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담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육군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1895년 일본 유학 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제국 육군에 임관했으나, 러일 전쟁 이후 고종의 측근에서 호위와 감시를 병행했다. 한일 병합 조약 체결 후 조선보병대에서 근무했으며, 일본군에서 소장, 중장으로 진급했다. 3·1 운동 당시 순직 경찰관 초혼제에 참석하고, 중일 전쟁 발발 후 지원병제도에 찬성하며 친일 행위를 했다.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 2007년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회고록 《어담소장 회고록》을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장교 - 홍사익
홍사익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로, 몰락 양반 출신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여 중장까지 진급, 만주국군 고문 및 필리핀 포로수용소장을 지냈으며, 독립운동 지원 활동에도 관여했으나 전범으로 사형당한 인물로, 그의 삶은 친일 협력과 독립운동 지원 사이의 복잡한 갈등을 보여준다. - 대한제국의 장교 - 박영철 (1879년)
박영철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대한제국 군 장교 출신으로, 한일 병합 후 함경북도 및 전라북도 참여관, 강원도 및 함경북도 지사, 동양척식주식회사 감사,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등을 지내며 일제 식민 통치에 협력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 함종 어씨 - 어청수
어청수는 제14대 경찰청장을 역임했으며, 서울지방경찰청장과 경기지방경찰청장을 거쳐 경찰청장으로 취임하여 집회시위 관리, 아동 안전 지킴이 집 개소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촛불집회 관련 논란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 함종 어씨 - 어기구
어기구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충남 당진시에서 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순천향대학교 총학생회장과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거쳐 국회에서 다양한 상임위원회 활동을 수행하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를 역임했다. - 일본 육군 소장 - 사토 슌지
사토 슌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국과 만주에서 생물무기 개발 및 사용에 관여한 일본 제국 육군 장교로, 전쟁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그의 행위는 심각한 인도주의적 문제를 야기했다. - 일본 육군 소장 - 이희두
이희두는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일본 육군 소장으로 복무하며 일진회에 가담, 친일 행적을 보여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과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포함된 인물이다.
어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 어담 |
한자 | 魚潭 |
가타카나 | 오・담 |
히라가나 | ぎょ・たん |
로마자 표기 | Eo Dam |
인물 정보 | |
이름 | 어담 |
생애 | 1881년 음력 5월 7일 ~ 1943년 양력 7월 5일 |
출생지 | 경기도 광주군 |
복무 |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
복무 기간 | 1900년 ~ 1931년 |
최종 계급 | 대한제국 육군 정령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러일 전쟁 |
기타 이력 |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
2. 생애
경기도 광주군에서 태어나 1895년 국비유학생으로 일본에 유학했다. 게이오의숙을 거쳐 1899년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제11기로 졸업했다.[2]
1930년 일본 제국 육군 중장으로 진급했고, 1931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에 임명되어 1936년까지 연임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1938년 일제가 지원병제를 실시하자 매일신보에 이를 지지하는 담화문을 발표했다. 배영동지회 상담역과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도 맡았다.
2. 1. 대한제국 시기
1899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제11기로 졸업하고,[2] 1900년 대한제국 육군 포병 참위(參尉)로 임관했다. 동기생 가운데 노백린은 해외로 망명하여 독립운동가가 되었고, 김관현은 일제 관헌의 관료가 되었으며, 어담은 계속 일본 군대에 남아 있었다. 윤치호의 동생인 윤치성도 이들과 함께 졸업했으나 일찍 사망했다.[3]러일 전쟁 때 일본군이 조선에 주둔하자 일본 육사를 나온 어담은 능력을 인정받았고, 일본 제국은 그를 고종의 최측근에서 호위와 감시를 병행할 수 있도록 시종무관 등의 지근직으로 임명했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된 뒤 이왕직 왕실 호위부대인 조선보병대에서 근무했다. 1919년 3·1 운동 당시 만세 시위가 일어나면서 살해된 경찰관이 나오자, 1921년 경복궁에서 열린 순직경찰관초혼제에 참석했다는 기록이 있다.[4]
1920년 4월 26일에는 칙령 제118호에 따라 조선군인인 정령에서 일반 대좌로 전임되었다.
2. 2. 일제 강점기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 어담은 이왕직 왕실 호위부대인 조선보병대에서 근무했다.[4] 1919년 3·1 운동 당시 만세 시위로 인해 경찰관이 살해되자, 1921년 경복궁에서 열린 순직경찰관초혼제에 참석했다.[4]1920년 4월 26일, 칙령 제118호에 따라 조선군인 정령에서 일반 대좌로 전임되었다. 1922년 9월 18일에는 소장, 1930년 12월 22일에는 일본 제국 육군 중장으로 진급했다. 1931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에 임명되어 1936년까지 연임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1938년 일제가 지원병제를 실시하자 매일신보에 이를 지지하는 담화문을 발표했다. 배영동지회 상담역과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도 맡았으며, 김석원, 최린 등과 함께 후방 지원도 적극적으로 펼쳤다.
3. 사후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광복회와 함께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에 수록되었고,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과 중추원 부문에 선정되었다.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도 들어 있다.
4. 저서
회고록 《어담소장 회고록》을 남겼다.
참조
[1]
간행물
官吏創氏並改名
朝鮮総督府官報
1940-04-15
[2]
뉴스
"[1차 수록 예정자 명단] 주요인물 친일행적과 약력"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8-29
[3]
서적
친일파 99인 1
돌베개
1993-02-01
[4]
뉴스
경복궁 근정전이 조선의 야스쿠니 신사(?) - 일제강점기 이곳에선 해마다 무슨 일이 벌어졌나?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