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엘렌 식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엘렌 식수는 프랑스 태생의 작가, 철학자, 비평가, 극작가이자, 젠더 및 여성 연구 분야의 선구자이다. 1937년 프랑스령 알제리의 오랑에서 태어났으며, 제임스 조이스에 관한 연구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자크 데리다, 뤼스 이리가레이와 함께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즘 이론의 주요 인물로, 여성적 글쓰기를 주창했다. 주요 저서로는 자전적 소설 《내부》, 에세이 《메두사의 웃음》 등이 있으며, 희곡 작품도 다수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제리의 작가 - 카텝 야신
    카텝 야신은 알제리의 작가, 극작가, 언론인이자 사회 운동가로서 알제리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알제리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 기여했다.
  • 성철학자 - 도나시앵 알퐁스 프랑수아 드 사드
    도나시앵 알퐁스 프랑수아 드 사드는 프랑스 귀족 출신 작가이자 사상가로, 성과 폭력을 적나라하게 묘사하며 개인의 자유와 욕망을 옹호하는 사상을 펼쳤고, 그의 작품은 사디즘의 어원이 되었다.
  • 성철학자 -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과학자로 플라톤의 제자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스승이었고, 논리학, 자연학, 형이상학,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시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방대한 저술을 남겨 서구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여자 철학자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알렉산드라 콜론타이는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 정부에 참여하여 여성 권익 증진에 힘쓰고 세계 최초의 여성 정책 담당 부서인 여성부를 창설했으며, 급진적인 여성 해방론과 자유 연애 사상으로 사회에 반향을 일으킨 혁명가이자 정치인, 외교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이다.
  • 여자 철학자 - 정옌
    정옌은 1966년 자제공덕회를 설립하여 빈곤층 지원, 의료 지원, 교육, 재해 구호, 환경 보호 등 다양한 자선 활동을 펼치는 대만의 불교 승려이자 자제종의 정신적 지도자이다.
엘렌 식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1년 클로드 트루옹-녹이 찍은 엘렌 식수 사진
2011년의 엘렌 식수
이름엘렌 식수
원어 이름Hélène Cixous
출생일1937년 6월 5일
출생지알제리 오랑
국적프랑스, 알제리
활동 기간해당 정보 없음
학력파리 문학부
직업시인
수필가
극작가
영문학자
작가
철학자
언어철학자
학문 분야
연구 분야문학
철학
희곡
여성학 (페미니즘, 젠더 연구)
학위박사 (제임스 조이스 연구)
학교/전통대륙 철학
프랑스 페미니즘
주요 관심사문학 비평
기관파리 제8대학교
유럽 대학원
코넬 대학교
영향자크 데리다
모리스 블랑쇼
지그문트 프로이트
자크 라캉
영향 받은 인물아비탈 로넬
자크 데리다
박사 지도 학생프레데리크 르가르
주요 저서
주요 작품『내부』
『메두사의 웃음』
수상
주요 수상 경력메디치 상
마르그리트 뒤라스 상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상
프랑스어 상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 외 여러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국가 공로 훈장 코망되르
레지옹 도뇌르 훈장 오피시에
예술 문화 훈장 코망되르

2. 생애와 경력

1937년 프랑스령 알제리 오랑에서 태어나 1947년알제로 이주했다. 1948년 의사인 아버지(유대인)가 사망하고 산파인 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1959년 22세에 영어 1급 교원 자격(아그레가시옹)을 취득하고 보르도파리의 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1968년 제임스 조이스에 관한 연구(박사 논문 『제임스 조이스의 망명, 또는 대체의 기법』)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8]

1969년 자전적인 소설 『내부 (''Dedans'')』를 발표하여 메디시스상을 수상했다.[8] 같은 해, 자크 데리다 등과 함께 프랑스 5월 혁명의 정신을 계승하여 고등 교육의 민주화를 목표로 하는 "뱅센 실험 대학교 센터(CUEV)"를 창설했다. 이듬해 파리 제8대학교(뱅센 대학교)로 개명되었고, 엘렌 식수는 "여성학 센터"(현재 파리 제8대학교 "페미니즘·젠더 연구 센터")를 창설하여 프랑스뿐만 아니라 유럽의 여성학 연구에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8]

같은 해 제라르 주네트, 츠베탕 토도로프와 함께 국제 시학 연구 잡지 『포에티크』를 창간했다.

