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리코 페르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리코 페르미는 1901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출신 물리학자이다. 그는 페르미-디랙 통계를 확립하고, 베타 붕괴 이론과 페르미 상호작용을 제시했으며, 중성자를 이용한 유도 방사능 연구로 열중성자를 발견하는 등 이론 및 실험 물리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193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세계 최초의 원자로인 시카고 파일 1호를 개발하고 핵분열 연쇄 반응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수소폭탄 개발에는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페르미는 파이온-핵자 공명을 예측하고, 복합 입자 가설을 제시하여 쿼크와 렙톤 연구의 길을 열었으며, "페르미의 역설"을 제시하여 외계 지적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의 이름을 딴 페르뮴 원소, 페르미 연구소,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 등이 있으며, 1954년 5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 사피엔차 로마 대학교
- 레이던 대학교 - 헨드릭 카시미르
헨드릭 카시미르는 네덜란드의 이론물리학자이며, 카시미르 효과를 예측하고 유럽 물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레이던 대학교 -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스는 네덜란드의 이론 물리학자로, 닐스 보어와 함께 연구했으며 양자역학, 통계역학 분야에 기여했고, 그의 이름이 붙은 다양한 이론과 개념으로 알려져 있으며, 암스테르담 수학 연구소 설립에 기여하고 로렌츠 메달, 휴즈 메달을 수상했다. - 엔리코 페르미 - 페르미온
페르미온은 반정수 스핀을 가지고 파울리 배타 원리를 만족하며, 쿼크와 렙톤 등의 기본 입자와 페르미온을 홀수 개 포함하는 합성 입자를 포함한다. - 엔리코 페르미 - 페르미 역설
페르미 역설은 광대한 우주에서 외계 지적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인류가 그 증거를 발견하지 못한 이유에 대한 의문으로, 외계 문명의 부재에 대한 다양한 가설을 낳으며 과학적, 철학적 논쟁의 중심이 된다.
엔리코 페르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엔리코 페르미 |
로마자 표기 | Enrico Fermi |
출생일 | 1901년 9월 29일 |
출생지 | 이탈리아 왕국 로마 |
사망일 | 1954년 11월 28일 |
사망지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국적 | 이탈리아 (1901년–1944년) 미국 (1944년–1954년) |
![]() | |
학력 및 경력 | |
모교 | 피사 고등사범학교 |
박사 지도 교수 | 루이지 푸찬티 |
근무 기관 | 피사 고등사범학교 괴팅겐 대학교 라이덴 대학교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
박사 과정 학생 | 해럴드 애그뉴 에도아르도 아말디 오언 체임벌린 제프리 추 밀드레드 드레셀하우스 제롬 프리드먼 리처드 가윈 마빈 골드버거 리정다오 에토레 마요라나 아서 로젠펠드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샘 트레이먼 |
주요 제자 | 잭 스타인버거 양전닝 |
업적 | |
주요 업적 | 최초의 지속적인 핵 연쇄 반응 시연 페르미 기체 페르미의 황금률 페르미 상호작용 페르미 역설 페르미 문제 페르미온 찬드라세카르-페르미 방법 토마스-페르미 모형 토마스-페르미 가림 페르미-디랙 통계 |
주요 기여 | 페르미 통계 베타 붕괴 이론 핵 연쇄 반응 제어 |
중성자 발견 | 중성자 충격에 의한 새로운 방사성 원소 발견 및 열중성자에 의한 원자핵 반응 발견 |
수상 | |
수상 내역 | 마테우치 메달 (1926년) 노벨 물리학상 (1938년) 휴스 메달 (1942년) 메달 포 메리트 (1946년) 프랭클린 메달 (1947년)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1950년) 바너드 과학 공로 메달 (1950년) 럼퍼드상 (1953년) 막스 플랑크 메달 (1954년) |
기타 | |
배우자 | 라우라 카폰 (1928년 결혼) |
자녀 | 2명 |
![]() |
2. 생애 초기
엔리코 페르미는 1901년 9월 29일 이탈리아 왕국 로마에서 철도성 부장급 공무원 알베르토 페르미(Alberto Fermi)와 초등학교 교사 이다 데 가티스(Ida de Gattis) 슬하의 셋째로 태어났다.[2] 손윗누이 마리아(Maria)와 손윗형제 기울리오(Giulio)가 있었다. 페르미 부부는 두 아들을 젖먹이를 하러 시골로 내려보냈고, 엔리코는 2살 6개월 때 로마의 가족에게 돌아왔다. 조부의 바람에 따라 천주교식으로 세례를 받았지만, 페르미 가는 대부분의 이탈리아 가족들이 그렇듯이 그다지 독실하지 않았다. 엔리코는 평생 불가지론자로 살았다.[3] 어린 시절 형 기울리오와 전기모터를 만들거나 전기·기계 장난감을 갖고 노는 일 등에 관심을 가졌다. 1915년, 기울리오가 목구멍의 농양 제거 수술을 위해 마취를 받았다가 죽었다.
