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근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근환은 황해도 연백군 출신으로, 3·1 운동에 참여하고 와세다 대학에서 유학했다. 1921년 친일파 민원식을 살해하고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며, 1933년 출소했다.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과 우익 운동에 참여했고, 한국 전쟁 중 조선인민군에게 납치되어 처형되었다.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여운형 암살과 김구 암살 관련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살해된 사람 - 이기붕
이기붕은 이승만 정권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며 권력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나,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몰락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한국의 살해된 사람 - 방응모
방응모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초기에 조선일보를 인수하여 사장이 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광산업과 장학 사업, 간척 사업을 추진하고 잡지 창간 등의 활동을 했으나, 친일 행위와 납북 행적으로 논란이 있다. - 황해남도 출신 - 김상돈
김상돈은 일제 강점기 언론인 출신으로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민주당 창당 참여, 민의원의원, 최초의 민선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 시절에는 미국으로 망명하여 반독재 운동을 전개한 정치인이다. - 황해남도 출신 - 장덕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교육자, 정치인이었던 장덕수는 와세다 대학교 유학 중 조선인 유학생 단체를 이끌고 신한청년당 결성에 참여했으며, 동아일보 주필과 고려공산당 상하이파 국내 지부 조직 등의 활동을 하였고,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했으나 암살당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 반공주의자 - 김성수 (언론인)
김성수는 인촌이라는 호를 사용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경성방직 설립, 동아일보 창간, 보성전문학교 인수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2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친일 논란이 있다. - 반공주의자 - 장기영 (1903년)
장기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제헌 국회의원, 외무부 차관보, 체신부 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측근으로 활동하다 결별 후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양근환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46년 1월 26일 |
사망 | 2021년 10월 15일 (75세)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학력 |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미국 시러큐스 대학교 행정학 박사 |
경력 | |
주요 경력 | 한국지방재정학회 회장 한국정책학회 회장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수상 | |
수상 | 황조근정훈장 |
2. 생애
황해도 연백군 출신이다. 천도교 신자가 되어 1919년에 3·1 운동에 참여했으며, 같은 해 9월에 일본 도쿄의 와세다 대학 정치경제학과에 입학했다.
3·1 운동으로 조선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독립운동 조직이 속속 결성되자, 일본은 유화책으로 대응했다. 여기에 동조한 것이 민원식을 중심으로 한 국민협회의 참정권 청원 운동이었다. 민원식은 각계각층을 방문하여 참정권 청원 운동을 홍보하고, 일본 당국에 제출할 서명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내선일체 상태에서 조선인은 점차 일본인과 같은 권리를 얻어 행복해질 수 있다는 논리를 주장했다.
이러한 국민협회의 주장이 조선인의 단결된 독립 요구를 흩뜨리기 위한 기만책이라고 여겨, 그를 대표적인 친일파 인물로 지목했다. 그리고 참정권 청원서를 들고 도쿄로 건너온 민원식을 직접 처단하기로 결심한 후, 1921년 2월 16일에 제국 호텔을 찾아가 그를 면담했다. 서명 운동을 위해 많은 사람을 만나던 민원식은 의심 없이 면회에 응했고, 양근환은 품에 숨겨둔 칼로 민원식을 살해했다.
현장에서 도주했으나, 2월 24일에 나가사키시 항구에서 상하이시로 출국하려다 경찰에 붙잡혔다. 1922년 재판에서 무기징역형이 확정된 후 약 11년 동안 옥중 생활을 하다가 1933년에 출소했다.
