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른스트 크레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른스트 크레네크는 190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빈에서 태어난 작곡가로, 20세기 음악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프란츠 슈레커에게 작곡을 배우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 복무를 하면서도 음악 공부를 이어갔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는 지휘자로 활동하며, 구스타프 말러의 미망인 알마 말러와 결혼했으나 짧은 기간 만에 이혼했다. 나치 정권의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하여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12음 기법, 재즈, 우연성 음악 등 다양한 스타일을 시도했다. 그의 작품은 오페라, 관현악, 실내악 등 다방면에 걸쳐 있으며, 특히 오페라 《조니는 연주한다》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크레네크는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오스트리아 국가 대음악상 등을 수상했으며, 빈 시는 그의 업적을 기려 에른스트 크레네크 상을 제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링 (빈) 출신 - 힐데 홀거
    오스트리아 출신 무용가 힐데 홀거는 표현주의 무용 학교 설립, 인도 망명 후 유럽과 인도 무용 융합 시도, 영국 이주 후 장애인 무용 치료법 개발 등 혁신적인 행보를 보였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 - 알반 베르크
    오스트리아 작곡가 알반 베르크는 제2 빈 악파의 핵심 인물이자 쇤베르크의 제자로서, 12음 기법에 섬세한 감정과 사회 비판을 담아 《보이체크》, 《루루》, 바이올린 협주곡 등 20세기 음악사에 중요한 작품을 남겼다.
  • 아르놀트 쇤베르크 - 존 케이지
    존 케이지는 우연성 음악과 4분 33초 등으로 유명하며 비서양 음악과 실험적인 연주 기법을 수용하여 음악의 경계를 넓힌 미국의 작곡가, 음악 이론가, 철학자, 작가 및 예술가이다.
  • 체코의 작곡가 -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베드르지흐 스메타나는 체코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로,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작품 활동과 《팔려간 신부》, 《나의 조국》 등의 작품을 통해 체코 국민 음악의 기초를 확립하고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 체코의 작곡가 - 안토닌 드보르자크
    안토닌 드보르자크는 낭만주의 시대의 보헤미아 출신 작곡가로, 체코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이며, 9개의 교향곡, 슬라브 무곡, 오페라 《루살카》 등 다양한 작품을 작곡하고 체코 민속 음악과 고전 형식을 결합하여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에른스트 크레네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7년의 에른스트 크레네크
1937년의 에른스트 크레네크
본명에른스트 하인리히 크셰네크
출생지오스트리아-헝가리
출생일1900년 8월 23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
사망일1991년 12월 22일
국적오스트리아, 미국
직업작곡가
교육빈 국립 음악 아카데미
음악 경력
장르클래식 음악
영향아르놀트 쇤베르크
알반 베르크
안톤 베베른
구스타프 말러
클로드 드뷔시
파울 힌데미트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주요 작품
오페라《조니 슈필트 아우프》 (Jonny spielt auf, 1926)
《오렐리앙, 또는 불가결에 의한 개입》 (Orestie, oder die Agamemnon-Trilogie, 1930)
《카를 5세》 (Karl V, 1938)
《산타 크루즈의 코룸부스》 (Columbus, The Discovery of America, 1942)
《금지된 구역》 (Das Geheime Königreich, 1928)
《생명의 원》 (Der Kreidekreis, 1933)
《파푸아나》 (Paphnutius, 1930)
《8월 35일》 (8. August 35, 1934)
《타르튈》 (Tartuffe, 1944)
《피제아스》 (Pallas Athene weint, 1955)
《황제 티투스의 관대》 (The Triumph of Divine Love, 1971)
《저승 세계 오르페우스》 (Orpheus und Eurydike, 1923)
《아글라오페》 (Aglaja, 1928)
발레《마모르》 (Mamor, 1922)
관현악교향곡 1번 (1921)
교향곡 2번 (1922)
교향곡 3번 (1922)
교향곡 4번 (1947)
교향곡 5번 (1949)
교향곡 《펠리페 카마리요를 기리며》 (Symphonia in memoriam Philippi Camarillo, 1956)
《정령들의 춤》 (Gesänge des späten Jahres, 1931)
바이올린 협주곡 1번 (1924)
바이올린 협주곡 2번 (1933)
피아노 협주곡 1번 (1923)
피아노 협주곡 2번 (1937)
첼로 협주곡 (1953)
실내악현악 사중주 1번 (1921)
현악 사중주 2번 (1921)
현악 사중주 3번 (1923)
현악 사중주 4번 (1924)
현악 사중주 5번 (1930)
현악 사중주 6번 (1936)
현악 사중주 7번 (1944)
현악 사중주 8번 (1944)
12개의 악기를 위한 작은 심포니 (Kleine Symphonie für zwölf Soloinstrumente, 1928)
기타《여행의 시편》 (Reisebuch aus den österreichischen Alpen, 1929)
《사이버네티콘》 (Kiberneetikon, 1961)
《6개의 측정》 (Sechs Vermessungsstücke, 1956)
참고 자료
관련 인물안나 말러 (결혼)

