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오텐 노부타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오텐 노부타카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반유대주의 활동을 펼쳤다. 군마현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육군대학교를 졸업한 후 참모 본부 등에서 근무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에서 유대인 음모론에 노출되어 반유대주의자가 되었으며, 이후 시베리아 출병과 항공 분야에서 활동했다. 퇴역 후에는 제국 항공 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고, '시온 의정서'를 일본어로 번역 출판하는 등 반유대주의 선전에 앞장섰다. 1942년에는 귀족원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전범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석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온 장로 의정서 - 국제유대인
헨리 포드가 《디어본 독립 신문》에 연재한 반유대주의 기사를 모아 출판한 《국제 유대인》은 유대인의 영향력을 과장하고 음모론적으로 묘사하여 나치 독일의 반유대주의에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을 받으며, 포드는 명예훼손 소송으로 공개 사과와 정정을 발표했다. - 시온 장로 의정서 - 빌헬름 구스틀로프
빌헬름 구스틀로프는 나치당 스위스 지부 지도자이자 반유대주의 선동가로, 스위스 내 나치당 세력을 확장하다 유대인 학생에게 암살당했으며, 그의 죽음은 나치 정권의 반유대주의 선전에 이용되었다. - 일본의 음모론자 - 도조 유코
도조 유코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총리였던 도조 히데키의 손녀로, 할아버지 옹호, 극동 국제 군사 재판 부정, 야스쿠니 신사 합사 옹호, 위안부 강제 연행 및 난징 대학살에 대한 부정적 입장 표명 등 일본의 보수 논객으로 활동했다. - 일본의 음모론자 - 벤자민 풀포드
벤자민 풀포드는 경제지 기자 출신으로 일본으로 귀화한 인물이자 여러 음모론을 주장하는 인물로, 이명박 대통령 암살 지시 주장, 동일본 대지진 인공 발생 주장 등을 펼쳤으며 방송 출연과 저서 출간 활동을 했다. - 선전가 - 요제프 괴벨스
요제프 괴벨스는 나치 독일의 선전장관이자 정치가로서 뛰어난 선전 능력으로 나치당의 권력 장악에 기여하고 국민계몽선전부 장관으로서 독일의 문화와 언론을 통제하며 전쟁 선동에 앞장섰으나, 극단적인 반유대주의와 홀로코스트에 대한 책임으로 평가받고 베를린 함락 직전 가족과 함께 자살했다. - 선전가 - 도쿄 로즈
도쿄 로즈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라디오 도쿄의 영어 선전 방송 "제로 아워"의 여성 아나운서들을 미군 병사들이 부르던 명칭으로, 사기 저하를 목적으로 했으나 실제 효과는 미미했으며 대중문화 소재로 활용되었고, 아이바 토구리 다키노가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시오텐 노부타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四王天 延孝 (시오덴 노부타카) |
출생일 | 1878년 9월 2일 |
사망일 | 1962년 8월 8일 |
출생지 | 마에바시시, 군마현 |
사망 장소 | 불명 |
군사 경력 | |
소속 국가 | 일본 제국 |
군종 |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899년 – 1929년 |
최종 계급 | 육군 중장 |
참전 전투 | 러일 전쟁 시베리아 출병 |
정치 경력 | |
기타 활동 | 중의원 의원 |
가족 관계 | |
가족 | 불명 |
저서 | |