1945년 광복 후 귀국하여 미군정 치하에서 한국민주당 창당과 우익 운동에 참여했다.[2] 1950년, 한국 전쟁 중 피난길에 7월 5일 경기도파주시에서 후퇴하는 조선인민군에게 납치되어 인민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처형되었다.[2]
1980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1. 초기 활동
황해도 연백군 은천면 연남리 출신으로 본명은 양삼성이었다. 사촌 형 양진환(梁鎭煥)에 의하면 그는 원래 성격이 급하고 항상 협기가 많았으며, 어려서부터 재주가 있어 한문으로 소학과 맹자를 읽었다 한다.1912년 배천군 배천읍내에 있는 사립 동명학교(東明學校)에 입학, 1914년 배천 동명학교를 졸업하고 경성부로 올라가 공업전습소(工業傳習所)를 다녔다. 경성 체류 중 그는 일제의 식민통치에 더욱 강한 불만을 품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얼마 뒤 그만두고 연백 은천면에 내려간 후 각처를 떠돌며 방랑하다가 조선보병대에 입교하였다. 그러나 조선보병대에서 훈련 도중 일본인과 말다툼을 하다가 시비가 붙어 이 일로 몇 사람을 상하게 하고 경찰서에 체포되었다. 50일간 구류를 살기도 하였다. 곧 조선보병대도 그만두게 되었다.
천도교 신자가 되어 1919년에 3·1 운동에 참여했다.
2. 2. 민원식 암살 의거
1921년 2월 16일 정오경 양근환은 비수를 겉옷 안 주머니에 숨긴 뒤 민원식이 체류중이던 도쿄 제국 호텔로 찾아가 유학생동우회의 이기영(李基寧)이라는 이름으로 면회를 요청했다. 당시 민원식은 조선에서 받아온 청원서에 많은 서명을 받으러 다녔고, 동시에 일본 정계의 정치인, 지식인들을 대상으로 조선인 참정권 허용, 자치권 허용의 필요성을 설득하였다. 그는 우선 동우회에서 환영회를 계획하고 있다고 하여 민원식을 안심시켰으며 다시 국내상황을 물었다. 민원식은 국내는 아주 평온하다고 답을 하였다. 그는 이때 큰 소리로 "지금 온 겨레가 모두 일어나서 독립을 부르짖는데 어찌 평온하다고 할 수 있는가? 당신은 조선사람 아닌가? 당신은 정말 우리나라를 배반하는 자이다"하고 언성을 높였다. 민원식은 반박하며 "독립운동이라고? 상해에 있는 놈들은 모두 폭도이다. 이 자들이 어떻게 독립을 시킨다는 것이냐"라고 반박했다. 그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품속에 감추었던 칼을 뽑아 민원식을 찔렀다. 민원식은 부검 결과 3곳에서 치명상을 입었다.양근환은 현장에서는 피신했으나 2월 24일 나가사키 항구에서 상하이로 가는 팔번환(八幡丸)에 승선하려다가 수상경찰에 붙잡혔다. 곧 나가사키항 경찰에 인계된 뒤 도쿄의 형무소에 투옥되었다. 1921년 6월 30일 동경지방재판소에서 무기징역을 언도받아 항소하였다. 또한 그가 머무르던 집 근처에는 2명의 가담자가 체포되었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천도교의 일본 포교를 맡게 된 일본 동경지부전교 방정환, 박살성 등이 관련자로 지목, 의심받고 체포되기도 했다.
황해도 연백군 출신으로,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한 후, 천도교 신자가 되었다. 같은 해 9월에 일본 도쿄의 와세다 대학 정치경제학과에 입학했다.
3·1 운동으로 조선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독립운동 조직이 속속 결성되자, 일본은 유화책으로 대응했다. 여기에 동조한 것이 민원식을 중심으로 한 국민협회의 참정권 청원 운동이었다. 민원식은 각계각층을 방문하여 참정권 청원 운동을 홍보하고, 일본 당국에 제출할 서명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내선일체 상태에서 조선인은 점차 일본인과 같은 권리를 얻어 행복해질 수 있다는 논리를 주장했다.
이러한 국민협회의 주장이 조선인의 단결된 독립 요구를 흩뜨리기 위한 기만책이라고 여겨, 그를 대표적인 친일파 인물로 지목했다. 그리고 참정권 청원서를 들고 도쿄로 건너온 민원식을 직접 처단하기로 결심했다.
