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워드 8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워드 8세는 1894년에 태어나 1936년 조지 5세의 사망으로 영국의 국왕이 되었으나, 미국인 이혼녀 월리스 심슨과의 결혼을 위해 그 해 12월 퇴위했다. 그는 윈저 공작으로 불렸으며, 1972년 사망할 때까지 프랑스에서 거주했다. 그는 나치 독일과의 관계, 특히 아돌프 히틀러를 옹호하고 나치식 경례를 한 행위로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나치 부역자 - 윌리엄 조이스
    윌리엄 조이스는 영국 파시스트 연합에서 활동하며 반유대주의적 정책에 기여하고, 나치 선전 방송을 진행하다가 대역죄로 사형당했다.
  • 영국의 나치 부역자 - 오즈월드 모즐리
    오즈월드 모즐리는 영국의 정치인으로, 보수당과 노동당에서 활동하다 1930년대 초 파시즘으로 전향하여 영국 파시스트 연합을 결성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하원 의원을 거쳐 랭커스터 공작령 장관을 역임했으나, 기존 정당에 불만을 품고 파시스트 연합을 결성하여 활동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구금되었고, 전후 유럽 통합을 주장하며 정치 활동을 재개했으나 과거 행적으로 큰 지지를 얻지 못했다.
  • 에드워드 8세 - 월리스 심프슨
    월리스 심프슨은 미국 사교계 명사로, 영국 국왕 에드워드 8세와 결혼하기 위해 왕위를 포기하게 했으며, 윈저 공작 부인이 되었고, 사생활 논란 속에 1986년 사망했다.
  • 에드워드 8세 - 윈저 공작
    윈저 공작은 1936년 왕위를 포기한 에드워드 8세에게 주어진 작위이며, 그는 미국인 이혼녀 왈리스 심프슨과 결혼 후 프랑스 파리에서 망명 생활을 하다가 사망하여 작위가 소멸되었다.
  • 20세기 인도의 군주 - 에드워드 7세
    에드워드 7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나 웨일스 공으로 오랜 기간 지내다가 1901년 영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외교에 힘쓰고 9년 동안 영국을 통치하다 사망했다.
  • 20세기 인도의 군주 - 시드케옹 툴쿠 남걀
    시드케옹 툴쿠 남걀은 시킴 왕국의 제10대 왕으로, 다양한 교육을 받고 여러 언어에 능통했으며, 급진적인 개혁을 시도했으나 의문사한 인물이다.
에드워드 8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19년 웨일스 근위대 대령 복장을 한 에드워드
1919년 웨일스 근위대 대령 복장의 에드워드
작위영국 국왕
인도 황제
재위1936년 1월 20일 ~ 1936년 12월 11일
전임자조지 5세
후임자조지 6세
배우자월리스 심프슨 (1937년 6월 3일 결혼)
본명에드워드 앨버트 크리스천 조지 앤드루 패트릭 데이비드
왕가윈저 (1917년부터)
작센코부르크고타 (1917년까지)
아버지조지 5세
어머니메리 오브 테크
출생 이름요크의 에드워드 왕자
출생일1894년 6월 23일
출생지화이트 로지, 리치먼드 파크, 서리, 잉글랜드
사망일1972년 5월 28일
사망지프랑스 파리, 4 route du Champ d'Entraînement
매장일1972년 6월 5일
매장지프로그모어 왕실 묘지, 윈저, 버크셔
에드워드의 서명 (검은색 잉크)
에드워드의 서명 (검은색 잉크)
교육
교육 기관오스본 왕립 해군 대학
브리타니아 왕립 해군 대학
매그달렌 칼리지, 옥스퍼드
군사 경력
소속영국 해군
영국 육군
영국 공군
계급군사 계급 참고
훈장군사 십자 훈장

2. 생애

1894년 조지 5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3년 에 입대하여 총사령관, 보병장 등을 거쳤다. 1916년 예편 후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수학했고, 1919년부터 교사, 약제사, 육군 교관, 연방 행정관, 라디오 뉴스 해설자, 국방 행정관 등으로 일했다. 스탠리 볼드윈의 재무장관과 내무장관을 역임했고, 헤럴드 맥밀런, 네빌 체임벌린, 오스틴 체임벌린,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해럴드 윌슨 등과 교류했다.

1926년 에든버러 대학 총장을 거쳐 1932년 해군 장관을 지냈으며, 1934년에는 병원 의사가 되었다. 1936년 국왕으로 즉위했으나, 월리스 심프슨과의 결혼 문제로 퇴위하고 윈저 공작이 되었다. 월리스 심프슨은 미국 출신으로 두 번이나 이혼한 경력이 있었고, 에드워드 8세는 왕위 계승 순위 1순위였기 때문에 이 결혼은 큰 논란을 일으켰다. 당시 성공회는 이혼 후 재혼을 반대했고, 에드워드 8세는 성공회의 수장이었기에, 사랑을 택하고 왕위를 포기했다. 두 사람은 프랑스로 거처를 옮겨 국제적인 인사로 활동했다.

1937년 군수 관련 직책을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히틀러의 환영을 받았으나, 윈스턴 처칠과 밀약을 맺고 유화 정책을 비판했다. 영국, 프랑스, 뉴질랜드, 미국 등을 방문했으며, 1944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회담을 갖고 유고슬라비아의 티토 대통령과 교류했다.

1952년 동생 조지 6세 사망 이후 1953년 영국을 방문하여 어머니의 장례식에 참석했고, 루스벨트와 밀약을 맺기도 했다. 이후 험프리 부통령, 존슨 대통령과 함께 베트남 전쟁을 지지하고 닉슨 사임을 요구했으며, 현관 제막식 때 영국을 방문했다.

1972년 후두암으로 자택에서 치료를 받던 중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147]

2. 1. 초기 생애

1894년 당시 왕세손인 조지 5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에드워드는 당시 영국 상류층 가정의 관습처럼 부모가 아닌 유모에게서 양육을 받았다. 하지만 동생인 앨버트 (조지 6세)와 함께 한 유모에게 부모가 없는 동안 몸을 꼬집히는 등의 학대를 받았고, 에드워드가 심하게 울자 부모는 황급히 그 유모를 해고하기도 했다.

에드워드와 그의 아버지 조지, 할아버지 에드워드, 증조할머니 빅토리아


에드워드는 1894년 6월 23일 런던 외곽의 화이트 로지에서 그의 증조할머니 빅토리아 여왕 재위 시대에 태어났다.[1] 그는 공작과 요크 공작 부인(후일 조지 5세와 메리 여왕)의 장남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과 웨일스 공녀(후일 에드워드 7세와 알렉산드라 여왕)의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캠브리지의 메리 아델라이드 공주와 프랜시스, 테크 공작의 장녀였다. 출생 당시 그는 할아버지와 아버지 뒤를 이어 왕위 계승 순위 3위였다.

에드워드는 1894년 7월 16일 화이트 로지의 그린 드로잉 룸에서 에드워드 화이트 벤슨, 캔터베리 대주교에 의해 "에드워드 앨버트 크리스찬 조지 앤드류 패트릭 데이비드"Edward Albert Christian George Andrew Patrick David영어로 세례를 받았다. "에드워드"라는 이름은 가족 내에서 "에디"로 알려진 에드워드의 고인이 된 삼촌 클랜스와 에이번데일 공작 앨버트 빅터 왕자를 기리기 위해 선택되었고, "앨버트"는 고인이 된 남편 앨버트, 왕세자를 위해 빅토리아 여왕의 요청에 따라 포함되었으며, "크리스티안"은 그의 외증조부 크리스티안 9세 국왕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고, 마지막 네 이름 – 조지, 앤드류, 패트릭, 데이비드 – 은 각각 영국,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웨일스의 수호성인에서 유래했다.[3] 그는 항상 가족과 친한 친구들에게 마지막 이름인 데이비드로 불렸다.[4]

13세 무렵까지 가정교사에게 집에서 엄격한 교육을 받았다. 1907년부터 오즈번 해군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해군 장교가 되기 위한 혹독한 훈련과 스파르타식 교육, 기숙사 생활 등에 적응하지 못했다. 특히 가장 싫어했던 수학은 다른 학생들과는 별도로 휴일에 보충 수업을 받는 경우가 많았고, 할아버지인 에드워드 7세에게 종종 눈물을 흘리며 불평을 털어놓았다고 한다.

