라클레이토스의 것으로 여겨진다. 에우리피데스, 아리스토파네스, 플루타르코스, 플라톤 등, 시빌라를 언급한 초기의 사상가들은 항상 단수로 말했지만, 후에는 다양한 장소에 산다고 여겨지게 되었다.[32][33] 타키투스는 복수일 가능성을 시사했고, 파우사니아스는 4명으로 보았다.[33]

락탄티우스는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기원전 1세기)로부터의 인용으로서, 페르시아의 시빌라, 리비아의 시빌라, 델포이의 시빌라, 키메리아의 시빌라, 에리트라이의 시빌라, 사모스의 시빌라, 쿠마에의 시빌라, 헬레스폰토스의 시빌라, 프리기아의 시빌라, 티부르의 시빌라와 같이 10명의 시빌라를 언급했다.[34] 로마에서 가장 존경받았던 것은 쿠마에와 에리트라이의 시빌라였다.[32]

3. 시빌의 종류

미켈란젤로의 ''델포이 시빌라'', 시스티나 성당 천장


시빌(sibyl|시빌영어)은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여성 예언자들을 말한다. 이들은 신의 계시를 받아 미래를 예언하는 능력을 지녔다고 여겨졌다. 시빌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Σίβυλλα()에서 유래되었으며, 그 어원은 확실하지 않다.[7]

헤라클레이토스는 최초로 시빌을 언급한 그리스 작가로 알려져 있다.[10] 그는 시빌이 "광란에 찬 입으로 비웃을 수 없는 것들을 말하며, 신의 도움으로 그녀의 목소리가 천 년에 이른다"고 묘사했다.[10]

초기에는 시빌이 한 명으로 여겨졌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시빌들이 등장했다. 플라톤도 단 한 명의 시빌에 대해 언급했지만,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는 10명의 시빌을 열거했다.[34] 바로가 언급한 시빌은 다음과 같다.

이름지역특징
페르시아 시빌페르시아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업적을 예언했다고 알려져 있다.[21]
리비아 시빌리비아시와 오아시스에 있는 아몬 신전에서 신탁을 내렸다.[36]
델포이 시빌델포이아폴론 신전에서 예언을 했다.
키메리아 시빌키메리아포에니 전쟁에 관한 기록에 등장한다.
에리트라이 시빌에리트라이트로이 전쟁을 예언했다고 알려져 있다.
사모스 시빌사모스사모스 섬에서 신탁을 내렸다.
쿠마이 시빌쿠마이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등장하며, 로마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시빌로 여겨졌다.[17]
헬레스폰토스 시빌헬레스폰토스 (트로이)시빌린 문서를 작성했다고 알려져 있다.
프리기아 시빌프리기아카산드라와 혼동되기도 한다.
티부르티나 시빌티부르 (티볼리)아우구스투스 황제에게 신으로 숭배받아야 하는지를 물었다는 전설이 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시빌들이 예수의 강림을 예언한 존재로 여겨져 예술 작품의 주제로 자주 등장했다.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성당 천장에 델포이, 리비아, 페르시아, 쿠마이, 에리트라이 시빌 등 5명의 시빌을 그렸다.

3. 1. 키메리아 시빌

나비우스와 피소는 각각 포에니 전쟁에 관한 저서와 연대기에서 키메리아의 시빌에 대해 언급한다.[36]

시빌의 아들 에반더는 로마의 신전을 세웠는데, 이곳은 루페르칼로 불린다.[36]

시에나 대성당에 그려진 키메리아의 시빌라에 새겨진 비문에서는, 『시빌라의 예언』에서 보이는 예수의 부활에 대한 예언이 그녀에게 귀속되어 있다.[39]

3. 2. 쿠마이 시빌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6권에서 아이네이아스가 지하 세계로 내려가기 전에 조언을 구했던 나폴리 근처의 그리스 도시 근처에 살았던 쿠마이 시빌은 로마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시빌이었다.[17] 부르케르트는 5세기에 오스키족이 쿠마이를 정복하면서 전통이 파괴되었다고 언급했다.[11]