자크 데리다와는 "뱅센 실험 대학교 센터" 설립뿐만 아니라 "국립 문학 센터", "작가 국제 의회", "반 아파르트헤이트 위원회" 설립, 그리고 국제 철학 대학의 심포지엄과 세미나 등 많은 정치적·지적 활동에 관여했으며, 공저도 많다.

제임스 조이스, 자크 데리다 외에 클라리세 리스펙토르, 모리스 블랑쇼, 프란츠 카프카 등 많은 작가들의 연구로도 알려져 있다.

엘렌 식수는 희곡도 많이 썼으며, 작품은 오르세 극장, 파리 시립 극장 등에서 상연되었다.

엘렌 식수는 알제리의 해방, 대학의 해방, 그리고 여성의 해방이라는 세 가지 해방을 위해 싸웠다.

2. 1. 개인적 삶

엘렌 식수는 1937년 6월 5일 프랑스령 알제리 오랑에서 유대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7] 아버지 조르주 식수(1909–1948)는 결핵 관련 논문을 쓴 의사였으나 1948년 이 병으로 사망했다. 어머니 에브 식수(1910–2013, 결혼 전 성은 클라인)는 알제에서 산파로 일했으며, "1971년 마지막 프랑스 의사 및 산파와 함께 추방될 때까지" 이 일을 했다.[7] 1947년알제로 이주했다.

식수는 1955년 기 베르제와 결혼하여 세 자녀, 안-엠마뉘엘 (1958년 출생), 스테판 (1960–1961), 피에르-프랑수아 (1961년 출생)를 두었다. 식수와 베르제는 1964년에 이혼했다.[7]

식수의 남동생 피에르는 "의대생이자 알제리 독립 지지자"였으며, 1961년 비밀군사기구에 의해 사형 선고를 받고 보르도에서 식수와 합류했다. 어머니와 남동생은 1962년 알제리가 독립한 후 알제리로 돌아갔으나 체포되었고, 식수는 "아흐메드 벤 벨라의 변호사의 도움으로 그들을 석방시켰다."[7]

2. 2. 학문적 경력

1959년 영어 아그레가시옹을 취득[8]했고, 1968년 문학 박사를 받았다. 이 당시 그녀의 주된 관심사는 영문학제임스 조이스의 작품이었다. 1962년 보르도 대학교에서 조교가 되었고, 1965년부터 1967년까지 소르본 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했으며, 1967년 파리 낭테르 대학교에서 강사로 임명되었다.[9]

1968년 프랑스 5월 혁명 이후, "전통적인 프랑스 학문 환경의 대안"으로 설립된 파리 8대학 설립을 담당했다.[10] 1974년 유럽 최초로 파리 8대학의 여성학 센터를 설립했다.[8] 식수는 파리 8대학과 스위스 사스페에 있는 유럽 대학원의 교수이다.[11]

1969년, 엘렌 식수는 자크 데리다, 프랑수아 샤틀레, 질 들뢰즈,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미셸 푸코, 알랭 바디우, 미셸 세르, 다니엘 벤사이드 등과 함께 "(CUEV)"를 창설했다. 이는 권위주의적인 기존 질서에 항거하는 학생 운동에서 시작된 프랑스 5월 혁명 (Mai 68)의 정신을 계승하여 고등 교육의 민주화(바칼로레아를 취득하지 않은 학생, 노동자, 외국인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에게 열린 대학)를 목표로 하는 새로운 고등 교육 기관이었다. 다음 해에 파리 제8대학교(뱅센 대학교)로 개명되었는데, 이때 엘렌 식수는 "여성학 센터"(현재 파리 제8대학교 "페미니즘·젠더 연구 센터")를 창설하여 프랑스뿐만 아니라 유럽의 여성학 연구에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2. 3. 작품 활동