2. 생애

에른스트 크레네크는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태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 군대에 징집되었지만, 빈에 배치되어 음악 공부를 계속할 수 있었다.

프란츠 슈레커에게 작곡을 배웠고, 졸업 후 독일 각지의 가극장에서 지휘자로 활동했다. 1922년 구스타프 말러의 미망인 알마 말러와 그의 딸 안나 말러를 만나 교향곡 2번을 헌정하고 1924년 1월에 결혼했지만, 1년도 채 되지 않아 이혼했다.

나치당 정권 발족 후, 크레네크의 작품은 독일에서 상연이 금지되었고, 오스트리아 공화국에서도 나치의 영향을 받았다. 크레네크는 엥겔베르트 돌푸스가 이끄는 조국 전선에 가입하여 돌푸스 정권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다.

1938년, 미국으로 망명하여 바사 칼리지를 시작으로 여러 대학에서 음악을 가르쳤다. 1942년부터 1947년까지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있는 햄린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세 번째 부인이자 제자였던 작곡가 글래디스 노르덴스트롬과 결혼했다. 1945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이후 캐나다 토론토로 이주하여 1950년대에 로열 음악원에서 가르쳤다. 제자로는 밀턴 반스, 로언 베츠, 로크 코르데로, 사무엘 돌린, 로버트 에릭슨, 할림 엘-다브, 리차드 맥스필드, 윌 오그던, 조지 퍼를, 버지니아 세이, 슝-지 웡 등이 있다.

말년에 크레네크는 투정가를 거쳐 1966년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로 이주했다. 1991년, 91세의 나이로 팜스프링스에서 사망했지만, 빈 중앙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00-1920년대 초)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태어난 에른스트 크레네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 체코인 병사의 아들이었다.[16] 그는 프란츠 슈레커에게 배우고 독일 오페라 극장에서 지휘자로 활동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스트리아 군대에 징집되었으나 빈에 배치되어 음악 공부를 계속할 수 있었다. 1922년 구스타프 말러의 미망인 알마 말러와 그의 딸 안나 말러를 만나 자신의 교향곡 2번을 헌정하고 1924년 1월에 결혼했지만, 이듬해 이혼했다.[1]

''조니는 연주한다'', 1926년 보컬 스코어 표지 (초판)


안나 말러와 결혼할 당시, 크레네크는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작품 29번을 완성하고 있었다. 오스트레일리아 바이올리니스트 알마 무디는 크레네크가 바이올린 파트 작곡을 하는 것이 아닌, 독일 초인플레이션 시기에 그녀의 스위스 후원자 베르너 라인하르트에게서 재정적 지원을 받도록 도왔다. 크레네크는 이에 대한 감사로 이 협주곡을 무디에게 헌정했고, 그녀는 1925년 1월 5일 데사우에서 초연했다. 안나 말러와는 초연 며칠 후 이혼이 확정되었다. 크레네크는 초연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무디와 짧고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그는 그녀가 협주곡을 연주하는 것을 듣지 못했지만, 그의 오페라 ''조니는 연주한다(Jonny spielt auf)''의 등장인물 아니타에 그녀의 개성의 일부를 영원히 담아냈다. 1926년에 완성된 이 '재즈 오페라'는 유럽 전역에서 큰 성공을 거두어, 크레네크는 수년간 유명해졌다.

