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카이아 속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카이아 속주는 기원전 146년 로마가 아카이아 동맹을 정복한 후 그리스 본토에 설치된 로마의 속주이다. 아카이아는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과 같은 로마의 분쟁에 휘말렸고,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기에는 원로원 속주가 되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는 그리스가 재건되었고, 아테네가 번영했다. 로마 시대 아카이아는 여러 도시가 자유 도시로 자치권을 누렸고, 로마의 통치 체제하에 다양한 직함의 관리들이 파견되었다. 후기 로마 제국 시대에는 모에시아 교구와 마케도니아 교구에 속했으며, 서고트족과 헤룰리족의 침략을 받았다. 아카이아는 농업, 광업, 교육, 수공업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을 했고, 그리스 문화는 로마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카이아 속주 - 테스피아이
    테스피아이는 고대 그리스 도시로, 에로스를 숭배하고 예술 작품을 소장했으며, 테바이와 대립하거나 동맹을 맺으며 페르시아 전쟁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로마 시대에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 기원전 140년대 설립 - 시시 고등학교
    시시 고등학교는 기원전 143년에 설립된 중국 최초의 공립학교에서 시작되었으며, 사마상여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하고 중국 상위 100개 고등학교에 속하는 학교이다.
  • 로마 제국의 속주 - 시칠리아 속주
    시칠리아 속주는 기원전 241년 로마 공화정이 시칠리아 섬을 최초의 속주로 만들면서 시작되었고, 로마의 중요한 밀 공급지였으며 노예 반란과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의 곡물 공급 차단 사건을 겪은 후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재편되었다.
  • 로마 제국의 속주 - 아이깁투스
    아이깁투스는 기원전 30년부터 7세기까지 로마 제국의 속주로서 곡물 공급지 역할을 했으나, 제국의 혼란, 반란, 외세 침략, 종교 갈등을 겪으며 7세기 이슬람 제국에 합병되었다.
아카이아 속주
개요
원어 명칭(그리스어)
로마자 표기Achaia (아카이아)
위치그리스
지도
서기 125년경 로마 제국 내 아카이아 속주
서기 125년경 로마 제국 내 아카이아 속주
상세 정보
구분속주
국가로마 제국
시대고대사
수도코린토스
시작기원전 27년
시작 사건마케도니아 속주에서 분리
종료7세기
종료 사건헬라스 테마로 재편
이전
이전 국가마케도니아 속주
이후
이후 국가헬라스 테마

2. 역사

기원전 150-148년에 로마는 제4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승리하여 마케도니아 왕국을 합병했다. 기원전 146년, 아카이아 동맹은 로마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로마의 압도적인 군사력에 패배했다. 폴리비오스는 아카이아 동맹의 민중 지도자들이 민족주의를 선동하고 자멸적인 전쟁을 일으켰다고 비난했다. 아카이아 동맹은 패배했고, 중심 도시 코린토스는 파괴되었다. 로마는 그리스 본토 전역을 합병하여 아카이아는 마케도니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아테네스파르타 등 일부 도시는 자치권을 유지했다.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기원전 89-85년)은 보이오티아와 아티카에서 벌어졌다. 기원전 89년, 폰토스의 왕 미트리다테스 6세는 로마의 아시아 속주를 점령하고, 아르켈라오스를 그리스로 파견하여 아리스티온을 참주로 옹립했다. 로마 집정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에피루스에서 아테네로 진격하여 보이오티아를 거쳐 아티카로 향했다. 술라는 기원전 87-86년 동안 아테네와 피레아스를 포위, 약탈하고 파괴했다. 그는 기원전 86년에 카이로네아 전투 및 오르코메노스 전투에서 아르켈라오스를 격파하여 로마의 지배를 확고히 했다.

