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폐소생술(CPR)은 반응이 없고 호흡이 없거나 간헐적인 호흡만 보이는 사람에게 뇌에 산소 공급을 유지하여 심정지 상태일 가능성이 높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응급 처치이다. 심정지 발생 후 4~5분 안에 뇌 손상이 시작되므로 목격자의 신속한 응급 처치가 중요하며, 뇌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가슴 압박과 인공 호흡을 실시한다.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며, 대한민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낮은 편이다. 심폐소생술은 흉부 압박, 기도 유지, 인공 호흡의 순서로 진행되며, 자동 제세동기(AED) 사용이 권장된다.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지만, 늑골 골절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장 - 염통
염통은 어류, 조류, 포유류의 심장을 식재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구이, 꼬치, 조림 등 여러 방식으로 조리된다. - 심장 - 왼관상동맥
왼관상동맥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으로, 왼앞내림동맥과 왼관상동맥 휘돌이가지로 갈라진다. - 응급의학 -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이며,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의료법에 따라 응급처치 업무를 수행한다. - 응급의학 - 응급실
응급실은 생명이 위급하거나 급성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신속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으로, 심폐소생술, 외과적 처치, 각종 검사 및 치료를 제공하며, 국가별로 운영 방식과 응급의료기관의 종류 및 기능에 차이가 있고, 과밀화, 의료진 폭력 등의 문제와 원격 의료 도입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심폐소생술 | |
---|---|
![]() | |
분야 | 심장학 |
의학주제표목 (MeSH ID) | D016887 |
메드라인플러스 | 000010 |
개요 | |
설명 | 갑작스러운 심장마비 후의 응급 처치 |
목적 | 혈액 순환 및 호흡 유지 |
심폐소생술 지침 | |
가슴 압박 깊이 | 5 ~ 6 cm |
가슴 압박 속도 | 분당 100~120회 |
참고 자료 | |
대한심폐소생협회 | 공용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배포 (PDF) |
2. 목적
심정지는 갑작스럽게 일어나며, 환자는 스스로 구조 요청을 할 수 없다. 심정지 발생 후 4-5분이 지나면 뇌 손상이 시작되므로, 목격자의 신속한 응급처치가 필수적이다. 통상 제세동이 1분 지연될 때마다 생존율이 7-10% 감소하지만,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1분당 2.5-5% 감소한다.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실시했을 때 생존율은 실시하지 않았을 때보다 2-3배 높다.[225] 심폐소생술(CPR)은 뇌에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다.
뇌는 산소를 저장하는 능력이 없어, 호흡이 멈춘 후 4~6분 안에 저산소증으로 인한 비가역적인 상태에 빠진다. 따라서 최대한 빨리 뇌에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
인간의 뇌는 심폐소생술이 2분 이내에 시작된 경우 생존율이 90% 정도이지만, 4분에는 50%, 5분에는 25% 정도이다. 구명 곡선 따라서 구급대 도착까지 몇 분(5~6분) 동안 현장에 있던 사람(바이 스탠더, "시민 구조자"라고 부름)이 심폐소생술(CPR)을 하는지가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생존의 사슬).
3.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과 미국의 심폐소생술 현황은 다음과 같다.[226][227]국가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병원 이송 시 생존입원 생존퇴원 정상 뇌기능 회복 구급대 4분 이내 도착 환자 8분 내 병원 이송 대한민국 3.1% (2010년) 9.9% 3.0% 0.9% 8.9% 0.7% 미국 37.4% (2011년) 26.4% 10.3% 7.7%
대한민국은 구급대가 도착하기 전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이 매우 중요하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외국에 비해 높지 않다.[226][227] 2010년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의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3.1%로, 2011년 미국의 37.4%에 비해 매우 낮다. 대한민국에서 급성 심정지 환자의 병원 이송 시 생존입원은 9.9%, 생존퇴원은 3.0%에 불과하고 특히 뇌기능이 정상적인 비율은 0.9% 뿐이었다.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생존입원은 26.4%, 생존퇴원은 10.3%, 정상 뇌기능 비율은 7.7%였다. 대한민국에서 구급대가 4분 이내에 도착하는 비율은 8.9%, 환자를 8분 안에 병원까지 이송하는 비율은 0.7%에 불과하기 때문에 구급대가 도착하기 전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다.
4. 원리
심정지가 발생하면 인체는 3단계를 거쳐 변화한다.[228] 초기 4-5분 사이에는 특별한 조직 손상이 없으며, 이 시기에 적절한 응급 치료를 하면 회복될 수 있다. 다음 4-5분에서 10분 사이에는 조직 속 산소가 급격히 소모되며 손상이 일어난다. 이 시기에는 심폐소생술을 통해 혈액을 순환시켜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응급조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10분이 넘으면 조직 손상이 심각해지며, 현재까지 이 시기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다.
심폐소생술은 1, 2단계에서 효과적인 응급처치법이다. 외부에서 압박을 가해 심장을 압축시켜 강제적으로 피를 순환시킴으로써 조직에 산소를 계속적으로 공급해 조직 손상을 막고 다음 단계의 치료가 가능해질 때까지 환자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가슴압박에 의한 혈액순환기전으로 제시되는 이론에는 심장펌프이론과 흉강펌프이론이 있다. 심장펌프이론은 가슴을 압박하면 흉골과 척추 사이의 가장 큰 장기인 심장이 압박되고, 특히 심실이 압박됨으로써 심실 내 압력이 증가되어 순환이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흉강펌프이론은 가슴을 압박하면 흉강 내 압력이 상승되면서 상승된 흉강내압과 흉강외압의 차이에 의하여 순환이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5. 방법
심폐소생술 국제연락위원회(ILCOR)의 총의를 바탕으로 심폐소생술의 구체적인 방법이 정해지며, 각국의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적용된다.[229][230][231]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심폐소생술 순서(미국 심장 협회(AHA) 및 적십자사 등)는 다음과 같다.
#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응급 처치 훈련을 받은 사람이 있는지 확인한다.
# 응급 의료 서비스에 전화하고, 자동 제세동기(AED)를 찾는다. (AED가 몇 분 안에 사용 가능할 경우)
# AED를 사용하여 제세동을 시도한다. (AED가 없거나 도착 전까지는 심폐소생술을 시도한다.)
여러 명의 구조자가 있다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작업들을 분담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2010년, 미국 심장 협회(AHA)와 소생술 국제 연합 위원회(ILCOR)는 CPR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했다.[18][19] 모든 연령대(신생아 제외)의 중재 순서는 기도, 호흡, 흉부 압박(ABC)에서 흉부 압박, 기도, 호흡(CAB)으로 변경되었다.[18] 단, 호흡 정지(기도 폐쇄, 약물 과다 복용 등)로 추정되는 환자는 예외이다.[18]
CPR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흉부 압박 중단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속도와 깊이로 압박하며, 압박 사이에 완전히 압력을 풀고, 과도하게 환기하지 않는 것이다.[20]
5. 1. 성인 심폐소생술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의 가이드라인과 대한민국 소방방재청의 교육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229][230][231]
# 대상자의 상태(호흡, 맥박, 의식 등)를 확인한다.
# 응급 대응 체계를 활성화한다.(응급의료기관에 신고 등)
# 자동 제세동기(AED)가 근처에 있으면 즉시 사용하고, 없다면 대상자의 고개를 뒤로 젖혀 기도를 확보한 후 흉부 압박을 시작한다.
# 제세동기를 가져올 때까지 흉부 압박을 지속한다.
# 제세동기를 사용한 후 즉시 흉부 압박을 재실시한다. 제세동기는 2분마다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작동시킨다. 제세동기가 없을 경우 흉부 압박을 지속한다.
# 구급대원 혹은 의료진이 도착 할 때까지 5번을 반복 시행한다.
미국 심장학회는 보통 5년 마다 새로운 심폐소생술 지침을 발표한다. 2015년 10월에 발표된 새 지침은 2010년 지침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있다.
- 일반인 구조자의 적극적인 흉부 압박을 더욱 강조하였다.
- 흉부압박 횟수는 분당 100-120회를 유지한다. 120회를 초과하면 압박 깊이가 얕아져 비효율적이다.
- 흉부압박 깊이는 5cm 이상 6cm 이하(2인치 이상 2.4인치 이하)를 유지한다.
- 병원 전/내 심정지 생존의 고리를 분리하여 각각 설정하였다.
- 흉부압박 위치는 흉골 하단 1/2이다.
- SNS, 휴대폰을 이용한 연락 체계 이용을 권장한다.
- 전화상담원이 심폐소생술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구조자에게 지침을 제공하도록 강조한다.
- 1인 구조자는 인공호흡 전에 흉부압박을 먼저 실시하며, 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은 30:2이다.
- 아편계 약물 중독이 의심되면 일반인 구조자도 날록손(Narcan)을 투여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은 반응이 없고 호흡이 없거나 간헐적인 고뇌 호흡만 보이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된다. 이는 심정지 상태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18] 맥박이 있지만 호흡을 하지 않는 경우(호흡 정지)에는 인공 호흡이 더 적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인은 맥박 유무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심폐소생술 지침에서는 맥박을 확인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5]
외상으로 인한 심정지 환자에게는 심폐소생술이 무의미하다고 여겨지지만, 여전히 권장된다.[6] 긴장성 기흉이나 심장 압전과 같은 근본적인 원인을 교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6]
심폐소생술(CPR)은 심정지 상태의 환자에게 혈액을 산소화하고,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장기를 살리기 위해 심박출량을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혈액 순환과 산소화는 산소를 조직으로 운반하는 데 필요하다. 심폐소생술은 여러 메커니즘을 통해 동맥과 정맥 혈관 사이의 압력 기울기를 생성한다.[7]
뇌는 혈류가 약 4분 동안 중단된 후 뇌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약 7분 후에는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을 수 있다.[8][9][10][11][12] 일반적으로 혈류가 1~2시간 동안 중단되면 신체 세포는 괴사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은 혈류가 중단된 후 7분 이내에 시행될 때만 효과적이다.[13] 심장 또한 정상적인 리듬을 유지하는 능력을 빠르게 잃는다. 익사 사고와 같이 저체온증 상태에서는 뇌가 생존하는 시간이 연장된다.
