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악의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의 제국"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소련을 지칭하며 사용한 용어이다. 이 표현은 앤서니 R. 돌란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1983년 3월 8일 레이건의 연설에서 소련을 "악의 제국"으로 명시적으로 지칭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이 연설은 소련의 핵 미사일 배치를 비판하고 서유럽에 NATO의 중거리 핵탄도 미사일 배치를 주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레이건은 이후에도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1988년에는 소련과의 관계 개선을 시사하며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용어는 냉전 시대의 미국과 소련 간의 대립을 상징하며,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반응과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국제 관계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은 1983년 소련이 대한항공 여객기를 격추하여 탑승객 269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냉전 시대 국제 관계 속에서 격추 원인과 책임 소재에 대한 논란과 의문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로널드 레이건의 연설 - 이 장벽을 허무시오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1987년 브란덴부르크 문 앞에서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서기장에게 베를린 장벽 철거와 동유럽 자유화를 촉구한 "이 장벽을 허무시오" 연설은 발표 당시에는 주목받지 못했으나, 베를린 장벽 붕괴 후 냉전 시대의 상징으로 재평가되며 다양한 해석을 낳고 있다.
악의 제국
연설 정보
제목악의 제국 연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플로리다 주 올랜도에서 열린 전미 복음주의 협회 연례 총회에서 연설
시트러스 크라운 볼룸에서 레이건
연설자로널드 레이건
날짜1983년 3월 8일
장소쉐라톤 트윈 타워 호텔
위치올랜도, 플로리다 주, 미국
대상전미 복음주의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 연례 총회
연설문악의 제국 연설

2. 배경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수석 연설문 작성가였던 앤서니 R. 돌란은 "악의 제국"이라는 문구를 만들었다.[1] 돌란은 1982년 6월 레이건의 영국 하원 연설 초안에도 유사한 표현을 넣었으나, 검토 과정에서 삭제되었다.[2] 그는 전국 복음주의자 협회 제41차 연례 회의에서 레이건의 연설 초안에 "악의 제국"이라는 문구를 포함시켰다.[3] 데이비드 거겐을 포함한 백악관 참모들은 연설 초안에서 "악의 제국" 부분을 반복해서 삭제했지만, 이 표현은 결국 레이건에게 전달된 최종 연설문에 포함되었다. 참모 비평가들은 이 행사가 중요하지 않고 주목받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4]

레이건은 초안을 직접 검토하고 편집하면서 국내 문제에 대한 내용을 늘렸다.[4] 돌란은 "원하는 대로의 낙태"를 "큰 도덕적 악"으로 언급했지만, 레이건은 이 부분을 삭제하고 "태어나지 않은 아이가 살아있는 존재가 아니라는 것이 증명될 때까지" 그 아이의 "생명, 자유, 행복 추구의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5] 레이건은 "악의 제국"이라는 문구는 유지했고, 초안의 강한 반공주의적 어조도 크게 변경하지 않았다.[6]

"악의 제국"이라는 문구는 레이건 대통령의 수석 연설문 작성가였던 Anthony R. Dolan|앤서니 R. 돌란영어이 창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일부 자료에서는 1982년 6월 레이건의 영국 하원 연설을 "악의 제국" 연설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24] 이 연설에서는 전체주의가 두 번 정도 언급되었을 뿐, "악의 제국"이라는 표현은 사용되지 않았다. 이 연설에서 사용된 특징적인 문구는 "역사의 재더미 (ash heap of history)"였으며, 이는 세계 공산주의의 필연적인 실패와 붕괴를 예고하기 위해 사용되었다.[25]

이와 비슷한 문구로, 소련 초기 정치인이자 혁명가였던 레프 트로츠키가 1917년 11월 멘셰비키에게 사용한 "역사의 쓰레기통"이라는 표현이 있었다.[26]

3. '악의 제국' 연설

1983년 3월 8일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쉐라톤 트윈 타워 호텔 시트러스 크라운 볼룸에서 열린 제41회 전국 복음주의 협회 연례 총회에서 로널드 레이건은 연설했다.[7] 이 연설은 소련을 지칭하는 "악의 제국"이라는 문구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기록되었으며, "악의 제국" 연설로 알려지게 되었다. 레이건은 그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8][9]

> 그렇습니다. 전체주의의 어둠 속에서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의 구원을 위해 기도합시다. 그들이 하나님을 아는 기쁨을 발견하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그들이 그렇게 할 때까지, 그들이 국가의 우월성을 설교하고, 개인 위에 국가의 전능함을 선언하며, 지구상의 모든 민족을 결국 지배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동안, 그들은 현대 세계의 악의 초점임을 알아야 합니다....