아카이아의 상업은 더 이상 로마의 경쟁자가 되지 못했다.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가 패배한 후, 기원전 31년경 아우구스투스는 마케도니아를 아카이아에서 분리했지만, 공화정 시기처럼 원로원 속주 지위를 유지했다. 서기 15년, 티베리우스는 원로원 속주 프로콘술들의 잘못된 관리에 대한 불만에 대응하여 아카이아와 마케도니아를 황제 속주로 만들었다.[33] 서기 44년, 클라우디우스는 이 속주들을 다시 원로원 속주로 복원했다.[34]

그리스는 서서히 재건되어, 하드리아누스 황제 (117-138) 재위 기간에 절정에 이르렀다. 하드리아누스는 그리스 학자 헤로데스 아티쿠스와 함께 대규모 재건 계획을 추진하여 아테네와 여러 그리스 도시들을 아름답게 가꾸었다.

2. 1. 로마 이전

고대 그리스 시대 아카이아 지방(펠로폰네소스 반도 북부)의 폴리스들은 높은 자치를 누렸으나, 그리스 세계의 주역은 아니었다. 아테네스파르타 등 그리스의 유력 폴리스들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쇠퇴하였고, 기원전 4세기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 3세에게 복속되었다. 기원전 3세기, 아카이아인들은 안티고노스 왕조 마케도니아에 대항하기 위해 아카이아 동맹을 결성했다. 이들은 일리리아카르타고를 격파하며 세력을 확장하던 로마 공화정과 협력하여 마케도니아와 스파르타에 대항해 그리스의 패권을 노렸다. 클레오메네스 전쟁 (기원전 229년 - 기원전 222년)에서 아라토스의 지도하에 마케도니아와 연합하여 스파르타클레오메네스 3세에게 승리했고, 기원전 2세기 초에는 필로포이멘 아래에서 스파르타의 참주 마카니다스와 나비스에 맞서 싸웠으며, 기원전 192년 나비스가 사망하며 혼란에 빠진 스파르타를 강제로 아카이아 동맹에 가입시켰다.

2. 2. 로마 공화정 시대

기원전 150-148년에 로마는 제4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승리하여 마케도니아를 병합했다. 기원전 146년, 아카이아 동맹은 로마에 대항하여 아카이아 전쟁을 일으켰으나, 루키우스 뭄미우스가 이끄는 로마군에 패배하고 중심 도시 코린토스가 파괴되었다. 이후 로마는 그리스 본토를 병합하여 마케도니아 속주의 일부로 만들었으나, 아테네스파르타 등 일부 도시는 자치권을 유지했다.

기원전 144년 디메 사건에서 디메 시의 한 파벌은 로마가 부여한 정부 형태에 반대하는 혁명을 일으켰고,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세르빌리아누스[6]는 혁명가들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기원전 2세기 중반 그리스 도시 데메트리아스의 비문에는 로마법이 이미 적용되고 있었음이 나타난다.

그 후, 많은 그리스 공동체들은 로마와의 "우호 및 동맹" 조약 관계를 선호했다. 기원전 2세기 후반 에피다우루스와 트로이젠, 기원전 105년 아스티팔라이아, 기원전 94년 튀리움과의 조약이 이를 증명한다.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기원전 89–85년)은 아티카와 보이오티아에서 벌어졌다. 폰토스의 미트리다테스 6세 에우파토르는 로마 속주 아시아를 점령하고, 아르켈라오스를 보내 아테네에 아리스티온을 폭군으로 세웠다. 로마 집정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에피루스에서 아테네로 진격하여, 기원전 87-86년에 아테네와 피레우스를 포위, 약탈하고 파괴했다. 그는 기원전 86년 카이로네이아 전투와 오르코메누스 전투에서 아르켈라오스를 격파하여 로마의 지배를 유지했다.

