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엔소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소닉은 1983년 설립된 미국의 전자 악기 및 사운드 카드 제조 회사이다. 코모도어 64 설계를 담당했던 엔지니어들이 설립했으며, 초창기에는 음악 신디사이저를 제작했다. 1985년 샘플러 미라지를 출시하며 악기 시장에 진출했으며, ESQ-1, VFX, ASR-10 등 다양한 신시사이저와 샘플러를 선보였다. 1994년부터는 PC 사운드 카드 시장에도 진출하여 Soundscape 시리즈와 AudioPCI 등의 제품을 출시했으나, 1998년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에 인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운드 칩 - 아타리 포키
    아타리 포키는 8비트 컴퓨터와 아케이드 게임 기판에 사용된 다기능 칩으로, 오디오 생성, 키보드 스캔, 직렬 통신, 패들 컨트롤러 입출력, 난수 생성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 사운드 칩 - AY-3-8910
    AY-3-8910은 16개의 8비트 레지스터로 프로그래밍되는 사운드 칩으로, 세 개의 채널을 통해 피치, 노이즈, 볼륨 등을 제어하며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었다.
  • 악기 제조사 - HDC영창
    HDC영창은 1956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악기 제조 회사로, 피아노 제조 및 판매를 주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HDC그룹 계열사로서 악기 제조, 판매와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다.
  • 악기 제조사 - 클라비아
    클라비아는 1983년 디지털 드럼 ddrum 개발로 시작하여 Nord Lead 시리즈로 가상 아날로그 신디사이저를 대중화하고 Nord Electro, Nord Stage 등 다양한 전자 키보드 악기를 출시하며 명성을 얻은 스웨덴 악기 제조 회사이다.
  • 미국의 제조 기업 - 에너자이저
    에너자이저는 1896년 건전지 개발로 시작하여 다양한 인수합병과 브랜드 확장을 거쳐 건전지, 면도기, 개인 위생 용품 등을 생산·판매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1980년 런칭된 '에너자이저' 브랜드로 대표되는 알카라인 및 리튬 건전지와 손전등이 주요 제품이다.
  • 미국의 제조 기업 - 아큐시네트
    아큐시네트는 1910년 설립되어 고무 제품을 제조하다 1932년 골프공 생산으로 성장, 아메리칸 브랜드와 휠라 코리아에 인수된 후 뉴욕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타이틀리스트, 풋조이 등 다양한 골프 용품 브랜드를 보유한 회사이다.
엔소닉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엔소닉 로고
엔소닉 로고
유형자회사
설립일1982년
해체일2002년
창립자브루스 크로켓
알 카펜티어
밥 얀스
본사 위치펜실베이니아주, 맬번
산업악기 및 기술
모기업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웹사이트https://web.archive.org/web/19970719010442/http://www.ensoniq.com/%7Cwww.ensoniq.com
역사
인수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1998년 1월)에 인수, E-MU 시스템과 합병, 현재 해산됨

2. 역사

1983년 코모도어 64를 설계한 모스 테크놀로지 출신 엔지니어들이 페리퍼럴 비전스(Peripheral Visions)를 설립했으나, 1983년의 비디오 게임 충돌과 코모도어와의 소송으로 엔소닉(Ensoniq)으로 사명을 변경했다.[1][12] 이후 신시사이저를 설계, 제조하며 성장했지만, 품질 문제, 경쟁 심화, 사업 다각화 실패로 경영난을 겪었다. 1998년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에 인수되어 E-mu 시스템즈와 합병, E-Mu/엔소닉 사업부가 되었으나, 2002년 사업부 해체 및 레거시 제품 지원 중단으로 사실상 브랜드가 소멸되었다.