2. 2. 초기 경력과 결혼 (1920년대-1930년대)

프란츠 슈레커에게 작곡을 사사받고, 제1차 세계 대전오스트리아 제국 군에 징병되었지만 빈에서 음악 연구를 계속했다.[17] 전후 슈레커가 베를린 고등 음악학교 교장으로 발탁되자, 알로이스 하바 등과 함께 바이마르 공화국으로 이주하여 페루치오 부소니와 헤르만 셰르헨의 신임을 얻었다. 졸업 후에는 독일 각지의 가극장에서 지휘자로 활약했다.[17]

1922년 안나 말러를 만나 말러의 《교향곡 제10번》 제1악장과 제3악장을 교정·개정했다. 같은 해 친구 에두아르트 에르트만의 요청으로 슈베르트의 미완성 《피아노 소나타 제15번》을 보필했다.[17] 1924년 안나와 결혼했지만, 1년도 안 되어 이혼했다.

안나 말러와 결혼할 당시, 크레네크는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작품 29번을 완성하고 있었다. 오스트레일리아 바이올리니스트 알마 무디는 독일의 초인플레이션 시대에 스위스 후원자 베르너 라인하르트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도록 크레네크를 도왔다. 이에 감사하여 크레네크는 이 협주곡을 무디에게 헌정했고, 그녀는 1925년 1월 5일 데사우에서 초연했다. 안나 말러와 이혼은 초연 며칠 후에 확정되었다. 크레네크는 초연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무디와 짧고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그는 그녀가 협주곡을 연주하는 것을 듣지 못했지만, 그의 오페라 ''조니는 연주한다(Jonny spielt auf)''의 등장인물 아니타에 그녀의 개성을 담아냈다.[1] 1926년에 완성된 이 '재즈 오페라'는 유럽 전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음악 동료들이 그의 음악의 상업화를 비판하여, 크레네크는 곧 작곡 방향을 급진적으로 바꾸었다.[1]

''조니는 연주한다''의 재즈적 영향과 흑인 재즈 음악가가 중심 인물이라는 점은 나치당의 비난을 받았다. 조니의 이미지는 1938년 '퇴폐' 음악의 ''퇴폐 음악(Entartete Musik)'' 전시회 포스터에 왜곡되어 사용되었다. 크레네크는 제3제국 시대에 유대인 작곡가로 자주 언급되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고 망명 전까지 정권에 의해 위협을 받았다. 1933년 3월 6일, 1933년 3월 선거 다음 날,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감수성의 승리''에 대한 크레네크의 부수 음악은 만하임에서 철수되었고, 빈 국립 오페라 극장은 ''카를 5세 (오페라)(Karl V)'' 의뢰 초연을 취소해야 했다.[1]

나치 정권 발족 후, 크레네크 작품은 독일에서 상연 금지되었고, 오스트리아 공화국에서도 나치의 영향을 받았다. 크레네크는 엥겔베르트 돌푸스가 이끄는 조국 전선에 가입하여 돌푸스 정권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다.[17]

2. 3. 나치 시대와 망명 (1930년대-1945년)

나치당의 퇴폐 음악 딱지가 붙은 ''조니는 연주한다(Jonny spielt auf)''는 1926년에 완성된 '재즈 오페라'로, 유럽 전역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어 크레네크를 수년간 유명하게 만들었다.[1] 그러나 흑인 재즈 음악가를 주인공(여성을 유혹하고 값비싼 바이올린을 훔치는)으로 설정하고 재즈의 영향을 받은 악보를 사용했기 때문에 나치당의 비난을 받았다.[1] 1938년에는 '퇴폐' 음악 전시회 포스터에 조니의 이미지가 왜곡되어 사용되기도 했다.[1]