그리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 내전의 주요 전장이 되었다. 카이사르의 내전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48년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폼페이우스를 격파했다. 기원전 46년, 남부 그리스는 처음으로 마케도니아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속주가 되었으나, 기원전 44년 카이사르 암살 이후 다시 변경되었다. 해방자 내전 동안 카이사르의 암살자들은 기원전 42년 필리피 전투에서 패배했고, 이후 그리스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게 할당되었다가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옥타비아누스에게 패배했다.

2. 3. 로마 제정 시대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가 패배한 후, 아우구스투스는 그리스, 테살리아, 에피루스 일부를 마케도니아 속주에서 분리하여 아카이아 속주를 설치했다. 아카이아는 원로원 속주가 되었다.[33] 서기 15년, 티베리우스는 원로원 총독의 부실한 통치에 대한 불만을 반영하여 아카이아와 마케도니아를 황제 속주로 만들었다.[8] 서기 44년, 클라우디우스는 마케도니아와 아카이아를 다시 분리하여 원로원에 반환했다.[9]

로마 황제 네로는 서기 66년에 그리스를 방문하여 고대 올림픽에 참가했다. 그는 모든 경기에서 우승했고, 다음 해에는 코린토스에서 열린 이스토미아 경기에서 그리스의 자유를 선포했다. 이 자유 선포는 베스파시아누스에 의해 취소되었다.

하드리아누스 (117–138)는 그리스 문화, 특히 아테네를 매우 좋아했다. 그는 126년에 아테네에서 헌법 개혁을 단행하고, '판헬레네스 의회'를 설립했다. 하드리아누스는 또한 올림피안 제우스 신전 완공과 같은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며, 아테네인들은 그의 명예를 기려 하드리아누스 개선문을 건설했다.

마르코만니 전쟁 중, 170년 또는 171년에, 코스토보키가 로마 영토를 침략하여 엘레우시스의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신전을 약탈했다. 루키우스 율리우스 베힐리우스 그라투스 율리아누스가 침략자 잔당을 소탕하기 위해 그리스로 파견되었다.[12]

2. 4. 로마 통치 체제

아테네, 델포이, 테스피아이, 플라타이아이 등 아카이아 속주의 많은 도시들은 "자유 도시"로 지정되어 총독의 권한 밖에 있었다.[12] 트라야누스 황제 통치 시기부터는 자유 도시들의 업무를 감독하기 위해 '개정관'이 임명되었는데, 이 직책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속주 총독의 직책과 통합되었다.[12]

소송은 총독에게 항소할 수 있었으며, 총독은 "평의회"(콘실리움)의 자문을 받았다.[12] 종종 사법 권한은 평의회 구성원이나 다른 관리들에게 위임되기도 했다.[12] 속주에 거주하는 그리스인과 로마 시민으로 구성된 속주민 배심원단도 있었다.[12]

속주 간 경계, 자유 도시, 로마 식민지에 관한 사건은 보통 황제가 결정했다.[12] 특정 금액 이상이 걸린 사건, 신분 관련 사건, 사형 선고 사건 등은 이러한 당국에 항소할 수 있었다.[12]

2. 5. 후기 로마 제국

디오클레티아누스 치하에서 아카이아 속주는 새로 신설된 교구인 모에시아 교구의 하위 행정 구역이 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 치세에 교구가 분할되면서 아카이아는 마케도니아 교구에 속하게 되었고, 마케도니아 교구는 4세기 동안 이탈리아 또는 일리리쿰 프라이펙투스에 소속되었다.[33]

267년, 헤룰리족은 에게 해를 침략하여 스파르타 근처에 상륙한 후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약탈했는데, 스파르타뿐만 아니라 코린토스, 아르고스,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전까지 파괴했다. 그들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아테네를 약탈했는데, 이후 아테네의 덱시푸스가 이끄는 지역 군대에 의해 격파되었다. 덱시푸스의 저술은 후대 역사가들에게 중요한 사료가 되었다.[15] 이 침략 이후 아테네의 고전 및 제국 시대 기념물의 상당 부분이 스폴리아로 징발되어 아크로폴리스 주변의 작은 지역만을 둘러싼 후 헤룰리족 침입 이후의 방벽을 건설하는 데 사용되었다. 비록 작은 도시가 되었지만, 아테네는 그리스 문화의 중심지, 특히 신플라톤주의 이교 철학의 중심지로 남았다.