주요 저서 | 세계 대전과 유대 민족 (世界大戰とユダヤ民族, 1942년) 시오덴 노부타카 청화 (四王天延孝清話, 1942년) 시오덴 노부타카 회고록 (四王天延孝回顧録, 1964년) |
2. 군 경력
시오덴 노부타카는 1899년 11월 일본 육군 사관학교 11기를 졸업하고 근위 공병대대에서 소위로 임관했다.[1] 군사 기술자로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후 일본 제국 육군 참모 본부에서 여러 행정 및 참모 직책을 맡았다. 1909년 육군대학교 21기를 졸업했다.[1]
이후 관동주에서 군사 기술자로 근무했으며 육군포공학교 강사로 활동했다.[1]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군사 참관인 자격으로 프랑스에 파견되어 일본 군의 공식 옵서버 역할을 했다.[1]
1920년 1월, 시베리아 출병 기간 동안 블라디보스토크 수비대에 배속되었으며, 이후 하얼빈 특무 기관의 사령관을 맡았다. 하얼빈 특무 기관은 소련에 대한 정보 활동, 방첩, 정치 및 군사 정보 분석을 담당했다.[1]
군사 항공의 강력한 지지자가 된 시오덴은 1922년 일본으로 돌아와 육군 항공학교 교관을 맡았고, 이후 시모즈 분교장, 육군성 군무국 항공과장 등 항공 분야에서 활동했다. 1924년, 소장으로 진급했다.[1]
국제 연맹에 일본 육군 대표로 파견되었고, 호요 요새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제16사단 및 제3사단 참모로 근무했다. 1929년 8월 중장으로 진급하고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1]
다음은 시오덴 노부타카의 군 경력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내용 |
---|---|
1899년 11월 | 일본 육군 사관학교 11기 졸업, 근위 공병대대 소위 임관 |
1909년 12월 | 육군대학교 21기 졸업 |
1920년 1월 | 시베리아 출병, 블라디보스토크 수비대, 하얼빈 특무 기관장 |
1922년 4월 | 육군 항공학교 교관, 시모즈 분교장, 육군성 군무국 항공과장 |
1924년 8월 | 육군 소장 진급 |
1929년 8월 | 육군 중장 진급, 예비역 편입 |
시오텐 노부타카는 퇴역 후, 제국 항공 협회 회장과 국본사 임원을 역임하며 군용 항공 발전을 장려했다.[2] 1936년에는 시온 의정서를 일본어로 번역 출판했다.[2] 외무성 태스크 포스 이사로 임명되어 국제 정치 및 경제 문제에서 유대인의 역할을 연구했다.
시오텐 노부타카는 프랑스 파리에 머무는 동안 국제적인 유대인 음모론에 영향을 받아 반유대주의자가 되었다.[1] 그는 시온 의정서를 일본어로 번역하고,[2] 유대인의 세계 지배 음모론을 주장하는 《유대인: 그들의 사상과 운동》(''유다야 시소 오요비 운도'')을 출판하는 등 일본 내 반유대주의 선전의 주요 인물이었다.[1] 1938년, 그는 나치 독일의 에르푸르트에서 열린 반유대주의 회의에 참석하고, 반유대주의 신문인 ''데어 슈튀르머''의 편집장인 율리우스 슈트라이허를 뉘른베르크에서 만나는 등 국제적인 반유대주의 운동에도 참여했다. 1941년 7월에 출판한 《유대인: 그들의 사상과 운동》에는 각국의 유대인들이 세계 지배를 위한 비밀스러운 목적으로 정부와 경제에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시오텐의 주장이 담겨 있었다.
시오텐 노부타카는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그의 경력은 일본 제국주의 팽창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특히 그는 군사 항공 분야의 발전을 강력하게 지지했으며, 1922년에는 육군 항공학교 지휘를 맡기도 했다.[1] 그는 육군성 군무국 항공과장 등의 직책을 역임하며 일본 군용 항공 발전에 기여했다.
[1]
서적
Jews in the Japanese Mind
3. 정치 경력
1938년, 나치 독일에서 열린 반유대주의 회의에 참석하고, 율리우스 슈트라이허를 만났다. 1941년에는 히라누마 기이치로의 서문과 함께 "유대인: 그들의 사상과 운동"을 출판하여 유대인의 세계 지배 음모론을 주장했다.