1968년, 식수는 박사 학위 논문인 《제임스 조이스의 망명, 혹은 대체의 기술》(L'Exil de James Joyce ou l'Art du remplacement)을 출판했고, 이듬해에는 반자전적 작품으로 메디치 상을 수상한 첫 소설 《내부》(Dedans)를 출판했다.[8]

그녀는 23권의 시집, 6권의 에세이, 5편의 희곡, 그리고 수많은 영향력 있는 논문을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출판했다. 자크 데리다와 함께 《베일》(Voiles)을 출판했으며, 그녀의 작품은 종종 해체주의적이라고 여겨진다. 웰렉 강연에서 데리다는 그녀를 자신의 언어(프랑스어)로 된 가장 위대한 생존 작가라고 언급했고, 이 강연은 이후 《쓰기의 사다리 위의 세 단계》(Three Steps on the Ladder of Writing)로 출판되었다.[12] 식수는 데리다에 관한 책 《어린 유대인 성자로서의 자크 데리다의 초상》(Portrait de Jacques Derrida en jeune saint juif)을 썼다. 데리다에 대한 그녀의 해석은 엄격한 어휘 수준이 아닌 음소 수준에서 추가적인 의미의 층을 발견한다.[13] 데리다와 조이스 외에도, 브라질 작가 클라리스 리스펙토르, 모리스 블랑쇼, 프란츠 카프카,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미셸 드 몽테뉴, 잉게보르크 바흐만, 토마스 베른하르트, 러시아 시인 마리나 츠베타예바의 작품에 대한 모노그래프를 썼다. 또한 시몽 한타이, 피에르 알레친스키, 아델 압데세메드를 포함한 예술가들에 대한 에세이도 썼으며, 이들에게 헌정한 두 권의 책도 있다.

루스 이리가레이, 줄리아 크리스테바와 함께 식수는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즘 이론의 어머니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4] 1970년대에 식수는 성과 언어의 관계에 대해 글을 쓰기 시작했다. 다른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처럼, 식수는 우리의 성이 사회에서 우리가 의사 소통하는 방식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믿는다. 1975년, 식스는 가장 영향력 있는 논문인 "메두사의 웃음"(Le rire de la méduse)을 발표했으며, 이 논문은 1976년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4] 그녀는 70편이 넘는 작품을 출판했지만, 소설, 극작, 시는 영어로 자주 읽히지 않는다.

1969년 자전적인 소설 『내부 (''Dedans'')』를 발표하여 메디시스상을 수상했다.

엘렌 식수는 희곡도 많이 썼으며, 작품은 오르세 극장, 파리 시립 극장 등에서 상연되었다.

'''대표작 『메두사의 웃음』에 관하여'''

영미권에서 "프렌치 페미니즘"의 선구자로 여겨지는 『메두사의 웃음』은 1975년 현대의 문학자, 철학자, 예술가 등을 소개하는 『라르크 (''l’Arc'')』의 시몬 드 보부아르 특집호(표제: "여성의 투쟁")에 발표되었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메두사(고르곤 3자매 중 한 명)는 본 사람을 돌로 만드는 능력을 가진 여성 괴물로, 페르세우스에게 목이 잘려 퇴치되었다. 엘렌 식수는 이 메두사를 여성의 존재와 자기 실현을 방해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속박을 타파하는 에크리튀르 풰미냉(여성적 글쓰기)으로 되살렸다. 엘렌 식수의 메두사는 웃고 있으며, 이 웃음은 여성을 해방시키는 우렁찬 웃음이다.[30] "여성적 에크리튀르"를 키워드로 하여, 기존 사회의 남근 이론 중심주의를 고발하는 본서는 풍부한 이미지와 매력적인 은유로 가득 차 있으며, 때로는 격렬하게, 때로는 시적으로 독자를 감싸 안는다. 새로운 인간의 가능성, 새로운 사회의 도래를 높이 노래하는 식수의 메시지는 분명히 일본의 독자에게도 희망과 지침을 줄 것이다.[31]