심정지 후,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은 뇌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뇌간 사망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제세동 시도에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14] 심폐소생술 동안 분당 120회 이상의 압박 속도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희생자의 생존율과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5]
심정지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순서는 다음과 같다.(미국 심장 협회(AHA) 및 적십자사 등 여러 관련 단체의 지침)
#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응급 의료 서비스에 전화하고, 자동 제세동기(AED)를 찾으러 간다. (AED가 몇 분 안에 사용 가능할 경우)
# 자동 제세동기(AED)를 사용하여 제세동을 시도한다. (AED를 찾을 수 없거나, 도착하기 전까지는 심폐소생술을 시도한다.)
만약 여러 명의 구조자가 있다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작업들을 분담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 구조자가 익사한 피해자나, 이미 의식이 없는 어린이를 혼자 구조해야 하는 경우:
# 먼저 2분 동안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근처에 전화가 없다면, 1분 동안 심폐소생술 후 전화를 하러 간다.)[17]
# 응급 의료 서비스에 전화하고, 자동 제세동기(AED)를 구하러 간다. (AED를 몇 분 안에 사용할 수 있는 경우)
# 자동 제세동기(AED)를 사용하여 제세동을 시도한다. (AED를 찾을 수 없거나, 도착하기 전까지는 심폐소생술을 시도한다.)
익사 피해자의 심정지는 산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어린이는 심장 질환을 앓을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인공 호흡(구조 호흡)이 가장 중요하다.[54]
- 구조자가 혼자 있고, 전화가 없으며, 익사 피해자나 의식이 없는 어린이가 아닌 다른 피해자를 돕는 경우:
# 전화를 하러 간다.
# 응급 의료 서비스에 전화하고, 자동 제세동기(AED)를 구하러 간다. (AED를 몇 분 안에 사용할 수 있는 경우)
# 자동 제세동기(AED)를 사용하여 제세동을 시도한다. (AED를 찾을 수 없거나, 도착하기 전까지는 심폐소생술을 시도한다.)
긴급한 상황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전화를 먼저 하는 것이 중요하다.[53]
2010년, 미국 심장 협회(AHA)와 소생술 국제 연합 위원회(ILCOR)는 CPR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했다.[18][19] 과도한 환기 없이 충분한 속도와 깊이로 하는 고품질 CPR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18] 모든 연령대(신생아 제외)의 중재 순서는 기도, 호흡, 흉부 압박(ABC)에서 흉부 압박, 기도, 호흡(CAB)으로 변경되었다.[18] 단, 호흡 정지(기도 폐쇄, 약물 과다 복용 등)로 추정되는 환자는 예외이다.[18]
CPR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흉부 압박의 중단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속도와 깊이로 압박하며, 압박 사이에 완전히 압력을 풀고, 과도하게 환기하지 않는 것이다.[20]
심폐소생술 절차는 무반응(보통 의식불명 또는 의식 저하), 무호흡 또는 심장 박동 부재로 인해 숨을 헐떡이는 심정지 환자에게 가슴 압박과 인공 호흡(구조 호흡)을 사용한다.[22] 하지만 구조 호흡은 심정지를 겪는 훈련받지 않은 성인 구조자에게는 생략될 수 있다(익사 등으로 인한 질식성 심정지가 아닌 경우, 구조 호흡이 필요하다).[32]
환자의 머리는 일반적으로 공기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뒤로 젖혀진다(머리 기울이기 및 턱 들어 올리기 자세). 그러나 환자가 척추(목 부분이나 등 부분)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머리를 움직여서는 안 된다. 이는 환자의 이동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함이다.[30] 아기의 경우, 아기의 목 크기 때문에 구조 호흡을 위해 머리를 똑바로 앞을 보게 둔다.[23]
심폐소생술에서 가슴 압박은 흉골의 하반부, 즉 목에서 배까지 가슴 중앙을 따라 있는 뼈를 누르고 정상적인 위치로 돌아올 때까지 들어 올린다. 구조 호흡은 환자의 코를 잡고 입 대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수행한다. 환자가 아기인 경우, 구조자는 손가락 두 개로만 가슴을 압박하고, 자신의 입으로 아기의 입과 코를 동시에 덮어 인공 호흡을 실시한다. 모든 연령대의 환자에 대한 권장 압박 대 호흡 비율은 30:2이다(30회 리듬 가슴 압박 시리즈와 2회 구조 호흡 시리즈를 번갈아 가며 반복하는 사이클).[24] 익수 환자는 해당 사이클이 시작되기 전에 초기 2회 구조 호흡을 받는다.[25]
30:2의 일반적인 압박 대 호흡 비율의 예외로, 훈련받은 구조자 2명 이상이 있고 환자가 어린이인 경우, 선호하는 비율은 15:2이다.[26] 마찬가지로 신생아의 경우, 구조자가 한 명 있으면 비율은 30:2이고, 구조자가 두 명 있으면 15:2이다(AHA 2015 가이드라인에 따름).[18] 기관 내 삽관 또는 후두 마스크 기도와 같은 고급 기도 치료의 경우, 인공 호흡은 압박을 중단하지 않고 6~8초마다 1회 호흡(분당 8~10회 인공 호흡)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모든 환자에서 압박 속도는 분당 최소 100회 이상이다.[27] 성인과 어린이의 권장 압박 깊이는 5cm이고, 영아의 경우 4cm이다.[27] 성인의 경우, 구조자는 가슴 압박에 두 손을 사용해야 하고(한 손을 다른 손 위에), 어린이의 경우 한 손으로 충분할 수 있다(또는 어린이의 체격에 맞게 압박을 조절하여 두 손), 아기의 경우 구조자는 손가락 두 개만 사용해야 한다.[28]
구조자와 환자의 입 사이에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플라스틱 쉴드와 인공 호흡기가 있어 더 나은 진공을 밀봉하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29]
어떤 경우에는 문제는 심장 리듬의 실패(심실 세동 및 심실 빈맥)인데, 이는 제세동기의 전기 충격으로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심정지를 겪고 있다면, 누군가 근처의 제세동기를 요청하여 환자가 이미 의식이 없는 경우 제세동 과정을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제세동기 모델(자동 외부 제세동기, AED)은 과정 전반에 걸쳐 녹음된 음성 지침으로 사용자를 안내하고, 환자를 분석하며, 필요한 경우 올바른 충격을 가하는 자동 휴대용 기기이다.
심폐소생술이 여전히 효과가 있을 수 있는 시간은 명확하지 않으며, 많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많은 공식 가이드에서는 응급 의료 서비스가 도착할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계속할 것을 권장한다(최소한 환자의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30] 동일한 가이드에서는 환자가 사망했다고 간주하기 전에 가능한 한 빨리 자동 제세동을 시도하기 위해 근처의 응급 제세동기(AED)를 요청하도록 지시한다.[30]
일반적인 심폐소생술은 'CAB'라는 권장 순서가 있다. 먼저 '가슴'(가슴 압박), 그 다음 '기도'(머리 기울이기 및 턱 들어 올리기를 수행하여 기도 열기 시도), '호흡'(구조 호흡)이다.[18] 2010년 현재, 영국 소생 협의회는 환자가 어린이인 경우 'C'가 '순환'(맥박 확인)을 나타내는 'ABC' 순서를 계속 권장하고 있었다.[31] 맥박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므로, 맥박 확인은 일반 제공자에게서 제거되었으며 의료 제공자는 10초 이상 수행해서는 안 된다.[32]
5. 2. 영아, 소아 심폐소생술
영아(0세 ~ 1세 미만) 및 소아(1세 ~ 8세) 심폐소생술은 성인 심폐소생술과 유사하지만, 연령과 체격에 따라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53][16] 8세 이상이라도 체격이 큰 아동은 성인 심폐소생술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영아 및 소아 심폐소생술 순서:1. 응급의료기관에 신고한다.
2. 환아의 의식을 확인한다.
3. 자동 제세동기(AED)가 근처에 있으면 즉시 사용하되, 소아용 전극이 없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다. 만약 자동 제세동기가 없다면 바로 가슴 압박을 실시한다.
4.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지 않았다면 제세동기를 가져올 때까지 가슴 압박을 계속한다. 교육을 받았다면 가슴 압박 30회 실시 후 대상자의 고개를 뒤로 젖혀 기도를 유지한다. 단, 영아는 고개를 젖히지 않는다.
5. 대상자의 코를 막고 입을 통해 인공 호흡을 2회 실시한다. 영아의 경우 코를 막지 않고 시술자의 입으로 환아의 코와 입을 모두 덮어 숨을 불어넣는다.
6. 제세동기를 가져올 때까지 4, 5번을 반복한다.
7. 제세동기를 사용한 후 즉시 4, 5, 6번을 실시한다. 제세동기는 2분마다 계속해서 작동시킨다.
참고 자료 (유튜브 동영상):
- 1세 미만 영아의 흉부 압박 - 소방청 제공.
- 영아 심폐 소생술 - 도쿄 소방청 제공.
- 1세부터 12세의 경우의 가슴 압박 - 소방청 제공.