2. 1. 설립과 초기

1983년 봄, 코모도어 64를 설계했던 전 모스 테크놀로지 엔지니어 로버트 "밥" 야네스, 브루스 크로켓, 찰스 윈터블, 데이비드 지엠비키, 알 샤르팡티에가 페리퍼럴 비전스(Peripheral Visions)를 설립했다.[1][12] 이들은 새로운 컴퓨터를 만들고자 했으나, 자금 조달을 위해 아타리 2600용 컴퓨터 키보드를 만드는 프로젝트에 동의했다. 그러나 1983년의 비디오 게임 충돌로 인해 프로젝트가 취소되었고, 코모도어는 새 회사가 키보드 프로젝트를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1][12] 이후 엔소닉(Ensoniq)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음악 신디사이저를 설계, 제조하기 시작했다.[1][10][12]

2. 2. 경영난과 인수 합병

엔소닉은 Mirage와 ESQ-1의 성공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펜실베이니아 주 그레이트 밸리에 있는 공장에는 약 2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제조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자체 개발한 음악 및 효과용 완전 맞춤형 IC가 포함된 수많은 성공적인 제품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핵심 키보드 제품은 일반적으로 성공했지만 일부 품질 문제가 있었고 아시아 기업과의 경쟁이 심화되었다.[13][2] 보청기 사업으로 다각화를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회사는 재정적 위험에 빠졌다. 1990년대 중반에는 수백만 대를 판매한 매우 비용 효과적인 사운드 카드 라인을 개발했다.[13]

1998년 1월, 엔소닉은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에 7700만달러에 인수되었다. 이 인수는 엔소닉 오디오-PCI의 사운드 카드 기술에 중점을 두었다. 경영난에 있던 뮤지컬 사업부는 E-mu 시스템즈와 합병되어 크리에이티브의 E-Mu/엔소닉 사업부가 되었다. 이후 3년 동안 펜실베이니아의 엔소닉 사업장은 점차 해체되어 폐쇄되었다. 2002년에 보급형 E-mu MK6/PK6 및 엔소닉 헤일로 키보드(기본적으로 프로테우스 2500 모듈의 키보드 버전)를 출시한 후 E-Mu/엔소닉 사업부는 해체되었고 레거시 제품에 대한 지원은 곧 중단되었다.[13][2]

3. 악기 및 디지털 시스템

엔소닉은 1985년 샘플러인 미라지를 출시하며 악기 시장에 진출했다. 당시 가격이 USD$1695로, 페어라이트 CMI(Fairlight CMI)나 E-MU 이뮬레이터(E-mu Emulator) 같은 이전 샘플러보다 훨씬 저렴했다.[11] ESQ-1을 시작으로 샘플 기반 신시사이저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 제품들의 성공에 힘입어 엔소닉은 1987년 일본에 자회사를 설립했다.

1988년, 딕시 드렉스(Dixie Dregs)와 협력하여 EPS 샘플러와 SQ-80 크로스 웨이브 신시사이저를 사용한 밴드의 모습을 담은 한정판 프로모션 CD ''오프 더 레코드(Off the Record)''를 발매했다.

1990년대 초부터 SQ 제품군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SQ 제품군은 SQ-1(61건반), SQ-2(76건반), SQ-R(랙 마운트, 건반 또는 시퀀서 없음), 76건반 풀 웨이트 피아노 건반을 갖춘 KS-32를 포함하는 저가형 라인이었다. 이후 버전은 32개의 음 생성 보이스로 제작되었다.

VFX 신시사이저는 혁신적인 성능과 시퀀싱 기능, 훌륭한 어쿠스틱 사운드를 제공했으며, ASR 시리즈 16비트 샘플러는 신시사이저, 이펙터, 시퀀서를 단일 유닛 디지털 스튜디오로 통합했다. TS 신시사이저는 VFX 라인의 유산을 이어받아 폴리포니, 이펙터 엔진, 샘플 로딩 기능, 더 나은 신스 및 어쿠스틱 사운드 등 여러 측면을 개선했다. DP 시리즈 이펙터 랙 마운트 유닛은 렉시콘(Lexicon) 제품과 동등한 수준의 병렬 처리 및 리버브 프리셋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했다.

