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Hendrik Anthony Kramers)는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다. 1894년 로테르담에서 태어나 라이덴 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했으며, 닐스 보어의 지도 아래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연구했다. 크라머르스는 BKS 이론에 참여하고, 크라머르스-하이젠베르크 공식, WKB 방법 개발에 기여했으며, 양자장론에 재규격화 개념을 도입했다. 또한, 크라머르스-크로니히 관계식을 확립하고, 크라머르스 전환, 크라머르스 퇴화 정리를 연구했다. 그는 위트레흐트 대학교와 라이덴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델프트 공과대학교에서도 겸임 교수로 재직했다. 1929년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로런츠 메달과 휴즈 메달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이던 대학교 - 엔리코 페르미
    20세기 중요한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는 핵물리학에 혁신적인 공헌을 하고 현대 물리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페르미-디랙 통계, 베타 붕괴 이론, 느린 중성자 발견, 세계 최초의 핵 연쇄 반응 성공, 원자폭탄 개발 기여, 페르미 추정, 페르미 역설 등으로 유명하며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레이던 대학교 - 헨드릭 카시미르
    헨드릭 카시미르는 네덜란드의 이론물리학자이며, 카시미르 효과를 예측하고 유럽 물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코펜하겐 대학교 - 볼프강 파울리
    오스트리아 출신 이론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는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 파울리 배타 원리 발견, 비상대론적 스핀 이론 공식화, 중성미자 존재 예측 등 현대 물리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융과의 협력으로 심리학과 물리학의 접점을 탐구하고 194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코펜하겐 대학교 - 오게 닐스 보어
    오게 닐스 보어는 덴마크의 물리학자이자 닐스 보어의 아들로, 원자핵 구조 이론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와 닐스 보어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원자핵 물리학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다.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
출생로테르담, 네덜란드
사망우흐스트헤이스트, 네덜란드
국적네덜란드
크라머르스 (1928년)
크라머르스 (1928년)
학력
모교레이던 대학교
코펜하겐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닐스 보어
파울 에렌페스트
박사 제자더크 터 하르
니코 판 캄펜
찰링 코프만스
경력
근무 기관코펜하겐 대학교
위트레흐트 대학교,
레이던 대학교
델프트 공과대학교
연구 분야 및 업적
연구 분야물리학
주요 업적보어–크라머르스–슬레이터 이론
크라머르스–하이젠베르크 공식
웬첼–크라머르스–브릴루앙 유사
크라머르스–크로닉 관계
크라머르스–와니어 이중성
폴리머 연쇄를 위한 크라머르스 모형
크라머르스–앤더슨 초교환
크라머르스의 축퇴 정리
크라머르스-모얄 확장
크라머르스의 법칙
크라머르스의 불투명성 법칙
크라머르스 전이 행렬
크라머르스 반응 속도 이론
크라머르스–가운트 인자
크라머르스–헤네베르거 틀
클라인–크라머르스 방정식
연쇄 반응
열음향학
전달 행렬 방법
수상
수상 내역로런츠 메달 (1947)
휴즈 메달 (1951)

2. 생애와 교육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는 1894년 12월 17일 로테르담에서 의사인 아버지 헨드릭 크라머르스와 어머니 잔느 수잔 브로켈만의 아들로 태어났다.[7][1]

1912년 로테르담에서 중등 교육(HBS)을 마친 그는 라이덴 대학교에서 수학물리학을 공부해 1916년 석사 학위를 받았다.[2] 크라머르스는 박사 과정 동안 해외 경험을 쌓기를 원했으며, 처음에는 괴팅겐막스 보른 밑에서 연구하려 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괴팅겐으로 갈 수 없게 되었다.[2] 당시 네덜란드와 마찬가지로 중립국이었던 덴마크로 눈을 돌려, 배를 타고 코펜하겐으로 가서 비교적 덜 알려져 있던 닐스 보어를 예고 없이 찾아갔다.[8][2] 보어는 크라머르스를 박사 과정 학생으로 받아들였고, 크라머르스는 보어의 지도 아래 연구를 진행했다.[8][2] 그는 '원자 전이의 강도에 관한 연구'라는 주제로 코펜하겐에서 대부분의 연구를 수행했으며, 1919년 5월 8일 라이덴 대학교에서 파울 에렌페스트의 지도 하에 정식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8][2]

크라머르스는 음악을 매우 즐겼으며, 첼로와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었다.[8]

3. 교수 경력

닐스 보어의 연구 그룹에서 거의 10년간 일하면서 코펜하겐 대학교의 부교수가 되었다. 이 시기인 1924년에서 1925년 사이에는 BKS 이론 연구에 참여하기도 했으나, 이 이론은 실험 결과와 맞지 않아 결국 폐기되었다.