5. 3. 호흡 확인
심정지로 의심되는 사람이 있으면 먼저 주변이 안전한지 확인한 후 환자에게 다가가 상태를 확인한다. 어깨를 두드리면서 말을 걸어 반응이 있는지 확인한다. 몸을 흔들면 목뼈가 부러질 수 있어 위험하다. 반응이 없다면 환자의 호흡을 확인한다.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지 못했다면 응급의료기관에 신고하여 지시에 따라 호흡을 확인한다. 환자가 호흡이 없거나 헐떡거리는 등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이면 심정지 상태로 보고 즉시 응급 대응 체계를 활성화한다.[53][16]5. 4. 응급 대응 체계 활성화
대상자가 심정지 상태임을 인지하면 즉시 응급의료체계(예: 119)에 신고한다. 이때 상담원에게 환자 발생 장소와 상황, 환자의 숫자와 상태, 필요한 도움 등을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53] 교육을 받지 못했다면 상담원의 지시에 따를 준비를 해야 하며, 따로 지시가 있을 때까지 전화를 끊지 말아야 한다.[53] 만약 다른 사람이 있다면 한 명이 즉시 가슴압박을 실시하는 동안 다른 사람이 응급의료체계에 신고해야 한다. 근처에 자동 제세동기가 있을 경우 가능한 한 우선적으로 가져와서 사용해야 하며, 만약 다른 사람이 있다면 역시 한 명은 바로 가슴압박을 실시하고 다른 사람은 신고를 마친 후 즉시 자동 제세동기를 가져와서 사용해야 한다.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순서(미국 심장 협회(AHA) 및 적십자사 등 여러 관련 단체의 지침에 따름)는 다음과 같다.[53][16]
#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그들 중 응급 처치 훈련을 받았거나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이 있는지 확인한다.
# 응급 의료 서비스에 전화한다. 또한, 자동 제세동기(AED)를 찾으러 가지만, AED가 몇 분 안에 사용 가능할 경우에만 해당한다.
# 자동 제세동기(AED)가 발견된 경우,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AED를 사용하여 제세동을 시도한다. 그렇지 않거나 AED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가능한 마지막 단계로 CPR(심폐소생술) 조치를 시도한다.
만약 여러 명의 구조자가 있다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이러한 작업들을 분담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5. 5. 흉부 압박
환자를 단단한 바닥에 눕힌다. 흉골 아래쪽 절반에 손바닥 아래쪽 부분을 대고, 반대편 손을 평행하게 위에 올려 압박한다. 팔꿈치를 쭉 펴고 약 5cm 깊이, 분당 100-120회 속도로 압박하되, 6cm를 넘지 않도록 한다. 현장에서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지속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강하게" 압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압박 사이사이에는 확실하게 본래 위치까지 되돌아오도록 힘을 빼야 하며, 아예 손바닥이 가슴에서 살짝 들릴 정도로 확실하게 되올리는 것이 도움이 된다.[198]맥박 확인이나 인공 호흡 등의 시간은 10초 이내로 하고, 가급적 2명 이상이 2분씩 교대로 압박을 시행하여 가슴 압박이 멈추는 시간을 5초 이내로 최소화해야 한다.
만일 교육을 받지 못했다면 인공 호흡을 실시하는 것보다는 계속해서 가슴 압박을 하는 것이 낫다. 가슴압박 소생술(hands-only CPR)은 심정지 초기에는 기존의 방법과 거의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고, 몇몇 경우에는 가슴압박 소생술이 기존의 방법보다 더 생존율이 높은 경우도 있다.[198] 다만 질식성 심정지를 포함한 몇몇 경우의 심정지에서는 인공호흡이 필수적이므로 가능하면 숙련된 인원은 심폐소생술 시행시 인공호흡을 같이 실시하는 것이 좋다.
5. 6. 기도 유지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경우, 먼저 기도 유지를 해야 한다. 한 손으로 환자의 이마를 누르면서 다른 손으로 턱 끝을 들어 올려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한다.[53][16] 경추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이마를 누르지 않고 턱만 들어 올리는 하악거상법을 사용한다. 영아의 경우 턱 끝을 들어 올리는 것은 기도를 오히려 막게 되므로, 환아의 머리를 보통때의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53][16]훈련을 받고 자신 있는 시민 구조자의 경우, 등을 대고 눕힌 상태에서 한 손으로 이마를 누르고 다른 손의 집게손가락과 중지로 턱을 위로 들어올려 기도 확보를 수행한다. 입 안에 이물질이 있으면 제거한다.
5. 7. 인공 호흡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경우, 인공 호흡을 실시한다. 우선, 기도 유지 상태에서 환자의 코를 손으로 막고, 자신의 입을 환자의 입에 밀착시켜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한다.[18] 숨을 불어넣을 때는 평소 숨 쉴 때처럼 깊게 불어넣지 않고,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 것이 보일 정도로 약 1초 동안 불어넣는다.[18] 이러한 인공호흡을 2회 실시하며, 환자의 가슴이 부풀지 않더라도 2회를 초과하지 않는다.[18]영아(0세~8세)의 경우, 시술자의 입으로 환아의 코와 입을 모두 덮어 숨을 불어넣는다.[18]
만약 환자의 심정지가 음독이나 전염병으로 인한 것이거나, 명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경우라도 인공 호흡은 실시하지 않는다.[18] 이는 접촉에 의한 전염이나 중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18] 심정지의 원인이 음독, 전염병이 아니거나 환자와 접촉을 하더라도 구조자의 안전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훈련을 받지 않은 시민 구조자는 인공호흡을 하지 않아도 된다. 훈련을 받고 자신 있는 시민 구조자의 경우, 흉부 압박 30회마다 2회 인공 호흡을 실시한다. 단, 이를 위한 흉부 압박 중단은 10초 이내로 한다.
6. 미실시 및 중단 기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않거나, 중간에 그만둘 수 있다.[232] 구조자가 적절한 속도를 유지하도록 돕기 위해 타이밍 장치로 메트로놈 (많은 구급대에서 휴대하는 장비)을 갖출 수 있다. 일부 장치는 압박, 환기 및 교대 시 타이밍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58]
6. 1. 미실시 기준
다음 몇 가지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않거나, 중간에 그만둘 수 있다.[232]-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려는 시행자에게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의 위험이 있는 상황
- 확실하게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임상적인 징후(사후경직, 시반, 참수, 신체절단, 부패 등)
- 심폐소생술을 원하지 않는다는 확실한 의학적 지시 또는 DNR 표식이 있는 경우
심폐소생술은 반응이 없고 호흡이 없거나 간헐적인 고뇌 호흡만 보이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데, 이는 그들이 심정지 상태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18]
6. 2. 중단 기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않거나, 중간에 그만둘 수 있다.[232] 이는 성인 환자에게만 적용되며, 신생아나 소아의 경우에는 아직 명확한 지침이 없다.-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순환 회복
- 전문 구급대에게 환자를 인계한 경우
- 심폐소생술 시행자가 지치거나, 위험에 빠지거나, 다른 사람들을 위험하게 하여 더 이상 심폐소생술을 지속할 수 없는 경우
- 회복 불가능한 죽음의 확실한 징후가 있거나 명백할 경우
7. 2015년 지침
미국 심장학회는 보통 5년마다 유럽 심장학회, 응급의학학회 등과 협력하여 새로운 심폐소생술 지침을 발표하는데, 2015년 10월에 새로운 지침이 발표되었다.[53][16] 2010년 지침과 비교했을 때, 일반인 구조자의 적극적인 흉부 압박을 더욱 강조한 점이 두드러진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항목
! 내용
|-
| 흉부 압박 횟수 및 깊이
| 분당 100-120회, 깊이는 5cm 이상 6cm 이하(2인치 이상 2.4인치 이하)로 권장된다. 너무 빠른 압박은 깊이가 얕아져 비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
| 병원 전/내 심정지 생존 고리 분리
| 병원 전(OHCA) 심정지와 병원 내(IHCA) 심정지에 대한 생존 고리를 분리하여 각각 설정하였다.
구분 | 내용 |
---|---|
IHCA (병원 내 심정지) | 감시 및 예방 - 심정지 인지 및 응급의료체계 가동 - 즉각적인 심폐소생술 - 신속한 제세동 - 전문소생술 및 심정지 후 처치 |
OHCA (병원 밖 심정지) | 심정지 인지 및 응급의료체계 가동 - 즉각적인 심폐소생술 - 신속한 제세동 - 기본 및 전문 응급의료 서비스 - 전문소생술 및 심정지 후 처치 |
|-
| 흉부 압박 위치
| 흉골 하단 1/2 지점이다.
|-
| SNS 및 휴대폰 활용
| SNS, 휴대폰 등을 이용한 연락 체계 이용을 권장한다.
|-
| 전화 상담원의 역할
| 전화 상담원이 심폐소생술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구조자에게 지침을 제공하도록 강조한다.
|-
| 1인 구조자의 경우
| 인공호흡 전에 흉부 압박을 먼저 시행하며, 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은 30:2이다.
|-
| 아편계 약물 중독 의심 시
| 일반인 구조자도 날록손(Naloxone, 브랜드명 Narcan)을 투여할 수 있다.
|}
8. 심폐소생술 관련 기기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멈췄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처치이다. 심폐소생술과 함께 사용되는 몇 가지 기기들이 있다.