초기(1980년대) 엔소닉 악기는 불량 건반(Mirage DSK-8), 개발이 덜 된 전원 공급 장치(초기 ESQ-1), 기계적 문제(EPS 폴리프레셔 건반)와 같은 신뢰성 및 품질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1990년대 초중반에 걸쳐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3. 1. 신시사이저 및 샘플러

엔소닉은 다양한 신시사이저와 샘플러를 개발, 판매했다.

연도제품명비고
1985미라지(Mirage)엔소닉 최초의 샘플러, 1695달러[11] --
1986ESQ-1웨이브 테이블 방식 신시사이저
ESQ-1
1986SDP-1 Sampled Digital Piano
1988SQ-80
1988EPS
EPS
1989EPS-M
1989VFX
VFX
1990SQ-1
1990SQ-2
1990SQ-R이후 SQ-R plus
1990EPS 16 Plus
EPS-16+
1990SD-1
1992KS-32
1992ASR-10
ASR-10
1993TS 10
1993DP/4
1995DP/2
DP/2
1995DP/4+
1996MR61
MR-61
1996KT-76, KT-88
1997ASR X
1997E Prime
1998Fizmo
Fizmo
1998ZR-76
1998ASR X Pro
1998PARIS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2002Halo엔소닉 브랜드 사용, E-mu 제품



엔소닉의 제품들은 전문적인 수준과 사용 편의성, 그리고 "풍부하고" 풍성한 사운드(일반적으로 "미국적인" 특징)가 강점이었다. 미라지 이후 모든 엔소닉 악기는 통합 시퀀서를 탑재하여 올인원 "디지털 스튜디오 프로덕션 컨셉" 악기를 제공했다. 이러한 악기들은 종종 "뮤직 워크스테이션"이라고 불렸다. VFX 신시사이저를 시작으로 고품질의 이펙터가 포함되었으며, 대부분의 신시사이저와 모든 샘플러 모델에는 저장을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 및/또는 RAM 카드가 탑재되었다.

3. 2. 이펙터

엔소닉은 DP 시리즈 이펙터 랙 마운트 제품을 출시했다. 이 제품들은 병렬 처리와 렉시콘 이펙터에 버금가는 리버브 프리셋을 탑재했지만, 가격이 비쌌다.[11]

3. 3. 주요 제품 연표

연도제품명
1984엔소닉 프로-커션(Ensoniq Pro-Cussion)
1985미라지
Mirage DSK-8 (1985)
1986ESQ-1
ESQ-M (1986)
1986SDP-1 샘플 디지털 피아노
1988SQ-80
1988EPS
1989엔소닉 EPS-M
1989VFX
1989엔소닉 VFX-SD
1990엔소닉 SQ-1
1990엔소닉 SQ-R
1990EPS 16 플러스
1990SD-1
1991엔소닉 SQ-R+
1991엔소닉 SQ-1+
1991엔소닉 SQ-2
1992엔소닉 SQ-1+ 32 보이스
1992엔소닉 SQ-2 32 보이스
1992엔소닉 SQ-R+ 32-보이스
1992KS-32
KS-32 (1992)
1992ASR-10
1992TS-10 및 TS-12
1993DP/4
1994엔소닉 KT-76 및 엔소닉 KT-88
1995엔소닉 DP/2
1995엔소닉 DP/4+
1996MR61
1997ASR X
1997엔소닉 DP/Pro
1997E 프라임
1998Fizmo
1998ZR-76
1998ASR X Pro
1998PARIS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2002Halo (엔소닉 브랜드를 사용하는 E-mu 제품)


