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충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충겸은 1545년에 태어나 1572년 문과에 장원 급제한 조선의 문신이다. 그는 이조정랑 임명 문제로 형 심의겸과 김효원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동서분당의 원인을 제공했다. 임진왜란 시기에는 병조참판 겸 비변사 제조로서 선조를 평양으로 호종하고, 광해군 분조에서 군량미 조달에 기여했다. 사후 호성공신으로 책록되고, 청림군에 봉해졌으며, 좌찬성 겸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인조 반정 이후 위성공신은 삭탈되었으며, 시호는 충익이다. 심충겸은 명종의 국구 심강의 아들이며, 심의겸의 동생이고, 인조 때 영의정을 지낸 심열의 아버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성공신 - 이항복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항복은 자가 자상, 호가 백사이며 경주 이씨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선조를 보필하여 호성공신 1등에 책록되고 영의정까지 지냈으나, 광해군 대에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되어 생을 마감한 후 관작이 회복되고 문충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호성공신 - 이항복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항복은 자가 자상, 호가 백사이며 경주 이씨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선조를 보필하여 호성공신 1등에 책록되고 영의정까지 지냈으나, 광해군 대에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되어 생을 마감한 후 관작이 회복되고 문충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호성공신 - 심우승
심우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기대승의 문하에서 수학,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승진을 거듭했으며, 호조참의 재직 중 재정 안정에 기여, 경기감사 재임 시에는 세금과 부역을 균등하게 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고 사후 호성공신 2등에 책록, 청계부원군으로 추봉,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조선의 황해도관찰사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조선의 황해도관찰사 - 심온
심온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태종 때 중용되어 세종 즉위 후 영의정에 올랐으나 역모 혐의로 사사된 후 문종 때 복권되었으며, 드라마에서 재조명되기도 했다.
심충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귀족 정보 | |
이름 | 심충겸 |
한자 이름 | 沈忠謙 |
작위 | 청림군 (靑林君) |
출생일 | 1545년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1594년 |
사망지 | 조선 |
국적 | 조선 |
종교 | 유교(성리학) |
배우자 | 증 정경부인 전주 이씨 |
인물 정보 | |
이름 | 심충겸 |
한자 이름 | 沈忠謙 |
출생일 | 1545년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1594년 |
사망지 | 조선 |
학력 | 1572년(선조 5년)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에 장원 급제 |
국적 | 조선 |
종교 | 유교(성리학) |
직업 | 외척 병조판서 호성공신 |
별명 | 청림군(靑林君) 청림부원군(靑林府院君) 충익공(忠翼公) |
배우자 | 증 정경부인 전주 이씨 |
부모 | 부: 청릉부원군 심강 모: 완산부부인 전주 이씨 |
형제 | 심인겸(형) 심의겸(형) 심예겸(형) 심지겸(형) 심신겸(형) 심효겸(동생) 심제겸(동생) |
자녀 | 3남 2녀 심흔(장남) 심경복(장녀) 심계복(차녀) 심열(차남) 심종(3남) |
친척 | 김당(외조부) 봉성군(장인) |
2. 생애
1545년 심강의 아들로 태어났다. 명종 때 영의정을 지낸 심연원의 손자이자, 명종의 국구 영돈녕부사 심강의 6남으로, 인순왕후의 동생이며, 선조 때 병조판서를 지낸 심의겸의 동생이다. 또한, 중종의 왕자 봉성군의 사위이다. 1572년(선조 5년)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에 장원 급제한 후, 성균관 전적, 호조좌랑, 병조좌랑, 사간원 정언, 홍문관 수찬, 성균관 직강, 예조좌랑을 거쳤다.
1575년 형 심의겸에 의해 이조정랑으로 추천받았으나 김효원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이 일로 사림이 서인과 동인으로 나뉘는 동서분당이 일어났다. 이후 사헌부 지평, 홍문관 교리, 사간원 헌납, 성균관 사예, 호조참의, 병조참지, 사간원 대사간, 형조참의, 형조참판, 홍문관 부제학, 병조참의, 황해도 관찰사, 병조참의 겸 비변사 당상, 홍문관 부제학 겸 세자시강원 좌부빈객, 이조참판, 이조참의 겸 운량 차지 당상 등을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발발 후 선조를 호종하고 광해군의 분조에 참여하여 군량미 조달에 힘썼다. 1594년 병조판서에 이르렀고, 사후 호성공신 2등에 책록, 청림군(靑林君)에 봉해졌으며 좌찬성 등에 추증되었다. 광해군 때 위성공신 1등, 청림부원군(靑林府院君)으로 추봉되고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나 인조반정으로 삭탈되었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며, 글씨와 시문에 능했다.