'''작품 목록'''

'''소설'''

출판 연도제목비고
1967Le Prénom de Dieu
1969Dedans메디치 상 수상, 한국어 번역본: 『내부』
1970Le Troisième Corps
1970Les Commencements
1972Neutre
1973Tombe(2008년 재출간)
1974Portrait du Soleil
1975'Révolutions pour plus dun Faust''
1975Souffles
1976Partie
1976La
1977Angst
1979Anankè
1980Illa
1982Limonade tout était si infini
1983Le Livre de Prométhéa
1992Déluge
1993'Beethoven à jamais ou lExistence de Dieu''
1995La Fiancée juive de la tentation
1997OR, les lettres de mon père
1999Osnabrück
2000'Le Jour où je nétais pas là''
2000Les Rêveries de la femme sauvage
2002Manhattan
2003Rêve je te dis
2004Tours promises
2005Rencontre terrestreFrédéric-Yves Jeannet와 공저
2005'LAmour même : dans la boîte aux lettres''
2006Hyperrêve
2007Si près
2008Cigüe : vieilles femmes en fleurs
2009Philippines : prédelles
2009'Ève sévade : la ruine et la vie''
2010'Double oubli de lOrang-Outang''
2014Homère est morte
2016'Gare dOsnabrük à Jérusalem''



'''수필·평론'''

출판 연도제목비고
1968'L’Exil de James Joyce ou lart du remplacement''박사 학위 논문, 한국어 미번역
1974Prénoms de Personne
1975La Jeune Née한국어 번역: "새롭게 태어난 여자" (『메두사의 웃음』 수록)
1975Le Rire de la Méduse(2010년 재출간), 한국어 번역: 『메두사의 웃음』
1976Le sexe ou la tête ?한국어 번역: "거세인가 단두대인가" (『메두사의 웃음』 수록)
1977La Venue à l’écriture한국어 번역: "에크리튀르에의 도달" (『메두사의 웃음』 수록)
1986Entre l’écriture
1989'LHeure de Clarice Lispector''
1990Karine SaportaDaniel Dobbels, Bérénice Reynaud와 공저
1994Hélène Cixous, photos de racinesMireille Calle-Gruber와 공저, 한국어 번역: "엘렌 식수, 뿌리를 찍다" (발췌, 『여성들의 프랑스 사상』 수록)
1998Voiles자크 데리다 공저, 한국어 번역: 『베일』
2001Portrait de Jacques Derrida en jeune saint juif
2007Le Voisin de zéro : Sam Beckett
2011Entretien de la blessure, sur Jean Genet
2013Abstracts et brèves chroniques du temps. I. Chapitre Los
2013Ayaï ! Le Cri de la littérature
2016Une autobiographie allemandeCécile Wajsbrot와 공저
2018Les Sans Arche d’Adel Abdessemed



'''희곡'''

출판 연도제목비고
1971La Pupille
1975Portrait de Dora오르세 극장 상연, 한국어 번역: 『도라의 초상』
1984'La Prise de lécole de Madhubaï''한국어 번역: "도둑 여왕 (마두바이 초등학교 탈취)" (『도라의 초상』 수록)
1985L’Histoire terrible mais inachevée de Norodom Sihanouk, roi du Cambodge(1987년 개정판)
1987L’Indiade, ou l’Inde de leurs rêves, et quelques écrits sur le théâtre
1992Les Euménides d’Eschyle번역
1994La Ville parjure ou le réveil des Erinyes한국어 번역: 『위증의 도시, 혹은 복수의 여신들의 부활』
1997'Et soudain, des nuits déveil''
1999Tambours sur la digue, sous forme de pièce ancienne pour marionnettes jouée par des acteurs
2001'Rouen, la Trentième Nuit de Mai 31''
2010Les Naufragés du fol espoir
2016Une chambre en IndeThéâtre du Soleil과 공저