1926년, 오르소 코르비노는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에 이탈리아 최초의 이론물리학 교수직을 신설했고, 페르미는 20대 중반의 나이로 이 대학교 이론물리학 교수가 되었다.[65] 페르미는 프랑코 라세티와 함께 연구팀을 만들었고, 에도아르도 아말디, 에밀리오 세그레 등이 학생으로 합류했다.[66] 이후 오스카 다고스티노, 에토레 마요라나, 브루노 폰테코르보 등이 합류하면서 파니스페르나 소년들(라가치 디 비아 파니스페르나)이라 불리는 이 연구팀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성장했다. 1928년에는 라우라 카폰과 결혼했다.[67] 페르미는 로마에서 중성미자의 존재를 가정한 베타 붕괴 이론(페르미 상호작용)을 완성하고, 자연계 원소에 중성자를 조사하여 40종 이상의 인공 방사성 동위원소를 만드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
페르미의 첫 물리학 교재는 로마 캄포 데 피오리의 장터에서 발견한 책 한 권으로, 콜레기오 로마노 교수이자 예수회 신부인 안드레아 카라파가 1840년에 간행한 900페이지짜리 《전자물리수학》(''Elementorum physicae mathematicae''it)이었다. 이 책은 수학, 고전역학, 천문학, 광학, 음향학을 그 책이 쓰여진 시대 기준으로 다루고 있었다. 페르미는 과학에 관심이 많았던 엔리코 페르시코와 친해졌다. 둘은 자이로스코프 제작이나 지구 중력가속도의 정확한 측정 등의 과학 실험을 함께했다. 부친의 직장동료 아돌포 아미데이(Adolfo Amidei)가 페르미에게 물리와 수학에 관한 책 여러 권을 선물하자 페르미의 물리학에 대한 관심은 더욱 촉진되었다. 페르미는 선물받은 책을 빠르게 읽고 익혔다.
3. 로마에서의 교수 생활
3. 1. 노벨상 수상과 미국 망명
1938년, 엔리코 페르미는 중성자를 이용한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이 유대인을 차별하는 이탈리아 인종법을 시행하면서, 유대인 아내를 둔 페르미는 가족의 안전을 위해 미국으로 망명하기로 결심한다.[36]
4. 맨해튼 프로젝트
페르미는 1939년 뉴욕에 도착하여 컬럼비아 대학교 물리학 교수가 되었고, 5개 대학에서 제안을 받았다. 1938년 12월 독일 화학자 오토 한과 프리츠 슈트라스만의 핵분열 실험 성공과 리제 마이트너와 오토 프리쉬의 핵분열 해석을 알게 되었다.[23][24][25]
1939년 1월 25일, 페르미를 포함한 컬럼비아 대학교 실험팀은 미국 최초의 핵분열 실험을 실시했고,[26] 이후 워싱턴 D.C.에서 열린 이론물리학회에서 핵분열 소식이 널리 퍼졌다.
프랑스 과학자들과 페르미, 앤더슨은 중성자에 충돌된 우라늄이 더 많은 중성자를 방출하여 연쇄 반응 가능성을 확인했다.[27][28][29] 페르미와 실라르드는 원자로 설계를 협력했고, 페르미는 흑연을 감속재로 사용하여 자체 지속적인 핵반응을 달성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1939년 3월 18일, 페르미는 미국 해군부에 원자력의 잠재적 영향에 대해 경고했고,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은 우라늄 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 페르미는 흑연 벽돌 더미를 만들어 실험했고, 1941년 8월까지 더 큰 규모의 실험을 진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과학 연구 개발국 S-1 부서 회의가 1941년 12월 18일에 열렸고, 아서 콤프턴은 플루토늄 생산이 실행 가능한 대안이라고 판단했다. 페르미는 시카고 대학교 금속학 연구소로 이동하여 연구를 계속했다.
