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의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의면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명종비 인순왕후의 방계 후손이며, 노론 벽파에 속했다. 헌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흥선대원군을 멸시한 일화로 알려져 있다. 감고당 개축으로 탄핵받아 유배되었고,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2. 생애

명종인순왕후의 방계 후손으로, 청릉부원군 심강의 11대손이자, 심강의 아들 심인겸의 10대손이다. 서인의 초대 당수 심의겸심충겸의 종9대손(從9代孫)이 된다. 이후 그의 가계는 서인이었다가 노론, 소론이 분당되자 그의 조상들은 노론이 되고, 사도세자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노론 중에서도 벽파시파가 갈라지자, 노론 벽파에 가담했다. 노론 벽파의 중진이었던 심의면의 할아버지 심풍지정조남인 인사들을 등용하는 것에 강력하게 반대하기도 했다.[1]

1837년(헌종 3년) 참봉으로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1842년(헌종 8년) 옥당, 황해도 암행어사, 1848년(헌종 14년) 홍문관 응교, 승정원 승지, 1850년(철종 1년)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고, 1851년(철종 2년) 동지의금부사 겸 승지, 1853년(철종 4년) 충청도 관찰사, 1855년(철종 6년) 이조참판을 역임했다.

그는 비참한 처지에 몰려 술주정꾼에 노름 등으로 소일하던 흥선대원군을 조롱하고 멸시하였다. 흥선대원군이 흥선군이었을 때 생계비를 구걸하러 김좌근, 김병기 등의 집에 왔을 때는 흥선군을 면전에서 멸시하고 백안시했다. 그는 흥선군을 향해 궁도령(宮道令), 상가집(上家) 개라고 하였다. 흥선군은 차남이 고종으로 등극할 때까지도 기억하였다.[1]

1860년(철종 11년) 오위도총부 도총관, 형조판서를 지내고, 1864년(고종 1년) 지의금부사에 이르렀으나, 이전에 인현왕후의 집이었던 감고당(感古堂)을 함부로 개축하여 사용한 죄로 양사(兩司)의 탄핵을 받아, 사판(仕版)에서 영구히 삭제되고 방축향리(放逐鄕里)되었다. 또 다시, 삼사(三司)의 탄핵으로 자신은 공주목(지금의 충남 공주)에 찬배(竄配)되는 유배형을, 아들 의주부윤 심이택(沈履澤)은 제주도에 가극(加棘)되는 유배형을 당하였다. 1865년(고종 2년) 심의면은 유배지인 공주목에서 죽었고, 사후 죄가 탕척(蕩滌)되었다. 아들 심이택은 방축향리(放逐鄕里)로 형벌이 감해졌다.[1]

2. 1. 가문 배경 및 초기 관직 생활

명종인순왕후의 방계 후손으로, 청릉부원군 심강의 11대손이자, 심강의 아들 심인겸의 10대손이다. 서인의 초대 당수 심의겸심충겸의 종9대손(從9代孫)이 된다. 이후 그의 가계는 서인이었다가 노론, 소론이 분당되자 그의 조상들은 노론이 되고, 사도세자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노론 중에서도 벽파시파가 갈라지자, 노론 벽파에 가담했다. 노론 벽파의 중진이었던 심의면의 할아버지 심풍지정조남인 인사들을 등용하는 것에 강력하게 반대하기도 했다.[1]

1837년(헌종 3년) 참봉으로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1842년(헌종 8년) 옥당, 황해도 암행어사, 1848년(헌종 14년) 홍문관 응교, 승정원 승지, 1850년(철종 1년)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고, 1851년(철종 2년) 동지의금부사 겸 승지, 1853년(철종 4년) 충청도 관찰사, 1855년(철종 6년) 이조참판을 역임했다. 그는 비참한 처지에 몰려 술주정꾼에 노름 등으로 소일하던 흥선대원군을 조롱하고 멸시하였다. 흥선대원군이 흥선군이었을 때 생계비를 구걸하러 김좌근, 김병기 등의 집에 왔을 때는 흥선군을 면전에서 멸시하고 백안시했다. 그는 흥선군을 향해 궁도령(宮道令), 상가집(上家) 개라고 하였다. 흥선군은 차남이 고종으로 등극할 때까지도 기억하였다.[1]