3. 주요 사상

엘렌 식수는 뤼스 이리가레, 줄리아 크리스테바와 함께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즘 이론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4] 1970년대부터 식수는 성과 언어의 관계에 대한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다른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스트 이론가들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성이 사회에서 의사 소통하는 방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자크 데리다와 함께 《베일》(Voiles)을 출판한 식수의 작품은 종종 해체주의적이라고 여겨진다. 데리다는 그녀를 자신의 언어(프랑스어)로 된 가장 위대한 생존 작가라고 언급했다.[12] 식수는 데리다에 관한 책 《어린 유대인 성자로서의 자크 데리다의 초상》(Portrait de Jacques Derrida en jeune saint juif)을 썼다. 데리다에 대한 그녀의 해석은 엄격한 어휘 수준이 아닌 음소 수준에서 추가적인 의미를 발견한다.[13]

데리다는 해체주의를 통해 ''로고스 중심주의''(그가 만든 용어는 아니다)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는 언어가 서구 문화에서 쓰인 단어보다 구두 언어를 더 중시하는 계층 시스템에 의존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항 대립의 개념은 식수의 언어관에 필수적이다.

식수와 이리가레는 데리다의 로고스 중심주의적 사상과 라캉의 욕망의 상징을 결합하여 ''남근 중심주의''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언어의 중심으로서 데리다의 사회적 언어 구조와 이항 대립에 초점을 맞추고, 남근이 특권을 가지며, 여성이 부족한 것으로만 정의되는 방식을 다룬다. 즉, A 대 B가 아니라, A 대 ¬A (not-A)인 것이다.

3. 1. 여성적 글쓰기 (Écriture féminine)

Écriture féminine프랑스어 (여성적 글쓰기)

엘렌 식수는 루스 이리가레이, 줄리아 크리스테바와 함께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즘 이론의 어머니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4] 1970년대에 식수는 성과 언어의 관계에 대해 글을 쓰기 시작했다. 다른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처럼, 식스는 우리의 성이 사회에서 우리가 의사 소통하는 방식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믿었다.

식수의 비평적 페미니즘 에세이 "메두사의 웃음"은 1975년 프랑스어로 "Le Rire de la Méduse"로 처음 쓰여졌으며, 식수가 수정한 후 1976년 폴라 코헨(Paula Cohen)과 키스 코헨(Keith Cohen)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4] 이 에세이는 식수가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ne프랑스어)라고 부른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독특한 글쓰기 방식을 선언했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한 기본 에세이로 여겨진다.[19]

영미권에서 "프렌치 페미니즘"의 선구자로 여겨진 『메두사의 웃음』은 1975년 현대의 문학자, 철학자, 예술가 등을 소개하는 『라르크 (''l’Arc'')』의 시몬 드 보부아르 특집호(표제: "여성의 투쟁")에 발표되었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메두사(고르곤 3자매 중 한 명)는 본 사람을 돌로 만드는 능력을 가진 여성 괴물로, 페르세우스에게 목이 잘려 퇴치되었다. 엘렌 식수는 이 메두사를 여성의 존재와 자기 실현을 방해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속박을 타파하는 에크리튀르 페미냉(Écriture féminine프랑스어)으로 되살렸다. 엘렌 식수의 메두사는 웃고 있다. 여성을 해방시키는 우렁찬 웃음이다.[30] "여성적 에크리튀르"를 키워드로 하여, 기존 사회의 남근 이론 중심주의를 고발하는 본서는 풍부한 이미지와 매력적인 은유로 가득 차 있으며, 때로는 격렬하게, 때로는 시적으로 독자를 감싸 안는다. 새로운 인간의 가능성, 새로운 사회의 도래를 높이 노래하는 식수의 메시지는 분명히 일본의 독자에게도 희망과 지침을 줄 것이다.[31]

