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성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성철은 1939년 전라남도 곡성군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와이 대학교에서 석사, 켄터키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동켄터키 대학교와 켄터키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교학부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고, 김대중 정부에서 주미국대사를 지냈다. 현재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좌교수를 역임했으며, 김대중 평화재단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곡성중앙초등학교 동문 - 강성재
    강성재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후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 해직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장 비서실장을 거쳐 제15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곡성중앙초등학교 동문 - 이소라 (배구 선수)
    이소라는 대한민국 배구 선수로, GS칼텍스와 한국도로공사에서 활동하며 2010년 아시안 게임 은메달을 획득했고, V리그 올스타전 서브 퀸으로 선정된 후 2018년에 은퇴했다.
  • 곡성중학교 동문 - 한갑수 (1934년)
    한갑수(1934년)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관료로, 다양한 정부에서 요직을 지냈으며 농림부 장관과 한국가스공사 사장을 역임했고, 남북경제공동위원회 남측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 곡성중학교 동문 - 윤경호
    윤경호는 2006년 영화 《구세주》로 데뷔하여 영화 《완벽한 타인》으로 황금촬영상 최우수 남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드라마와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하와이 대학교 마노아 동문 - 김재익 (1938년)
    김재익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와 미국 대학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한 경제학자이자 관료로, 한국 경제의 시장 중심 개혁에 기여했으나 아웅산 묘역 테러 사건으로 사망했다.
  • 하와이 대학교 마노아 동문 - 벳 미들러
    벳 미들러는 하와이 출신으로 브로드웨이와 게이 클럽에서 활동하며 경력을 시작해 《The Divine Miss M》의 성공을 발판 삼아 음악과 영화계에서 인기를 얻고 "윈드 비니스 마이 윙스" 등의 히트곡과 영화 《장미》, 《포에버 프렌즈》 등으로 널리 알려진 미국의 배우, 가수, 코미디언, 프로듀서이며 에미상, 그래미상, 토니상 수상과 사회 활동, 자선 사업으로도 유명하다.
양성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양성철
원어명梁性喆
로마자 표기Yang Seong-cheol
출생일1939년 11월 20일
출생지곡성군, 전라남도, 한국
국적대한민국
직업정치학자
알려진 정보국회 의원, 주미국 대사
정당새정치국민회의
학력서울대학교 (문학사)
하와이 대학교 (MA)
켄터키 대학교 (PhD)
자녀2명
관직
직책주미국 대한민국 대사
임기 시작2000년 9월 5일
임기 종료2003년 4월 16일
대통령김대중
이전이홍구
이후한승주
국회의원 정보
소속 정당새정치국민회의
선거구제15대 국회의원
기타 정보
인물 정보 틀이름: 양성철
원어명: 梁性喆
로마자 표기: Yang Seong-cheol
출생일: 1939년 11월 20일
출생지: 대한민국
직업: 정치인
경력: 제15대 국회의원

2. 어린 시절과 학력

양성철은 1939년 전라남도 곡성군에서 태어났다.[1] 곡성중앙초등학교, 곡성중학교, 광주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1] 1960년부터 1962년까지 군 복무를 했다.[1] 미국 하와이 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1] 켄터키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박사 학위 논문은 1960년 4월 혁명과 1961년 5.16 군사정변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1]

3. 학문 경력

양성철은 1970년 켄터키 대학교에서 4·19 혁명5·16 군사정변을 비교 연구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5] 이후 동켄터키 대학교에서 4년간 강의했고, 1975년부터 1987년까지 켄터키 대학교 정교수 및 대학원 교수로 재직했다.[1] 노스웨스턴 대학교, 인디애나 대학교, 펨브로크 주립 대학교 등에서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미국에서 북미 한국 정치학자 협회 창립 멤버이자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1986년 봄 학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초빙교수로 귀국했고, 그해 가을 학기부터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에서 정교수로 재직하며 교학부장, 원장대행 등을 역임했다.[1] 1989년 미국 시민권을 포기했으며,[1][6] 1994년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3. 1. 주요 저술

Revolution and change: a comparative study of the April Student Revolution of 1960 and the May Military coup d'etat of 1961 in Korea.|레볼루션 앤 체인지: 1960년 4월 학생 혁명과 1961년 5월 군사 쿠데타 비교 연구영어 (박사 학위 논문, 1970)

Korea and Two Regimes: Kim Il Sung and Park Chung Hee.|코리아 앤 투 레짐스: 김일성 앤 박정희영어 (1981)