1911년, HMS 힌두스탄(1903년 진수)에서 해사관으로 근무 당시


오즈번에서 2년을 보낸 후에는 다트머스의 해군사관학교로 옮겨 2년간 교육을 받았는데, 다트머스에서의 생활은 이전보다 어느 정도 자유가 있었지만, 거기서도 동급생들에게서 괴롭힘을 당하는 등의 경험을 했다.

1910년 에드워드 7세가 사망함에 따라 웨일스 공이 된 에드워드는 미래의 국왕으로서 즉위 준비를 시작해야 했고, 사관학교 졸업을 앞두고 정식 해군 장교 과정에서 제외되었다. 1911년 전함 힌두스탄에서 3개월간의 훈련을 거쳐 사관후보생이 된 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모들린 칼리지에 입학했고, 여기도 정식 과정을 거치지 않고 수료했다.

2. 2. 웨일스 공 시절

1910년 5월 6일 로스시 공작콘월 공작이 되었고, 같은 해 6월 23일 웨일스 공 및 체스터 백작이 되었다. 이듬해 1911년 7월 13일 웨일스의 카너번 성에서 즉위식을 거행했다. 그때 웨일스어로 답사를 했는데, 이는 이후 웨일스 공의 답사로 자리 잡게 된다.[16] 즉위식은 웨일스 정치인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의 제안으로 웨일스에서 열렸는데, 그는 당시 성의 관리인이자 자유당 정부의 재무장관이었다.[17] 로이드 조지는 웨일스의 축제 형식을 빌린 다소 상상력이 풍부한 의식을 고안했고, 에드워드에게 웨일스어로 몇 마디 말하도록 지도했다.[18]

웨일스 공으로서, 1911년


1915년 8월, 제1차 세계 대전 중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고, 에 지원할 수 있는 최소 연령에 도달했던 에드워드는 군 입대를 간절히 원하여 1914년 6월 육군의 그레나디어 가드에 입대하여 자신을 일반 병사로서 최전선에 파병해 줄 것을 간청했다.[19] 그러나 육군 장관 호레이쇼 키치너가 "왕위 계승권 1위인 웨일스 공이 포로가 되는 사태가 발생하면 영국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했기 때문에 거절당했다.[20]

그럼에도 에드워드는 최전선을 최대한 위문 방문했고, 이로 인해 1916년에는 밀리터리 크로스를 수여받았다.[21] 이는 후에 퇴역 군인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게 되었지만, 그는 자신에 대해 "나는 이 훈장을 받을 자격이 전혀 없는 사람이다. 싸우지도 않고, 목숨의 위험을 느끼지도 않고 메달을 받는 것은 부끄럽다. 나보다 훈장을 받을 만한 용사는 얼마든지 있다"고 한탄했다고 한다. 1918년에는 공군에서 최초로 비행을 했고, 후에 조종사 면허를 취득했다.[22]

1919년 에드워드는 미들섹스 웸블리 파크에서 제안된 영국 제국 박람회 조직위원회 위원장직을 수락했다. 그는 박람회에 "위대한 국가 체육장"을 포함하기를 원했고, 따라서 웸블리 스타디움 건설에 일조했다.[26]

1920년 애슈버턴, 뉴질랜드에서 귀환 군인들과 함께


1920년대 내내 에드워드는 웨일스 공으로서 국내외에서 여러 차례 아버지를 대신했다. 그의 지위, 여행, 잘생긴 외모, 그리고 미혼이라는 사실은 그에게 많은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 인기 절정기에 그는 당대 가장 많이 사진이 찍힌 유명인사였고 남성 패션을 주도했다.[27] 1924년 미국 방문 중 ''Men's Wear'' 잡지는 "미국의 평균적인 젊은 남성은 지구상의 다른 어떤 사람보다도 웨일스 공의 옷에 더 관심이 많다"고 언급했다.[28]

에드워드는 영국의 빈곤 지역을 방문했고,[29] 1919년부터 1935년 사이에 제국의 여러 지역으로 16차례의 순방을 다녔다. 1919년 캐나다 순방 중 그는 앨버타주 페키스코 근처의 베딩필드 목장을 소유하게 되었는데, 그는 1962년까지 이 목장을 소유했다.[30] E. P. 목장(에드워드 왕자를 위한)으로 명명된 이 목장에서 에드워드는 쇼트혼 소, 다트무어 포니, 클라이즈데일 말 등의 동물 사육을 위해 목장을 개발하려고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31] 그는 1920년 오스트레일리아 순방 중 기차를 타고 가던 중 퍼스 외곽에서 열차가 탈선했지만 무사했다.[32]

1922년 일본에서 정장 사무라이 기모노를 입은 에드워드와 그의 직원들


에드워드의 1921년 11월 인도 방문은 비협조 운동 중 인도 자치를 위한 항의 시위가 진행 중이었고, 봄베이 폭동으로 이어졌다. 1929년 알렉산더 리스 경은 영국 북부의 유력한 보수당 인사로, 실업이 심각했던 더럼 탄전과 넘버랜드 탄전을 3일간 방문하도록 설득했다.[33] 1931년 1월부터 4월까지 웨일스 공과 그의 동생인 조지 왕자는 대양 여객선 를 타고 남아메리카를 여행했고,[34] 파리를 거쳐 파리 르부르제 공항에서 영국 제국 항공편으로 윈저 대공원에 특별히 착륙하여 돌아왔다.[35][36]

1932년 압딘 궁전 정원에서 이집트의 푸아드 1세와 함께


넓은 지역을 여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에드워드는 외국인과 제국의 많은 백성에 대해 널리 퍼져 있는 인종적 편견을 공유했고, 백인이 본질적으로 우월하다고 믿었습니다.[37] 1920년 오스트레일리아 방문에서 그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에 대해 "내가 본 살아있는 생물 중 가장 역겨운 형태다!! 그들은 가장 저급한 인간이며 원숭이에 가장 가까운 존재다."라고 적었다.[38]

대전 후에는 해외 영토에서 여론이 종주국 영국에 대해 반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국령이나 식민지를 방문했다. 그러면서 세계 각국을 순방했고, 방문지에서는 빈번하게 엄청난 환영을 받았으며, 로이드 조지 수상으로부터 "우리의 가장 훌륭한 대사"라고 평가받았다.

또한 실업 문제와 노동자 주택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이른바 "서민"이나 일반 병사들 속으로 들어가 친근하게 말을 나누었고, 왕족으로서는 처음으로 담배를 피우는(흡연) 모습을 신문사에 촬영하게 하거나, 라디오 방송에 출연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옥스퍼드 대학교 재학 중에는 캠퍼스에서 반조를 연주하며 "적기가"(왕정을 부정하는 공산주의 노래)를 부르거나, 런던의 고급 레스토랑에서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 병사들이 종업원으로부터 식사를 거부당하는 장면을 목격했을 때는 병사 전원을 자신의 테이블로 초대하여 식사를 대접하는 등의 일화가 있으며, 언론으로부터 "비할 데 없는 군주제의 홍보맨" 등으로 평가받는 등 국내외를 막론하고 대단한 인기인이 되었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를 방문했을 때 원주민 애보리진에 대해 "내가 지금까지 본 생물 중에서 가장 추악한 외모를 하고 있다. 그들은 인간 중에서 가장 원숭이에 가깝다" 등의 인종 차별적인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된 적도 있었다.

자수여우 사냥, 승마, 백파이프 연주, 골프, 원예 등 다양한 취미로 알려져 있었을 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플레이보이로 유명했으며, 14년 동안 애인 관계였던 프리다 더들리 워드 (자유당 하원 의원 부인)를 비롯하여 귀족 영애부터 연예인까지 교제 상대는 폭넓었다. 흑인 가수 플로렌스 밀스가 웨일스 공과의 관계를 "당신에게 줄 수 있는 것은 사랑뿐"이라고 노래하여 일약 인기 가수의 반열에 올랐고, 에드워드와의 노골적인 정사를 적은 텔마 퍼네스와 그녀의 여동생의 폭로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는 등, 미남다움과 화려한 여성 편력으로 인해 "프린스 찰밍"이나 "세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독신 남성" 등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미국인 기혼 여성 월리스 심프슨과의 교제가 1931년경부터 시작된다. 친근한 성격으로 어머니의 사랑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자랐기 때문에 나이 많은 여성이나 기혼 여성으로부터의 따스함을 구하는 경향이 있었던 에드워드에게 있어서 자유분방하고 박식한(실제로는 연하였지만) 어머니 같은 느낌을 주는 월리스의 존재는 매우 매력적이었고, 그녀와의 결혼을 진지하게 고려하게 된다.