3. 2. 탈구축주의 (해체주의)

자크 데리다와 함께 《베일》(Voiles)을 출판한 식수의 작품은 종종 해체주의적이라고 여겨진다. 데리다는 그녀를 자신의 언어(프랑스어)로 된 가장 위대한 생존 작가라고 언급했다.[12] 식수는 데리다에 관한 책 《어린 유대인 성자로서의 자크 데리다의 초상》(Portrait de Jacques Derrida en jeune saint juif)을 썼다. 데리다에 대한 그녀의 해석은 엄격한 어휘 수준이 아닌 음소 수준에서 추가적인 의미의 층을 발견한다.[13]

해체주의를 통해 데리다는 ''로고스 중심주의''(그가 만든 용어는 아니다)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는 언어가 서구 문화에서 쓰인 단어보다 구두 언어를 더 중시하는 계층 시스템에 의존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항 대립의 개념은 식수의 언어관에 필수적이다.

식수와 뤼스 이리가레는 데리다의 로고스 중심주의적 사상과 라캉의 욕망의 상징을 결합하여 ''남근 중심주의''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언어의 중심으로서 데리다의 사회적 언어 구조와 이항 대립에 초점을 맞추고, 남근이 특권을 가지며, 여성이 부족한 것으로만 정의되는 방식을 다룬다. 즉, A 대 B가 아니라, A 대 ¬A (not-A)인 것이다.

데리다와 식수의 대화에서 데리다는 식수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엘렌의 텍스트는 전 세계에서 번역되지만, 여전히 번역 불가능한 채로 남아 있습니다. 우리는 프랑스어를 가지고 이상한 관계, 또는 이상하게 친숙한 관계를 맺는 두 명의 프랑스 작가입니다. 많은 프랑스 작가들보다 더 많이 번역되고, 더 번역 불가능합니다. 우리는 이 문화와 이 땅에 조상의 뿌리를 둔 사람들보다 프랑스어에 더 깊이 뿌리내리고 있습니다."[18]

4. 주요 작품

엘렌 식수는 소설, 수필·평론, 희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소설'''


  • ''Le Prénom de Dieu'' (Grasset, 1967)
  • ''Dedans'' (Grasset, 1969) - 메디시스 상 수상 (한국어 번역본: 『내부』)
  • ''Le Troisième Corps'' (Grasset, 1970)
  • ''Les Commencements'' (Grasset, 1970)
  • ''Neutre'' (Grasset, 1972)
  • ''Tombe'' (Seuil, 1973, 2008)
  • ''Portrait du Soleil'' (Denoël, 1974)
  • ''Révolutions pour plus d'un Faust'' (Seuil, 1975)
  • ''Souffles'' (Des femmes, 1975)
  • ''Partie'' (Des femmes, 1976)
  • ''La'' (Gallimard, 1976)
  • ''Angst'' (Des Femmes, 1977)
  • ''Anankè'' (Des femmes, 1979)
  • ''Illa'' (Des femmes, 1980)
  • ''Limonade tout était si infini'' (Des femmes, 1982)
  • ''Le Livre de Prométhéa'' (Gallimard, 1983)
  • ''Déluge'' (Des femmes, 1992)
  • ''Beethoven à jamais ou l'Existence de Dieu'' (Des femmes, 1993)
  • ''La Fiancée juive de la tentation'' (Des femmes, 1995)
  • ''OR, les lettres de mon père'' (Des femmes, 1997)
  • ''Osnabrück'' (Des femmes, 1999)
  • ''Le Jour où je n'étais pas là'' (Galilée, 2000)
  • ''Les Rêveries de la femme sauvage'' (Galilée, 2000)
  • ''Manhattan'' (Galilée, 2002)
  • ''Rêve je te dis'' (Galilée, 2003)
  • ''Tours promises'' (Galilée, 2004)
  • ''Rencontre terrestre, en collaboration avec Frédéric-Yves Jeannet'' (Galilée, 2005)
  • ''L'Amour même : dans la boîte aux lettres'' (Galilée, 2005)
  • ''Hyperrêve'' (Galilée, 2006)
  • ''Si près'' (Galilée, 2007)
  • ''Cigüe : vieilles femmes en fleurs'' (Galilée, 2008)
  • ''Philippines : prédelles'' (Galilée, 2009)
  • ''Ève s'évade : la ruine et la vie'' (Galilée, 2009)
  • ''Double oubli de l'Orang-Outang'' (Galilée, 2010)
  • ''Homère est morte'' (Galilée, 2014)
  • ''Gare d'Osnabrük à Jérusalem'' (Galilée, 2016)