크레네크는 제3제국 시대에 유대인 작곡가로 자주 언급되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고 망명 전까지 정권에 의해 위협을 받았다.[1] 1933년 3월 6일, 1933년 3월 선거 다음 날,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감수성의 승리''에 대한 크레네크의 부수 음악은 만하임에서 철수되었고, 결국 빈 국립 오페라 극장에 압력이 가해져 ''카를 5세 (오페라)(Karl V)''의 의뢰 초연이 취소되었다.[1]

1938년 크레네크는 미국으로 망명하여 여러 대학에서 음악을 가르쳤다.[2] 바사 칼리지를 시작으로,[2] 1942년부터 1947년까지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있는 햄린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2] 햄린 대학교에서는 그의 세 번째 부인이자 당시 제자였던 작곡가 글래디스 노르덴스트롬을 만나 결혼했다.[5] 1945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3]

2. 4. 미국에서의 활동과 말년 (1945-1991)

크레네크는 1938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여러 대학에서 음악을 가르쳤다. 처음에는 바사 칼리지에서, 1942년부터 1947년까지는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있는 햄린 대학교에서 가르쳤다.[2] 햄린 대학교에서 그는 세 번째 부인이자 당시 그의 제자였던 작곡가 글래디스 노르덴스트롬을 만나 결혼했다. 1945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얻었다.[16]

이후 크레네크는 캐나다 토론토로 이주하여 1950년대에 로열 음악원에서 가르쳤다. 그의 제자로는 밀턴 반스, 로언 베츠, 로크 코르데로, 사무엘 돌린, 로버트 에릭슨, 할림 엘-다브, 리차드 맥스필드, 윌 오그던, 조지 퍼를, 버지니아 세이, 슝-지 웡 등이 있다.[2]

그는 투정가를 거쳐,[2] 1966년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로 이주했다.[3][4] 1991년 91세의 나이로 팜스프링스에서 사망했지만, 빈 중앙 묘지에 묻혔다.[5]

1998년 글래디스 노르덴스트롬은 에른스트 크레네크 연구소를 설립했고, 2004년 이 개인 재단은 빈에서 크렘스 안 데어 도나우로 이전했다.[5]

3. 주요 작품 및 음악적 스타일

크레네크의 음악은 20세기 주요 음악적 영향을 반영하며 다양한 스타일을 포괄한다. 초기에는 프란츠 슈레커의 영향을 받은 후기 낭만주의 음악 양식이었으나, 1920년경 무조성 음악으로 전환했다. 여기에는 에른스트 쿠르트, 페루치오 부소니, 아르투르 슈나벨, 에두아르트 에르트만, 헤르만 셰르헨 등의 영향이 있었다.[9]

1924년경 파리에서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와 Les Six를 접하며 신고전주의 스타일을 채택했다.[9] 곧이어 신낭만주의로 전환, 오페라 『조니 슈필트 아우프(1926)』와 『슈베어게비히트(1928)』에 재즈를 도입했다. 이 시기에는 프란츠 슈베르트의 영향을 받은 작품도 있는데, 『오스트리아 알프스 여행기』(1929)가 대표적이다.

1920년대 후반,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12음 기법을 수용했다.[9] 이는 오페라 『카를 5세』(1931–33)를 비롯한 후기 작품에 주로 사용되었다. 『예레미야 예언자의 애가』(1941–42)에서는 12음 기법과 르네상스 선법 대위법을 결합했다.