1860년(철종 11년) 오위도총부 도총관, 형조판서를 지내고, 1864년(고종 1년) 지의금부사에 이르렀으나, 이전에 인현왕후의 집이었던 감고당(感古堂)을 함부로 개축하여 사용한 죄로 양사(兩司)의 탄핵을 받아, 사판(仕版)에서 영구히 삭제되고 방축향리(放逐鄕里)되었다. 또 다시, 삼사(三司)의 탄핵으로 자신은 공주목(지금의 충남 공주)에 찬배(竄配)되는 유배형을, 아들 의주부윤 심이택(沈履澤)은 제주도에 가극(加棘)되는 유배형을 당하였다. 1865년(고종 2년) 심의면은 유배지인 공주목에서 죽었고, 사후 죄가 탕척(蕩滌)되었다. 아들 심이택은 방축향리(放逐鄕里)로 형벌이 감해졌다.[1]

2. 2. 흥선대원군과의 악연

심의면이 매입했던 감고당 주변 토지는 흥선대원군이 몰수하여 처가 일족이자 후일 명성황후가 되는 민씨네 일족에게 주었다.

2. 3. 몰락과 유배

명종인순왕후의 방계 후손이자, 심강의 11대손이며, 심인겸의 10대손이다. 서인의 초대 당수 심의겸심충겸의 종9대손(從9代孫)으로, 그의 가계는 서인에서 노론으로 이어졌고, 사도세자 문제 때 노론 벽파에 가담했다. 할아버지 심풍지정조남인 등용에 반대했던 노론 벽파 중진이었다.[1]

1837년(헌종 3년) 문과에 급제, 1842년 옥당, 황해도 암행어사, 1848년 홍문관 응교, 승정원 승지, 1850년 성균관 대사성을 지냈다. 1851년 동지의금부사 겸 승지, 1853년 충청도 관찰사, 1855년 이조참판을 역임했다.[1] 그는 흥선대원군을 조롱하고 멸시하였는데, 흥선대원군이 생계비를 구걸하러 올 때 면전에서 멸시하며 궁도령(宮道令), 상가집(上家) 개라고 불렀다. 흥선대원군은 차남 고종이 즉위할 때까지도 이를 기억하였다.[1]

1860년 오위도총부 도총관, 형조판서를 거쳐 1864년의금부사에 이르렀으나, 인현왕후의 집이었던 감고당(感古堂)을 함부로 개축하여 사용한 죄로 양사(兩司)의 탄핵을 받아 영구히 사판(仕版)에서 삭제되고 방축향리(放逐鄕里)되었다.[1] 삼사(三司)의 탄핵으로 공주목(지금의 충남 공주)에 유배되었고, 아들 의주부윤 심이택(沈履澤)은 제주도에 가극(加棘)되는 유배형을 당하였다. 1865년 유배지인 공주목에서 사망했고, 사후 죄가 탕척(蕩滌)되었다. 아들 심이택은 방축향리(放逐鄕里)로 형벌이 감해졌다.[1]

3. 가계


  • 고조부는 심택현(沈宅賢)으로 이조판서, 좌참찬, 판돈녕부사를 지냈으며 시호는 청헌(淸獻)이다.
  • 증조부는 심구(沈銶)로 영천군수를 지냈으며 증 이조판서이다.
  • 조부는 심풍지(沈豊之)로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증 좌찬성이고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 조모는 증 정경부인 기계 유씨로 첨정 유언수(兪彦銖)의 딸이자 영의정 유척기(兪拓基)의 손녀이다.
  • 아버지는 심풍지의 삼남인 심능달(沈能達)이며 증 이조판서이다.
  • 어머니는 증 정부인 광산 김씨로 우의정 김희(金熹)의 딸이다.
  • 본인은 심의면(沈宜冕)으로 형조판서이다.
  • 부인은 정부인 덕수 이씨로 이노직(李魯直)의 딸이자 영의정 이병모(李秉模)의 손녀이다.
  • 양자는 심이택(沈履澤)으로 이조판서, 판돈녕부사, 내무독판을 지냈으며 증 영의정 심의린(沈宜麟)의 삼남이다. 대한제국 공작 청녕공 심순택(靑寧公 沈舜澤, 영의정 · 의정대신)의 동생이다.
  • 여동생은 함안인 조은식(趙恩植)에게 출가하였다.
  • 친증조부는 심환(沈鍰)으로 증 좌승지이다.
  • 친조부는 심위지(沈緯之)로 증 이조판서이다.
  • 친부는 심능철(沈能哲)로 증 이조판서이다.
  • 친모는 은진 송씨로 송익상(宋翊相)의 딸이다.
  • 친형은 심의원(沈宜元)으로 공조판서를 지냈다.
  • 친동생은 심정의(沈正誼, 승지 · 증 규장각 제학)로 영의정 심상규(沈象奎)의 동생인 심응규(沈應奎, 서흥부사 · 증 규장각 직제학)에게 양자로 갔다.
  • 친조카는 심건택(沈健澤)으로 충청남도 관찰사, 지돈녕사사를 지냈으며 전주 이씨 일제 후작 청풍군 이해승(淸豐君 李海昇)의 장인이다.