395년 알라릭 1세가 이끄는 서고트족이 그리스를 침략했다. 아르카디우스 황제의 섭정으로 통치하던 스틸리코는 테살리아를 철수시켰고, 아르카디우스의 수석 고문인 유트로피우스는 알라릭이 그리스에 진입하도록 허용하여 그가 아테네, 코린토스,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약탈하게 했다. 스틸리코는 결국 397년경에 그를 몰아냈고, 알라릭은 일리리쿰의 마기스테르 밀리툼이 되었다.[16]

그리스는 비교적 일관되고 강력한 제국의 동부 절반에 속해 있었고, 결국 남은 로마 제국의 중심지가 되었는데, 이 제국은 현재 비잔틴 제국으로 알려져 있다. 후기 고대 시대에 대한 구식의 견해와는 달리, 그리스 반도는 로마 제국에서 가장 번영했던 지역 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높다. 빈곤, 인구 감소, 야만족의 파괴, 그리고 시민 사회의 쇠퇴에 대한 과거의 시나리오는 최근의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수정되었다.[17] 실제로 폴리스는 적어도 6세기까지 번영했던 것으로 보인다. 히에로클레스의 ''신덱모스''와 같은 동시대 텍스트는 후기 고대 그리스가 매우 도시화되었으며 약 80개의 도시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해 준다.[17] 이러한 극심한 번영에 대한 관점은 오늘날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4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그리스는 동부 지중해에서 가장 경제적으로 활발한 지역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7]

3. 경제

아카이아에서는 구리, 납, 은 광산이 개발되었지만, 생산량은 노리쿰, 브리타니아, 히스파니아 속주와 같은 다른 로마 지배 지역의 광산만큼 많지는 않았다. 그리스 채석장의 대리석은 귀중한 상품이었다.[1]

교육받은 그리스 노예는 의사와 교사로서 로마에서 수요가 많았으며, 이들은 중요한 수출품이었다. 아카이아는 또한 가구, 도자기, 화장품, 린넨과 같은 가정용 사치품을 생산했다. 그리스산 올리브와 올리브 오일은 제국 전역으로 수출되었다.[1]

4. 문화

팍스 로마나는 그리스 역사상 가장 긴 평화의 시기였으며, 그리스는 로마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제국 동부 지역 사이의 해상 무역의 주요 교차로가 되었다. 그리스어동방과 이탈리아에서 ''공용어'' 역할을 했으며, 갈레노스와 같은 많은 그리스 지식인들이 로마에서 대부분의 작업을 수행했다. 로마 문화는 그리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호라티우스는 "Graecia capta ferum victorem cepit" ("사로잡힌 그리스는 거친 정복자를 사로잡았다")라고 말했다.[13] 호메로스의 서사시는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영감을 주었고, 세네카와 같은 작가들은 그리스 양식을 사용하여 글을 썼다. 일부 로마 귀족들은 동시대 그리스인들을 뒤떨어지고 보잘것없는 존재로 여겼지만, 여전히 그리스의 문학, 철학, 그리고 유산을 받아들였다.[14]

이 기간 동안 그리스와 로마 동부의 많은 지역은 초기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다. 사도 바울 의 타르수스필리피, 코린토스, 그리고 아테네에서 설교했으며, 그리스는 곧 제국에서 가장 기독교화된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

5. 로마 총독 목록

다음은 아카이아 속주의 로마 총독 목록이다.