4. 사운드 카드 및 반도체

엔소닉은 신시사이저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용 오디오 칩도 제작했다. 1986년 애플과의 계약을 통해 ES5503 DOC (디지털 오실레이터 칩, "Q-칩"으로도 불림)가 개발되어 미라지 샘플러, ESQ-1, ESQ-M, SQ-80 신디사이저, SDP-1 피아노 모듈, 그리고 애플 IIGS 개인용 컴퓨터에 사용되었다.[1]

이후 16비트 샘플 재생과 내부 디지털 필터를 갖춘 ES5504 DOC-II (EPS 샘플러에 사용)와 ES5505 OTIS (EPS16+ 샘플러 및 21 보이스를 특징으로 하는 VFX 신디사이저 라인에 사용)가 개발되었다.[1] ES5506 OTTO는 32 보이스를 지원하는 후속 기기들(SD-1/32, TS10/12, ASR-10/88) 및 듀얼-OTTO 기기(KT, MR, ZR)에 사용되었고,[1] 최신 버전인 ES5548 OTTO-48은 ASR-X, FIZMO와 같은 마지막 엔소닉 스튜디오 제품 라인에 사용되었다.[1]

VFX 이후 기기와 독립형 FX 유닛 DP/2 및 DP/4에 사용된 이펙트 DSP인 ES5510 ESP도 개발되었다.[1] OTTO-48 세대는 성능이 향상된 ES5511 ESP V2를 사용했다.[1] OTTO와 ESP를 합친 ES5540 OTTOFX도 개발 및 판매되었다.[1]

Ensoniq ES5505 OTIS/OTISR2 및 ES5510 ESP는 다양한 아케이드 게임에도 사용되었다.[1] 이 칩들은 모두 CMOS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1] OTTO는 어드밴스드 그라비스에 라이선스되어 Gravis Ultrasound 카드에 사용되었다.[1] 1994년부터는 PC 사운드 카드 생산이 시작되었다.[1] 아타리 팬서 게임 콘솔 디자인에도 OTIS 칩이 포함되었으나, 양산되지는 않았다.[1] AT-버스 사운드 카드용으로 조이스틱 및 CD-ROM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ES5530/35 OPUS라는 OTTO의 전용 버전이 개발되기도 했다.[1]

엔소닉의 사운드 카드는 많은 IBM PC 호환 기종에 탑재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1] MS-DOS 시대 후반의 많은 게임들이 Ensoniq Soundscape를 직접 또는 General MIDI를 통해 지원했다.[1] 엔소닉은 최신 IBM PC 게임과의 호환성을 위해 PCI 사운드 카드용 ISA 소프트웨어 오디오 에뮬레이션 솔루션을 고안했는데,[1] 이는 크리에이티브 랩스가 엔소닉을 인수하게 된 중요한 요인으로 추정된다.[1]

4. 1. 사운드 카드


  • '''사운드스케이프 S-2000''': 엔소닉이 PC 사운드 카드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한 제품이다. 2MB의 Ensoniq제 ROM 기반 패치 세트를 갖춘 풀 사이즈 ISA 디지털 오디오 및 '웨이브 테이블' 샘플 기반 신서시스 오디오 카드였다.

사운드스케이프 S-2000

  • '''사운드스케이프 DB''' (SSDB): 웨이브 블래스터 호환 커넥터를 갖춘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는 PC를 위한 '웨이브 테이블' 도터보드 (샘플 기반 신서시스 도터보드) 업그레이드였다. S-2000 칩셋을 기반으로 했지만, 디지털 사운드 효과 섹션이나 DAC는 없었다. SSDB는 최종 출력을 위해 호스트 사운드 카드를 사용했다.

사운드스케이프 엘리트

  • '''사운드스케이프 엘리트''': Ensoniq의 고급 ISA 제품이었다. 이 제품은 새로운 AudioPCI를 포함하여, Ensoniq가 제작한 모든 PC 사운드 카드 중 최고 품질의 MIDI를 제공했다. 엘리트는 S-2000을 기반으로 했으며, 원본과는 차별화되는 몇 가지 추가 기능이 있었다.