콤프턴의 결정에 따라, 페르미는 시카고 대학교 스태그 필드 스쿼시 경기장에 시카고 파일-1 원자로를 건설했다. 1942년 12월 2일, 시카고 파일-1은 임계 상태에 도달하여 세계 최초로 자체 지속적인 핵 연쇄 반응을 달성했다.[31]
이후 연구는 아르곤 숲 부지로 옮겨져 진행되었고, 페르미는 핵 반응 실험을 지휘하며 생물학 및 의학 연구에도 참여했다. 아르곤 연구소는 1944년 5월 페르미가 소장으로 있는 별도 기관이 되었다.
1943년 11월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 X-10 흑연 원자로가 임계 상태에 도달했을 때 페르미는 현장에 있었고, 1944년 7월에는 미국 시민이 되었다.
1944년 9월, 페르미는 한포드 부지 B 원자로에 최초의 우라늄 연료 슬러그를 삽입하여 플루토늄 생산을 시작했다. 크세논-135 중성자 독 문제가 발생했지만, 페르미는 추가 관을 장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플루토늄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1944년 중반, 오펜하이머는 페르미를 로스앨러모스 Y 프로젝트에 합류시켰고, 페르미는 연구소 부소장 및 F 부서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페르미는 1945년 7월 16일 트리니티 실험을 관찰했다.
4. 1. 윤리적 고민과 핵무기 개발
페르미는 수소폭탄 개발에 반대했다. 그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 폭격에 대해 임시위원회에 자문하는 과학 패널의 일원으로서 로버트 오펜하이머, 아서 콤프턴, 어니스트 로렌스와 함께 원자폭탄이 산업 시설을 대상으로 경고 없이 사용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36]5. 전후 행적
페르미는 1926년 마테우치 메달, 1938년 노벨 물리학상, 1942년 휴즈 메달, 1947년 프랭클린 메달, 1953년 럼퍼드 상 등 수많은 상을 받았다. 1946년 맨해튼 프로젝트 공헌으로 공훈 훈장을 받았으며, 1939년 미국철학회 회원, 1950년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5][49] 1999년 《타임》은 그를 20세기 100인에 선정했다.[47]
뛰어난 교사였던 페르미는 강의 준비에 철저하고 단순 명료한 설명으로 유명했다. 그의 강의 노트는 책으로 출판되었고, 논문과 노트는 시카고 대학교에 보관되어 있다.[48] 그는 복잡한 이론을 싫어했고, 뛰어난 수학적 능력을 가졌지만,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면 사용하지 않았다. 빠르게 근사치를 계산하는 "페르미 추정"으로 유명해졌으며, 이는 널리 가르쳐지고 있다.
페르미는 알레산드로 볼타의 전기 연구를 언급하며, 원자력과 핵무기, 특히 최초의 원자로 생성과 최초의 원자폭탄 및 수소폭탄 개발에 대한 업적으로 주로 기억된다. 그의 베타 붕괴 이론, 비선형 시스템 연구, 느린 중성자 효과 발견, 파이온-핵자 충돌 연구, 페르미-디랙 통계는 시간을 초월한 과학적 업적이다. 파이온이 기본 입자가 아니라는 그의 추측은 쿼크와 렙톤 연구의 길을 열었다.
Egon Bretscher는 페르미를 단순하고 활기차며, 게임과 스포츠를 좋아하는 사람으로 묘사했다. 테니스를 격렬하게 쳤고, 등산할 때 안내자 역할을 자처했으며, "자애로운 독재자"라고 불릴 정도로 리더십과 자신감이 있었다. 페르미는 물리학 발표가 무오류라고 여겨져 "교황"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물리학 이외의 관심사가 거의 없었고, 음악에 대한 관심은 단순한 곡에 국한된다고 고백했다.[49]
퍼미 추정의 유래가 될 정도로 대략적인 값 계산에 능숙했으며, 원자폭탄 폭발 당시 티슈를 떨어뜨려 폭풍을 계산하여 폭발 에너지를 추정했다는 일화가 있다.