쿠마이 시빌은 로마의 마지막 왕인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에게 최초의 시빌린 문서를 판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 베르길리우스, 락탄티우스 등에 따르면, 쿠마이 시빌은 로마 왕 타르퀴니우스(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또는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에게 9권의 신탁을 900필리포스에 팔려고 제안했다.[41] 왕이 너무 비싸다고 거절하자, 시빌은 3권을 태우고 다시 같은 가격을 제시했다. 왕이 다시 거절하자, 시빌은 또 3권을 태우고 같은 가격을 요구했다. 결국 왕은 흥미를 느껴(혹은 당황하여) 남은 3권을 원래 가격에 샀다.[41]

베르길리우스는 《목가》에서 쿠마이 시빌의 예언을 통해 신성한 아이와 황금 시대의 도래를 노래했다.[40] 이 예언은 고대부터 중세 기독교 사회에서 예수의 탄생을 예언한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40][17][18][19]

3. 3. 델포이 시빌



델포이 시빌은 파르나소스 산 중턱에 있는 델포이아폴론 성역에서 예언을 했던 전설적인 인물이다. 델포이는 아폴론의 무녀인 피티아가 내리는 신탁으로 유명하여, 종종 델포이 시빌과 피티아를 혼동하기도 하지만,[37] 이 둘은 별개의 존재이다.[38]

가장 초기에 기록된 델포이 시빌은 기원전 8세기경부터 신탁에서 활동했으며, 피티아로 알려진 아폴론의 여사제보다 수백 년 앞선 인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0] 그리스 종교가 고전 그리스 신들의 판테온으로 변화하면서, 아폴론은 피티아가 대표하는 신이 되었고, 그 후 그들은 이미 고대였던 신탁을 주관했다.

파우사니아스 (지리학자)는 델포이의 시빌라가 인간 남성과 님프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했다. 다른 전승에서는 그녀를 아폴론의 여동생 또는 딸이라고도 한다. 또 다른 전승에서는 그녀가 가이아로부터 직접 예언의 재능을 받았으며, 가이아가 딸 테미스에게, 테미스는 포이베에게 그 재능을 넘겨주었다고 한다.

플루타르코스는 시빌라 중에서 그녀를 최초의 존재로 꼽았다.[39]

3. 4. 에리트라이 시빌

에리트라이는 키오스 맞은편 이오니아의 도시였다. 에리트라이의 아폴로도로스는 에리트라이 시빌이 자신의 동향인이며 트로이 전쟁을 예언했고, 일리움을 공격하려던 그리스인들에게 트로이가 멸망하고 호메로스가 거짓을 쓸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주장한다.[15]

"두운시(acrostic)"라는 단어는 에리트라이 시빌의 예언에 처음 적용되었는데, 잎에 쓰여진 예언들은 잎의 첫 글자들이 항상 단어를 이루도록 배열되었다.[15]

3. 5. 헬레스폰토스 시빌

헬레스폰토스 시빌은 아폴론신탁을 다르다니아에서 주관했다.

헬레스폰토스 시빌은 솔론과 키루스 대왕 시대에 트로아스 지역의 작은 마을 게르기타 근처 마르페소스에서 태어났다. 폰토스의 헤라클레이데스에 따르면 마르페소스는 예전에 트로아스의 경계 안에 있었다고 한다.[36] "시빌라"는 원래 그녀를 가리키는 고유 명사였다고도 한다.[40] 시빌린 문서는 헬레스폰토스 시빌의 작품으로 여겨졌으며 게르기스에 있는 아폴론 신전에 보관되었다가, 이후 에리트라이로 옮겨져 유명해졌다. 전설에 따르면, 그녀가 『시빌라의 서』를 작성했다고 한다.