월리스는 이혼 경력이 있었고, 교제 당시에는 명백한 기혼 여성이었다. 잉글랜드 성공회에서는 이혼이 금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드워드는 무리하게 월리스를 이혼시켜 왕세자비로 맞이하려 했다. 이 행위는 장래 잉글랜드 성공회 수장을 겸임하는 연합 왕국 국왕(영국의 군주)이 될 "웨일스 공"으로서의 입장상 허용될 수 없는 것이었고, 계급 사회인 영국의 여론도 신분을 불문하고 국민 대다수가 이 교제와 장래의 결혼에 반발했다. 이 문제로 고민하던 아버지 국왕 조지 5세는 기혼 여성들과만 계속 교제하는 에드워드의 성격을 진심으로 경멸했고, 두 사람 사이에는 말다툼이 그치지 않았으며, 1935년 9월 캔터베리 대주교 코즈모 랭과 협의를 거듭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내가 죽으면 1년 이내에 에드워드는 몰락할 것이다"라고 남겼다.

2. 3. 여성 편력과 월리스 심프슨과의 만남

에드워드 8세는 왕세손 시절부터 여러 여성들과의 관계로 주목받았다. 1917년에는 파리의 고급 매춘부 마르게리트 알리베르와 열애를 했고, 로즈메리 레버슨-고워에게 청혼했으나 왕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42]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그의 방탕하고 무모한 행동이 스탠리 볼드윈 수상, 조지 5세 국왕, 그리고 왕자와 가까운 사람들을 걱정하게 만들었다. 특히, 조지 5세는 아들의 기혼 여성들과의 관계에 혐오감을 느꼈고, 왕위 계승을 꺼렸다.[43]

텔마 퍼니스와 함께, 1932년


1930년, 에드워드는 포트 벨베데레에서 프레다 더들리 워드, 레이디 퍼니스 등 여러 기혼 여성들과 관계를 이어갔다.[46] 레이디 퍼니스는 에드워드에게 친구이자 미국인인 월리스 심프슨을 소개했다. 심프슨은 미국 해군 장교와 이혼 후 영국계 미국인 사업가와 재혼한 상태였다. 에드워드와 심프슨의 관계는 아버지와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고, 그의 부모는 심프슨을 만나는 것을 거부했다.[49]

런던경찰청 특별지부 요원들은 에드워드와 심프슨의 관계를 비밀리에 조사했고, 심프슨이 에드워드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보고서를 작성했다.[50] 이러한 상황은 영국 정부와 기득권 인사들 사이에서 불안감을 야기했다.[51]

1936년 조지 5세가 사망하고 에드워드 8세로 즉위한 후에도 심프슨과의 관계는 계속되었다. 에드워드는 심프슨과 함께 자신의 즉위 선포식을 지켜보는 등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다.[52]

2. 4. 국왕 즉위와 퇴위

1936년 조지 5세가 사망하면서 에드워드는 에드워드 8세로 즉위하였다. 즉위 다음 날, 에드워드는 월리스 심프슨과 함께 궁중 관례를 깨고 세인트 제임스 궁전 창문에서 자신의 즉위 선포식을 지켜보았다.[52] 그는 샌드링햄에서 즉위 의회를 위해 런던으로 이동하는 항공편을 이용하며 영국 제국의 최초로 항공 여행을 한 군주가 되었다.[53]

에드워드는 정치 문제에 개입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행동으로 정부 관계자들에게 불안감을 야기했다. 웨일스 남부의 침체된 마을들을 순방하는 동안 실업 중인 탄광부들을 위해 "무언가를 해야 한다"[53]는 그의 발언은 정부 정책을 유도하려는 시도로 여겨졌다.

에드워드 8세의 좌측면 초상화가 새겨진 주화


에드워드의 비정통적인 역할에 대한 접근 방식은 그의 초상화가 새겨진 주화에도 적용되었다. 그는 역대 군주들의 측면 초상화가 전임자와 반대 방향을 향하던 전통을 깨뜨렸다. 에드워드는 머리카락 가르마를 보여주기 위해 왼쪽을 향하도록 (아버지처럼)[55] 고집했다.[56] 퇴위 전에 소량의 시험 주화만 주조되었고, 모두 매우 희귀하다.[57]

1936년 7월 16일, 에드워드가 버킹엄 궁전 근처 헌스티튜션 힐에서 승마를 하던 중 조지 앤드류 맥머흔이 장전된 권총을 꺼내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이 총을 발견하고 그에게 달려들었고, 그는 곧 체포되었다. 맥머흔은 재판에서 "외국 세력"이 자신에게 에드워드를 살해하라고 접근했고, 자신이 MI5에 그 계획을 알렸으며, 단지 MI5가 진짜 범인을 잡도록 돕기 위해 계획을 실행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법정은 그의 주장을 기각하고 "공포심을 유발하려는 의도"로 1년 동안 그를 투옥했다.[59]

1936년 유고슬라비아에서의 휴가 중 월리스 심슨과 함께


1936년 8월과 9월, 에드워드와 심프슨은 증기 요트를 타고 동부 지중해를 순항했다. 10월이 되자 새로운 국왕이 심프슨과 결혼할 계획이라는 것이 분명해졌는데, 특히 심프슨 부부 사이의 이혼 소송이 이프스위치 순회재판소에서 제기되었기 때문이다.[61]

1936년 11월 16일, 에드워드는 스탠리 볼드윈 수상을 버킹엄 궁전으로 초대하여 심프슨이 재혼할 수 있게 되면 그녀와 결혼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볼드윈은 국민들이 그 결혼을 도덕적으로 용납할 수 없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 이유는 주로 영국 성공회가 이혼 후 재혼에 반대했고, 국민들이 심슨을 왕비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었다.[63] 에드워드는 국왕으로서 성공회의 명목상 수장이었고, 성공회 성직자들은 그가 교회의 가르침을 지지하기를 기대했다.

에드워드는 자신은 국왕으로 남지만 심슨은 왕비가 되지 않는 모르가나틱 결혼이라는 대안을 제시했다. 이는 고위 정치인 윈스턴 처칠이 원칙적으로 지지했으며, 일부 역사가들은 그가 이 계획을 고안했다고 주장한다.[64] 그러나, 이는 결국 영국 내각[65]과 다른 도미니언 정부들에 의해 거부되었다.[66] 오스트레일리아 총리(조셉 라이온스), 캐나다 총리(맥켄지 킹), 남아프리카 총리(J. B. M. 헤르초그)는 국왕이 이혼녀와 결혼하는 것에 대한 반대를 분명히 했다.[68]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세워진 우체통의 왕실 문장


에드워드는 심슨과 결혼할 수 없다면 퇴위하겠다고 볼드윈에게 알렸다. 그러자 볼드윈은 에드워드에게 세 가지 선택지를 제시했다. 결혼 생각을 포기하거나, 장관들의 뜻에 반하여 결혼하거나, 퇴위하는 것이다.[71] 에드워드는 심슨을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장관들의 조언에 반하여 결혼하면 정부가 사퇴하고 헌법 위기가 초래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72] 그는 퇴위하기로 결정했다.[73]

에드워드는 1936년 12월 10일 포트 벨베데레에서 그의 남동생들인 요크 공작 알버트 왕자,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켄트 공작 조지 왕자의 참석 하에 퇴위 문서에 서명했다.[74] 다음 날, 그의 통치의 마지막 행위는 1936년 폐하의 퇴위 선언 법률에 대한 왕실 재가였다.[76]

1936년 12월 11일 밤, 이제 왕자의 칭호와 지위로 돌아간 에드워드는 전 세계 BBC 라디오 방송을 통해 퇴위 결정을 설명했다. 그는 "나는 사랑하는 여자의 도움과 지지 없이는 무거운 책임의 짐을 지고 국왕으로서의 의무를 내가 원하는 대로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77] 에드워드는 다음 날 오스트리아 연방국으로 떠났다.[78] 요크 공작이 조지 6세로 왕위를 계승했다.

2. 5. 윈저 공작 시절

1936년 조지 5세의 사망으로 왕위에 올랐으나, 월리스 심프슨과의 결혼 문제로 퇴위한 에드워드 8세는 '윈저 공작'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월리스 심프슨은 미국 출신으로 두 번이나 이혼한 경력이 있었고, 에드워드 8세는 왕위 계승 서열 1순위였기 때문에 이 결혼은 큰 논란을 일으켰다. 당시 성공회는 이혼 후 재혼을 반대했고, 에드워드 8세는 성공회의 수장이었다. 결국 에드워드 8세는 사랑을 택했고, 왕위를 포기했다. 두 사람은 프랑스로 거처를 옮겨 국제적인 인사로 활동했다.[63]

1936년 12월 10일, 에드워드 8세는 퇴위 문서에 서명했고, 다음 날 의회의 승인을 받았다. 그는 BBC 라디오 방송을 통해 "사랑하는 여자의 도움과 지지 없이는" 왕의 의무를 수행하기 어렵다고 밝혔다.[77] 이후 윈저 공작으로 불린 에드워드는 1937년 6월 3일, 프랑스에서 심프슨과 결혼했다. 조지 6세는 왕족의 결혼식 참석을 금지했고,[83] 이는 윈저 공작 부부에게 큰 불만을 안겨주었다.