제세동기: 제세동기는 멈춘 심장에 전기 충격을 주어 다시 뛰게 만드는 기기이다. 병원 밖에서 흔히 사용되는 자동 제세동기(AED)는 사용법이 간단하여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제세동은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 빈맥과 같은 특정 부정맥에만 효과가 있으며, 환자에게 정상적인 맥박이 있거나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21] 무수축이나 무맥성 전기 활동(PEA)의 경우에도 제세동은 필요하지 않으며, 심폐소생술을 통해 뇌에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21]
제세동기를 사용할 때는 먼저 응급 의료 서비스에 전화하고, 가능한 한 빨리 환자에게 제세동기를 사용해야 한다. 제세동은 심폐소생술보다 우선시되지만, AED를 빨리 가져올 수 있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여러 명이 함께 있다면, 전화, AED 가져오기, 가슴 압박 및 인공호흡을 동시에 할 수 있다.[54]
제세동기를 사용할 때는 환자를 천장을 보게 눕히고, 물기가 있는 곳은 피해야 한다. 금속 장신구는 제거할 필요가 없지만, 제세동기 패드를 직접 그 위에 붙이면 안 된다.[25] 1세에서 8세 사이의 어린이는 어린이용 패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없는 경우에는 성인용 패드를 사용하고, 하나는 가슴에, 다른 하나는 등에 붙인다.
제세동기를 사용한 후에는 응급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환자에게 부착해 두어야 한다.[57] 소아용 패드나 소아용 모드는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초등학생에게는 성인용 패드를 사용해야 한다.[209]
기계적 흉부 압박 장치로는 [https://www.lucas-cpr.com/jp/ LUCAS] 및 [http://www.asahi-kasei.co.jp/asahi/jp/services_products/sector/health_care/#anc03 AutoPulse] 등이 있다.
8. 1. 제세동기
제세동기는 희생자의 정상적인 심장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전기 충격인 제세동을 생성하는 기계이다.[21] 병원 밖에서 흔히 사용되는 제세동기 모델은 자동 제세동기(AED)로, 녹음된 음성 안내를 제공하여 사용이 특히 간편한 휴대용 장치이다.[21]제세동은 일부 부정맥(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에만 해당되며, 특히 심실세동(VF)과 무맥성 심실 빈맥(VT)에 적용된다.[21] 환자에게 정상적인 맥박이 있거나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제세동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무수축 또는 무맥성 전기 활동(PEA)의 경우에도 제세동은 필요하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심장 기능이 회복될 때까지 뇌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일반적인 심폐소생술(CPR)을 사용한다.[21] 부적절하게 가해진 전기 충격은 심실세동(VF)과 같은 위험한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21]
환자에게 심장 박동이 없거나, 심장을 즉시 멈추게 할 수 있는 일종의 부정맥이 나타나는 경우, (현재 제세동기가 매우 흔하기 때문에) 누군가가 제세동기를 요청하고,[53] 이미 의식을 잃은 희생자에게 제세동을 시도하여 성공할 경우를 대비하는 것이 좋다.
'''응급 처치 시퀀스에서의 제세동 순서'''
제세동 전에 응급 의료 서비스에 전화하는 것이 좋다. 그 후, 근처에 있는 AED 제세동기를 가능한 한 빨리 환자에게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제세동은 심폐소생술보다 우선시되지만, AED를 짧은 시간 안에 가져올 수 있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이 모든 작업(전화 걸기, AED 가져오기, 가슴 압박 및 인공호흡 심폐소생술)은 여러 구조자에 의해 분담되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54] 제세동기 자체는 더 많은 심폐소생술이 필요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만약 구조자가 익사한 환자 또는 구조자가 도착했을 때 이미 의식이 없는 어린이와 단독으로 있는 경우, 구조자는 2분 동안(약 5주기의 환기 및 압박) 심폐소생술을 수행한다. 그 후, 구조자는 응급 의료 서비스에 전화하고, 근처에서 제세동기를 찾아 시도할 수 있다(익사한 사람과 이미 쓰러진 어린이에게는 심폐소생술이 우선순위로 간주된다).[16][53][54][55]
구조자가 완전히 혼자 있고 근처에 전화기가 없는 경우, 익사 환자나 이미 의식이 없는 어린이가 아닌 다른 피해자를 돕고 있다면, 구조자는 먼저 전화부터 걸 것이다. 전화 통화 후, 구조자는 근처의 제세동기를 가져와 사용하거나 심폐소생술을 계속한다(문제가 심장과 관련이 있는 경우 전화 통화와 제세동기가 긴급한 것으로 간주된다).[53]
'''제세동'''
의료 센터 밖에서 빠른 사용을 위해 준비된 표준 제세동 장치는 자동 제세동기(AED)로, 사전 훈련 없이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작고 휴대 가능한 기계(서류 가방과 유사)이다. 이 기계는 제세동 과정을 안내하는 녹음된 음성 지침을 제공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적절한 수준의 전기 충격을 자동으로 적용하기 위해 피해자의 상태를 확인한다. 다른 모델은 반자동이며 전기 충격 전에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야 한다.
제세동기는 심폐소생술(CPR)을 적용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므로, 환자는 천장을 바라보는 자세로 눕혀야 한다. 또한, 아기의 경우를 제외하고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혀야 한다.[23]
물과 금속은 전기를 전달한다. 이는 물의 양에 따라 다르지만, 물웅덩이가 있는 바닥에서 제세동을 시작하는 것을 피하고, 그 전에 환자의 젖은 부위를 말리는 것이 좋다(충분하다면 천으로라도 빠르게). 환자의 보석이나 피어싱을 제거할 필요는 없지만, 제세동기 패치를 직접 그 위에 놓는 것은 피해야 한다.[25] 전극이 있는 패치는 오른쪽에 표시된 위치에 놓는다. 1세에서 8세 사이의 어린이, 일반적으로 약 25kg까지의 유사한 신체의 경우, 전기 용량이 감소된 어린이용 패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불가능한 경우, 성인용 크기와 용량을 사용하고, 패치가 너무 크면 하나는 가슴에, 다른 하나는 등에 놓는다(어느 쪽이든 상관없음).
심폐소생술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장치가 있지만, (2010년 기준)[56]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게 표준 심폐소생술보다 제세동기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18]
제세동기를 사용한 경우, 응급 서비스가 도착할 때까지 환자에게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57]
소아용 패드나 소아용 모드가 있지만, 이 소아용은 미취학 아동을 지칭하며 초등학생이 소아용 패드를 사용하면 자극이 부족할 수 있다.[209] 또한, 소아용 패드가 없는 경우에는 성인용을 사용해도 좋다.[210]
8. 2. 기타 기기
복부 압박 삽입은 병원 환경에서 유익할 수 있다.[50] 그러나 병원 전 환경이나 소아에게는 이점이 있다는 증거가 없다.[50] 간헐적 복부 압박(IAC-CPR)은 두 명의 구조자가 시행하며, 한 명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심폐소생술을, 다른 한 명은 복부를 압박하여 심장으로의 혈액 순환을 돕는 방법이다.[201] 미국 심장 협회 가이드라인 2005년판에는 병원 내 심폐소생술로서 유용성이 인정된다고 기재되었으나,[201] 2010년판에서는 병원 내 심정지에서 숙련자에 한해 권장되었고, 이후 가이드라인에서는 권장도에 대한 정보가 갱신되지 않았다.[202]심폐소생술 중 냉각 요법은 현재 결과가 뚜렷하지 않아, 결과 개선 여부를 연구 중에 있다.[51]
내부 심장 마사지는 심장 수술을 위해 가슴이 이미 열려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수술 절개를 통해 노출된 심장을 직접 손으로 짜는 것이다.
흉부의 기계적 감압을 사용하는 능동적 압박-감압 방법은 심정지 환자의 결과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52] 1990년에 등장한 카디오 펌프(CardioPump)라는 장치는 흡착판으로 흉골을 끌어올려 흉강 내 음압을 증대시켜 효율적인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199] 하지만, 체력을 필요로 하며, 일반적인 방법에 비해 작업자의 산소 소비량이 25% 증가하여 심폐소생술 시행자의 부담이 크다.[199]
기계적 흉부 압박 장치로는 [https://www.lucas-cpr.com/jp/ LUCAS] 및 [http://www.asahi-kasei.co.jp/asahi/jp/services_products/sector/health_care/#anc03 AutoPulse] 등이 있다.
9. 효과
심폐소생술은 뇌와 신체에 산소를 공급하여 생존율을 높인다. 즉각적인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은 생존율을 극적으로 향상시킨다.[225] 심정지가 발생하면 4-5분 내에 뇌 손상이 시작되므로 목격자의 신속한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며, 통상 제세동이 1분 지연될 때마다 생존율이 7-10% 감소하지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시에는 분당 2.5-5% 감소한다.[225]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실시했을 때 생존율은 실시하지 않았을 때보다 2-3배 높다.[225]
심정지 발생 시 인체는 3단계를 거쳐 변화한다.[228]
# 초기 4-5분: 특별한 조직 손상이 없으며, 적절한 응급 치료로 회복 가능.
# 4-5분에서 10분 사이: 조직 내 산소 급격히 소모, 손상 발생. 심폐소생술을 통해 혈액 순환 및 산소 공급 필요.
# 10분 이후: 조직 손상 심각, 효과적인 치료법 없음.
심폐소생술은 1, 2단계에서 효과적이다. 가슴 압박으로 심장을 압축하여 혈액을 순환시키고,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여 손상을 막고 다음 단계 치료가 가능할 때까지 환자 상태를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 다음 조치로는 자동 제세동기(AED)를 이용한 제세동이 신속성 면에서 효과적이다.