'''수필·평론'''

  • ''L’Exil de James Joyce ou l'art du remplacement'' (Grasset, 1968) - 『제임스 조이스의 망명, 혹은 대체 기술』 (박사 학위 논문, 미번역)
  • ''Prénoms de Personne'' (le Seuil, 1974)
  • ''La Jeune Née'' (U.G.E., 1975) (한국어 번역: "새롭게 태어난 여자" - 『메두사의 웃음』 수록)
  • ''Le Rire de la Méduse'' (L'Arc, 1975 - 재판 Galilée, 2010) (한국어 번역: 『메두사의 웃음』)
  • ''Le sexe ou la tête ?'' (Les Cahiers du Grif, 1976) (한국어 번역: "거세인가 단두대인가" - 『메두사의 웃음』 수록)
  • ''La Venue à l’écriture'' (U.G.E., 1977) (한국어 번역: "에크리튀르에의 도달" - 『메두사의 웃음』 수록)
  • ''Entre l’écriture'' (Des femmes, 1986)
  • ''L'Heure de Clarice Lispector'' (Des femmes, 1989)
  • ''Karine Saporta, en collaboration avec Daniel Dobbels et Bérénice Reynaud'', (Armand Colin, 1990)
  • ''Hélène Cixous, photos de racines'' (avec Mireille Calle-Gruber, Des femmes, 1994) (한국어 번역: "엘렌 식수, 뿌리를 찍다" (발췌) - 『여성들의 프랑스 사상』 수록)
  • ''Voiles'' (Galilée, 1998) (한국어 번역: 『베일』) - 자크 데리다 공저
  • ''Portrait de Jacques Derrida en jeune saint juif'' (Galilée, 2001)
  • ''Le Voisin de zéro : Sam Beckett'' (Galilée, 2007)
  • ''Entretien de la blessure, sur Jean Genet'' (Galilée, 2011)
  • ''Abstracts et brèves chroniques du temps. I. Chapitre Los'' (Galilée, 2013)
  • ''Ayaï ! Le Cri de la littérature'' (Galilée, 2013)
  • ''Une autobiographie allemande'' (Christian Bourgois, 2016) - Cécile Wajsbrot 공저
  • ''Les Sans Arche d’Adel Abdessemed'' (Gallimard, 2018)


'''희곡'''

  • ''La Pupille'' (Cahiers Renaud-Barrault, 1971)
  • ''Portrait de Dora'' (Des femmes, 1975) (오르세 극장 상연) (한국어 번역: 『도라의 초상』)
  • ''La Prise de l'école de Madhubaï'' (Avant-Scène, 1984) (한국어 번역: "도둑 여왕 (마두바이 초등학교 탈취)" - 『도라의 초상』 수록)
  • ''L’Histoire terrible mais inachevée de Norodom Sihanouk, roi du Cambodge'' (Théâtre du Soleil, 1985; 개정판 1987)
  • ''L’Indiade, ou l’Inde de leurs rêves, et quelques écrits sur le théâtre'' (Théâtre du Soleil, 1987)
  • ''Les Euménides d’Eschyle'' (번역, Théâtre du Soleil, 1992)
  • ''La Ville parjure ou le réveil des Erinyes'' (Théâtre du Soleil, 1994) (한국어 번역: 『위증의 도시, 혹은 복수의 여신들의 부활』)
  • ''Et soudain, des nuits d'éveil'' (Théâtre du Soleil, 1997)
  • ''Tambours sur la digue, sous forme de pièce ancienne pour marionnettes jouée par des acteurs'' (Théâtre du Soleil, 1999)
  • ''Rouen, la Trentième Nuit de Mai '31'' (Galilée, 2001)
  • ''Les Naufragés du fol espoir'' (Théâtre du soleil, 2010)
  • ''Une chambre en Inde'' (Théâtre du Soleil 공저, 2016)