1955년 쾰른의 서독일 방송 전자 음악 스튜디오에서의 경험은 음렬주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12] 1960년경부터는 우연성 음악의 원리를 도입, 『호라이즌 서클드』(1967) 등에 반영되었다.[12]

말년에는 작곡 스타일이 더 자유로워졌지만, 12음 기법과 총렬주의 요소는 계속 사용되었다.[12]

크레네크의 작풍은 생애 동안 변화가 풍부했다. 초기에는 후기 낭만주의를 따랐으나, 이후 무조 음악, 신고전주의 음악, 재즈 등 다양한 양식을 시도했다. 1926년 오페라 《조니는 연주한다》[20]유럽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1930년대에는 슈베르트의 영향을 받은 연작 가곡집 《오스트리아 알프스에서의 여행 일기》(1929)를 작곡했다. 망명 전후 쇤베르크의 12음 기법으로 전향, 오페라 《카를 5세》(1930-1933)에서 이를 완전히 사용했다. 이후 전자 음악우연성 음악에도 참여했다. 힌데미트의 "실용 음악"에 공감했으나, 신 빈 악파로 전향하며 테오도어 아도르노와 함께 힌데미트를 비판하기도 했다.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는 크레네크에게 "청중이 당신을 잊은 것은 당신이 청중을 잊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크레네크의 작품은 새로운 기법을 사용한 후기에도 서정성과 유쾌함이 유지되었다. 무반주 혼성 합창곡집 《예언자 예레미야의 애가》(1941)와 글렌 굴드가 연주한 《피아노 소나타 3번》이 그 예이다. 크레네크는 굴드의 해석을 비판하며, 제프리 더글러스 매지에게 정통적인 해석을 맡겼다. 피아노 소나타 7번은 매지를 위해 쓴 곡이었다.

《조니는 연주한다》, 《카를 5세》 등 많은 오페라 대본과 《오스트리아 알프스에서의 여행 일기》, 총렬주의를 사용한 《세스티나》(1957) 등의 성악곡 가사는 직접 썼다.

3. 1. 오페라

크레네크는 매우 다양한 오페라 작품을 남겼다. 초기에는 프란츠 슈레커의 영향을 받아 후기 낭만주의 음악의 전통을 따랐으나, 이후 무조 음악을 거쳐 신고전주의 음악재즈의 영향을 받았다.

1926년에 발표한 오페라 《'''조니는 연주한다''' ('''Jonny spielt auf''')》[20]재즈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소련을 포함한 유럽 각지에서 연주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크레네크는 이 작품으로 1920년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떠올랐다. 그러나 이 작품은 나치에 의해 비난받기도 했다.

1930년대에는 슈베르트의 영향으로 낭만주의 전통으로 복귀하기도 했으며, 쇤베르크의 12음 기법을 사용한 오페라 《'''카를 5세''' ('''Karl V''')》(1930-1933년, 출판 1938년)를 작곡하기도 했다. 이 작품은 12음 기법이 পুরোপুরি 사용된 최초의 오페라이다.

크레네크는 《조니는 연주한다》, 《카를 5세》 등 많은 오페라의 대본을 직접 쓰기도 했다.
주요 오페라 작품

  • 그림자를 넘어 ''Der Sprung über den Schatten'' 작품 17 (1923; 초연 1924)
  •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Orpheus und Eurydike'' 작품 21 (1923; 초연 1926)
  • 조니는 연주하기 시작한다 ''Jonny spielt auf'' 작품 45 (1925-26; 초연 1927)
  • 독재자 ''Der Diktator'' 작품 49 (1926; 초연 1928)
  • 비밀의 왕국 작품 50 ''Das geheime Königreich'' (1926-27; 초연 1928)
  • 헤비급, 또는 국가의 영광 작품 55 ''Schwergewicht, oder Die Ehre der Nation'' (1926-27; 초연 1928)
  • 오레스트의 생애 작품 60 ''Leben des Orest'' (1928-29; 초연 1930)
  • 카를 5세 작품 73 ''Karl V'' (1930-33; 초연 1938)
  • 케팔로와 프로크리스 작품 77 ''Cefalo e Procri'' (1933-34; 초연 1934)
  • ''Tarquin'' op.90 (1940; 초연 1950)
  • ''What Price Confidence?'' (Vertrauenssache) op.111 (1945-46; 초연 1960)
  • 어두운 물줄기 Dark Waters (Dunkle Wasser) op.125 (1950; 초연 1950)
  • 팔라스 아테네는 운다 Pallas Athene weint op.144 (1952-55; 초연 1955)
  • 종탑 The Bell Tower (Der Glockenturm) op.153 (1955-56; 초연 1957)
  • ''Ausgerechnet und verspielt'' op.179 (1961; 초연 1962)
  • ''Der goldene Bock'' (Chrysomallos) op.186 (1963; 초연 1964)
  • ''Der Zauberspiegel''. Fernsehoper op.192 (1966; 초연 1967)
  • ''Sardakai oder Das kommt davon'' op.206 (1967-69; 초연 1970)