> 따라서 핵 동결 제안에 대한 논의에서, 나는 여러분에게 자만의 유혹, 즉 모든 것을 초월했다고 쾌활하게 선언하고 양측을 똑같이 비난하고, 역사의 사실과 '악의 제국'의 공격적인 충동을 무시하며, 단순히 군비 경쟁을 거대한 오해라고 부름으로써 옳고 그름, 선과 악의 투쟁에서 벗어나려는 유혹을 경계할 것을 촉구합니다.

청중들은 레이건의 연설에 박수를 보냈다.[10] 밴드는 그를 위해 "전진하는 그리스도 군사들"을 연주했다.[11]

이 연설에서 레이건은 소련이 동유럽에 새로운 핵 미사일 발사 기지를 건설한 것에 대한 대응 조치로, 서유럽에 NATO의 중거리 핵탄도 미사일 배치를 주장했다. 이는 실제로 배치되었으며, 이 연설 2년 후인 1985년 3월 11일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최고 지도자인 서기장에 취임한후 군축 협상의 자료로 사용되었다. 1987년, 레이건과 고르바초프는 중거리 핵전력 폐기 조약(INF 폐기 조약)에 서명하여 핵 군축이 합의되었고, 중거리 및 단거리 핵 미사일은 철폐되었다.[30]

4. 반응 및 평가

1984년 대통령 토론회에서 레이건은 "나는 소련에 대해 내가 확신하는 바를 여러 번 정확하게 말해왔고, 발언을 철회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이 해온 많은 일들은 우리의 도덕관념에서 악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1987년 미국의 보수파 마이클 존스는 소련의 범죄 목록을 정리하며 레이건에 동조했다.[31]

한편, 소련은 미국이야말로 전 세계 지배를 꾀하는 제국주의 초강대국이며, 자신들은 "인류의 이름으로" 그 미국과 싸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모스크바에서는 국영 타스 통신이 "악의 제국"이라는 구절은 레이건 행정부가 "광적인 반공산주의에 기초한 대립과 적대감의 관점에서밖에 생각할 수 없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32]

"악의 제국" 연설로부터 약 5년 후인 1988년 5월부터 6월에 걸쳐, 레이건은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회담을 가졌다. 이때 레이건은 기자로부터 지금도 소련을 악의 제국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더 이상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하며, 그 말을 쓴다면 "다른 때, 다른 시대다"라고 말했다.[33]

예일 대학교 역사학자 존 루이스 개디스는 소련을 "악의 제국"이라고 칭한 것과 그 영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34]

한편, "악의 제국"이라는 표현은 미국의 국내 정치를 시사하는 데에도 사용되기도 한다. 미국의 보수파 언론인 팻 뷰캐넌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버락 오바마 행정부 하의 21세기 미국이 그 이름에 걸맞음을 시사했다고 언급하면서, 푸틴이 낙태, 동성 결혼, 포르노와 성의 문란, 그리고 할리우드적 가치관을 지칭했다고 덧붙였다.[35]

4. 1. 미국 국내

당시 언론은 이 연설이 선동적이라고 비판했으며, 비평가들은 이 연설이 군축 협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12] ''크리스찬 사이언스 모니터''는 레이건의 수사가 군비 경쟁을 부추길 것이라고 주장했다.[13] 1984년 대선 토론에서 레이건은 소련에 대한 자신의 평가를 반복하면서도,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협력의 필요성을 인정했다.[14]

1987년 미국의 보수파 Michael Johns (policy analyst)|마이클 존스|영어는 소련의 범죄 목록을 정리하며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소련 공산주의는 바로 악의 제국이다"라며 레이건에 동조했다.[31]

한편, "악의 제국"이라는 표현은 미국의 국내 정치를 시사하는 데에도 사용되기도 한다. 미국의 보수파 언론인 팻 뷰캐넌에 따르면,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하의 21세기 미국이 그 이름에 걸맞음을 시사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낙태를 인정하는 것, 동성 결혼, 포르노와 성의 문란, 그리고 할리우드적 가치관을 지칭했다.[35]

4. 2. 소련의 반응

소련은 미국을 전 세계를 지배하려는 제국주의 초강대국으로 비난하며, 자신들은 "인류의 이름으로" 미국에 맞서 싸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모스크바에서 소련 국영 통신사인 타스는 "악의 제국"이라는 발언이 레이건 행정부의 "대결과 호전적이고 광적인 반공주의"를 보여준다고 비판했다.[15]

4. 3. 국제적 영향 및 평가

1984년 대선 토론에서 레이건은 소련에 대해 "나는 그들이 행한 많은 일들이 우리가 가진 어떤 도덕적 개념으로 보아도 악하다고 믿는다"고 말하면서도, "나는 또한 세계의 두 강대국으로서 우리가 서로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14]