사운드스케이프 오푸스

  • '''사운드스케이프 오푸스''': 이 카드는 게이트웨이 2000 OEM 제품이었으며, 다른 OEM에서도 사용되었을 수 있지만 Ensoniq의 고객에게 직접 판매되지는 않았다. 이 제품은 사운드스케이프와 유사한 보드로, Ensoniq 5530/5535 OPUS 멀티미디어 사운드 칩을 사용했다. 이 칩은 이 OEM 보드에서만 사용되었으며, 당시 일반적인 추가 인터페이스(조이스틱, CD-ROM)를 갖춘 OTTO를 기본적으로 구성한다.
  • '''Ensoniq Soundscape VIVO90''': Ensoniq Soundscape S-2000 기반 보드에서 한 단계 발전한 제품이었다. 1996년에 처음 생산되었다. VIVO90은 이전 보드와 유사한 사양을 가졌지만,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엔소닉 오디오PCI

  • '''엔소닉 오디오PCI''': 부가 가치 옵션으로 컴퓨터 마더보드에 통합될 수 있는 저렴하면서도 기능이 풍부한 오디오 솔루션으로 설계되었다. 이는 소형 호스트 CPU 기반 오디오 칩(S5016, ES1370, ES1371 중 하나)과 관련 DAC로 구성되었다. 작은 크기와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오디오PCI는 사운드스케이프 ELITE 카드의 거의 모든 오디오 기능과 성능을 제공한다. 오디오PCI 라인은 엔소닉이 개발한 NMI 기반 에뮬레이션 상주 프로그램 (TS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SA 버스에서 신호가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적절한 수준의 레거시 DOS 호환성을 제공했지만, TSR은 보호 모드의 사용자 지정 버전에 의존하는 게임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었다.[1]

4. 2. 반도체

1986년, 애플과 계약을 맺은 후, ES5503 DOC(디지털 오실레이터 칩, "Q-칩"으로 판매)는 미라지 샘플러(DSK-8, DSK-1, DMS-1), ESQ-1, ESQ-M 및 SQ-80 신디사이저, SDP-1 피아노 모듈에 사용되었으며, 애플 IIGS 개인용 컴퓨터에도 통합되었다.[1]

이후 엔진은 16비트 샘플 재생 및 내부 디지털 필터를 갖춘 ES5504 DOC-II(EPS 샘플러에 사용)와 ES5505 OTIS(EPS16+ 샘플러 및 21 보이스를 특징으로 하는 VFX 신디사이저 라인에 사용)였다.[1] ES5506 OTTO는 모든 후속 32 보이스 기기(SD-1/32, TS10/12, ASR-10/88) 및 듀얼-OTTO 기기(KT, MR, ZR)를 구동했다.[1] 최신 버전인 ES5548 OTTO-48은 마지막 Ensoniq 스튜디오 제품 라인(ASR-X, FIZMO)에 사용되었다.[1]

Ensoniq는 또한 VFX 이후 기기와 독립형 FX 유닛 DP/2 및 DP/4에 사용된 이펙트 DSP, ES5510 ESP를 개발했다.[1] OTTO-48 세대는 크게 향상된 후속 제품인 ES5511 ESP V2를 사용한다.[1] OTTO와 ESP의 조합인 ES5540 OTTOFX도 개발 및 판매되었다.[1]

Ensoniq ES5505 OTIS/OTISR2 및 ES5510 ESP는 다양한 아케이드 게임에도 사용되었다.[1] 이들은 모두 CMOS 공정으로 제조되었다.[1] OTTO는 어드밴스드 그라비스에 Gravis Ultrasound 카드에 사용하도록 라이선스되었다.[1] 1994년에는 PC 사운드 카드의 생산이 시작되었다.[1] 비디오 게임 콘솔 아타리 팬서의 디자인에도 OTIS 칩이 포함되었지만, 이 제품은 양산되지 못했다.[1] AT-버스 사운드 카드를 위해 조이스틱 및 CD-ROM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ES5530/35 OPUS라는 OTTO의 전용 버전이 개발되었다.[1]