1942년 일본 제국 의회의 귀족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1946년 귀족원이 해산될 때까지 재임했다. 같은 해 익찬 선거에서 도쿄 5구에서 추천 후보로 출마, 고다마 요시오 등을 꺾고 전국 최고 득표로 당선되었다.[11]
1944년 1월, 제84회 제국 의회에서 안도 기사부로 내무대신에게 유대인에 관한 질문을 하여, "일본은 태고부터 인종 차별 국가이며 유대인 차별에도 반대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얻어냈다.[12]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 12월 2일 연합군 최고 사령부에 의해 A급 전범 혐의로 체포되었으나,[13] 1947년 재판 없이 석방되었다.[7]
4. 반유대주의 활동
5. 사후 평가
정치적으로 시오텐은 군국주의와 반유대주의 사상을 தீவிர하게 옹호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에서 군사 참관인으로 복무하면서 국제적인 유대인 음모론에 영향을 받아 반유대주의자가 되었다.[1] 그는 일본 내에서 반유대주의 선전 활동을 주도했으며, 1936년에는 외무성이 설립한 태스크 포스의 이사로 임명되어 국제 정치 및 경제 문제에서 유대인의 역할을 연구했다.[2] 1938년에는 나치 독일에서 열린 반유대주의 회의에 참석하기도 했다.[2]
그의 반유대주의적 관점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항복 이후 연합군 최고 사령부에 의해 A급 전범 혐의로 체포되는 결과를 초래했다.[7] 비록 그는 1947년에 재판 없이 석방되었지만,[7] 그의 활동은 일본의 전쟁 범죄와 관련하여 비판을 받고 있다.
6. 저서 및 역서
출판사 연도 제목 비고 신국민협회 1928년 『제3 인터내셔널에 대하여』 신갱회 간행부 1932년 『전쟁인가 평화인가』 (현대 일본의 연구) 인류애선회 아세아 본부 1933년 『프리메이슨 비밀결사에 대하여』 봉사회 1933년 『사회주의·공산주의 운동의 실정』 봉사회 1933년 『국제연맹의 실정』 정검사 1935년 『유럽 정국의 혼란과 국방에 대하여』 나고야 마이니치 신문사 1936년 『제2차 세계대전과 우리나라의 국방』 애국 의단 본부 1937년 『메이데이와 프리메이슨의 정체』 요코하마 무역 협회 1937년 『시국과 항공』 내외 서방 1941년 『유대 사상 및 운동』 심교사 1987년 『유대 사상 및 운동 부록: 시온 의정서』 (ISBN 4-915567-12-5), 내외 서방 1941년 초판의 복각 보국사 1942년 『시오텐 노부타카 청화』 세계 문화 연구회 1942년 『World War and Jewish people = 세계 대전과 유대 민족』 미스즈 서방 1964년 『시오텐 노부타카 회고록』 오타 료 보역·해설, 성갑서방 2004년 『시온 장로의 의정서』 (ISBN 4-88086-168-5), 원저는 빅터 마즈던의 『시온 현자의 프로토콜』 시오텐 노부타카 원역, 텐도 지쿠마루 보역·해설, 성갑서방 2012년 『시온의 의정서 = THE PROTOCOLS OF THE ELDERS OF ZION : 정본』 시오텐 노부타카·고마이 도쿠조 [술], 가토 에쓰잔 편저, 오사카 도서 판매 1933년 『유대인의 음모 만주국의 이후』 (시국 문제 총서 ; 제5편) 시오텐 노부타카·고조 타네히데[저], 다나카 스이테이 편저, 오사카 도서 1933년 『다음 세계 대전』 (시국 문제 총서 ; 제10편 특집) 시오텐 노부타카·이마이즈미 사다스케[저], 사상 국방 협회 1942년 『세계 대전의 성격 우리나라 국방의 본의』 (사상 국방 강연 ; 제2집) 참조
[2]
서적
Japan in the Fascist Era
[3]
웹사이트
四王天 延孝 シオウテン ノブタカ
https://kotobank.jp/[...]
20世紀日本人名事典
[4]
서적
World War and Jewish people = 世界大戰とユダヤ民族
世界文化研究會
[5]
서적
四王天延孝清話
https://dl.ndl.go.jp[...]
報国社
[6]
서적
四王天延孝回顧録
みすず書房
[7]
서적
日本陸海軍総合事典
[8]
서적
日本陸軍将官辞典
[9]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10]
뉴스
対支同志会が日比谷で排英演説会
東京朝日新聞
1939-07-13
[11]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 衆議院議員名鑑
[12]
서적
近代未満の軍人たち
潮書房光人社
[13]
뉴스
梨本宮・平沼・平田ら五十九人に逮捕命令
毎日新聞(東京)
1945-12-04
[14]
간행물
官報
1945-12-11
[15]
뉴스
朝日新聞
1946-02-10
[16]
간행물
官報
1929-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