소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지배하려는 제국주의 초강대국이며, 소련은 "인류의 이름으로" 이에 맞서 싸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모스크바에서 소련 국영 통신사인 타스는 "악의 제국"이라는 발언이 레이건 행정부가 "대결과 호전적이고 광적인 반공주의라는 관점에서만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15]

1988년 5월에서 6월, 레이건은 두 번째 임기 중 모스크바에서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을 만났다. 한 기자가 여전히 소련을 악의 제국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레이건은 더 이상 그렇게 생각하지 않으며, 그 용어를 사용했을 때는 "다른 시대, 다른 시대"였다고 답했다.[16]

G. 토마스 굿나이트는 "악의 제국" 연설이 핵전쟁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바꾸는 데 기여했다고 분석했다.[18] 존 루이스 개디스는 이 연설이 데탕트의 핵심 오류를 폭로하고 소련 지도부의 불안감을 조장했다고 평가했다.[21]

4. 4. 한국의 관점

6.25 전쟁 이후 소련북한의 위협에 직면했던 한국은 미국의 강력한 반공 정책을 지지해 왔다. 로널드 레이건의 '악의 제국' 연설은 이러한 한국의 안보 현실과 부합하는 측면이 있었으며, 한미 동맹 강화의 명분으로 작용했다. 한편, 진보 진영에서는 레이건 독트린에 따른 미국의 군사적 개입과 신냉전 구도 형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

5. 기타

2003년, 쿠바에서 미국으로 망명한 호세 콘트레라스를 영입하려던 찰나, 총액 3200만달러뉴욕 양키스에게 빼앗긴 보스턴 레드삭스의 CEO인 래리 루키노가 "양키스는 악의 제국"이라고 표현한 적이 있다.[36]

또한, 이를 인용하여 대만의 뉴스 사이트 NOWnews는 풍부한 자금력을 가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사악 제국(邪惡帝國)"(사악 제국=악의 제국)이라고 표현했다. 그 외에도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동양의 악의 제국(邪惡帝國東洋版)"이라고 칭한 적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Battle of the Evil Empire', by Frank Warner, ''The Morning Call,'' Allentown, Pa., March 5, 2000" http://frankwarner.t[...] Frankwarner.typepad.com 2003-12-04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웹사이트 Ronald Reagan, Address to the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 ("Evil Empire Speech") http://voicesofdemoc[...]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1983-03-08
[9] 웹사이트 President Reagan's Speech Before the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 http://www.president[...] The Reagan Information Page 1983-03-08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백과사전 President Ronald Reagan http://www.britannic[...] 1987-06-12
[16] 뉴스 Reagan Recants 'Evil Empire' Description https://www.latimes.[...] 1988-06-01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웹사이트 "'The Battle of the Evil Empire', by Frank Warner, ''The Morning Call,'' Allentown, Pa., March 5, 2000" http://frankwarner.t[...] Frankwarner.typepad.com 2003-12-04
[24] 웹사이트 "''Modern History Sourcebook'', Ronald Reagan: Evil Empire Speech, June 8, 1982." http://www.fordham.e[...] Fordham.edu
[25] 웹사이트 Ash Heap of History: President Reagan's Westminster Address 20 Years Later http://www.reaganshe[...] Heritage Foundation 2002-06-03
[26] 뉴스 On Language; Dust Heaps of History https://www.nytimes.[...] 1983-10-16
[27] 웹사이트 Ronald Reagan, Address to the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 ("Evil Empire Speech") http://voicesofdemoc[...]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1983-03-08
[28] 웹사이트 President Reagan's Speech Before the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 http://www.president[...] The Reagan Information Page 1983-03-08
[29] 간행물 Remarks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 in Orlando, Florida March 8, 1983 http://www.reagan.ut[...] Ronald Reagan Presidential Library & Museum
[30] 뉴스 What Is the I.N.F. Treaty and Why Does It Matter? https://www.nytimes.[...] 2019-02-01
[31] 웹사이트 Seventy Years of Evil https://cornellsun.c[...] Policy Review 2019-10-02
[32] 백과사전 President Ronald Reagan http://www.britannic[...] 1987-06-12
[33] 뉴스 Reagan Recants 'Evil Empire' Description http://articles.lati[...] 1988-06-01
[34] 서적 The Cold War: A New History Penguin Books 2006
[35] 웹사이트 Is Putin One of Us? http://townhall.com/[...] 2013-12-17
[36] 웹사이트 ヤンキースは悪の帝国だ。 https://number.bunsh[...] Sports Graphic Number 2018-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