윈저 공작 부부와 왕실 간의 관계는 이후에도 오랫동안 긴장 상태를 유지했다. 특히 윈저 공작 부인에게 '전하(Royal Highness)' 칭호를 부여하지 않은 문제와 재정 문제는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에드워드는 자신의 재산을 숨기고 형 조지 6세에게 재정 지원을 요구하며 관계를 악화시키기도 했다.[86]

2. 5. 1. 나치 독일과의 관계

1937년 10월, 윈저 공작 부부는 영국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히틀러의 초청으로 독일을 방문하여 히틀러의 산장인 베르히테스가르텐에 머물렀다. 부부의 독일 방문은 독일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되었고, 체류 기간 동안 나치식 경례를 사용했다.[90] 윈저 공작은 공산주의에 대한 보루로서 독일 파시즘을 지지했으며, 심지어 처음에는 독일과의 동맹을 선호했다.[92]

독일로부터 국빈 대우와 국민들의 환영을 받았지만, 독일의 오스트리아 합병과 체코슬로바키아 합병 등 독일의 패권 확장 정책으로 인해 유럽 정세가 긴박해지고 영국과 독일의 관계가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차례 독일을 방문했다. 당시 영국에서는 네빌 체임벌린 정권의 독일에 대한 유화 정책이 진행되었지만, 윈저 공작 부부의 과도한 독일 편향은 독일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여겨져 영국 왕실과 정부, 그리고 언론으로부터 강한 반발을 받았다.

1939년 9월 1일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자, 9월 3일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에 선전포고를 한 직후, 루이스 마운트배튼의 명령으로 부부는 프랑스에서 해군 구축함 「케리」를 타고 귀국했고, 윈저 공작은 프랑스 마지노선에서 육군의 군사 작전에 참여하는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윈저 공작 부부는 영국에 계속 머무르는 것을 거부하고 프랑스로 돌아갔지만, 1940년 5월 독일군의 프랑스 진군에 따라 남쪽으로 이주하기로 결정하고, 같은 달 프랑스 비아리츠, 6월 스페인에 머문 후, 7월 포르투갈 리스본에 거주했다.

리스본 체류 중이던 1940년 7월, 히틀러가 "영국 정부의 합리적인 반성에 기반한 평화 협상에 임할 준비가 있다"면서 "이 제안을 무시하면 영국 본토에서의 전면전도 불사한다"고 말하자, 윈저 공작은 로이드 조지 등과 함께 평화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영국 정부는 8월 18일 급히 윈저 공작을 영국의 식민지이자 유럽 전장에서 멀리 떨어진 바하마의 총독 겸 주둔 영국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즉시 윈저 공작 부부를 그곳으로 보냈다.

프라하에 있던 영국 스파이가 1940년 6월 보고서에서 "윈저 공작이 독일 정부와 은밀히 협상한 결과, 윈저 공작을 수반으로 하는 반정부 조직 설립에 독일이 협력하고, 독일이 승리한 후 그 자신을 영국 국왕으로 복귀시키는 비밀 협약을 맺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연합국의 정보를 독일에 유출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윈저 공작은 이러한 의혹을 부인했지만, 1941년 4월 부인과 함께 독일 해군 U보트가 활동하던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갔을 때는 루즈벨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항상 FBI의 감시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자신이 인정한 회고록 『한 왕의 이야기』에서 윈저 공작은 자신이 친독파였음을 인정하면서 "결코 나치즘을 지지했던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또한 전후, 알베르트 슈페어가 히틀러가 "윈저 공작과의 접촉을 잃은 것은 우리에게 큰 손실이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증언하여, 독일 정부가 은밀히 윈저 공작과 접촉했고 그것을 알아챈 영국 정부가 접촉을 끊었던 것이 분명해졌다.

히틀러는 영국을 항복시킨 후 괴뢰 정부의 수반으로 윈저 공작을 국왕으로 복위시키기 위해 발터 셸렌베르크 친위대 소장에게 리스본 체류 중 윈저 공작 납치 작전을 계획했던 것이 후년에 밝혀졌다.

2. 5. 2.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윈저 공작 부부는 루이스 마운트배튼에 의해 해군 구축함 케리호를 타고 영국으로 돌아왔다. 에드워드는 원수 계급을 가지고 있었지만, 프랑스 주둔 영국 군사 임무에 배속된 소장이 되었다.[53] 1940년 2월, 헤이그 주재 독일 대사 율리우스 폰 체흐-부르커스로다 백작은 에드워드가 벨기에 방어를 위한 연합군의 전쟁 계획을 유출했다고 주장했으나,[102] 공작은 이를 부인했다.[103]

1939년 5월, 에드워드 8세는 제1차 세계 대전 전장인 베르됭을 방문하는 동안 NBC의 위촉을 받아 라디오 방송(퇴위 이후 첫 방송)을 진행했다. 그는 "나는 죽은 자들의 위대한 무리의 존재를 깊이 의식하고 있으며, 그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다면 그들은 내가 하려는 말에 동의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나는 단지 지난 전쟁의 병사로서, 그러한 잔혹하고 파괴적인 광기가 다시는 인류를 덮치지 않기를 가장 간절히 기도하는 자로서 말합니다. 전쟁을 원하는 사람들이 사는 땅은 없습니다."라고 말하며 평화를 호소했다. 이 방송은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들었고,[96][97] 유화 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널리 여겨졌으나,[98] BBC는 이를 방송하지 않았다.[99] 미국 이외 지역에서는 단파 방송을 통해 방송되었고,[100] 영국 대중지 신문들이 전문적으로 보도했다.[101]

1940년 5월 독일이 프랑스 북부를 침략하자, 윈저 부부는 남쪽으로 피신하여 먼저 비아리츠로, 그 후 6월에는 프랑코 스페인으로 갔다. 7월에는 포르투갈로 이주하여 처음에는 영국과 독일 모두와 접촉이 있는 포르투갈 은행가 리카르도 에스피리투 산투의 집에서 살았다.[104] 암호명 빌리 작전 하에, 주로 발터 셸렌베르크가 이끄는 나치 요원들은 공작을 설득하여 포르투갈을 떠나 스페인으로 돌아오게 하려고 음모를 꾸몄고, 필요하다면 납치할 계획까지 세웠다.[105] 칼드코트 경은 당시 수상이었던 윈스턴 처칠에게 "[공작은] 나치 친화적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음모의 중심이 될 수 있다"는 경고를 보냈다.[106] 처칠은 에드워드가 영국 땅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군법 회의에 회부하겠다고 위협했다.[107]

1940년 7월, 에드워드는 바하마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공작 부부는 8월 1일 아메리칸 익스포트 라인스의 화물선 ''엑스칼리버''호를 타고 리스본을 떠났는데, 이 배는 뉴욕으로 가는 일반적인 직행 항로에서 특별히 우회하여 9일에 버뮤다에 내려주었다.[108] 그들은 8월 15일 캐나다 국립 해운 회사의 선박 ''레이디 소머스''호를 타고 나소로 출발하여 이틀 후 도착했다.[109] 에드워드는 총독직을 즐기지 않았고, 개인적으로 이 섬들을 "3류 영국 식민지"라고 불렀다.[110] 영국 외무부는 에드워드가 섬들의 빈곤 퇴치에 힘쓴 점은 칭찬했다. 그러나 뒤푸슈조차도 1942년 나소에서 저임금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을 해결한 에드워드의 노력을 칭찬했지만, 에드워드는 그 문제를 "사보타주범 - 공산주의자"와 "징집 연기를 구실로 일자리를 얻은 중부 유럽 유대인 출신 남성" 탓으로 돌렸다.[114] 그는 1945년 3월 16일에 그 직책에서 사임했다.[53]