"우주에는 많은 생명체가 존재하고 지적 생명체도 다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왜 지구에 왔다는 흔적이 없는가?"라는 페르미의 역설을 제시했다. 이는 후의 드레이크 방정식으로 이어진다.
5. 1. 사망
1954년 10월, 페르미는 빌링스 기념 병원에서 "탐색적" 수술을 받았고, 이후 집으로 돌아왔다. 50일 후 시카고 자택에서 치료 불가능한 위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53세였다.[42] 페르미는 원자로 근처에서 일하는 것이 큰 위험을 수반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개인적인 안전 위험보다 이익이 더 크다고 생각하여 계속 연구를 진행했다. 그의 대학원 조교 중 두 명도 원자로 근처에서 일하다가 암으로 사망했다.[43]시카고 대학교 예배당에서 추도식이 거행되었으며, 동료인 새뮤얼 K. 앨리슨, 에밀리오 세그레, 허버트 L. 앤더슨이 연설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고 생산적인 물리학자" 중 한 명의 죽음을 애도했다.[44] 그의 시신은 오크 우즈 묘지에 안치되었으며, 가족만 참석한 가운데 루터교 목사 주례로 사적인 매장식이 거행되었다.
6. 업적과 영향
엔리코 페르미는 이론 물리학과 실험 물리학 모두에 뛰어난 업적을 남긴 20세기 물리학자였다.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피사 고등사범학교에서 공부했으며, 괴팅겐 대학교와 레이덴 대학교에서도 연구했다.
페르미는 파울리 배타원리를 따르는 입자들의 통계적 분포를 설명하는 페르미-디랙 통계를 개발했다. 1934년에는 중성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여러 원소에서 방사능을 유도하는 데 성공했으며, 특히 느린 중성자가 빠른 중성자보다 더 쉽게 포획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8][19][20][21][22] 또한, 베타 붕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중성미자라는 새로운 입자를 도입하고 약한 상호작용 이론을 제시했다.[15]
1923년에는 아우구스트 코프의 단행본 《아인슈타인 상대론의 기초》 이탈리아어판 부록을 쓰면서, 아인슈타인 방정식 에 함의된 핵 위치 에너지의 개념을 최초로 짚어내기도 했다.
그의 업적은 사후에도 인정받아 페르미 연구소,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 등 여러 기관과 장비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또한, 그의 이름을 딴 페르뮴이라는 원소도 발견되었다.[54]
페르미는 대략적인 값을 계산하는 데 능숙했으며, "페르미의 역설"을 제시하여 외계 지적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기도 했다.
6. 1. 과학적 업적
페르미는 물리학 분야에서 다양한 과학적 업적을 남겼다.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파울리 배타원리를 발표하자 페르미는 이상기체에 배타원리를 적용시킨 논문 〈완전 단원자 기체의 양자화에 관하여〉를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페르미는 배타원리를 따르는 많은 단종입자들로 이루어진 계의 입자 분포를 설명하는 페르미 통계공식을 만들었는데, 이는 폴 디랙도 독립적으로 발견하여 페르미-디랙 통계라고 명명되었다.[77]1933년에는 베타 붕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중성미자라는 새로운 입자를 도입하고, 페르미 상호 작용(약한 상호작용) 이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은 자연의 네 가지 기본 힘 중 하나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이다.[15]
1934년에는 중성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여러 원소에서 방사능을 유도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느린 중성자가 빠른 중성자보다 더 쉽게 포획되어 더 많은 방사능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8][19][20][21][22]
1942년에는 시카고 파일 1호를 설계하고 제작하여 세계 최초로 제어된 핵분열 연쇄 반응을 일으키는 데 성공했다. 이 실험은 원자력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다.[31]
페르미는 또한 파이온-핵자 공명을 예측하고, 양전닝과 함께 파이온이 복합 입자일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41]
6. 2. 페르미의 이름을 딴 것들


페르미의 이름을 딴 많은 것들이 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페르미 연구소(Fermilab): 1974년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이름이 바뀐 일리노이주 배타비아(Batavia, Illinois)에 있는 입자 가속기 및 물리학 연구소이다.[50]