3. 6. 리비아 시빌

리비아 시빌은 고대 제우스-아몬 (아몬의 뿔을 한 제우스) 신탁을 주재하는 예언 여사제로, 이 신탁은 이집트 서부 사막의 시와 오아시스에 있었다. 알렉산더는 이집트 정복 이후 이곳에서 신탁을 구했다.[36] 파우사니아스는 그녀를 가장 오래된 시빌로 간주했다.[39] 리비아 시빌의 어머니는 포세이돈의 딸인 라미아였으며, 에우리피데스는 그의 비극 ''라미아''의 서문에서 리비아 시빌을 언급한다.[36]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에 그려진 리비아 시빌(미켈란젤로)

3. 7. 페르시아 시빌

페르시아 시빌은 아폴론 신전의 신탁을 주관하는 예언적인 여사제였다고 전해진다. 페르시아 시빌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업적을 예언했다고 전해지며, "바빌론 시빌"이라고 불릴 정도로 그 위치가 모호했다.[21] ''삼베테''라고도 불린 그녀는 노아의 가족 출신이라고 한다.[21]

파우사니아스는 2세기경 델포스에 들러 네 명의 시빌을 언급하면서 "히브리 시빌"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스라엘에서 자란 사베라는 이름을 가진, 아버지 베로수스와 어머니 에리만테를 둔 히브리 시빌이다. 어떤 이들은 그녀를 바빌론인이라고 부르며, 다른 이들은 그녀를 이집트 시빌이라고 부른다.[22][23][24]


중세 비잔틴 백과사전인 ''수다''는 히브리 시빌이 시빌 예언서의 저자라고 기록하고 있다.

페르시아의 시빌라는 알렉산드로스 3세를 섬겼던 니카노르(Nicanor)의 저서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의 업적』(Res gestas Alexandri Macedonis)에서 언급되었다.[36] 그녀는 히브리, 칼데아, 바빌로니아, 이집트 등의 시빌라와 동일시되기도 한다.[39]

3. 8. 프리기아 시빌

프리기아 시빌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카산드라와 혼동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25] 프리기아 시빌은 헬레스폰토스 시빌과 중복되는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

3. 9. 사모스 시빌

사모스의 시빌 신탁 장소는 사모스에 있었다.[36] 에라토스테네스는 사모스 섬의 고대 연대기를 참고하여 사모스의 시빌을 언급했다고 전해진다.[36]

3. 10. 티부르티나 시빌

티부르티나 시빌은 고대 사비니-라틴 도시인 티부르(현재의 티볼리)에 거주했던 로마의 시빌이다.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티부르티나 시빌에게 신으로 숭배받아야 하는지를 물었다는 전설은 기독교 예술가들이 즐겨 사용한 모티프가 되었다.[26]

락탄티우스는 티부르티나 시빌을 '알부네아'라고 불렀으며, 그녀가 아니오 강둑 근처 티부르에서 여신으로 숭배받았다고 기록했다. 락탄티우스에 따르면, 손에 책을 든 그녀의 이미지가 강에서 발견되었고, 그녀의 신탁 응답은 원로원에 의해 국회 의사당으로 옮겨졌다.[26]

4세기경에 쓰여진 종말론적 예언서는 티부르티나 시빌의 이름으로 전해진다. 이 예언서는 콘스탄스라는 마지막 황제가 나타나 기독교의 적을 물리치고, 부와 평화를 가져오며, 이교를 종식시키고 유대인을 개종시킬 것이라고 예언한다. 또한 곡과 마곡을 정복한 황제가 왕관을 하나님께 양도하여 적그리스도가 나타날 길을 열 것이라고 예언한다.[26]

이폴리토 데스테는 1550년부터 티부르(현 티볼리)에 빌라 데스테를 재건하면서, 티부르티나 시빌이 그리스도의 탄생을 고전 세계에 예언한 것을 기념하는 정교한 프레스코 벽화를 만들도록 했다.