가슴압박에 의한 혈액순환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는 이론에는 심장펌프이론과 흉강펌프이론이 있다. 심장펌프이론은 가슴을 압박하면 흉골과 척추사이의 가장 큰 장기인 심장이 압박이 되고, 특히 심실이 압박됨으로써 심실 내 압력이 증가되어 순환이 이루진다는 이론이다. 흉강펌프이론은 가슴을 압박하면 흉강 내 압력이 상승되면서 상승된 흉강내압과 흉강외압의 차이에 의하여 순환이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심폐소생술은 반응이 없고 호흡이 없거나 고뇌 호흡만 보이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데, 이는 그들이 심정지 상태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18] 맥박이 있지만 호흡이 없는 경우(호흡 정지)에는 인공 호흡이 더 적절할 수 있지만, 일반인은 맥박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심폐소생술을 우선 시행하도록 권고한다.[5] 의료 전문가는 맥박 확인을 선택할 수 있다.[5] 외상으로 인한 심정지 환자에게는 심폐소생술이 무의미하다고 여겨지지만, 여전히 권장된다.[6] 긴장성 기흉이나 심장 압전과 같은 근본적인 원인을 교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6]
심폐소생술(CPR)은 심정지 환자의 혈액을 산소화하고,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장기를 살리기 위해 심박출량을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7] 혈액 순환과 산소화는 산소를 조직으로 운반하는 데 필요하며, 심폐소생술은 동맥과 정맥 혈관 사이의 압력 기울기를 생성하여 이를 달성한다.[7]
뇌는 혈류 중단 후 약 4분 만에 뇌 손상이 시작되고, 약 7분 후에는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을 수 있다.[8][9][10][11][12] 일반적으로 혈류가 1~2시간 동안 중단되면 신체 세포는 괴사한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은 혈류 중단 후 7분 이내에 시행될 때만 효과적이다.[13] 심장 또한 정상적인 리듬을 유지하는 능력을 빠르게 잃는다. 익사 사고와 같이 저체온증 상태에서는 뇌 생존 시간이 연장된다.
심정지 후,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은 뇌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뇌간 사망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제세동에 반응하도록 돕는다.[14] 심폐소생술 동안 잘못된 압박 속도(분당 100~120회 권장)를 사용하면 심장을 채우는 혈액의 정맥 귀환이 감소하여 생존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5]
'''생존율:'''
연도 | 미국 내 병원 심폐소생술(CPR) | 미국 밖에서의 심폐소생술(CPR)[192] | |||
---|---|---|---|---|---|
총 생존율 (출처) | 일반인에 의한 AED를 사용한 CPR | 일반인에 의한 CPR (AED 유무를 묻지 않음) | CPR 실시가 목격되지 않음 | 총 생존율 | |
심장 박동이 회복된 비율 | |||||
2018 | 49% | 41.9% | 20.6% | 31.3% | |
퇴원 생존율 | |||||
2018 | 35% | 16.2% | 4.4% | 10.4% | |
2017 | 25.6%[193] | 33% | 16.4% | 4.6% | 10.4% |
2016 | 26.4% | 32% | 17.0% | 4.7% | 10.8% |
2015 | 23.8%[194] | 32% | 16.7% | 4.6% | 10.6% |
2014 | 24.8%[195] | 32% | 16.7% | 4.9% | 10.8% |
2013 | 16.8% | 4.7% | 10.8% | ||
2011 | 22.7%[196] | ||||
2009 | 18.6%[197] | ||||
2008 | 19.4% [197] |
2017년 미국 병원에서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의 26%가 퇴원까지 생존했다.[98][99] 2017년 미국에서 병원 밖 심정지를 목격한 사람들의 16%가 퇴원까지 생존했다.[100] 2003년 이후, 심폐소생술 후 환자의 광범위한 냉각[101] 및 기타 개선으로 생존율이 높아지고 정신적 장애가 감소했다.
생존자의 정신 능력은 CPR 전후에 거의 동일하며, 2000년에서 2009년까지 병원 CPR을 받은 미국 환자 12,500명의 뇌-수행 범주(CPC[106]) 코드를 기준으로 89%의 환자에서 유사했다. CPR 전보다 1% 더 많은 생존자가 혼수상태에 빠졌고, 5% 더 많은 환자가 일상 활동에 도움이 필요했으며, 5% 더 많은 환자가 중간 정도의 정신적 문제를 겪었지만 여전히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었다.[107]
병원 밖에서의 CPR의 경우,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코펜하겐에서 2,50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생존자의 21%가 중간 정도의 정신적 문제를 겪었지만 여전히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었고, 생존자의 11%가 심각한 정신적 문제를 겪어 매일 도움이 필요했다. 2,504명 중 2명의 환자가 혼수상태에 빠졌고(환자의 0.1%, 또는 생존자 419명 중 2명, 0.5%), 이 연구는 혼수상태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지 추적하지 않았다.[108]
혼수상태에 빠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2~3주 안에 회복되기 시작한다.[109] 의식 장애에 대한 2018년 지침에서는 "영구 식물 상태"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이상 적절하지 않다고 언급했다.[110] 정신 능력은 퇴원 후 6개월 동안 계속 향상될 수 있으며,[111] 그 이후 몇 년 동안도 개선될 수 있다.[109] 장기적인 문제의 경우, 뇌는 손상된 부위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경로를 형성한다.[112][113]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병원 밖 심정지 발생 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CPR)을 시도하는 비율은 14%[149]에서 45%[150] 사이이며, 중앙값은 32%이다.[151] 전 세계적으로는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1%에서 44%까지 보고되고 있다.[152] 그러나 이 심폐소생술의 효과는 변동이 심하며, 연구에 따르면 일반인 심폐소생술의 약 절반 정도만 제대로 수행된다고 한다.[153][154] 한 연구에서는 과거에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일반인들이 생명을 구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자신감이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보고서 저자들은 심정지에 대한 대응 의지를 높이기 위해 더 나은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151] 병원 밖 심정지 시 일반인 심폐소생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저렴한 교육
- 잠재적 심정지 환자의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
- 심폐소생술 강좌의 단순화 및 단축
- 심폐소생술에 대한 안심 및 교육 제공
- 특정 지역의 법적 영향에 대한 더 명확한 정보 제공
- 일반인 심폐소생술 제공에 대한 낙인과 두려움 감소에 집중[155]
심폐소생술이 시작될 가능성은 연령과 관련이 있다. 젊은 사람들은 응급 의료 서비스 도착 전에 심폐소생술을 받을 가능성이 훨씬 높다.[149][156] 일반인은 해당 환자의 집에서보다 공공장소에서 심폐소생술을 더 흔하게 시행하지만, 병원 밖 소생 시도의 절반 이상은 의료 전문가가 담당한다.[150] 환자와 아무런 관계가 없는 사람이 가족 구성원보다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가능성이 더 높다.[157]
심정지의 원인과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작할 가능성 사이에도 명확한 관련이 있다. 일반인은 의료적 원인으로 공공장소에서 심정지가 발생한 젊은 사람에게 심폐소생술을 가장 많이 시행하며, 외상, 출혈 또는 중독으로 인한 심정지 환자는 심폐소생술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157]
일반인이 소생술의 가슴 압박 요소만 수행하도록 지시받는 경우 심폐소생술이 시행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여겨진다.[37][158]
일반인과 전문가가 시행하는 심폐소생술 수혜에 대한 성별 편견에 대한 첫 번째 공식 연구는 미국 심장 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와 국립 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이 수행했으며, 미국 전역에서 약 20,000건의 사례를 조사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여성은 공공장소에서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남성보다 일반인 심폐소생술을 받을 가능성이 6% 낮았으며, 이러한 격차는 "성폭행 혐의를 받을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159][160]
심폐소생술(CPR)은 혈류가 멈춘 후 6분 이내에 시작해야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161] 왜냐하면 그 시간이 지난 후에는 신선한 혈액이 세포에 공급될 때 영구적인 뇌세포 손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뇌세포는 산소 결핍 환경에서 4~6분 만에 휴면 상태가 되므로, 일반적인 소생술로 산소를 다시 공급해도 생존할 수 없다. 심정지액 혈액 주입을 이용한 연구 결과, 심정지 간격이 72±43분인 경우 생존율이 79.4%였으며, 기존 방법으로는 이 시나리오에서 15%의 생존율을 기록했다. 이러한 새로운 지식을 바탕으로 심폐소생술, 제세동, 그리고 새롭고 진보된 점진적 소생술 기술이 어떤 역할을 할지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가 현재 필요하다.[162]
주목할 만한 예외는 극도로 낮은 온도에 노출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심정지이다. 저체온증은 신진대사 및 인체 생리학적 과정을 늦추어 조직의 산소 요구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163] 심폐소생술, 제세동, 그리고 진보된 온열 기술을 통해 상당 기간 저체온증을 겪은 피해자를 소생시킨 사례가 있다.[164]
CPR은 뇌에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다.
뇌 자체는 산소를 저장하는 능력이 없어, 호흡이 멈춘 후 4~6분 안에 저산소증으로 인한 비가역적인 상태에 빠진다. 따라서 최대한 빨리 뇌에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
인간의 뇌는 2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시작된 경우 생존율이 90% 정도이지만, 4분에는 50%, 5분에는 25% 정도가 된다. 따라서, 구급대 도착까지의 몇 분(5~6분) 동안, "현장에 있던 사람"("바이 스탠더", "시민 구조자"라고 부름)에 의한 CPR이 수행되는지가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생존의 사슬).
중증 환자의 경우, 최소 10%가 심폐소생술(CPR)로 생존한다. 미국 병원의 2001~2010년 샘플 조사에 따르면[217], 전체 생존율은 19%였으며, 암 환자는 10%, 투석 환자는 12%였다.