-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Fermi Gamma-ray Space Telescope): 2008년 우주선 연구에 대한 그의 공헌을 인정받아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51]
- 원자로 시설:
- 페르미 1(Fermi 1)과 페르미 2(Fermi 2) 원자력 발전소: 미시간주 뉴포트(Newport, Michigan)에 위치.[52]
- 엔리코 페르미 원자력 발전소(Enrico Fermi Nuclear Power Plant): 이탈리아 트리노 베르첼레세(Trino Vercellese)에 위치.[52]
- RA-1 엔리코 페르미(RA-1 Enrico Fermi) 연구용 원자로: 아르헨티나에 위치.[53]
- 페르뮴(fermium): 1952년 아이비 마이크(Ivy Mike) 핵실험의 잔해에서 분리된 새로운 원소로, 과학계에 대한 페르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이로써 페르미는 이름이 원소 이름으로 사용된 16명의 과학자 중 한 명이 되었다.[54]
- 페르미 상(Fermi Award): 1956년부터 미국 원자력 위원회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최고 영예의 상이다. 오토 한, 로버트 오펜하이머, 에드워드 텔러, 한스 베테 등이 이 상을 수상했다.[55]
6. 3. 평가
이론 및 실험 물리학 모두에 뛰어난 20세기 물리학자 페르미는 퍼미 추정의 유래가 될 정도로 대략적인 값을 계산하는 데 능숙했다. 원자폭탄 폭발 당시 티슈를 떨어뜨리고 그 움직임으로 폭풍을 계산하여 폭발 에너지를 추정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우주에는 많은 생명체가 존재하고 지적 생명체도 다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왜 지구에 왔다는 흔적이 없는가?"라는 페르미의 역설을 제시했다. 이는 후의 드레이크 방정식으로 이어진다.
7. 저서
- Introduzione alla Fisica Atomicait, 1928년
- Fisica per i Liceiit, 1929년
- Molecole e cristalliit, 1934년
- Thermodynamics영어, 1937년
- Fisica per Istituti Tecniciit, 1938년
- Fisica per Licei Scientificiit (에도아르도 아말디(Edoardo Amaldi)와 공저), 1938년
- Elementary particles영어, 1951년
- Notes on Quantum Mechanics영어, 1961년
- 제임스 채드윅과 공저, 中性子の發見と硏究일본어 (木村一治|기무라 가즈하루일본어·玉木英彦|다마키 히데히코일본어 역, 大日本出版, 1950)[49]
- Nuclear Physics영어 (1950년,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原子核物理學일본어 (小林稔|고바야시 미노루일본어 외 역, 吉岡書店, 1954)[49]
- Elementary Particles영어 (1951년, Yale Univercity Press)
- 素粒子일본어 (村田良夫|무라타 요시오일본어 역, 東京図書, 1969)[49]
- thermodynamics영어 (1937년, Prentice-Hall)
- フェルミ 熱力学일본어 (加藤正昭|가토 마사아키일본어 역, 三省堂, 1973)[49]
그의 논문 전체 목록은 참고 문헌[49] 75~78쪽을 참조.
8. 특허
Enrico Fermi영어는 다음 특허들을 받았다.
특허 번호 | 제목 | 출원 날짜 | 발행 날짜 |
---|---|---|---|
US 2206634 | 방사성 물질 생산 공정 | 1935년 10월 | 1940년 7월 |
US 2836554 | 공냉식 중성자 반응로 | 1945년 5월 | 1950년 4월 |
US 2524379 | 중성자 속도 선택기 | 1945년 9월 | 1950년 10월 |
US 2852461 | 중성자 반응로 | 1945년 10월 | 1953년 9월 |
US 2708656 | 중성자 반응로 | 1944년 12월 | 1955년 5월 |
US 2768134 | 중성자 반응로 내 재료 시험 | 1945년 8월 | 1956년 10월 |
US 2780595 | 시험 지수형 원자로 | 1944년 5월 | 1957년 2월 |
US 2798847 | 중성자 반응로 작동 방법 | 1944년 12월 | 1957년 7월 |
US 2807581 | 중성자 반응로 | 1945년 10월 | 1957년 9월 |
US 2807727 | 중성자 반응로 차폐체 | 1946년 1월 | 1957년 9월 |
US 2813070 | 중성자 연쇄 반응 시스템 유지 방법 | 1945년 11월 | 1957년 11월 |
US 2837477 | 연쇄 반응 시스템 | 1945년 2월 | 1958년 6월 |
US 2931762 | 중성자 반응로 | 1945년 5월 | 1960년 4월 |
US 2969307 | 열중성자 핵분열성 물질 순도 시험 방법 | 1945년 | 1961년 1월 |
9. 수상 내역
참조
[1]
뉴스
Enrico Fermi, architect of the nuclear age, dies
http://www.history.c[...]