4.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과 문학 속 시빌

sibyl영어이라는 영어 단어는 중세 영어를 거쳐, 고대 프랑스어 sibilefro라틴어 sibyllala를 지나 고대 그리스어 에서 유래했다.[5] 중세 라틴어에서 ''sibylla''는 단순히 "여예언자"를 의미하는 용어가 되었다.[27]

후기 고딕 및 르네상스 미술에서 시빌은 남성 예언자들과 함께 묘사되었다.[27] 묘사된 시빌의 수는 다양했는데, 때로는 열두 명(예: 아펜니노 시빌), 때로는 열 명이었다.[27] 프랑수아 라블레는 그의 저서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에서 "어떻게 우리가 그녀가 열한 번째 시빌이나 두 번째 카산드라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겠는가?"라고 언급했다.[28]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 프레스코에 다섯 명의 시빌, 즉 델포이 시빌라, 리비아 시빌라, 페르시아 시빌라, 쿠마에 시빌라, 에리트레아 시빌라를 묘사했다.

교황 율리우스 2세의 바티칸 도서관과 시에나 대성당의 바닥에도 시빌의 이미지가 있다. 산타 마리아 인 아라코엘리 대성당은 캄피돌리오를 장식하고 있는데, 특히 시빌과 관련이 깊다. 중세 전통에 따르면 그 이름의 기원은 다른 곳에서는 증명되지 않은 제단인 ''아라 프리모제니티 데이''(Ara Primogeniti Dei)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제단은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시빌 서적에 의해 그의 출현을 경고받고 "신의 맏아들"에게 세워졌다고 한다. 교회에는 아우구스투스와 티부르틴 시빌라의 모습이 높은 제단 위의 아치 양쪽에 그려져 있다.

르네상스 시대의 시빌들은 예언자처럼 그리스도의 강림을 예측하며 기념물에 등장했다. 자코모 델라 포르타는 로레토의 산타 카사에서 조각했고, 라파엘로는 산타 마리아 델라 파체에서, 핀투리키오는 바티칸의 보르지아 아파트에서 그림을 그렸으며, 보티첼리의 동시대인인 바치오 발디니는 판화로, 마테오 디 조반니는 시에나 대성당의 바닥에 새겼다.

셰익스피어는 ''오셀로'',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 ''베니스의 상인'', 특히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를 포함한 그의 희곡에서 시빌을 언급한다.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에서 셰익스피어는 카산드라를 시빌에 비유하는 일반적인 르네상스 시대의 비교를 사용했다.[29]

오를란도 디 라수스가 작곡한 열두 개의 모테트 모음집 Prophetiae Sibyllarumla(1600년 출판)은 고대 시빌의 모습에서 영감을 얻었다. 4성부 아 카펠라로 구성된 이 작품은 서문과 열두 개의 예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예언은 개별 시빌에 해당한다. 텍스트는 예수 그리스도의 강림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작곡가는 극단적인 방식으로 반음계를 사용하여 예언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반영했는데, 이는 당시 유행했던 작곡 기법이었다.

5. 시빌린 문서

시빌신탁의 말은 해석의 여지가 많았으며, 시민 및 종교적 선전을 위해 끊임없이 사용되었다. (이는 노스트라다무스와 비교되기도 한다.) 이러한 말과 시빌은 일반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는 재앙을 예언하는 현존하는 6세기의 ''시빌린 신탁'' 모음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30]