80세 이상은 14%, 흑인은 15%, 요양 시설 환자는 17%, 심부전 환자는 19%, 중환자실(ICU) 밖의 심장 모니터링 환자는 25%였다. 진행성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10%의 생존율을 보였다[218]。스웨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심폐소생술(CPR) 후 최소 30일 생존한 환자가 70~79세에서는 40%, 80~89세에서는 29%, 90세 이상에서는 27%였다.[219]
10. 합병증
심폐소생술로 인한 부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환자의 87%는 심폐소생술로 인해 부상을 입지 않지만,[120] 전체적으로 환자의 13%에서 부상이 발생하며(2009-12년 데이터), 흉골 또는 갈비뼈 골절(9%), 폐 손상(3%), 내부 출혈(3%) 등을 포함한다.[120]
내부 부상에는 심장 타박상,[114] 심장혈액막증,[115][116][117] 상기도 합병증, 복부 내의 장기 손상(간 및 비장 열상, 지방 색전증), 폐 합병증(기흉, 혈흉, 폐 타박상) 등이 있을 수 있다.[118][119] 대부분의 부상은 치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의 1%만이 심폐소생술로 인해 생명을 위협하는 부상을 입었다.[120][119]
갈비뼈 골절은 병원에서 퇴원한 생존자의 3%[120]와 병원에서 사망한 환자의 15%에서 나타나며, 평균 비율은 9%(2009-12년 데이터)[120]에서 8%(1997-99년) 사이이다.[121] 폐 손상 및 기타 내부 출혈은 환자의 3%(2009-12년)에서 발생했다.
뼈는 1-2개월 안에 치유된다.[123][124] 추가적인 사례에서 늑연골도 골절되는데, 이는 뼈가 부러지는 소리와 유사하게 들릴 수 있다.[125][126]
부상의 유형과 빈도는 성별과 연령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1999년 오스트리아에서 시체에 대한 심폐소생술 연구에서 가슴을 압박한 다음 바깥쪽으로 당기는 기계를 사용하여 여성 시체(17명 중 9명)에서 남성 시체(20명 중 2명)보다 흉골 골절 발생률이 더 높았으며, 갈비뼈 골절 위험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했지만, 그 정도는 밝히지 않았다.[127] 소아 및 유아는 심폐소생술 중 갈비뼈 골절 위험이 낮으며 발생률은 2% 미만이지만,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앞쪽에서 여러 개가 골절된다.[122][128][129]
심정지가 아닌 사람에게 구경꾼이 실수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약 2%가 부상을 입었으며(12%는 불편함을 경험함),[130] 2004년 개요에서는 "가슴 부상은 가슴 압박의 최적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치러야 할 대가이다. 신중하거나 소심한 가슴 압박은 개별 사례에서 뼈를 보호할 수 있지만 환자의 생명을 구하지 못할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122]
11. 기타
심폐소생술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구토이며, 환자가 토사물을 흡입하지 않도록 입을 깨끗이 해야 한다.[131] 1989년 워싱턴주 킹 카운티에서 실시된 연구에서는 35번의 심폐소생술 시도 중 16번에서 구토가 발생했다.[132]
11. 1. 임신 중 심폐소생술
임신 중인 여성에게 심폐소생술을 할 때는 몇 가지 특별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임신한 여성은 자궁이 커져서 하대정맥을 누를 수 있기 때문이다. 하대정맥은 우리 몸의 아래쪽에서 심장으로 혈액을 운반하는 큰 혈관인데, 이 혈관이 눌리면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량이 줄어들 수 있다.[205]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205]
- 첫 번째 방법은 다른 사람이 커진 배를 임신부의 왼쪽으로 밀어주면서 가슴 압박을 하는 것이다.
- 두 번째 방법은 침대를 왼쪽으로 30도 정도 기울여서 자궁이 하대정맥을 누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 자세를 자궁 좌측 전위 자세라고 하며, 회복 자세와 비슷하다. 이 자세를 취한 후 가슴 압박을 한다.
11. 2. 동물 심폐소생술
동물, 특히 고양이와 개에게도 심폐소생술(CPR)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186] 원칙과 방법은 사람의 심폐소생술과 유사하지만, 소생술은 대개 입이 아닌 동물의 코를 통해 이루어진다. 심폐소생술은 의식이 없는 동물에게만 실시해야 하며, 깨어있는 동물에게는 가슴 압박이 필요하지 않다. 동물은 종에 따라 인간보다 뼈 밀도가 낮을 수 있으므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뼈가 약해질 수 있다.[187]개의 기도 확보는 혀를 밖으로 당겨서 한다.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왼쪽 앞다리를 굽혔다 폈다 했을 때 팔꿈치가 닿는 가슴 부위가 심장이며, 그곳을 중형견 이하의 크기라면 손가락으로, 대형견 수준이라면 손으로 흉골 압박을 한다.[207]
코끼리 수준이 되면, 몸 위에 올라타 온몸의 체중을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208]
참조
[1]
논문
Part 11: Pediatric Basic Life Support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Quality: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01
[2]
논문
Part 1: Executive Summary: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5-11-01
[3]
논문
Bystander CPR and survival
2011-08-01
[4]
서적
Prehospital Emergency Care
Pearson Education
[5]
웹사이트
Part 2: Adult basic life support
https://www.erc.edu/[...]
2012-03-28
[6]
논문
Part 12: cardiac arrest in special situations: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0-11-01
[7]
웹사이트
ICU Physiology in 1,000 Word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http://pulmccm.org/m[...]
2015-03-20
[8]
웹사이트
Anoxic Brain Damage
http://www.thirdage.[...]
Third Age
2018-12-07
[9]
웹사이트
Anoxic Brain Injury
http://www.mountsina[...]
Mount Sinai Medical Centre
[10]
서적
Heart Book. Chapter 18:Stroke
http://www.med.yale.[...]
Yale University
[11]
웹사이트
A pleas for VBAC education
http://www.worldserv[...]
[12]
웹사이트
Hyperbaric Oxygen Therapy
http://www.familyhea[...]
Family Health News
2018-12-07
[13]
웹사이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irst aid
https://www.mayoclin[...]
2023-09-12
[14]
서적
Emergency Medical Services Response to Cardiac Arrest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ies Press (US)
2015-09-29
[15]
논문
The Physiolog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16-03-01
[16]
서적
CPR/AED Handbook
2010
[17]
웹사이트
Single-Rescuer Adult Basic Life Support {{!}} Circulation
https://web.archive.[...]
2024-11-27
[18]
논문
Part 1: executive summary: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0-11-01
[19]
논문
Part 1: Executive summary: 2010 International Consensus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Science With Treatment Recommendations
2010-10-01
[20]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quality: [corrected] improving cardiac resuscitation outcom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spital: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3-07-01
[21]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plus delayed defibrillation versus immediate defibrillation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14-09-01
[22]
서적
Guidelines for CPR and ECC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2016
[23]
웹사이트
How to Perform Child and Baby CPR {{!}} Red Cross
http://redcross.org/[...]
2024-06-29
[24]
웹사이트
Highlights of the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PR and ECC
http://www.heart.org[...]
[25]
서적
CPR/AED for Professional Rescuers
[26]
웹사이트
Highlights of the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PR and ECC
http://www.heart.org[...]
[27]
웹사이트
Highlights of the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PR and ECC
http://www.heart.org[...]
[28]
서적
First Aid Manual
St. John Ambulance; St. Andrew's First Aid; British Red Cross Society
[29]
웹사이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http://betterhealth.[...]
2022-10-20
[30]
서적
CPR/AED for Professional Rescuers
[31]
웹사이트
Resuscitation Council UK Pa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Guidelines
http://www.resus.org[...]
2010-10-24
[32]
웹사이트
Highlights of the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PR and ECC
http://www.heart.org[...]
[33]
논문
A randomised controlled comparison of video versus instructor-based compression only life support training
2019-03-01
[34]
웹사이트
Highlights of the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PR and ECC
http://www.heart.org[...]
[35]
논문
Chest-compression-only versus standar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meta-analysis
2010-11-01
[36]
웹사이트
Highlights of the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PR and ECC
https://web.archive.[...]
2015
[37]
간행물
Cardiocerebral Resuscitation: Could this new model of CPR hold promise for better rates of neurologically intact survival?
http://emsresponder.[...]
2008-06-01
[38]
논문
Effectiveness of different compression-to-ventilation method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systematic review
http://wrap.warwick.[...]
2017-09-01
[39]
웹사이트
Compression-Only CPR vs. CPR with Rescue Breaths
https://fundamentalf[...]
2023-08-29
[40]
웹사이트
BPM for Stayin' Alive by Bee Gees
https://songbpm.com/[...]
[41]
웹사이트
Another One Bites The Dust by Queen
https://www.beatdete[...]
[42]
웹사이트
BPM for Another One Bites The Dust by Queen
https://songbpm.com/[...]
[43]
뉴스
From Queen, The Best Song For CPR – Except For The Lyrics
http://commonhealth.[...]
[44]
논문
Outcomes of chest compression only CPR versus conventional CPR conducted by lay people in patients with out of hospital cardiopulmonary arrest witnessed by bystanders: nationwide population based observational study
2011-01-01
[45]
간행물
Compression-Only CPR Is Less Effective Than Conventional CPR in Some Patients
http://emergency-med[...]
2011-03-04
[46]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prone position: a simplified method for outpatients
2006-05-01
[47]
논문
Part 7: CPR techniques and devices: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0-11-01
[48]
논문
Review of evidence about family presence during resuscitation
2014-12-01
[49]
논문
Family presence during resuscitation and invasive procedures in pediatric critical care: a systematic review
2014-11-01
[50]
논문
Part 7: CPR techniques and devices: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0-11-01
[51]
논문
Early neuroprotection after cardiac arrest
2014-06-01
[52]
논문
Active chest compression-decompressio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13-09-01
[53]
웹사이트
Highlights of the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PR and ECC
http://eccguidelines[...]
2015
[54]
웹사이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irst aid
http://mayoclinic.or[...]
2024-07-11
[55]
웹사이트
Cardiopulmonary Arrest in Children
https://ncbi.nlm.nih[...]