많은 역사가들은 아돌프 히틀러바다사자 작전 이후 영국에 파시스트 괴뢰 정부를 수립하기를 바라며 에드워드를 왕으로 복위시킬 준비를 했다고 주장했다.[115] 프랑스 점령 기간 동안 공작은 독일 베어마흐트 부대에게 파리와 리비에라에 있는 그의 집에 경비병을 배치해 달라고 요청했고, 그들은 그렇게 했다.[117] 1940년 12월, 에드워드는 리버티 잡지의 풀턴 아울슬러에게 나소의 총독 관저에서 인터뷰를 했고, 에드워드는 "히틀러는 독일 국민의 옳고 논리적인 지도자"였고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이 평화 협상을 중재할 때가 왔다고 말했다고 보도되었다. 에드워드는 자신이 잘못 인용되고 잘못 해석되었다고 항의했다.[119]

연합국은 에드워드를 중심으로 한 독일의 음모에 충분히 불안해하여 루즈벨트 대통령은 1941년 4월 그들이 플로리다주 팜 비치를 방문했을 때 공작 부부에 대한 비밀 감시를 명령했다. 뷔르템베르크의 카를 알렉산더 공작(당시 미국 수도원의 수도승)은 미 연방 수사국에 월리스가 1936년 런던 주재 독일 대사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와 동침했고 그와 끊임없이 접촉했으며 계속해서 비밀을 유출했다고 말했다.[120]

저자 찰스 하이엄은 MI5 요원이자 소비에트 스파이인 앤서니 블런트가 영국 왕실의 명령에 따라 전쟁이 끝날 무렵 연합군 점령 지역 독일의 프리드리히스호프 성에 비밀리에 성공적으로 여행을 가서 윈저 공작과 아돌프 히틀러 및 다른 나치 지도자들 사이의 중요한 편지를 회수했다고 주장했다.[121] 1950년대 후반, 1945년 5월 독일 마르부르크에서 미국군이 회수한 문서로, 이후 마르부르크 파일이라고 명명된 문서는 10년 이상의 억압 끝에 출판되어 에드워드의 나치 이데올로기에 대한 동정심에 대한 이론을 강화했다.[123][124]

전쟁 후 에드워드는 회고록에서 독일을 존경했다고 인정했지만 나치에 동조했다는 것을 부인했다. 그는 히틀러에 대해 "[총통]은 연극적인 자세와 허황된 허세로 다소 우스꽝스러운 인물로 느껴졌다"고 썼다.[125] 1950년대에 기자 프랭크 자일스는 공작이 영국 외무장관 앤서니 이든이 무솔리니에 대한 대우를 통해 "전쟁을 촉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든이 한 일이 바로 그 일이다. 그는 전쟁을 일으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물론 루즈벨트와 유대인들도 마찬가지다"라고 비난하는 것을 들었다.[126] 1960년대에 에드워드는 사적으로 친구 패트릭 밸푸어, 3대 킨로스 남작에게 "히틀러가 그렇게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고 전해진다.[127]

1937년 10월, 윈저 공작 부부는 영국 정부의 충고를 무시하고 아돌프 히틀러의 초청으로 독일을 방문하여 히틀러의 산장인 베르히테스가르텐에 머물렀다. 부부의 독일 방문은 독일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되었고, 체류 기간 동안 나치식 경례를 사용했다.

독일로부터 국빈 대우와 국민들의 환영을 받으면서 부부의 자존심과 허영심은 채워졌지만, 독일의 오스트리아 합병과 체코슬로바키아 합병 등 독일의 패권 확장 정책으로 인해 유럽 정세가 긴박해지고 영국과 독일의 관계가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차례 독일을 방문했다. 당시 영국에서는 네빌 체임벌린 정권의 독일에 대한 유화 정책이 진행되었지만, 윈저 공작 부부의 과도한 독일 편향은 독일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여겨져 영국 왕실과 정부, 그리고 언론으로부터 강한 반발을 받았다.

1939년 9월 1일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자, 9월 3일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에 선전포고를 한 직후, 루이스 마운트배튼의 명령으로 부부는 머물던 프랑스에서 해군 구축함 「케리」를 타고 귀국했고, 윈저 공작은 프랑스 마지노선에서 육군의 군사 작전에 참여하는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윈저 공작 부부는 영국에 계속 머무르는 것을 거부하고 프랑스로 돌아갔지만, 1940년 5월 독일군의 프랑스 진군에 따라 남쪽으로 이주하기로 결정하고, 같은 달 프랑스 비아리츠, 6월 스페인에 머문 후, 7월 포르투갈 리스본에 거주하는 영국과 독일 양쪽과 접촉하는 은행가의 저택에 머물렀다.

리스본 체류 중이던 1940년 7월, 히틀러가 "영국 정부의 합리적인 반성에 기반한 평화 협상에 임할 준비가 있다"면서 "이 제안을 무시하면 영국 본토에서의 전면전도 불사한다"고 말하자, 윈저 공작은 로이드 조지 등과 함께 평화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이 윈저 공작의 행동에 대해, 이전에는 윈저 공작에게 호의적이었지만 이제는 대독 강경파인 처칠 수상이 "윈저 공작의 유럽 전쟁에 대한 영향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싶다"고 주장한 것과 후술하는 스파이의 보고로 인해, 영국 정부는 8월 18일 급히 윈저 공작을 영국의 식민지이자 유럽 전장에서 멀리 떨어진 바하마의 총독 겸 주둔 영국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즉시 윈저 공작 부부를 그곳으로 보냈다.

총독이었지만, 사실상 명예직으로 한직이나 다름없는 상태였지만, 바하마를 "3등 식민지"로 언급하며 농업 생산 확대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진료소 개설 등 해당 지역의 빈곤 대책에 힘쓴 태도는 일정 부분 평가받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인종 차별 성향으로 인해, 왈리스 부인과 마찬가지로 현지 흑인을 차별하는 발언을 많이 했다고 알려져 있다.

더욱이, 프라하에 있던 영국 스파이가 외무차관에게 보낸 1940년 6월 보고서에서 "윈저 공작이 독일 정부와 은밀히 협상한 결과, 윈저 공작과 독일 정부 사이에 윈저 공작을 수반으로 하는 반정부 조직 설립에 독일이 협력하고, 독일이 승리한 후 그 자신을 영국 국왕으로 복귀시키는(그리고 왈리스를 왕비로 삼는) 비밀 협약을 맺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이러한 보고가 있었다는 사실은 2010년대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연합국의 정보를 독일에 유출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윈저 공작은 이러한 의혹과 "바하마 총독의 직무 이상의 일에 관여하려 하고 있다"는 것을 부인했지만, 1941년 4월 부인과 함께 독일 해군 U보트가 활동하던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갔을 때는 루즈벨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항상 FBI의 감시를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로, 독일의 항복 1개월 반 전인 1945년 3월 16일에 총독직을 사임한 후 영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같은 해 8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미국에서 휴가를 보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자신이 인정한 회고록 『한 왕의 이야기』에서 윈저 공작은 자신이 친독파였음을 인정하면서 "결코 나치즘을 지지했던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또한 전후, 알베르트 슈페어가 히틀러가 "윈저 공작과의 접촉을 잃은 것은 우리에게 큰 손실이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증언하여, 독일 정부가 은밀히 윈저 공작과 접촉했고 그것을 알아챈 영국 정부가 접촉을 끊었던 것이 분명해졌다.

그 외에도 히틀러는 영국을 항복시킨 후 괴뢰 정부의 수반으로 윈저 공작을 국왕으로 복위시키기 위해 발터 셸렌베르크 친위대 소장에게 리스본 체류 중 을 계획했던 것이 후년에 밝혀졌다.

2. 5. 3. 전후

에드워드 8세는 퇴위 이후 윈저 공작으로 불렸으며, 월리스 심프슨과의 결혼으로 유명하다. 두 사람은 프랑스로 거처를 옮겨 국제적인 인사로 활동했다.