3. 2. 발레


  • 맘몬 작품 37 (1925)
  • 바뀐 큐피드 작품 38 (1925)
  • 8 열 줄 작품 85 (1939)

3. 3. 관현악곡


  • 교향곡 1번 작품 7 (1921)
  • 교향곡 2번 작품 12 (1922)
  • 교향곡 3번 작품 16 (1922)
  • 관악기와 타악기를 위한 교향곡 작품 34 ''Symphonie pour instruments à vent et batterie프랑스어'' (1924-25)
  • 교향곡 작품 58 (1928)
  • 교향곡 4번 작품 113 (1947)
  • 교향곡 5번 작품 119 (1949)
  • 교향곡 《팔라스 아테네》 작품 137 (1954)
  • 현악을 위한 신포니에타 "브라질풍" 작품 131 (1952)
  •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콘체르티노》 작품 27 (1924)
  •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작품 29
  • 쳄발로와 오르간,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소 협주곡 작품 88
  • 첼로 협주곡 1번 작품 113
  • 바이올린피아노, 소 오케스트라를 위한 이중 협주곡 작품 124
  • 하프와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작품 126
  • 바이올린 협주곡 2번 작품 140
  • 첼로와 관현악을 위한 카프리치오 1번 작품 145
  • 첼로 협주곡 1번 작품 236
  • 오르간과 현악 합주를 위한 협주곡 작품 230
  • 오르간 협주곡 작품 235
  • 피아노 협주곡 (총 4곡)
  • 관현악을 위한 포푸리 작품 54
  • 관현악을 위한 11개의 투명화 작품 142 (1954)
  • 교향적 스케치 "사슬, 원, 거울" 작품 160 (1957)
  • 시간 문제 ''Quaestio Temporisla'' 작품 170 (1959)

3. 4. 취주악


  • 세 개의 유쾌한 행진곡 ''Drei lustige Märsche'' (도나우에싱겐, 1926년 초연)
  • 모음곡 「1955년」 ''Suite 1955''
  • 꿈의 연속 작품 224 ''Dream Sequence'' (1975)

3. 5. 성악곡

(초연 1924)극적 칸타타Op. 35혼성 합창을 위한 《사계》 (Die Jahreszeiten)Op. 56세 개의 가곡 (3 Gesängen)1927Op. 57a아리아 《스텔라의 독백》(Monolog der Stella)1928Op. 62연작 가곡집 《오스트리아 알프스 기행》 (Reisebuch aus den österreichischen Alpen)1929프란츠 슈베르트의 영향을 받은 신 낭만주의 양식의 대표작[20]Op. 67연작 가곡집 《밤을 지나》 (Durch die Nacht)1930/1931Op. 68소야나키 우구이스(小夜鳴き鶯) 《밤꾀꼬리》(Die Nachtigall)1927콜로라투라 소프라노와 앙상블Op. 71연작 가곡집 《만년의 노래》 (Gesänge des späten Jahres)Op. 151Ich singe wieder wenn es tagt1955/1956현악 오케스트라 또는 현악 4중주와 함께하는 혼성 합창곡Op. 161《세스티나》 (Sestina)1957총렬주의를 사용한 소프라노와 8악기를 위한 곡Op. 221축일 칸타타(Feiertagskantate)1975


3. 6. 실내악

3. 7. 건반

[20]'''작품 92의 나머지 악곡'''은 비올라 독주곡과 오르간 독주곡이다.