StatPearls Publishing
2023-02-01
[56]
웹사이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irst aid - Mayo Clinic
https://mayoclinic.o[...]
2015-02-07
[57]
웹사이트
Drowning adult
https://www.sja.org.[...]
St. John Ambulance
2024-09-03
[58]
웹사이트
Silicon Chip Article
http://www.siliconch[...]
[59]
논문
Mechanical versus manual chest compressions for cardiac arrest
2018-08-01
[60]
논문
CPR quality improvement during in-hospital cardiac arrest using a real-time audiovisual feedback system
2007-04-01
[61]
논문
Quality of out-of-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ith real time automated feedback: a prospective interventional study
https://zenodo.org/r[...]
2006-12-01
[62]
웹사이트
CPREzy
http://www.cprezy.co[...]
[63]
웹사이트
CPR Glove Website
http://www.atreomedi[...]
[64]
논문
CPREzy: an evaluation during simulated cardiac arrest on a hospital bed
2005-01-01
[65]
논문
Improvement in timing and effectiveness of external cardiac compressions with a new non-invasive device: the CPR-Ezy
2002-07-01
[66]
웹사이트
Public Health Initiative Uses PocketCPR to Help Improve Cardiac Arrest Survival Rates
http://www.pocketcpr[...]
2008-10-20
[67]
논문
Use of Mechanic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s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10-2016
2019-10-01
[68]
웹사이트
Product specifications – LUCAS – Chest Compression System
https://www.lucas-cp[...]
[69]
논문
Evaluation of LUCAS, a new device for automatic mechanical compression and active decompression resuscitation
2002-12-01
[70]
문서
LUCAS – Lund University Cardiopulmonary Assist System
Department of Cardiothoracic Surgery, Clinical Sciences, Lund University
2011
[71]
논문
Compartment syndrome of the hand as a complication of prolonged mechanic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20-01-01
[72]
논문
The merits of mechanical CPR: Do mechanical devices improve compression consistency and resuscitation outcomes?
http://www.jems.com/[...]
2012-09-01
[73]
논문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for Resuscitation 2010 Section 2. Adult basic life support and use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2010-10-01
[74]
논문
Part 7: CPR techniques and devices: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2010-11-01
[75]
논문
Manual vs. integrated automatic load-distributing band CPR with equal survival after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The randomized CIRC trial
2014-06-01
[76]
논문
Mechanical versus manual chest compression fo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RAMEDIC): a pragmatic,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2015-03-01
[77]
논문
Manual chest compression vs use of an automated chest compression device during resuscitation follow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randomized trial
2006-06-01
[78]
웹사이트
Prove It: Mechanical chest compression devices vs. manual compressions
http://www.ems1.com/[...]
2016-03-28
[79]
논문
Smartphone app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nd real incident support: a mixed-methods evaluation study
2014-03-01
[80]
웹사이트
Red Cross First Aid App Can Help Save Lives
https://www.redcross[...]
[81]
웹사이트
Lifesaver
https://www.resus.or[...]
[82]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Chest-Compression-Only CPR
http://heart.arizona[...]
[83]
웹사이트
Heart attack survival rate continues to climb in King County
http://www.kingcount[...]
[84]
웹사이트
About
http://www.resuscita[...]
[85]
논문
In-hospital cardiac arrest: impact of monitoring and witnessed event on patient survival and neurologic status at hospital discharge
2011-07-01
[86]
웹사이트
National Reports by Year
https://mycares.net/[...]
[87]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9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9-03-01
[88]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7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7-03-01
[89]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6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6-01-01
[90]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4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4-01-01
[91]
논문
Trends in survival after in-hospital cardiac arrest
2012-11-01
[92]
논문
Continuous chest compression versus interrupted chest compressio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non-asphyxial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17-03-01
[93]
논문
Conventional and chest-compression-on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bystanders for children who have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a prospective,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2010-04-01
[94]
웹사이트
Checklist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rrhythmias
http://www.americanh[...]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9-01-16
[95]
논문
Partial pressure of end-tidal carbon dioxide successful predict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field: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2008-01-01
[96]
논문
End-tidal carbon dioxide monitoring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987-01-23
[97]
논문
Long-term outcomes in elderly survivors of in-hospital cardiac arrest
2013-03-01
[98]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9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9-03-01
[99]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8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8-03-01
[100]
웹사이트
National Reports by Year
https://mycares.net/[...]
[101]
논문
Therapeutic hypothermia after cardiac arrest: an advisory statement by the advanced life support task force of the 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e on Resuscitation
2003-07-01
[102]
논문
Part 8: Post-Cardiac Arrest Care – ECC Guidelines
https://eccguideline[...]
2015-01-01
[103]
논문
An under-recognized benefi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rgan transplantation
2013-12-01
[104]
논문
The rate of brain death and organ donation in patients resuscitated from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1-01
[105]
뉴스
How can one organ donor save eight lives?
http://www.bendbulle[...]
2017-11-03
[106]
웹사이트
Cerebral Performance Categories Scale
http://www.fda.gov/o[...]
1981-01-01
[107]
논문
A validated prediction tool for initial survivors of in-hospital cardiac arrest
2012-06-01
[108]
논문
Resuscitation of patients suffering from sudden cardiac arrests in nursing homes is not futile
2014-03-01
[109]
서적
Coma Science: Clinical and Ethical Implications
2009-01-01
[110]
논문
Practice guideline update recommendations summary: Disorders of consciousness: Report of the Guideline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the American Congress of Rehabilitation Medicine; and the National Institute on Disability, Independent Living, and Rehabilitation Research
2018-09-01
[111]
논문
Functional Neurologic Outcomes Change Over the First 6 Months After Cardiac Arrest
2016-12-01
[112]
논문
A neurovascular niche for neurogenesis after stroke
2006-12-01
[112]
보도자료
New Insight Into How The Brain Regenerates After Stroke
https://www.scienced[...]
2006-12-23
[113]
뉴스
'Rewired brain' revives patient after 19 years
https://www.newscien[...]
2006-07-03
[114]
논문
Myocardial contusion injury: redefining the diagnostic algorithm
2005-07-01
[115]
웹사이트
Implicatii medico-legale in resuscitarea cardio-respiratorie
http://www.atitimiso[...]
[116]
서적
AHA, The Textbook of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and CPR
[117]
서적
Forensic Pathology: Principles And Practice
[118]
논문
Part 3: Adult Basic Life Support
http://circ.ahajourn[...]
2000-08-22
[119]
논문
Complications of cardiac resuscitation
1987-08-01
[120]
논문
Chest Compression Injuries Detected via Routine Post-arrest Care in Patients Who Survive to Admission afte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2015-01-01
[121]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erformed by bystanders does not increase adverse effects as assessed by chest radiography
2001-07-01
[122]
논문
Skeletal chest injuries secondary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04-12-01
[123]
웹사이트
Broken or bruised ribs
https://www.nhs.uk/c[...]
2017-10-17
[124]
웹사이트
Fractured Ribs Still Painful After 2 Months? You May Need Surgery
https://healthcare.u[...]
2018-06-14
[125]
웹사이트
CPR Review – Keeping It Real
http://heartsavercpr[...]
[126]
웹사이트
CPR Breaking Bones
http://emtlife.com/t[...]
2011-05-25
[127]
논문
Chest injuries after active compression-decompress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CD-CPR) in cadavers
1999-12-01
[128]
논문
Doe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ause rib fractures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2006-07-01
[129]
논문
Rib fractures in infants due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fforts
2007-06-01
[130]
논문
Dispatcher-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isks for patients not in cardiac arrest
2010-01-01
[131]
웹사이트
CPR – you CAN do it!
http://depts.washing[...]
[132]
논문
Disagree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bystander CPR
1989-03-01
[133]
웹사이트
Part 3: Ethical Issues – ECC Guidelines, section 3.2
https://eccguideline[...]
American Heart Association
[134]
논문
Hospital variation in survival after in-hospital cardiac arrest
2014-01-01
[135]
논문
Patterns of Resuscitation Care and Survival After In-Hospital Cardiac Arrest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2017-10-01
[136]
논문
Survival and neurological outcome in the elderly after in-hospital cardiac arrest
2017-09-01
[137]
논문
Epidemiologic study of in-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elderly
2009-07-01
[138]
논문
Chronic health conditions and survival after out-of-hospital ventricular fibrillation cardiac arrest
2007-06-01
[139]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utcomes in hospitalized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and nursing home residents based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2013-01-01
[140]
논문
Survival afte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in nursing homes - A nationwide study
https://findresearch[...]
2018-04-01
[141]
논문
Cardiac arrests in skilled nursing facilities: continuing room for improvement?
2007-03-01
[142]
논문
Resuscitation of residents with do not resuscitate ord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2003-07-01
[143]
웹사이트
CARES Fact Sheet
https://mycares.net/[...]
2019-06-27
[144]
뉴스
Special report: Many lives are lost across USA because emergency services fail (data for 2001, corrected 7/29/2003)
2003-07-28
[145]
논문
What is the outcome of cancer patients admitted to the ICU after cardiac arrest? Results from a multicenter study
2015-07-01
[146]
논문
Regional variation in the incidence and outcomes of in-hospital cardiac arrest in the United States
2015-04-01
[147]
웹사이트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2021: Ethics of resuscitation and end of life decisions
https://cprguideline[...]
2021-12-15
[148]
논문
The culture of dysthanasia: attempting CPR in terminally ill children
2013-03-01
[149]
논문
Bystander CPR,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survival in witnessed, unmonitore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1995-06-01
[150]
논문
Quality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fluences outcome after prehospital cardiac arrest
1994-12-01
[151]
웹사이트
Members of the public lack skills, confidence necessary to save lives with CPR, research shows
http://medicalxpress[...]