이름재임 기간
푸블리우스 루틸리우스 (루푸스) 누두스기원전 89년경[35][36][37]
가이우스 퀸크티우스, 가이우스 필리우스, 트로구스기원전 50년대[38][39]
푸블리우스 루틸리우스 루푸스기원전 48년
세르비우스 술피키우스 루푸스기원전 46—45년
푸블리우스 멤미우스 레굴루스서기 31년과 37년 사이 (마케도니아 속주와 함께)
루키우스 유니우스 갈리오 안나이아누스54년 이전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1세기 초
Aegeates70년대경
티투스 아비디우스 퀴에투스91—92년[40]
가이우스 아비디우스 니그리누스90년대경
아르메니우스 브로쿠스90년대경
L. 무나티우스 갈루스90년대경
M. 메티우스 루푸스90년대경
루키우스 헤렌니우스 사투르니누스98—99년
루키우스 율리우스 마리누스 카이킬리우스 심플렉스99—100년
C. 카리스타니우스 율리아누스100—101년
가이우스 미니키우스 푼다누스101년과 103년 사이
카시우스 롱기누스109년 이전
가이우스 아비디우스 니그리누스105년과 110년 사이
티투스 칼레스트리우스 티로 오르비우스 스페라투스111—112년
카시우스 막시무스116—117년
C. 발레리우스 세베루스117—118년
클로디우스 그라니아누스118—119년
T. 프리페르니우스 파이투스 로시아누스 게미누스122—123년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알부스127—128년
C. 율리우스 세베루스133—134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스카풀라135—136년
율리우스 칸디우스136—137년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켈레르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롱구스134년과 144년 사이[41][42]
Q. 리키니우스 모데스티누스 Sex. 아티우스 라베오144—145년[43]
섹스투스 퀸틸리우스 콘디아우스170년과 175년 사이
섹스투스 퀸틸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스무스170년과 175년 사이
루키우스 알비누스 사투르니누스175년과 182년 사이
가이우스 사부키우스 마이오르 카이킬리아누스184—185년[44]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프로쿨루스184—185년
가이우스 카이소니우스 마케르 루피니아누스192년경
푸피에누스 막시무스2세기 말
가이우스 아시니우스 프로티무스 콰두라투스192년과 211년 사이
[M.?] 클라우디우스 데메트리우스193년과 198년 사이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사투르니누스192년과 211년 사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아마란투스193년과 211년 사이
루키우스 율리우스 율리아누스198년과 211년 사이
아우렐리우스 프로쿨루스2세기 말
퀸투스 플라비우스 발부스200년과 213년 사이
루키우스 루키우스 프리실리라아누스211년과 217년 사이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레온티쿠스3세기 1분기
루틸리우스 푸덴스 크리스피누스234—237년
마르쿠스 울피우스2세기 말/3세기 초
[Ge]미니우스 모데스투스222년과 235년 사이
[...]우스 파울리누스세베루스 왕조 시기
Ti. 클라우디우스 Ti. 메[비우스 프]리스ㅋ[ㅜ스 ㅇ]ㅠ니오르221년과 250년 사이[45]
발렌스 테살로니쿠스갈리에누스 시기, 250년대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툴리아누스 심마쿠스319년경
스트라테기우스 무소니아누스353년
플라비우스 헤르모게네스350년대
베티우스 아고리우스 프라이텍스타투스364년경