4. 다른 작곡가의 작품 완성

1922년 알마 말러는 크레네크에게 남편 구스타프 말러의 미완성된 교향곡 10번을 완성해 달라고 부탁했다. 크레네크는 제1악장과 제3악장을 편집하는 데 도움을 주었지만 더 이상 진행하지는 않았다.[6] 이보다 더 생산적인 결과는 크레네크의 친구이자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인 에두아르트 에르트만의 요청이었다. 에르트만은 슈베르트의 ''유물'' 피아노 소나타를 레퍼토리에 추가하고 싶어했고, 크레네크에게 미완성된 제3악장과 제4악장을 완성해 줄 것을 요청했다. 크레네크가 완성한 소나타는 웹스터 아이트켄, 레이 레브, 프리드리히 뷔어러, 스타니슬라프 크리스텐코 등이 연주하고 음반으로도 발매되었다.[7][8]

1947년 7월, 레브의 음반 해설에서 크레네크는 다른 작곡가의 작품, 특히 슈베르트 소나타를 완성하는 것의 어려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위대한 거장의 미완성 작품을 완성하는 것은 매우 섬세한 작업입니다. 제 생각에는 미완성된 작품의 주요 아이디어를 모두 담고 있는 원래 단편에서만 솔직하게 시도할 수 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 창의적인 정신이 항상 자신의 선례를 따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약간 불안감을 느낄 것입니다. 그는 예측 불가능성이 천재성의 가장 끈기 있게 지켜지는 특권 중 하나라는 사실을 더 의식합니다. ... 그러나 단편의 저자가 작품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본질적인 주제 자료를 제시했다는 것을 확신하면 이러한 종류의 망설임은 제쳐둘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저는 아무도, 심지어 가장 위대한 천재라도 다른 천재가 남긴 단편을 감히 완성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6]

크레네크는 렘브란트의 스타일을 주의 깊게 연구한 학생은 한두 개의 모서리가 없는 그림을 완성할 수 있지만, 네 개의 그림으로 이루어진 연작에서 완전히 누락된 두 개의 그림을 제공할 수는 없다고 비유하며, 이러한 시도는 "어느 정도 성공적인 가짜"만을 낳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슈베르트"미완성" 교향곡을 예로 들며, "창작자가 4개의 악장 중 2개만 쓰고 나머지는 흔적이 없는 상태로 남겨졌다. 슈베르트의 방식으로 교향곡에 2개 이상의 악장을 쓸 수 있겠지만, 그것은 슈베르트가 아닐 것이다."라고 주장했다.[6]

5. 저술 활동 및 대한민국과의 관계

크레네크는 영어로도 저술 활동을 펼쳐, 1939년 현대 음악론(원제 ''Music Here and Now'')과 1953년 오케겜론 같은 논문을 저술했다. 1974년에는 회상록 "자작을 말하다"(원제: ''Horizons Circled: Reflections on my Music'')를 출간했다.[1] 쇤베르크아도르노에 비해 젊은 나이에 망명했기 때문에, 빠르게 영어에 숙달되었고, 그 표현력은 글렌 굴드가 인정할 정도였다.[1]

크레네크는 빈 시대에 하시모토 구니히코에게 가르침을 주었고,[1] 2005년 2월 4일 버지니아 웨어링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일부로 열린 에른스트 크레네크 콩쿠르 최종 심사에서 스기야마 나오코가 2위에 입상했다.[1] 첼리스트 미야가와 유코(고노에 히데마로의 손녀)는 유럽 유학 시절부터 크레네크 작품에 경도되어 그의 작품을 공개 연주회에서 적극적으로 다루고 있으며,[1] 하프 협주곡과 하프 소나타는 요시노 나오코의 주특기 중 하나이다.[1]