크라머르스 (두 번째 줄, 왼쪽에서 네 번째) 제5회 솔베이 회의에서


1926년 덴마크를 떠나 네덜란드로 돌아와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이론물리학 정교수가 되었다. 이곳에서 그는 훗날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게 되는 찰링 코프만스를 지도했다. 1934년에는 위트레흐트를 떠나 라이덴 대학교로 옮겨 파울 에렌페스트의 교수직을 계승했다.

1931년부터 58세의 나이로 사망한 1952년까지, 그는 델프트 공과대학교에서도 겸임 교수직을 유지했다.

크라머르스는 암스테르담의 수학 센터(Mathematisch Centrum, 현재의 Centrum Wiskunde & Informatica)의 설립자 중 한 명이다.

3. 1. 주요 연구 업적

크라머르스는 양자역학 분야에서 여러 중요한 기여를 했다.

  • BKS 이론: 1924년에서 1925년 사이에 닐스 보어, 존 슬레이터와 함께 BKS 이론 개발에 참여했다. 이 이론은 양자 현상을 설명하려는 시도였으나 실험 결과와 맞지 않아 결국 폐기되었다.
  • 크라머르스-하이젠베르크 공식: 1925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함께 빛과 원자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산란 현상을 설명하는 크라머르스-하이젠베르크 공식을 개발했다.[3][4]
  • WKB 근사법: 1926년 그레고어 벤첼, 레옹 브릴루앵과 거의 동시에 양자역학적 파동 함수의 근사 해법인 WKB 근사법(Wentzel–Kramers–Brillouin approximation)을 독자적으로 발표하여, 이 방법의 이름에 기여했다.
  • 재규격화: 1948년 양자장론에서 발생하는 무한대 값을 제거하고 유한한 물리량을 얻는 방법인 재규격화 개념을 도입했다.[9][3][4] 비록 그의 접근 방식은 비상대론적이었지만,[10][4] 이후 양자장론 발전에 중요한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 크라머르스-크로니히 관계식: 랄프 크로니히와 함께 물리계의 인과성 원리로부터 유도되는 중요한 수학적 관계식인 크라머르스-크로니히 관계식을 확립했다. 이 관계식은 어떤 복소 함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연결하며, 광학, 전자기학, 고체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크라머르스 전환: 화학 반응이나 물리적 과정에서 열적으로 활성화된 입자가 에너지 장벽을 넘는 속도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감쇠) 정도에 따라 변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크라머르스 전환' 이론을 제시했다.
  • 크라머르스 축퇴 정리: 시간 역전 대칭성이 있고 홀수 개의 스핀 1/2 입자를 포함하는 양자계의 모든 에너지 준위는 최소한 두 배로 축퇴되어 있다는 크라머르스 축퇴 정리를 증명했다.


이 외에도 그의 이름은 의 크라머르스 크레이터, 크라머르스-하이젠베르크 공식, WKB 근사, 크라머르스-크로니히 관계식, 크라머르스-바니어 이중성, 크라머르스 중합체 사슬, 크라머르스-안데르손 초교환, 크라머르스 축퇴 정리 등 다양한 과학적 개념과 대상에 남아 있다.

4. 가족

1920년 10월 25일 안나 페테르센(Anna Petersendan)과 결혼하여 세 딸과 한 아들을 두었다.

5. 수상 및 인정

크라머르스는 1929년에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으나, 1942년에 강제로 사임해야 했다. 그는 1945년에 다시 아카데미에 합류했다.[11][5] 또한 미국 철학 학회의 국제 회원이었다.[6] 그는 1947년에 로런츠 메달을 수상했고, 1951년에는 휴스 메달을 받았다.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의 크레이터 중 하나가 '크라머르스 크레이터'로 명명되었다.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17-02-25
[2] 웹사이트 Intensiteit van spektraallijnen http://ilorentz.org/[...]
[3] 기타
[4] 기타
[5] 웹사이트 Hans A. Kramers (1894 - 1952)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28
[6]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4-20
[7]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21-10-10
[8] 웹인용 Intensiteit van spektraallijnen http://ilorentz.org/[...]
[9] 기타
[10] 기타
[11] 뉴스 Hans A. Kramers (1894 - 1952)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