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앞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대앞역은 1937년 8월 5일 수인선 개통과 함께 일리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과 함께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1994년 4호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으며, 2020년 9월 수인·분당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역명은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6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주변에는 안산 농수산물 도매시장,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상업 지구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산시의 전철역 - 달미역
달미역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 역으로, 석수골역으로 명명되었다가 지역 주민 의견을 반영하여 달미역으로 변경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선부3동 행정복지센터, 안산운전면허시험장, 안산제1종합시장 등이 인근에 위치해 있다. - 안산시의 전철역 - 초지역
초지역은 경기도 안산시 초지동에 위치한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의 환승역으로, 1994년 공단역으로 개통 후 2012년 역명 변경, 2018년 서해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단원구청, 화랑유원지, 안산스마트허브 등과 인접한 주요 지역에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한대앞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337 (이동 산 17-3)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
승강장 | 2개 |
선로 | 2개 |
구조 | 지상역 |
개업 | 1937년 8월 5일 개통: 2020년 9월 12일 개통: 2020년 9월 12일 |
한국어 역명 | |
한글 | 한대앞역 |
한자 | 漢大앞驛 |
로마자 표기 | Handaeap-yeok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안산선 수인·분당선 |
역 번호 | |450}} |K251}} |
이전 역 | 상록수역 사리역 |
다음 역 | 중앙역 중앙역 |
영업 거리 | 진접(경복대) 기점 72.9km 청량리 기점 74.2 km |
기타 정보 | |
역 종류 | 을종대매소 |
관리역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안산관리역 |
비고 | 안산선의 기점 수도권 전철 4호선의 기점 수인선의 기점 수인·분당선의 기점 |
2. 역사
1937년 8월 5일 수인선 개통과 함께 '''일리역'''(一里驛)으로 영업 개시 (정차장 등급)[10]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과 함께 '''한대앞역'''으로 역명 변경[11], 영업거리표 개정 (수원기점 20.0km→20.2km)[12]
1993년 1월 15일 과천선과 직결 운행 개시
1994년 4월 1일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 운행 개시
1994년 9월 1일 수인선 송도 ~ 한대앞 구간의 폐지로 시종착역이 됨[13]
1996년 1월 1일 수인선 영업 중지[14]
2015년 9월 4일: 수인선 한대앞역 철도거리표에서 삭제[15]
2020년 2월 2일: 수원 ~ 한대앞 구간 종합시험운행[16]
2020년 5월 29일: 철도거리표 사용개시에 따른 거리 수정.[17]
2020년 9월 12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2. 1. 수인선 시절
1937년 8월 5일 수인선 개통과 함께 '''일리역'''(一里驛)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10]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과 함께 '''한대앞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11] 영업거리표도 개정되었다.(수원기점 20.0km→20.2km)[12] 1994년 9월 1일 수인선 송도 ~ 한대앞 구간이 폐지되어 시종착역이 되었다.[13] 1996년 1월 1일 수인선 영업이 중지되었다.[14] 2015년 9월 4일 수인선 한대앞역은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었다.[15] 2020년 2월 2일 수원 ~ 한대앞 구간 종합시험운행이 시행되었고,[16] 2020년 5월 29일 철도거리표 사용개시에 따른 거리 수정이 있었다.[17] 2020년 9월 12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2. 2. 안산선 개통 이후
1937년 8월 5일, 수인선 개통과 함께 '''일리역'''(一里驛)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10]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이 개통되면서 '''한대앞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11] 수원기점 20.0km에서 20.2km로 영업거리표가 개정되었다.[12]1993년 1월 15일 과천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였고, 1994년 4월 1일부터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였다.[13] 1994년 9월 1일 수인선 송도 ~ 한대앞 구간이 폐지되면서 시종착역이 되었고,[14] 1996년 1월 1일 수인선 영업이 중지되었다.[15]
2015년 9월 4일, 수인선 한대앞역이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었다.[16] 2020년 2월 2일 수원 ~ 한대앞 구간 종합시험운행이 시행되었고,[17] 2020년 5월 29일 철도거리표 사용개시에 따라 거리가 수정되었다. 2020년 9월 12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2. 3. 수인분당선 개통
1937년 8월 5일 수인선 개통과 함께 '''일리역'''(一里驛)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10]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과 함께 '''한대앞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11] 영업거리표가 개정되었다.(수원기점 20.0km→20.2km)[12] 1993년 1월 15일 과천선과 직결 운행을 개시하였고, 1994년 4월 1일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 운행을 개시하였다. 1994년 9월 1일 수인선 송도 ~ 한대앞 구간이 폐지되어 시종착역이 되었고,[13] 1996년 1월 1일 수인선 영업이 중지되었다.[14] 2015년 9월 4일 수인선 한대앞역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었다.[15] 2020년 2월 2일 수원 ~ 한대앞 구간 종합시험운행이 시행되었고,[16] 2020년 5월 29일 철도거리표 사용개시에 따라 거리가 수정되었다.[17] 2020년 9월 12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3. 역명
개통 당시 역명은 "한대"와 "한대앞"이었으며, 2001년에 "한양대(안산)"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도 1번 출구 근처의 표지판에는 오래되어 '한대앞'으로 표기되어 있다.
개통 당시 영문 역명은 "Handaeap"이었으며 2001년에 "Hanyang Univ. at Ansan"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해당 학교의 공식 영문 명칭은 2009년부터 "Hanyang University ERICA"로 변경되었다.
3. 1. 한글 역명
개통 당시 역명은 "한대"와 "한대앞"이었으며, 2001년에 "한양대(안산)"으로 변경되었다.현재도 1번 출구 근처의 표지판에는 오래되어 '한대앞'으로 표기되어 있다.
3. 2. 영문 역명
개통 당시 영문 역명은 "Handaeap"이었으며 2001년에 "Hanyang Univ. at Ansan"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해당 학교의 공식 영문 명칭은 2009년부터 "Hanyang University ERICA"로 변경되었다.4. 역 구조
원래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었으나 2020년 9월 12일에 수인분당선이 개통되면서 2면 6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확장되었다. 출구는 2개가 있다. 4개의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대식 승강장 2면 4선을 가진 지상역으로, 교상역사를 가지고 있다.
출입구는 1번, 1-2번, 2번으로 총 3곳이 있다.
4. 1. 배선도
한대앞역은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며, 교상역사이다. 모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이 승강장 번호를 따로 표기한다. 출입구는 1번, 1-2번, 2번으로 총 3곳이다.
4. 2. 승강장
2020년 9월 12일 수인·분당선 개통 이전에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었으나, 이후 2면 6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확장되었다. 4개의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2. 1. 4호선 (안산선)
wikitext
4. 2. 2. 수인분당선
wikitext
5. 이용객 변동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