1954-09-01
[2]
웹사이트
Portale Antenati
https://antenati.cul[...]
2023-05-23
[3]
서적
Atoms in the Family: My Life with Enrico Ferm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10-24
[4]
웹사이트
Maria Fermi Sacchetti (1899–1959)
http://www.olgiateol[...]
2017-05-06
[5]
웹사이트
Edizione Nazionale Mathematica Italiana – Giulio Pittarelli
http://mathematica.s[...]
Scuola Normale Superiore
2017-05-06
[6]
학술지
Über einen Widerspruch zwischen der elektrodynamischen und relativistischen Theorie der elektromagnetischen Masse
https://en.wikisourc[...]
2013-01-17
[7]
웹사이트
[as] radici – Le masse nella teoria della relatività (1923)
https://www.asimmetr[...]
2023-07-23
[8]
웹사이트
Enrico Fermi L'Uomo, lo Scienziato e il Massone
http://www.goilombar[...]
2015-03-04
[9]
웹사이트
Enrico Fermi e i ragazzi di via Panisperna
http://www.phys.unir[...]
University of Rome
2013-01-20
[10]
웹사이트
About Enrico Fermi
http://fermi.lib.uch[...]
University of Chicago
2013-01-20
[11]
뉴스
Così Fermi scoprì la natura vessatoria del fascismo
http://archiviostori[...]
2001-10-02
[12]
간행물
Reale accademia d'Italia:inventario dell'archivio
http://www.archivi.b[...]
Ministero per i beni culturali e ambientali
2013-01-20
[13]
웹사이트
A Legal Examination of Mussolini's Race Laws
http://primolevicent[...]
Centro Primo Levi
2015-08-07
[14]
학술지
Über die Wechselwirkung von zwei Elektronen
http://link.springer[...]
1932
[15]
학술지
Fermi's Theory of Beta Decay (English translation by Fred L. Wilson, 1968)
http://microboone-do[...]
2013-01-20
[16]
학술지
Un nouveau type de radioactivité
http://gallica.bnf.f[...]
1934-01-15
[17]
학술지
Artificial Production of a New Kind of Radio-Element
http://jnm.snmjourna[...]
[18]
학술지
Neutron physics in the early 1930s
[19]
학술지
Enrico Fermi's Discovery of Neutron-Induced Artificial Radioactivity: The Influence of His Theory of Beta Decay
2009-12-01
[20]
학술지
Radioattività indotta da bombardamento di neutroni
http://www.phys.unir[...]
1934-03-25
[21]
학술지
Artificial Radioactivity Produced by Neutron Bombardment
[22]
웹사이트
A Few Good Moderators: The Numbers
http://energyfromtho[...]
The Energy From Thorium Foundation
2007-02-13
[23]
학술지
Über den Nachweis und das Verhalten der bei der Bestrahlung des Urans mittels Neutronen entstehenden Erdalkalimetalle
[24]
학술지
Physical Evidence for the Division of Heavy Nuclei under Neutron Bombardment
[25]
학술지
Disintegration of Uranium by Neutrons: a New Type of Nuclear Reaction
http://www.nature.co[...]
2008-03-17
[26]
학술지
The Fission of Uranium
1939-02-16
[27]
학술지
Number of Neutrons Liberated in the Nuclear Fission of Uranium
1939-04-22
[28]
학술지
Production of Neutrons in Uranium Bombarded by Neutrons
1939-03-16
[29]
학술지
Early Days of Chain Reaction
https://books.google[...]