5. 1. 저술 활동

크레네크는 영어로도 저술 활동을 펼쳐, 1939년 현대 음악론(원제 ''Music Here and Now'')과 1953년 오케겜론과 같은 논문을 저술했다. 1974년에는 회상록 "자작을 말하다"(원제: ''Horizons Circled: Reflections on my Music'')를 출간했다.[1] 쇤베르크아도르노에 비해 젊은 나이에 망명했기 때문에, 빠르게 영어에 숙달되었고, 그 표현력은 글렌 굴드가 인정할 정도였다.[1]

5. 2. 대한민국과의 관계

빈 시대에 하시모토 구니히코가 그에게 가르침을 받았다.[1] 2005년 2월 4일에 버지니아 웨어링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일부로 열린 에른스트 크레네크 콩쿠르 최종 심사에서 스기야마 나오코가 2위에 입상했다.[1] 첼리스트 미야가와 유코(고노에 히데마로의 손녀)는 유럽 유학 시절부터 크레네크 작품에 경도되어, 그의 작품을 공개 연주회에서 적극적으로 다루고 있다.[1] 하프 협주곡과 하프 소나타는 요시노 나오코의 주특기 중 하나이다.[1]

6.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51년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13]
1955년빈 시 음악상[14]
1960년은성 대공로 훈장[15]
1960년빈 시 금메달[15]
1963년오스트리아 국가 대음악상[14]
1965년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사령관 십자장[15]
1966년함부르크 자유 한자 도시 바흐상[15]
1970년빈 명예 링[15]
1975년오스트리아 과학 예술 훈장[15]
1978년헤세 괴테 메달[15]
1980년빈 시 명예 시민[14]
1984년뉴올리언스 시 명예 시민[15]
1990년잘츠부르크 대공로 훈장[15]



크레네크의 85번째 생일에 빈 시는 에른스트 크레네크 상을 기증했다.[14]

참조

[1] 웹사이트 Ernst Krenek Interview with Bruce Duffie.... . http://bruceduffie.c[...]
[2] 뉴스 Festival Set in Honor of Krenek https://cdnc.ucr.edu[...] 2020-05-25
[3] 간행물 Aulokithara, Wechselrahmen, Three Sacred Pieces, Echoes from Austria Orion Master Recordings
[4] 서적 The Best Guide Ever to Palm Springs Celebrity Homes Horatio Limburger Oglethorpe 2014
[5] 웹사이트 Institute https://www.krenek.a[...]
[6] 웹사이트 Alcalay Luna biographical page at Music Information Center Austria http://www.mica.at/c[...]
[7] 웹사이트 Bandoneon Recordings Webster Aitkin page (in Chinese) http://www.bandoneon[...]
[8] 간행물 Toccata Classics TOCC 0298 CD
[9] 문서 Krenek 1964
[10] 서적 Ernst Krenek: The Man and His Mus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01-01
[11] 서적 Priest of Music: The Life of Dimitri Mitropoulos https://books.google[...] Hal Leonard Corporation 1995
[12] 문서 Bowles 2001
[13] 웹사이트 Krenek Ernst https://db.musicaust[...] 2020-11-16
[14] 문서 Schmidt 2001
[15] 웹사이트 Musik Mitglieder: Ernst Krenek https://www.adk.de/d[...] 2019-11-17
[16] 문서 Maurer Zenck 2006
[17] 웹사이트 PIANO MUSIC, VOLUME ONE https://toccataclass[...] toccataclassics.com 2023-11-23
[18] 웹사이트 Ernst-Krenek-Preis der Stadt Wien https://www.wien.gv.[...] Stadt Wien
[19] 웹사이트 Abe Kyoko https://db.musicaust[...] db.musicaustria.at 2023-11-23
[20] 웹사이트 Jonny spielt auf https://www.universa[...] www.universaledition.com 2023-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