심충겸은 인조 때 영의정을 지낸 심열의 생부(生父)이며, 심충겸의 6대손이 경종비 단의왕후이다.
관계 | 이름 |
---|---|
조부 | 심연원 |
조모 | 정경부인 경주 김씨 |
부친 | 심강 |
모친 | 완산부부인 이희경 |
누나 | 인순왕후 |
매형 | 명종 |
형 | 심인겸 |
형 | 심의겸 |
형 | 심예겸 |
여동생 | 심술정 |
형 | 심지겸 |
형 | 심신겸 |
남동생 | 심효겸 |
남동생 | 심제겸 |
부인 | 증 정경부인 이개 |
장남 | 심흔 |
장녀 | 심경복 |
차녀 | 심계복 |
차남 | 심열 |
3남 | 심종 |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진출
1545년 심강의 아들로 태어났다. 1572년(선조 5년)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이후 성균관 전적, 호조좌랑, 병조좌랑, 사간원 정언, 홍문관 수찬, 성균관 직강, 예조좌랑을 거쳤다. 1575년 형 심의겸에 의해 이조정랑으로 추천되었으나, 2년 전 심의겸의 반대로 이조정랑에 오르지 못하다가 결국 작년에 이조정랑에 올라, 1년 임기를 채우고 후임자를 물색하던 김효원이 '전랑은 외척의 사유물이 아니다'라며 심충겸의 이조정랑 임명에 반대하였다. 이 일로 심의겸과 김효원의 반목이 심화되었고, 선후배 사림들이 심의겸을 영수로 하는 서인과 김효원을 영수로 하는 동인으로 나뉘어 동서분당이 일어났다.2. 2. 동서분당
1575년 형 심의겸에 의해 이조정랑으로 추천되었으나, 2년 전 심의겸의 반대로 이조정랑에 오르지 못하다가 결국 작년에 이조정랑에 올라, 1년 임기를 채우고 후임자를 물색하던 김효원이 '전랑은 외척의 사유물이 아니다'라며 심충겸의 이조정랑 임명에 반대하였다. 이 일로 심의겸과 김효원의 반목이 심화되었고, 선후배 사림들이 심의겸을 영수로 하는 서인과 김효원을 영수로 하는 동인으로 나뉘어 동서분당이 일어났다.2. 3. 임진왜란 시기의 활동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병조참판 겸 비변사 제조로서 선조를 평양으로 호종하였다. 평양에서 왕세자 광해군의 분조에 참여하여 병조참판 겸 호조참판으로서 군량미 조달에 큰 활약을 하였다. 이후 세자시강원 우빈객을 겸하였으며, 1594년 병조판서에 이르렀다. 사후 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고 청림군(靑林君)에 봉해졌으며, 의정부 좌찬성 겸 홍문관·예문관 양관 대제학에 추증되었다.2. 4. 사후
사후 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고 청림군(靑林君)에 봉해졌으며, 의정부 좌찬성 겸 홍문관·예문관 양관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광해군 때 위성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림부원군(靑林府院君)으로 진봉되었으며,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나 인조 반정 이후 위성공신은 삭탈당했다.충익(忠翼)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며, 글씨를 잘 쓰고 시문에 뛰어났다.
3.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심연원 | 영의정 |
조모 | 경주 김씨 | 좌찬성 김당의 딸 |
부친 | 심강 | 영돈녕부사 |
모친 | 완산부부인 이씨 | 전성군 이대의 딸, 효령대군의 5대손 |
누나 | 인순왕후 | 명종의 비 |
매형 | 명종 | 조선 제13대 국왕 |
형 | 심인겸 | |
형 | 심의겸 | 병조판서, 서인의 초대 영수 |
형 | 심예겸 | |
여동생 | 심술정 | |
형 | 심지겸 | |
형 | 심신겸 | |
남동생 | 심효겸 | |
남동생 | 심제겸 | |
부인 | 증 정경부인 이씨 | 중종의 7남 봉성군의 딸 |
장남 | 심흔 | 예문관 대교, 증 이조참판 |
장녀 | 심경복 | |
차녀 | 심계복 | |
차남 | 심열 | 영의정 |
3남 | 심종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