1973-04-01
[30]
학술지
Neutron Production and Absorption in Uranium
http://docs.fdrlibra[...]
1939-08-01
[31]
학술지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Chain Reaction Pile
[32]
웹사이트
Chien-Shiung Wu, 84, Top Experimental Physicist
http://cwp.library.u[...]
1997-02-18
[33]
웹사이트
Chien-shiungwu 1912–1997
http://www.nasonline[...]
2009-01-01
[34]
서적
Women In Their Element: Selected Women's Contributions To The Periodic System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35]
웹사이트
Inside Story: C S Wu – First Lady of physics research
http://cerncourier.c[...]
2012-11-27
[36]
웹사이트
"Enrico Fermi" on NASOnline.org
http://www.nasonline[...]
2016-02-18
[37]
MathGenealogy
[38]
웹사이트
{{{name|{{PAGENAMEBASE}}}} on NobelPrize.org
https://www.nobelpri[...]
{{{access-date|{{{accessdate}}}}}}
[39]
웹사이트
Jack Steinberger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3-08-15
[40]
뉴스
'Queen Of Carbon' Among Medal Of Freedom Honorees
https://www.npr.org/[...]
NPR
2014-11-24
[41]
논문
Are Mesons Elementary Particles?
[42]
뉴스
Enrico Fermi Dead at 53; Architect of Atomic Bomb
https://web.archive.[...]
1954-11-29
[43]
웹사이트
The Life of Enrico Fermi
https://science.osti[...]
2022-12-12
[44]
논문
Enrico Fermi 1901–1954
1955-01
[45]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5-08
[46]
웹사이트
Enrico Fermi in Santa Croce, Florence
http://gotterdammeru[...]
gotterdammerung.org
2015-05-10
[47]
뉴스
''Time'' 100 Persons of the Century
https://web.archive.[...]
1999-06-06
[48]
웹사이트
Enrico Fermi Collection
http://fermi.lib.uch[...]
University of Chicago
[49]
논문
Enrico Fermi. 1901–1954
[50]
웹사이트
About Fermilab – History
http://www.fnal.gov/[...]
Fermilab
[51]
웹사이트
First Light for the Fermi Space Telescope
https://science.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52]
웹사이트
Nuclear Power in Italy
http://world-nuclear[...]
World Nuclear Association
[53]
웹사이트
Report of the National Atomic Energy Commission of Argentina (CNEA)
https://web.archive.[...]
CNEA
2004-11
[54]
웹사이트
Derivations of the Names and Symbols of the Elements
http://www.angelo.ed[...]
Angelo State University
[55]
웹사이트
The Enrico Fermi Award
http://science.ener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5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38
http://www.nobelpriz[...]
2012-08-26
[57]
간행물
Enrico Fermi, architect of the nuclear age, dies
[58]
뉴스
Enrico Fermi Dead at 53; Architect of Atomic Bomb
1954-11-29
[59]
서적
The Physicists: A Generation that Changed the World
Little Brown
[60]
웹사이트
偉人たちの夢 (13)フェルミ
https://sciencechann[...]
サイエンス チャンネル
2020-01-07
[61]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62]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63]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64]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65]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66]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67]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68]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69]
웹사이트
Enrico Fermi
https://www.osti.gov[...]
Office of History and Heritage Resources, U.S. Department of Energy
2023-09-02
[70]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71]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2007
[72]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2007
[73]
서적
エンリコ・フェルミ 原子のエネルギーを解き放つ
大月書店
2007
[74]
웹사이트
Preisträger Max Planck nach Jahren
http://www.dpg-physi[...]
2012-08-26
[75]
뉴스
Enrico Fermi, architect of the nuclear age, dies
http://www.history.c[...]
2016-05-26 # 확인날짜
[76]
뉴스
Enrico Fermi Dead at 53; Architect of Atomic Bomb
https://www.nytimes.[...]
2013-01-21 # accessdate
[77]
저널
Über einen Widerspruch zwischen der elektrodynamischen und relativistischen Theorie der elektromagnetischen Masse
https://en.wikisourc[...]
2013-01-17
[78]
웹인용
Enrico Fermi L’Uomo, lo Scienziato e il Massone
http://www.goilombar[...]
2015-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