2. 3. 체포와 재판
황해도 연백군 출신의 천도교 신자로,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다. 같은 해 9월 일본 도쿄의 와세다 대학 정치경제학과에 입학했다. 3·1 운동 이후 민원식을 중심으로 한 국민협회의 참정권 청원 운동이 전개되자, 양근환은 이를 조선인의 독립 요구를 흩뜨리기 위한 기만책으로 여겼다. 1921년 2월 16일 제국 호텔에서 민원식을 칼로 살해한 후, 2월 24일 나가사키시 항구에서 상하이시로 출국하려다 경찰에 체포되었다. 1922년 5월 4일 동경공소원(東京控訴院)에서 무기징역형이 확정되어 도쿄 형무소에 투옥, 약 11년 동안의 옥살이를 마치고 1933년 2월 11일에 출소했다.2. 4. 해방 이후 활동
1945년에 8·15광복이 되자 한국으로 돌아와 미군정 치하에서 한국민주당의 창당과 우익 운동에 가담했다.[2] 그밖에 청년 남성들을 모아 혁신탐정사(革新探偵社)와 반공 청년 단체인 건국청년회(建國靑年會)를 조직하여 반공운동을 전개하였다.[2]1945년 10월 5일 양근환은 '각 정당 수뇌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간담회는 건준과 인공으로 나뉜 한국사회 좌,우 진영 통합을 목적으로 모임을 만들었다. 그는 각 단체에 초청장을 보냈고, 한민당에서 송진우, 김성수, 백관수, 김병로가 국민당에서는 안재홍, 건국동맹 대표 최근우, 인공에서는 여운형, 최용달, 허헌, 조선공산당은 박헌영, 이현상, 김형선 등이 참가했다. 각 정당 대표자들은 정치단체 통일 문제와 초당적 독립 및 정부수립 기관을 설치하자고 주장했다. 여기서 한민당은 중경 대한민국 임시정부(임정) 봉대론을 내세웠고, 간담회는 결렬되었다. 이때 여운형은 통일을 위해서라면 인공을 해체하겠다고 했지만 수습되지 못했다.
1945년 11월 29일 서울 종로구 수송정 64-1번지에 혁신탐정사를 설치하였다.[2] 한때 그는 송진우 암살 사건과 여운형 암살 사건의 관련자 내지는 배후로 의심받고 미군정 재판정에 서기도 했다.[2]
서울 종로구 중학동 자택에 있다가 1950년 한국 전쟁 중에 피난하던 길에 7월 5일 후퇴하는 조선인민군에게 납치되어 경기도 파주시에서 인민재판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9월 15일경 처형당했다.[2]
2. 5. 한국전쟁 중 피살
1950년 한국 전쟁 중 피난길에 올랐다가 7월 5일 경기도 파주시에서 후퇴하는 조선인민군에게 납치되었다. 인민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처형되었다.3. 사후
1980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4. 논란
4. 1. 여운형 암살 관련 의혹
양근환이 여운형을 직접 암살하라고 지시하지는 않았지만, 염동진 등과 함께 일부 청년들에게 여운형을 제거하라고 암시했다는 진술이 있다.[1] 여운형의 암살자들에게 무기를 제공했는데, 그가 여운형 암살을 알고 있었는지, 직접 지시했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1971년 당시 여운형 암살 사건을 재조사하던 서울지검 강력부 배명인 부장 검사와 이상현 검사는 한지근의 공범자인 김흥성 형제의 진술과, 당시 수도관구 경찰청 수사과 강력 주임 박경림(당시 경위) 등을 소환하여 조사했고, 대질심문을 하였다.[1] 김흥성 등의 증언으로는 한지근 외에도 김훈, 유순필 등의 공범이 있었다는 것이었다. 김훈의 진술에 의하면 1947년 6월 20일 김훈은 99식 권총을 양근환으로부터 받았다. 양근환은 세상이 시끄러운 때인 만큼 호신용으로 갖고 다니라며 주었다는 것이다.[1] 그러나 그가 직접 죽이라고 지시했는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4. 2. 김구 관련 의혹
양근환은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활동했다. 그런데 안두희는 김구 암살 관련해서 진술하던 도중 양근환의 혁신탐정사도 김구와 관련이 있는 조직이라 진술하였다.참조
[1]
뉴스
모호한 배후…권총 출처만 밝혀져|검찰서 발표한 몽양 암살 공범 4명의 진술 내용
중앙일보
1974-02-07
[2]
뉴스
양근환씨 중심으로 혁신 탐정사 설치
대중일보
1945-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