엔소닉의 사운드 카드는 인기가 있었고 많은 IBM PC 호환 기종에 함께 제공되었다.[1] MS-DOS 시대 후반의 많은 게임은 Ensoniq Soundscape를 직접 또는 General MIDI를 통해 지원했다.[1] 또한, Ensoniq는 최신 IBM PC 게임과 호환되는 새로운 ISA 소프트웨어 오디오 에뮬레이션 솔루션을 PCI 사운드 카드에 대해 고안했다.[1] 이는 크리에이티브 랩스가 Ensoniq를 인수한 중요한 요인으로 추정된다.[1]

5. 엔소닉의 유산과 영향

엔소닉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혁신적인 신시사이저와 샘플러를 개발하여 음악 산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저렴한 가격에 고품질의 샘플링 기술을 제공한 미라지는 샘플러의 대중화에 기여했다.[1]

엔소닉 악기는 사용 편의성과 특유의 풍부하고 따뜻한 사운드로 유명했는데, 이는 "미국적인" 사운드로 여겨지며 "디지털"적이고 차가운 "일본적인" 사운드와 대조를 이루었다.[1] 딕시 드렉스와 같은 밴드와 협력하여 프로모션 CD를 발매하는 등 마케팅에도 적극적이었다.[1]

엔소닉은 "뮤직 워크스테이션" 개념을 통해 올인원 악기를 제공했다. ESQ-1을 시작으로 통합 시퀀서를 탑재했고, VFX 신시사이저부터는 고품질 이펙터를 포함하는 등 대부분의 악기가 디지털 스튜디오 프로덕션 컨셉을 지향했다.[1] ASR 시리즈는 16비트 샘플러, 신시사이저, 이펙터, 시퀀서를 단일 유닛으로 통합하여 이러한 경향의 정점을 보여주었다.[1]

1990년대 초중반 한국 가요와 댄스 음악 제작에 엔소닉 악기가 널리 사용되면서, 특유의 풍부하고 따뜻한 사운드가 당시 한국 대중음악의 특징적인 사운드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5. 1. 비판적 시각

엔소닉의 몰락 원인과 한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제시된다. 1990년대 중후반, 급변하는 음악 기술 트렌드에 적응하지 못하고, 기존 기술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쟁사들이 물리 모델링 음원 등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하는 동안, 엔소닉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기술 전략을 유지했다.[2]

참조

[1] 논문 Design case history: the Commodore 64 https://archive.org/[...] 1985-03
[2] 웹사이트 The Amazing Ensoniq https://www.keyboard[...] 2021-10-03
[3] 간행물 Ensoniq Sampled Piano http://www.muzines.c[...] 1986-09
[4] 간행물 Ensoniq EPS-M Sampler Module http://www.muzines.c[...] 1989-05
[5] 간행물 Ensoniq SQ1 http://www.muzines.c[...] 1990-10
[6] 간행물 Parallel Lines http://www.muzines.c[...] 1992-08
[7] 웹사이트 Ensoniq DP/2 http://www.soundonso[...] 1995-12
[8] 웹사이트 Ensoniq ASRX http://www.soundonso[...] 1997-09
[9] 웹사이트 Ensoniq Paris II http://www.soundonso[...] 1998-01
[10] 논문 Contributors https://doi.org/10.1[...] 2009-02
[11] 문서 参考として、この当時のサンプラーの代表格であるフェアライトCMIが27500ドル、emulatorが7995ドル。
[12] 저널 Design case history: the Commodore 64 https://archive.org/[...] 1985-03
[13] 웹인용 The Amazing Ensoniq https://www.keyboard[...] 2021-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