The North and South Korean political systems: A comparative analysis.|더 노스 앤 사우스 코리안 폴리티컬 시스템스: 어 컴패러티브 어낼러시스영어 (1994)

''북한정치 연구'' (1995)

''한국정부론: 역대정권 고위직 행정 엘리트 연구(1948-1993)'' (1994)

''학문과 정치: 막스 베버와 21세기 전자 인간시대'' (2017) (공저)

''김대중 외교: 비전과 유산'' (2015) (공저)

4. 정치 경력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으로 전남 곡성·구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 국회 통일외무위원회 위원, 간사,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했다.[7] 1998년 새정치국민회의 전라남도 도당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았다.[8]

5. 외교 경력

2000년 5월, 김대중 정부는 제1차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양성철을 주미국대사로 임명했다. 이는 그의 정치, 외교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에서 파격적인 인사로 평가받았다.[9]

스트랫포(Stratfor)는 김대중 대통령이 양성철을 주미대사로, 40년 경력의 외교관이자 통상 전문가인 홍순영을 주중대사로 임명한 것을 햇볕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인사로 분석했다. 북한 문제 전문가인 양성철을 워싱턴에 보낸 것은 평양에 대한 한국의 정책 자율성을 상징하는 반면, 홍순영의 역할은 중국과의 관계를 증진하고 남북한 간 화해에 대한 베이징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9]

양성철(왼쪽), 육군장관 토머스 E. 화이트(Thomas E. White), 그리고 예편한 육군 중장 줄리어스 벡턴(Julius Becton)이 2001년 한국 전쟁 아프리카계 미국인 참전용사를 위한 헌화식에서.


2003년 2월, 양성철은 김대중 대통령의 퇴임과 함께 주미대사직에서 물러났으며, 후임으로는 한승주 전 외무부 장관이 임명되었다.[10]

6. 은퇴 이후 활동

주미대사직에서 물러난 후 양성철과 그의 부인은 한국으로 돌아왔다.[10] 그는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좌교수로 임용되어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재직했다.[1] 또한 2003년 8월부터 김대중 평화재단 자문위원, 자문위원장,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5년 7월 28일, 하와이 대학교 기금재단에 "양성철 이정진 강의 시리즈" 기금을 조성하기로 약정하고, 2021년 6월 8일 수정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 기금은 하와이 대학교 마노아 캠퍼스 한국학 연구소의 한국학 연구 증진 및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강의 시리즈는 한국 또는 아시아 문제에 관한 저명한 학자를 초청하여 강연을 듣도록 기획되었으며, 2년마다 진행되고 있다.

7. 상훈

연도상훈수여 기관비고
1963년건국포장대한민국 대통령4·19 혁명 3주년 기념
1998년자랑스러운 동문상광주고등학교 동문회
2000년올해의 인물전라남도 곡성군
2004년자랑스러운 동문상광주고등학교 서울·경기지역 동문회
2010년학교를 빛낸 졸업생 전당미국 켄터키대학교
2010년50년과 50개 이야기미국 하와이 동서문화 센터(East-West Center)
2021년자랑스러운 동문상광주고등학교[11]


8.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96년총선새정치국민회의28,251표 (70.37%)1위당선초선


참조

[1] 뉴스 고려대 국제대학원 양성철 교수 http://www.pressian.[...] 2007-12-27
[2] 뉴스 Ambassador Visits Santa Fe http://business.high[...] 2001-01-25
[3] 뉴스 손숙의 아주 특별한 인터뷰: 양성철 前 주미대사 http://www.nocutnews[...] 2007-04-26
[4] 뉴스 양성철 전 주미대사, DJ 오키나와 여행 동행기 http://www.donga.com[...] 2007-07-23
[5] harvnb
[6] 뉴스 양성철씨 가족의 국적 http://news.naver.co[...] 2000-06-12
[7] 뉴스 국민회의, 정부차원 北지원 필요성 주장 http://m.munhwa.com/[...] 1997-06-23
[8] 뉴스 국민회의 전남도지부장대행에 梁性喆의원 임명 http://news.naver.co[...] 1998-03-23
[9] 뉴스 Seoul's unusual choice of envoys http://atimes.com/ko[...] 2000-05-27
[10] 뉴스 양성철 주미대사 이임 http://news.naver.co[...] 2003-04-16
[11] 웹사이트 Kwangju High School Alumni Association http://www.ka.or.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