2011-11-12
[152]
논문
Increas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vision in communities with low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ates: a science advisory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for healthcare providers, policymakers, public health departments, and community leaders
http://circ.ahajourn[...]
2013-03-01
[153]
논문
Quality and efficiency of bystander CPR. Belgian Cerebral Resuscitation Study Group
1993-08-01
[154]
논문
Effectiveness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survival follow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1995-12-01
[155]
논문
Factors that influence bystander CPR: A narrative review
2017
[156]
논문
Who gets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a witnessed arrest?
1997-06-01
[157]
논문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The Cerebral Resuscitation Study Group
[158]
서적
First Aid and Extended Care
https://archive.org/[...]
Morris Book Publishing, LLC. & Falcon Guides
[159]
웹사이트
Bystanders less likely to give CPR to women
https://www.upi.com/[...]
2019-06-05
[160]
뉴스
Fear of touching women's chests may be barrier to giving CPR, researchers say
https://www.theguard[...]
2017-11-12
[161]
논문
Survival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with early init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985-03-01
[162]
논문
Sudden cardiac death: directing the scope of resuscitation towards the heart and brain
http://repositories.[...]
2006-07-01
[163]
보도자료
Heart has enough oxygen to survive hypothermia, CPR crucial
https://www.eurekale[...]
2006-07-18
[164]
논문
Recovery of a hypothermic drowned child after resuscitation with cardiopulmonary bypass followed by prolonge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2005-10-01
[165]
논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television. Miracles and misinformation
1996-06-01
[166]
논문
Public expectations of survival follow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000-01-01
[167]
웹사이트
Chicago CPR Classes
http://savingchicago[...]
[168]
뉴스
Resusci Anne and L'Inconnue: The Mona Lisa of the Seine
https://www.bbc.com/[...]
2022-05-23
[169]
웹사이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https://www.academia[...]
[170]
웹사이트
ViaHealth Rochester General Hospital statement on 'Cough CPR' email
http://www.viahealth[...]
2007-06-13
[171]
웹사이트
Snopes Urban Legends Reference – Cough CPR
http://www.snopes.co[...]
2003-09-02
[172]
논문
Cough CPR
http://www.resus.org[...]
[173]
웹사이트
Cough CPR
http://www.americanh[...]
American Heart Association
[174]
논문
Cough CPR
http://www.resus.org[...]
[175]
뉴스
Arizona 9-year-old boy, Tristin Saghin, Saved Sister With CPR, Congratulated by Movie Producer Jerry Bruckheimer
https://abcnews.go.c[...]
2011-04-22
[176]
웹사이트
Hands-Only CPR
https://cpr.heart.or[...]
[177]
웹사이트
index.php?s=43
http://www.newsroom.[...]
[178]
웹사이트
Americans can learn Hands-Only CPR with a new digital application
http://www.multivu.c[...]
[179]
웹사이트
Silvester's method
http://www.ucl.ac.uk[...]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7-06-12
[180]
뉴스
The Holger-Nielsen Method Of Artificial Respiration
http://nla.gov.au/nl[...]
2023-06-08
[181]
논문
The Breath of Life—Artificial Respiration
2013-04-01
[182]
웹사이트
Arrhythmias
http://www.hopkinsar[...]
Johns Hopkins Medicine
2008-09-06
[183]
웹사이트
Award of the Heart
https://content.time[...]
2008-05-28
[184]
논문
Hands-only (compression-on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call to action for bystander response to adults who experience out-of-hospital sudden cardiac arrest: a science advisory for the public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ommittee
2008-04
[185]
뉴스
American Heart Association revises CPR guidelines
http://usatoday30.us[...]
2010
[186]
웹사이트
How to Perform Pet CPR
https://www.redcross[...]
2024-04-27
[187]
웹사이트
CPR for Cats & Dogs
http://depts.washing[...]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188]
서적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pediatric critical illness and inju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
[189]
문서
通常「心臓マッサージ」といわれるものは、正確には「胸骨圧迫」。
[190]
뉴스
人工呼吸、省略OK? 変わる心肺蘇生法 京都市消防局が救命講習
https://www.sankei.c[...]
産経West
2018-06-18
[191]
간행물
救急蘇生法の指針2015(市民用)
http://www.fdma.go.j[...]
総務省消防庁
[192]
웹사이트
National Reports by Year « MyCares
https://mycares.net/[...]
2019-06-26
[193]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9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9-03-05
[194]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7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7-03-07
[195]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6 Update
2016-01-26
[196]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4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4-01-21
[197]
논문
Trends in Survival after In-Hospital Cardiac Arrest-supplement
2012-11-15
[198]
웹사이트
ハンズオンリーCPRに関するAHA勧告声明
http://eccjapanheart[...]
[199]
웹사이트
6/24/ACT
https://plaza.umin.a[...]
2022-07-10
[200]
논문
開胸心臓マッサージ
https://webview.isho[...]
[201]
웹사이트
AHA ガイドライン2005
https://plaza.umin.a[...]
2023-03-05
[202]
논문
Part 3: Adult Basic and Advanced Life Support: 202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https://www.ahajourn[...]
2020-10-20
[203]
웹사이트
Part 7: CPR Techniques and Devices
https://www.ahajourn[...]
2010-11-02
[204]
웹사이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Prone Position: A Simplified Method for Outpatients
https://journals.lww[...]
2006-05
[205]
논문
妊産婦における心肺蘇生法の啓発
https://doi.org/10.2[...]
日本臨床麻酔学会
[206]
서적
Textbook of Neonatal Resuscitation, 5th Edition
医学書院
2006
[207]
웹사이트
【獣医師監修】犬の救急時の心肺蘇生法とは?心臓マッサージや人工呼吸について
https://psnews.jp/do[...]
2022-07-16
[208]
웹사이트
子ゾウを守ろうとした母親が失神、獣医師が足で「心肺蘇生」
https://www.cnn.co.j[...]
2022-07-16
[209]
웹사이트
子どもに使うAED電極パッドの選択に注意!|青森県支部からのお知らせ|日本赤十字社 青森県支部
https://www.jrc.or.j[...]
2022-07-16
[210]
웹사이트
応急手当Q&A
https://www.city.yok[...]
2022-07-16
[211]
웹사이트
フェースシールドの紹介
http://aeml.umin.ac.[...]
[212]
문서
AED와 페이스 실드
[213]
문서
JRC(일본 소생협의회)
[214]
문서
심폐소생술 시 유방 위치
[215]
웹사이트
川崎市:応急手当のQ&A
https://www.city.kaw[...]
2022-07-09
[216]
웹사이트
心肺蘇生法のやり方
https://www.city.asa[...]
2022-07-09
[217]
논문
Hospital variation in survival after in-hospital cardiac arrest
2014-01-01
[218]
논문
Patterns of Resuscitation Care and Survival After In-Hospital Cardiac Arrest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2017-10-01
[219]
논문
Survival and neurological outcome in the elderly after in-hospital cardiac arrest
2017-09-01
[220]
웹사이트
【資格】『赤十字救急法救急員』認定証取得について(AT資格希望者のみ) :: 法政大学 スポーツ健康学部
https://www.hosei.ac[...]
2022-07-22
[221]
웹사이트
【健康科学科】赤十字救急法基礎講習・救急員養成講習を実施しました!|新着情報|関西福祉科学大学
https://www.fuksi-ka[...]
2022-07-22
[222]
논문
心肺蘇生による合併症
https://doi.org/10.3[...]
日本集中治療医学会
2005-01-01
[223]
논문
心肺蘇生時の合併症に関するアンケート調査
https://doi.org/10.1[...]
日本蘇生学会
2016-01-01
[224]
논문
http://www.kacpr.org[...]
2012-11-14
[225]
문서
대한심폐소생협회(2011)
[226]
논문
http://www.cdc.go.kr[...]
2012-11-14
[227]
웹인용
https://mycares.net/[...]
2012-11-14
[228]
문서
대한심폐소생협회(2011)
[229]
논문
http://circ.ahajourn[...]
2012-11-14
[230]
논문
http://circ.ahajourn[...]
2012-11-14
[231]
웹사이트
성인심폐소생술
http://health.naver.[...]
[232]
논문
http://circ.ahajourn[...]
2012-11-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전남 신안서 잠수 어업하던 60대 어민 숨져
세종, 심정지 자발순환 회복률 ‘전국 최고’···왜?
심판 보다 "쿵!" 다급한 순간…휴가 중이던 경찰, 거침없이
9월2일 알림
익수자 구하려 구명조끼 건네다 되레 바다에 빠진 20대 숨져
광안리해수욕장서 아침 수영 60대 심장마비로 숨져
고양서 상가 스프링클러용 저수 시설에 빠져 60대 남성 사망
부산 기장 앞바다서 숨진 해녀 2명 부검 결과는 '익사'
강서구서 3모녀 추락사…현장에선 채무 관련 메모
오피스텔에서 떨어진 엄마와 10대 두딸…경찰, 사고 경위 등 수사 중
평택 초등교 급식실서 50대 조리실무사 감전…심정지 상태서 회복
인천공항 여객터미널서 70대 작업자 추락사…현장소장 송치
한강 기동순찰반, 양화대교서 뛰어내리려던 10대 설득해 구조
대관령 트레일런 대회 참가 30대, 심정지 상태 병원 이송
평창 대관령면서 열린 트레일런 대회 참가 30대, 심정지 상태 병원 이송
물질 나섰던 사촌 사이 70대 해녀 2명…부산 바다서 숨진 채 발견
부산 기장 앞바다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된 해녀 2명 숨져
평택 자동차 부품 제조 공장서 방수작업 하던 60대 추락사
'한블리' 의식 잃은 승객 구한 기적의 3분…도로 위 영웅 조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