3. 1. 직계 가계


  • 고조부는 심택현(沈宅賢)으로 이조판서, 좌참찬, 판돈녕부사를 지냈으며 시호는 청헌(淸獻)이다.
  • 증조부는 심구(沈銶)로 영천군수를 지냈으며 증 이조판서이다.
  • 조부는 심풍지(沈豊之)로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증 좌찬성이고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 조모는 증 정경부인 기계 유씨로 첨정 유언수(兪彦銖)의 딸이자 영의정 유척기(兪拓基)의 손녀이다.
  • 아버지는 심풍지의 삼남인 심능달(沈能達)이며 증 이조판서이다.
  • 어머니는 증 정부인 광산 김씨로 우의정 김희(金熹)의 딸이다.
  • 본인은 심의면(沈宜冕)으로 형조판서이다.
  • 부인은 정부인 덕수 이씨로 이노직(李魯直)의 딸이자 영의정 이병모(李秉模)의 손녀이다.
  • 양자는 심이택(沈履澤)으로 이조판서, 판돈녕부사, 내무독판을 지냈으며 증 영의정 심의린(沈宜麟)의 삼남이다. 대한제국 공작 청녕공 심순택(靑寧公 沈舜澤, 영의정 · 의정대신)의 동생이다.
  • 여동생은 함안인 조은식(趙恩植)에게 출가하였다.
  • 친증조부는 심환(沈鍰)으로 증 좌승지이다.
  • 친조부는 심위지(沈緯之)로 증 이조판서이다.
  • 친부는 심능철(沈能哲)로 증 이조판서이다.
  • 친모는 은진 송씨로 송익상(宋翊相)의 딸이다.
  • 친형은 심의원(沈宜元)으로 공조판서를 지냈다.
  • 친동생은 심정의(沈正誼, 승지 · 증 규장각 제학)로 영의정 심상규(沈象奎)의 동생인 심응규(沈應奎, 서흥부사 · 증 규장각 직제학)에게 양자로 갔다.
  • 친조카는 심건택(沈健澤)으로 충청남도 관찰사, 지돈녕사사를 지냈으며 전주 이씨 일제 후작 청풍군 이해승(淸豐君 李海昇)의 장인이다.

3. 2. 방계 가계


  • 고조부 : 이조판서 · 좌참찬 · 판돈녕부사를 역임한 심택현(沈宅賢)이며, 시호는 청헌(淸獻)이다.
  • 증조부 : 영천군수를 역임한 심구(沈銶)이며, 증 이조판서이다.
  • 조부 : 예조판서 · 증 좌찬성을 역임한 심풍지(沈豊之)이며,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 조모 : 증 정경부인 기계 유씨는 첨정 유언수(兪彦銖)의 딸이자 영의정 유척기(兪拓基)의 손녀이다.
  • 아버지 : 심풍지(沈豊之)의 삼남 심능달(沈能達)이며, 증 이조판서이다.
  • 어머니 : 증 정부인 광산 김씨는 우의정 김희(金熹)의 딸이다.
  • 본인 : 형조판서 심의면(沈宜冕)이다.
  • 부인 : 정부인 덕수 이씨는 이노직(李魯直)의 딸이며, 영의정 이병모(李秉模)의 손녀이다.
  • 양자 : 이조판서 · 판돈녕부사 · 내무독판을 역임한 심이택(沈履澤)은 증 영의정 심의린(沈宜麟)의 삼남이며, 대한제국 공작 청녕공 심순택(靑寧公 沈舜澤, 영의정 · 의정대신)의 동생이다.
  • 여동생 : 함안인 조은식(趙恩植)에게 출가하였다.
  • 친증조부 : 증 좌승지 심환(沈鍰)이다.
  • 친조부 : 증 이조판서 심위지(沈緯之)이다.
  • 친부 : 증 이조판서 심능철(沈能哲)이다.
  • 친모 : 은진 송씨는 송익상(宋翊相)의 딸이다.
  • 친형 : 공조판서 심의원(沈宜元)이다.
  • 친동생 : 심정의(沈正誼, 승지 · 증 규장각 제학)는 영의정 심상규(沈象奎)의 동생인 심응규(沈應奎, 서흥부사 · 증 규장각 직제학)에게 양자로 갔다.
  • 친조카 : 충청남도 관찰사 · 지돈녕사사를 역임한 심건택(沈健澤)은 전주 이씨 일제 후작 청풍군 이해승(淸豐君 李海昇)의 장인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