1939년 5월, 에드워드 8세는 제1차 세계 대전 전장인 베르됭을 방문하여 NBC의 위촉을 받아 라디오 방송을 통해 평화를 호소했다.[99] 이 방송은 전 세계 수백만 명이 들었으나,[96][97] BBC는 이를 방송하지 않았다.[99]

1939년 9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윈저 공작 부부는 영국으로 돌아왔고, 에드워드는 프랑스 주둔 영국 군사 임무에 배속된 소장이 되었다.[53] 1940년 5월 독일의 프랑스 북부 침략으로 부부는 남쪽으로 피신하여 프랑코 스페인을 거쳐 포르투갈로 이주했다. 나치 요원들은 빌리 작전을 통해 공작을 설득 또는 납치하여 스페인으로 돌아오게 하려 했다.[105] 윈스턴 처칠은 에드워드가 영국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군법 회의에 회부하겠다고 위협했다.[107]

1940년 7월, 에드워드는 바하마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이 섬들을 "3류 영국 식민지"라고 불렀지만,[110] 빈곤 퇴치 노력으로 칭찬을 받았다. 1945년 3월 16일, 에드워드는 총독직에서 사임했다.[53]

많은 역사가들은 아돌프 히틀러가 에드워드를 왕으로 복위시킬 준비를 했다고 주장했다.[115] 프랑스 점령 기간 동안 공작은 독일 베어마흐트 부대에게 파리와 리비에라에 있는 그의 집에 경비병을 배치해 달라고 요청했고, 그들은 그렇게 했다.[117] 1940년 12월, 에드워드는 리버티 잡지 인터뷰에서 "히틀러는 독일 국민의 옳고 논리적인 지도자"라고 말했다고 보도되었으나, 후에 자신이 잘못 인용되고 잘못 해석되었다고 항의했다.[119]

전쟁 후, 에드워드는 회고록에서 독일을 존경했지만 나치에 동조했다는 것은 부인했다.[125] 부부는 프랑스로 돌아와 사실상 은퇴 생활을 했다. 파리시는 부부에게 4 루트 뒤 샹 덩트레느망에 있는 집을 명목상의 임대료로 제공했다.[131] 1951년, 에드워드는 회고록 "A King's Story"를 출판했다.[17]

에드워드와 왈리스는 유명인사 역할을 맡았고,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카페 사회의 일원으로 여겨졌다. 1953년 6월, 런던에서 조카인 엘리자베스 2세의 즉위식에 참석하는 대신, 파리에서 텔레비전으로 그 의식을 지켜보았다. 1955년, 부부는 백악관에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을 방문했다. 1970년에는 50분짜리 BBC 텔레비전 인터뷰에 출연했다.

왕실은 왈리스를 완전히 받아들이지 않았다. 메리 왕비는 그녀를 공식적으로 만나기를 거부했다. 그러나 에드워드는 때때로 어머니와 형제 조지 6세를 만났다. 그는 1952년 조지 6세의 죽음과 국장에 참석했다. 1965년, 공작 부부는 런던을 방문하여 엘리자베스 2세 등을 만났다.

1972년 5월 18일, 엘리자베스 2세프랑스 국빈 방문 중 윈저 공작 부부를 방문했다. 그로부터 10일 후인 5월 28일 에드워드 8세는 사망했다.

2. 6. 죽음

1972년 후두암으로 자택에서 치료를 받던 도중 급성 심근경색으로 세상을 떠났다.[147]

1972년 5월 28일, 엘리자베스 2세의 방문 10일 후 에드워드는 파리 자택에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영국으로 돌아와 윈저 성 세인트 조지 예배당에 안치되었다. 장례식은 6월 5일 여왕, 왕족, 그리고 방문 기간 버킹엄 궁전에 머물렀던 윈저 공작 부인의 참석하에 예배당에서 거행되었다. 그는 프로그모어에 있는 빅토리아 여왕과 알버트 왕자의 왕가 납골당 뒤편의 왕가 묘지에 매장되었다.[147] 1965년 여왕과의 합의 전까지, 공작과 공작 부인은 월리스의 아버지가 안장된 볼티모어의 그린 마운트 묘지에 있는 묘지 부지를 매입하여 매장할 계획이었다.[148] 쇠약해지고 치매로 고통받던 월리스는 1986년 사망하여 남편 곁에 묻혔다.[149]

윈저의 프로그모어 왕가 묘지에 있는 에드워드의 묘, 윈저 홈 파크에 위치함

3. 비판

아돌프 히틀러를 지지하여 나치를 옹호하기 위해 1937년, 나치 전당대회에 가족들을 데리고 참석해서 나치 지지 연설을 했는데, 이 때 아직 어린이였던 조카 엘리자베스 2세에게 나치식 경례를 시켰다.[1]

4. 작위 및 칭호

에드워드 8세는 다양한 작위와 칭호를 받았다. 그의 문장은 시기에 따라 변화했다. 웨일스 공 시절에는 영국의 왕실 문장을 변형하여 사용했는데, 세 개의 점으로 된 라벨이 은색으로 표시되었고, 작은 방패에는 웨일스를 상징하는 문장이 왕관 위에 놓여 있었다.[198] 국왕으로 재위 시에는 변형되지 않은 왕실 문장을 사용했다. 퇴위 후에는 세 개의 점으로 된 은색 라벨로 다시 문장을 변형했는데, 중앙의 점에 제국 왕관이 새겨져 있었다.[198]

그의 칭호는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기간칭호
1894년 7월 16일 – 1898년 5월 28일요크 공작 에드워드 왕자 (His Highness Prince Edward of York)
1898년 5월 28일 – 1901년 1월 22일요크 공작 에드워드 왕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Prince Edward of York)
1901년 1월 22일 – 1901년 11월 9일콘월과 요크 공작 에드워드 왕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Prince Edward of Cornwall and York)
1901년 11월 9일 – 1910년 5월 6일웨일스 공 에드워드 왕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Prince Edward of Wales)
1910년 5월 6일 – 1910년 6월 23일콘월 공작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Cornwall)
1910년 5월 6일 – 1936년 1월 20일로씨 공작 에드워드 왕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Prince Edward, Duke of Rothesay)
1910년 6월 23일 – 1936년 1월 20일웨일스 공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Prince of Wales)
1936년 1월 20일 – 1936년 12월 11일국왕 폐하 (His Majesty The King)
1936년 12월 11일 – 1937년 3월 8일에드워드 왕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Prince Edward)
1937년 3월 8일 – 1972년 5월 28일윈저 공작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Windsor)



그는 군대에서도 복무하며 다음과 같은 계급을 받았다.

기간계급
1911년 6월 22일영국 해군 사관후보생
1913년 3월 17일해군 소령
1914년 11월 18일영국 육군 중위[213]
1916년 3월 10일육군 소령[213]
1918년육군 임시 중령[213]
1919년 4월 15일육군 대령
1919년 7월 8일해군 대령
1922년 12월 5일영국 공군 대령
1930년 9월 1일공군 중장
1935년 1월 1일육해공군 대장
1936년육해공군 원수[213]
1939년육군 소장



이외에도, 1922년 4월 12일에 대한제국 육군 대장 계급을 받는 등 외국의 국군에서도 서임되었다.

5. 훈장

1912년 아서 스톡데일 코프가 그린 웨일스 공 에드워드의 가터 훈장 휘장 초상화


에드워드 8세는 다음과 같은 훈장들을 받았다.

훈장수여 국가날짜
가터 훈장 (KG)영국1910년 6월 23일[151]
제국 봉사 훈장 (ISO)영국1910년 6월 23일[152]
군공 십자훈장 (MC)영국1916년 6월 3일[153]
대영 제국 훈장 (GBE)영국1917년 6월 4일[154]
세인트 마이클 및 세인트 조지 훈장 (GCMG)영국1917년 10월 24일[155]
시종무관 (ADC)영국1919년 6월 3일[156]
영국 국왕의 비밀 고문 (PC)영국1920년 3월 2일[157]
왕립 빅토리아 훈장 (GCVO)영국1920년 3월 13일[158]
인도의 별 훈장 (GCSI)영국1921년 10월 10일[159]
인도 제국 훈장 (GCIE)영국1921년 10월 10일[159]
왕립 빅토리아 훈장 사슬영국1921년[154]
엉겅퀴 훈장 (KT)영국1922년 6월 23일[160]
세인트 존 훈장 (GCStJ)영국1926년 6월 12일[161]
세인트 존 훈장 (KStJ)영국1917년 6월 2일[162]
세인트 패트릭 훈장 (KP)영국1927년 6월 3일[163]
캐나다 국왕의 비밀 고문 (PC)캐나다1927년 8월 2일[164]
목욕 훈장 (GCB)영국1936년[154]
왕립 학회 펠로우 (FRS)영국
벤디쉬 왕관 가문 훈장 대십자장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1911년 5월 1일[165]
헤세 대공 황금 사자 가문 훈장 기사장 헤센 대공국1911년 6월 23일[166]
황금 양모 기사단 기사장 스페인1912년 6월 22일[167]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장 프랑스1912년 8월[168]
코끼리 훈장 기사장 덴마크1914년 3월 17일[169]
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장 노르웨이1914년 4월 6일[170]
최고 성 아나운시아타 훈장 기사장 이탈리아1915년 6월 21일[171]
끄루아 드 게르 프랑스1915년
성 조지 훈장 3등급 기사장 러시아 제국1916년 5월 16일[172]
차크리 왕가 훈장 기사장 태국1917년 8월 16일[173]
미하엘 용감한 자 훈장 1등급 루마니아1918년[174]
전쟁 공로 훈장 이탈리아1919년
نيشان محمد عليar 대수훈장 이집트 왕국1922년[174]
Serafimerordensv 기사장 스웨덴1923년 11월 12일[175]
카롤 1세 훈장 목걸이 루마니아1924년[174]
Orden al Mérito de Chilees 1등급 칠레1925년[174]
Orden del Cóndor de los Andeses 대십자장 볼리비아1931년[174]
Orden El Sol del Perúes 대십자장 페루1931년[174]
두 훈장의 띠 대십자장 포르투갈1931년 4월 25일[176]
Ordem Nacional do Cruzeiro do Sulpt 대십자장 브라질1933년[174]
Ordine equestre per il merito civile e militareit 대십자장 산마리노1935년[174]