진정한 시빌린 구절 중 일부는 2세기의 트랄레스의 플레곤의 ''경이의 책''에 보존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시빌린 서적 모음은 솔론과 키루스 시대 즈음에 트로아스 이데 산의 게르기스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마르페소스에서 태어나고 고대 부지에 지어진 아폴론 신전에 무덤이 표시된 시빌은 기원전 400~350년경 게르기스의 동전에 나타난다. (이는 스테파누스 비잔티우스의 5세기 지리 사전 '게르기스' 항목에 인용된 플레곤의 기록을 참고한 것이다.) 그녀의 고향이라고 주장하는 다른 장소들이 있다. 게르기스의 시빌린 서적 모음은 헬레스폰티네 시빌의 저작으로 여겨졌으며 게르기스의 아폴론 신전에 보존되었다. 이후 에리트라이로 옮겨져 유명해졌으며, 쿠마에를 거쳐 로마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게르기스는 고대 테우크로이의 정착지였고, 매우 오래된 도시인 다르다니아의 도시였다.[30] 크세노폰에 따르면 게르기스는 매우 강력한 곳이었다. 아폴로 게르기티우스를 모시는 신전이 있었고, 때로는 ''에리트라''라고 불리는 시빌이 태어난 곳이라고도 한다. 이데 산의 작은 지역인 에리트라이 출신이거나,[31] 다른 때에는 ''게르기티아'' 즉 '게르기스 출신'이라고 불린다.

『시빌의 서』는 고대 로마에서 존중받던 신탁집이다. 전설에 따르면 헬레스폰토스에서 작성되어 에리트라이, 쿠마에를 거쳐 로마로 옮겨졌다고 한다.

이 신탁서는 카피톨리노 언덕에 있던 유피테르 신전에 보관되었으며, 제한된 성직자만이 참조하여 천재지변이나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신의 분노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를 모색했다고 한다.

초기의 『시빌의 서』는 기원전 83년에 소실되었지만, 그 후 시빌의 예언으로 여겨지는 것들이 각지에서 수집되어 새로운 『시빌의 서』가 편찬되었다. 이 책은 기원전 12년 이후 팔라티노 언덕의 아폴론 신전에 보관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5세기 초에 스틸리코에 의해 불태워졌다.

6. 시빌린 신탁

Σίβυλλαιgrc는 본래 고유 명사였다고 하며[40], 기원전 7세기부터 전 6세기경의 이오니아에 기원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확인된 가장 오래된 언급은 기원전 5세기헤라클레이토스의 것으로 여겨진다. 에우리피데스, 아리스토파네스, 플루타르코스, 플라톤 등, 시빌라를 언급한 초기의 사상가들은 항상 단수로 말했지만, 후에는 다양한 장소에 산다고 여겨지게 되었다.[32][33] 타키투스는 복수일 가능성을 시사했고, 파우사니아스는 4명으로 보았다.[33]

락탄티우스는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 (기원전 1세기)로부터의 인용으로서, 10명의 시빌라를 언급했다.[34]



로마에서 가장 존경받았던 것은 쿠마에와 에리트라이의 시빌라였다.[32]

중세 후기에는 필리포 발비에리의 아우구스티누스히에로니무스를 논한 저서 (1481년)처럼, 에우로파의 시빌라와 아그리파의 시빌라를 추가하여 12명으로 하는 문헌도 나타났다. 하지만, 이후 항상 12명으로 수용되었던 것은 아니며, 프랑수아 라블레의 『제3의 서』에서는 10명의 시빌라를 전제로, 여성 예언자를 11번째 시빌라 혹은 제2의 카산드라라고 표현한 부분이 있다.[35]

르네상스 시대 이후, 후술할 『시빌라의 신탁』과 그것을 인용한 교부의 저서의 영향으로, 미술상의 모티프로서도 선호되었다. 특히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는, 시스티나 예배당의 프레스코화에 단순한 여성상을 초월한 시빌라를 역동적으로 그려내어, 그 후의 시빌라의 이미지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 그가 시스티나 예배당 천장화에 그린 것은, 델포이의 시빌라, 리비아의 시빌라, 페르시아의 시빌라, 쿠마에의 시빌라, 에리트라이의 시빌라 5명이다.