참조

[1] 문서 IPAc-en|ə|ˈ|k|aɪ|ə
[2] 서적 Barrington Atlas, map 100
[3] 문서 IPAc-en|ə|ˈ|k|iː|ə
[4] 문서 The spelling "Achaea" is based on an erroneous but well-established transliteration of the Greek original (which does not have a diphthong) and in disregard of the Latin spelling (Achaia).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s publication claims (on p.1): "Following modern standard usage, 'Achaia' refers to the Roman province, 'Achaea' to an area of the northern Peloponnese." Furthermore, Oliver (1983) ''The Civic Tradition and Roman Athens'', p. 152 n. 6: 'The name of the province is ''Achaia''. [...] It is so spelled in good manuscripts of [Tacitus, Suetonius, and Seneca] and all Latin inscriptions.' The transliteration "Akhaïa" of the (Ancient and Modern) Greek is sometimes used in English, for example by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nd the Collins English Dictionary as an alternative to "Achaea". https://books.google[...]
[5] 서적 Roman provincial coinage: Τόμος 1 2003
[6] 논문 Quintus Fabius Maximus and the Dyme Affair (Syll. 684) https://www.jstor.or[...] 1995
[7] 문서 Appian Mithridatic Wars 6.39
[8] 문서 Tacitus, Annals.1.76
[9] 문서 Suetonius, Life of Claudius, 25.3
[10] 간행물 "Introduction: Collective Historical Nostalgia in 2nd Century Achaea" Routledge 2022
[11] 간행물 "'The City of Hadrian and not of Theseus': A Cultural History of Hadrian's Arch" Routledge 2022
[12] 서적 Marcus Aurelius: A Biography Routledge
[13] 웹사이트 Horace - Wikiquote https://en.wikiquote[...] 2018-04-27
[14] 논문 Becoming Roman, Staying Greek: Culture, Identity and the Civilizing Process in the Roman East 1994
[15] 서적 Rom und die Barbaren. Völker im Alpen- und Donauraum (300-600) https://books.google[...] Kohlhammer Verlag
[16] 서적 Rome's Gothic Wars: From the Third Century to Alar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17] 서적 Corinth: The First City of Greece Brill 2000
[18] 뉴스 Inscriptions d’Achaïe http://www.persee.fr[...] 1954
[19] 문서 AE|1954|31, CIL|1|2955
[20] 서적 Rome and the Greek East to the Death of Augustu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1984
[21] 뉴스 "Bulletin épigraphique" https://www.persee.f[...] 1979
[22] 서적 The Praetorship in The Roman Republic University Press 2000
[23] 문서 Tacitus Annales, iv.43
[24] 서적 I santuari di Asclepio in Grecia L'Erma di Bretschneider 2007
[25] 문서 Unless otherwise noted, governors from 91/92 to 136/137 are taken from Werner Eck,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Chiron, 12 (1982), pp. 281-362; 13 (1983), pp. 147-237.
[26] 논문 L. Marcius Celer M. Calpurnius Longus Prokonsul von Achaia und Suffektkonsul unter Hadrian http://www.jstor.org[...] 1991
[27] 논문 Una nuova coppia di consoli del 148 e il proconsul Achaiae M. Calpurnius Longus http://www.jstor.org[...] 1996
[28] 서적 Unless otherwise noted, governors from 144 to 182 are taken from Géza Alföldy,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29] 서적 Unless otherwise noted, governors from 184 to about 235 are taken from Paul M. M. Leunissen,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J.C. Gieben 1989
[30] 문서 CIL|10|3723
[31]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3
[32] 서적 Roman provincial coinage: Τόμος 1 2003
[33] 문서 타키투스, Annals.1.76
[34] 문서 수에토니우스, Life of Claudius, 25.3
[35] 뉴스 Inscriptions d’Achaïe http://www.persee.fr[...] 1954
[36] 간행물 AE 1954
[37] 서적 Rome and the Greek East to the Death of Augustus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38] 간행물 Bulletin épigraphique https://www.persee.f[...] 1979
[39] 서적 The Praetorship in The Roman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0] 간행물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1983
[41] 간행물 L. Marcius Celer M. Calpurnius Longus Prokonsul von Achaia und Suffektkonsul unter Hadrian http://www.jstor.org[...] 1991
[42] 간행물 Una nuova coppia di consoli del 148 e il proconsul Achaiae M. Calpurnius Longus http://www.jstor.org[...] 1996
[43]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44]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J.C. Gieben 1989
[45] 간행물 C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