6. 군사 계급

날짜군사 계급군종비고
1911년 6월 22일해군 소위(Midshipman)영국 해군[177]
1913년 3월 17일해군 중위(Lieutenant)영국 해군[178]
1914년 8월 8일소위(Second Lieutenant)영국 육군 그레나디어 가드 1대대[179]
1914년 11월 15일임시 중위(Lieutenant)영국 육군 그레나디어 가드[180], 1914년 11월 11일자로 소급 적용[181]
1914년 11월 19일중위(Lieutenant)영국 육군 그레나디어 가드[182]
1916년 3월 10일초과 편성 대위(Captain)영국 육군 그레나디어 가드[183]
1918년 2월 25일임시 소령(Major)영국 육군[184]
1919년 4월 15일대령(Colonel)영국 육군[185]
1919년 7월 8일해군 대위(Captain)영국 해군[186]
1922년 12월 5일공군 준장(Group Captain)영국 공군[177][187]
1930년 9월 1일해군 중장(Vice-Admiral), 육군 중장(Lieutenant-General), 공군 중장(Air Marshal)영국 해군, 영국 육군, 영국 공군[188][189]
1935년 1월 1일해군 대장(Admiral), 육군 대장(General), 공군 원수(Air Chief Marshal)영국 해군, 영국 육군, 영국 공군[190]
1936년 1월 21일해군 제독(Admiral of the Fleet), 육군 원수(Field Marshal), 공군 원수(Marshal of the Royal Air Force)영국 해군, 영국 육군, 영국 공군[191]
1939년 9월 3일소장(Major-General)프랑스 주둔 영국 군사 사절단[192]


7. 명예 학위 및 직책

연도구분내용
1918년–1936년총장케이프타운 대학교[193]
1920년법학 박사시드니 대학교[194]
1921년법학 박사케임브리지 대학교[195]
1921년명예 학위런던 대학교[196]
1922년법학 박사홍콩 대학교[197]
1920년고문영국 추밀원[213]
1927년고문캐나다 추밀원[213]