시빌라상은 바티칸 궁전에 있는 율리우스 2세의 서재와 시에나 대성당의 바닥에도 그려져 있다. 후자를 그린 것은 마테오 디 조반니 (Matteo di Giovanni)이다.

르네상스 시대에 다양한 기념 작품에 그려진 시빌라는, 성경에 등장하는 예언자들처럼, 그리스도의 강림을 예언하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그러한 시빌라의 모습은 상기 외에도, 로렌토의 산타 카사에서는 자코모 델라 포르타가, 산타 마리아 델라 파체 교회에서는 라파엘로 산치오가, 바티칸 궁전의 보르자관에서는 핀투리키오 (Pinturicchio)가, 각각 그려내고 있다.

19세기에는, 프랑스의 역사학자 쥘 미슐레가, 유럽의 마녀의 기원을, 시빌라 신앙에 두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ibyls https://www.encyclop[...] 2021-01-06
[2] 웹사이트 Sibyl https://www.britanni[...] 2021-01-06
[3] 서적 Burkert 1985 p. 117
[4] 문서 Pausanias 10.12.1
[5] 문서 "{{OED|Sibyl}} {{OEtymD|sibyl}}"
[6] 서적 Ideas on Language in Early Latin Christianity 2017
[7] 문서 Cf. Frisk, Griechische eymologisches Wörterbuch, vol. 2, p. 700; Chantraine,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 la langue grecque, 2009, p. 966.
[8] 간행물 "Rheinisches Museum" 2021-12
[9] 웹사이트 Sibyl http://www.jewishenc[...]
[10] 문서 Heraclitus, fragment 92 1981
[11] 서적 Burkert 1985
[12] 웹사이트 Pausanias, 10.12.1 https://www.perseus.[...]
[13] 문서 Frazer quotes Ernst Maass, De Sibyllarum Indicibus (Berlin, 1879).
[14] 문서 Heraclides Ponticus, On Oracles.
[15] 문서 Frazer, James,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v. 5, p. 288, commentary and notes on Book X, Ch. 12, line 1, "Herophile surnamed Sibyl"
[16] 서적 Prophecy and history in the crisis of the Roman Empire: a historical commentary on the Thirteenth Sibylline Oracle
[17] 서적 The Christian Tradition: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octrin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18] 서적 Writing on the Renaissance Stage: Written Words, Printed Pages, Metaphoric Book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1996
[19] 서적 The Annotated Waste Land with Eliot's Contemporary Prose: Second Edition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06
[20] 서적 Classical Athens and the Delphic Oracle. Divination and Democrac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1] 웹사이트 Fragments of the Sibylline Oracles http://www.sacred-te[...] 2008-06-20
[22] 문서 Pausanias, x.12
[23] 서적 Sibyls and sibylline prophecy in classical antiquity, Herbert William Park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6-26
[24] 서적 Seers, sibyls, and sages in Hellenistic-Roman Judaism, John Joseph Collins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26
[25] 서적 Landscape with Ruins: Selected Poetry of Margherita Guidacci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92
[26] 웹사이트 The Latin Tiburtine Sibyl https://carleton.ca/[...] 2008-06-20
[27] 웹사이트 Sibyls http://www.lancs.ac.[...] Lancaster University
[28] 웹사이트 Brewer's Dictionary of Phrase and Fable http://www.bootlegbo[...]
[29] 서적 Prophecy and Sibylline Imagery in the Renaissance: Shakespeare's Sibyl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
[30] 문서 Herodotus iv: 122
[31] 문서 Dionysius of Halicarnassus i. 55
[32] 문서 Catholic Encyclopedia (1913)
[33] 문서 "Apocalyptic Literature", Encyclopaedia Biblica 1899
[34] 문서 伊藤博明 2011
[35] 서적 ラブレー第三之書 パンタグリュエル物語 岩波書店 1974
[36] 서적
[37] 문서
[38] 서적 Classical Athens and the Delphic Oracle. Divination and Democrac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