참조

[1] 서적 undefined
[2] 간행물 undefined London Gazette 1894-07-20
[3] 서적 undefined
[4] 서적 undefined
[5] 서적 undefined
[6] 서적 undefined
[7] 서적 undefined
[8] 서적 undefined
[9] 서적 undefined
[10] 서적 undefined
[11] 서적 undefined
[12] 서적 undefined
[13] 간행물 undefined London Gazette 1910-06-23
[14] 간행물 The Prince of Wales Starts Play https://web.archive.[...] Polo Monthly 1914-06-01
[15] 서적 undefined
[16] 서적 Britain's Royal Families: The Complete Genealogy Revised edition Pimlico
[17] 서적 undefined
[18] 서적 undefined
[19] 서적 undefined
[20] 서적 undefined
[21] 서적 undefined
[22] 웹사이트 Edward VIII (Jan–Dec 1936) https://www.royal.uk[...]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16-01-12
[23] 뉴스 Death of Youngest Son of King and Queen Daily Mirror 1919-01-20
[24] 서적 undefined
[25] Youtube Prince John: The Windsors' Tragic Secret https://www.youtube.[...] Channel 4
[26] 웹사이트 The British Empire Exhibition, 1924/25 https://www.brent.go[...] Brent Council 2012-01-01
[27] 서적 The Abdication: Twenty-five Years After. A Re-appraisal Frederick Muller Ltd
[28] 서적 Dressing the man: mastering the art of permanent fashion HarperCollins
[29] 서적 undefined
[30] 서적 High River and the Times: an Alberta community and its weekly newspaper, 1905–1966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Alberta
[31] 웹사이트 HistoricPlaces.ca - HistoricPlaces.ca https://www.historic[...] 2024-09-29
[32] 뉴스 Remarkable photographs show how Edward VIII narrowly escaped death in train crash https://www.express.[...] Daily Express 2017-07-06
[33] 서적 undefined
[34] 웹사이트 Oropesa (II) http://www.ecsodus.c[...] Pacific Steam Navigation Company 2013-12-15
[35] 웹사이트 Arrival at Windsor by Air http://eresources.nl[...] National Library, Singapore 2013-12-18
[36] 뉴스 Princes Home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31-05-01
[37] 서적 undefined undefined
[38] 서적 Letters From a Prince: Edward to Mrs. Freda Dudley Ward 1918–1921 Little, Brown & Co
[39] 서적 The Kaiser's daughter https://archive.org/[...] W. H. Allen
[40] 서적 Royals and the Reich: The Princes von Hessen in Nazi German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e Prince, the Princess and the Perfect Murder Hodder & Stoughton
[42] 서적 Before Wallis: Edward VIII's other women The History Press 2018
[43] 서적 Baldwin: A Biography https://archive.org/[...] Weidenfeld and Nicolson
[44] 서적 Thatched with Gold Hutchinson
[45] 잡지 Foreign News: P'incess Is Three http://content.time.[...] 1929-04-29
[46] 서적 undefined undefined
[47] 서적 undefined undefined
[48] 서적 undefined undefined
[49] 서적 undefined undefined
[50] 뉴스 Car dealer was Wallis Simpson's secret lover https://www.theguard[...] 2003-01-30
[51] 서적 undefined undefined
[52] 서적 undefined undefined
[53] 웹사이트 Edward VIII, later Prince Edward, duke of Windsor (1894–1972)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1-01
[54] 서적 undefined undefined
[55] 서적 undefined undefined
[56] 서적 God Save The Queen
[57] 웹사이트 The coins of Edward VIII https://www.royalmin[...] 2012-09-01
[58] 웹사이트 Coinage and bank notes https://www.royal.uk[...]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16-01-15
[59] 웹사이트 George Andrew McMahon: attempt on the life of H.M. King Edward VIII at Constitution Hill on 16 July 1936 https://nationalarch[...] The National Archives, Kew
[60] 뉴스 The plot thickens https://www.theguard[...] 2003-01-03
[61] 서적 undefined undefined
[62] 서적 undefined undefined
[63] 서적 undefined undefined
[64] 웹사이트 British Prime Ministers From Balfour to Brown https://books.google[...] Routledge
[65] 서적 undefined undefined
[66] 서적 undefined undefined
[67] 웹사이트 Statute of Westminster 1931 c.4 http://www.legislati[...] UK Statute Law Database
[68] 서적 undefined undefined
[69] 서적 undefined undefined
[70] 서적 undefined undefined
[71] 서적 Windsor
[72] 서적 The Abdication of King Edward VIII Hamish Hamilton
[73] 서적 Windsor
[74] 서적 Windsor
[75] 웹사이트 The Abdication of Edward VIII https://archive.macl[...] 1937-01-15
[76] 웹사이트 Canadian Independence https://www.sfu.ca/~[...] Simon Fraser University, Canada
[77] 웹사이트 Broadcast after his abdication, 11 December 1936 http://www.royal.gov[...]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78] 서적 Ziegler
[79] 서적 Pimlott
[80] 간행물 London Gazette 1936-12-12
[81] 서적 Bradford
[82] 웹사이트 The drafting of the letters patent of 1937 http://heraldica.org[...] Heraldica 2006-02-06
[83] 웹사이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bdication files http://www.nationala[...] Public Records Office of the United Kingdom
[84] 서적 Ziegler
[85] 서적 The Windsor Story Granada Publishing
[86] 서적 Ziegler
[87] 웹사이트 Five Ways to Compute the Relative Value of a UK Pound Amount, 1270 to Present https://www.measurin[...] MeasuringWorth
[88] 서적 Ziegler
[89] 서적 Ziegler
[90] 서적 Donaldson
[91] 뉴스 When the Duke of Windsor met Adolf Hitler https://www.bbc.com/[...] 2016-03-10
[92] 서적 King George V Weidenfeld and Nicolson
[93] 서적 Windsor
[94] 서적 Inside the Third Reich Macmillan
[95] 서적 Ziegler
[96] 라디오 Verdun – The Sacred Wound 2016-02-24
[97] 서적 The Day We Went to War
[98] 서적 Bradford
[99] 서적 Bradford
[100] 뉴스 The Times 1939-05-08
[101] 뉴스 The Times 1939-05-09
[102] 서적 Documents on German Foreign Policy 1918–1945
[103] 서적 The Mask of Merlin: A Critical Biography of David Lloyd George https://archive.org/[...] Holt, Rinehart and Winston
[104] 서적 Bloch
[105] 서적 Bloch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논문 The Life of Axel Wenner-Gren–An Introduction http://blog.wennergr[...] Wenner-Gren Stiftelsirna 2016-11-06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7 Carnations: The Windsors, The Nazis and The Cover-Up https://books.google[...] Michael O'Mara Books 2015-05-25
[119] 서적
[120] 뉴스 Wallis Simpson, the Nazi minister, the telltale monk and an FBI plot https://www.theguard[...] 2002-06-29
[121] 서적 The Duchess of Windsor: The Secret Life McGraw-Hill Publishers
[122] 서적
[123] 뉴스 The Duke, the Nazis, and a very British cover-up: the true story behind The Crown's Marburg Files https://www.telegrap[...] 2017-12-14
[124] 웹사이트 The Crown: Edward's Alleged Nazi Sympathies Exposed https://www.vanityfa[...] Vanity Fair 2017-12-09
[125] 서적
[126] 웹사이트 Wallis Simpson, 'That Woman' After the Abdication http://tmagazine.blo[...] 2011-11-01
[127] 간행물 Love conquers all
[128] 뉴스 Revealed: the Duke and Duchess of Windsor's secret plot to deny the Queen the throne https://www.telegrap[...] 2009-11-22
[129] Youtube The Man Who Would Be King...Again? The 1946 Duke of Windsor Plot https://www.youtube.[...] 2023-08-31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웹사이트 Le Moulin – History https://www.landmark[...] 2019-01-30
[135] 서적 Palimpsest: a memoir Random House
[136] 서적 A Treasury of Royal Scandals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137] 서적
[138] 잡지 Peep Show http://content.time.[...] 1956-10-08
[139] 서적 January 1973: Watergate, Roe v. Wade, Vietnam, and the Month that Changed America Forever Chicago Review Press
[140] 뉴스 Duke, Duchess Have Dinner With Nixons 1970-04-06
[141] 서적 Bradford
[142] 웹사이트 Duke of Windsor (Edward VIII) Interview in German | 1966 (eng. subtitles) https://www.youtube.[...] YouTube 2021-12-22
[143] 뉴스 Georg Stefan Troller trifft den Herzog von Windsor - WELT https://www.welt.de/[...] Welt.de 1970-01-01
[144] 서적 Ziegler
[145] 서적 Ziegler
[146] 웹사이트 Duke too ill for tea with the Queen http://news.bbc.co.u[...] BBC 2017-10-24
[147] 서적 Ziegler
[148] 간행물 Windsors had a plot at Green Mount 1986-04-29
[149] 웹사이트 Simple funeral rites for Duchess http://news.bbc.co.u[...] BBC 2010-05-02
[150] 서적 The monarchy and the British nation, 1780 to the pres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1] 웹사이트 List of the Knights of the Garter https://www.heraldic[...]
[152] 간행물 The Prince of Wales is ex-officio a Companion of the Imperial Service Order. London Gazette 1940-08-09
[153] 간행물 London Gazette 1916-06-02
[154] 서적 Kelly's Handbook
[155] 간행물 London Gazette 1917-11-23
[156] 간행물 London Gazette 1919-06-05
[157] 간행물 London Gazette 1920-03-05
[158] 간행물 London Gazette 1920-03-26
[159] 간행물 London Gazette 1921-10-14
[160] 간행물 London Gazette 1922-06-27
[161] 간행물 London Gazette 1927-06-14
[162] 간행물 London Gazette 1917-06-05
[163] 간행물 London Gazette 1927-06-07
[164] 웹사이트 Historical Alphabetical List since 1867 of Members of the Queen's Privy Council for Canada http://www.pco-bcp.g[...] Privy Council Office 2012-03-29
[165]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Mecklenburg-Strelitz: 1912 Druck und Debit der Buchdruckerei von G. F. Spalding und Sohn 1912
[166] 서적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2021-09-17
[167] 간행물 Caballeros de la insigne orden del toisón de oro 2019-03-04
[168]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169]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33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2019-09-16
[170] 서적 Norges Statskalender 2021-09-17
[171]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2020-10-08
[172] 간행물 London Gazette 1916-05-16
[173] 간행물 พระราชทาน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 มหาจักรีบรมราชวงศ์ http://www.ratchakit[...] 2019-05-08
[174] 서적 Burke's Royal Families of the World Burke's Peerage
[175] 서적 Sveriges statskalender 2018-01-06
[176] 웹사이트 Banda da Grã-Cruz das Duas Ordens: Eduardo Alberto Cristiano Jorge André Patrício David, Príncipe de Gales http://arquivo.presi[...] 2019-11-28
[177] 서적 The Complete Peerage St. Catherine's Press
[178] 간행물 London Gazette 1913-03-18
[179] 간행물 London Gazette 1914-08-07
[180] 간행물 London Gazette 1914-12-09
[181] 간행물 London Gazette 1915-02-26
[182] 간행물 London Gazette 1915-02-10
[183] 간행물 London Gazette 1916-04-04
[184] 간행물 London Gazette 1918-05-17
[185] 간행물 London Gazette 1919-04-14
[186] 간행물 London Gazette 1919-07-15
[187] 간행물 London Gazette 1922-12-05
[188] 간행물 London Gazette 1930-09-02
[189] 간행물 London Gazette 1930-09-02
[190] 간행물 London Gazette 1935-01-01
[191] 간행물 London Gazette 1936-01-31
[192] 뉴스 The Times 1939-09-19
[193] 웹사이트 University community called to nominate candidates for chancellor https://www.news.uct[...] 2024-11-22
[194] 웹사이트 His Royal Highness the Prince of Wales https://www.sydney.e[...] 2024-11-22
[195] 웹사이트 Prince of Wales receives honorary degree, 1921 https://www.britishp[...] 2024-11-22
[196] 웹사이트 A history of Foundation Day at the University of London https://www4.london.[...] 2024-11-22
[197] 웹사이트 His Royal Highness Edward Prince of Wales https://www4.hku.hk/[...] 2024-11-22
[198] 웹사이트 Flags of the Royal Family, United Kingdom http://www.crwflags.[...] 2010-05-02
[199] 간행물 London Gazette 1911-03-07
[200] 서적 Burke's Guide to the Royal Family https://archive.org/[...] Burke's Peerage
[201] 서적 Mille volti di massoni Erasmo
[202] 서적 ロイヤルスタイル 英国王室ファッション史 吉川弘文館
[203] 서적 How to Stop Worring and Start Living Simon and Schuster Inc.
[204] 웹사이트 Broadcast after his abdication, 11 December 1936 http://www.royal.gov[...]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10-05-01
[205] 웹사이트 天皇の公務の負担軽減等に関する有識者会議 2016年12月14日 配付資料 海外制度関連規定 https://www.kantei.g[...]
[206] 뉴스 「酒、パーティー、ボードゲーム…王室「スペア」の生活は空虚?」テレグラフ https://headlines.ya[...] 2020-01-18
[207] 뉴스 両陛下バラ園ご散策 1971-10-05
[208] 뉴스 九段へ行啓 1922-04-19
[209] 논문 第一部報告 第二ジャポニスム論の試み https://hdl.handle.n[...] ジャポニスム学会
[210] 서적 英国皇太子殿下東京市奉迎録 東京市
[211] 서적 答礼使御来朝記念写真帖 荒木利一郎 1922
[212] 서적 答礼使御来朝記念写真帖 荒木利一郎 1922
[213] 서적 Burke’s Peerage, Baronetage & Knightage, Clan Chiefs, Scottish Feudal Barons Burke's Peerage Limited
[214] 웹사이트 Edward VIII Windsor, King of the United Kingdom http://thepeerage.co[...] 2015-08-03
[215] 간행물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君塚(2004)
[216] 웹사이트 Famous Freemasons http://www.lodgestpa[...] 2015-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