다음은 일본어로 번역된 엘렌 식수의 작품이다.

원제일본어 번역 제목번역자출판사출판 연도
Dedans『내부』 (内部)와카바야시 마코토신초샤1978년
Le Rire de la Méduse『메두사의 웃음』 (メドゥーサの笑い)마츠모토 이사코, 쿠니료 소노코, 후지쿠라 케이코키노쿠니야 서점1993년
(강연 원고)『늑대의 사랑』 (狼の愛)마츠모토 이사코키노쿠니야 서점1995년
Hélène Cixous, photos de racines (발췌)"엘렌 식수, 뿌리를 찍다" (エレーヌ・シクスー、根を撮る)마츠모토 이사코케이소쇼보1998년
Portrait de Dora『도라의 초상 - 엘렌 식수 희곡집』 (ドラの肖像 - エレーヌ・シクスー戯曲集)마츠모토 이사코, 키사라기 코하루신스이샤2001년
La Ville parjure ou le réveil des Erinyes『위증의 도시, 혹은 복수의 여신들의 부활』 (偽証の都市、あるいは復讐の女神たちの復活)다카하시 노부요시, 사에키 타카유키렌가 서방 신사2012년
Voiles『베일』 (ヴェール)고하라 카이미스즈 서방2014년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글들이 일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 "헨리 제임스, 투자로서의 에크리튀르, 혹은 이자의 양의성에 관하여" 와카바야시 마코토 역 - 치쿠마 세계 문학 대계 49 『제임스』 (치쿠마 서방, 1972년) 수록
  • "쓰지 않을 때는 죽은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와사키 치카라 역 - 장 루이 드 랑뷔르 편 『작가의 작업실』 (이와사키 치카라 역, 츄오코론샤, 1979년) 수록
  • "외부를 듣는 눈먼 사람 뒤라스" (미셸 푸코와의 대담) 나카자와 신이치 역, 『유레카』 1985년 7월호, 세이도샤
  • "나의 알제리인" 마츠모토 이사코 역, 『현대사상』 1997년 12월호, 세이도샤
  • "말할 수 없는 사건에 조우한 사람들이 무엇을 말하는가" 마츠다 미츠요 역, 『현대사상』 2000년 11월호, 세이도샤

4. 1. 《메두사의 웃음》(Le Rire de la Méduse, 1975)

엘렌 식수의 비평적 페미니즘 에세이 "메두사의 웃음"은 1975년 프랑스어로 "Le Rire de la Méduse"로 처음 쓰여졌으며, 식수가 수정한 후 1976년 폴라 코헨(Paula Cohen)과 키스 코헨(Keith Cohen)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4] 이 에세이는 식수가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ne)라고 부른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독특한 글쓰기 방식을 선언했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한 기본 에세이로 여겨진다.[19]

영미권에서 "프렌치 페미니즘"의 선구자로 여겨진 『메두사의 웃음』은 1975년 현대의 문학자, 철학자, 예술가 등을 소개하는 『라르크 (''l’Arc'')』의 시몬 드 보부아르 특집호(표제: "여성의 투쟁")에 발표되었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메두사(고르곤 3자매 중 한 명)는 본 사람을 돌로 만드는 능력을 가진 여성 괴물로, 페르세우스에게 목이 잘려 퇴치되었다. 엘렌 식수는 이 메두사를 여성의 존재와 자기 실현을 방해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속박을 타파하는 에크리튀르 풰미냉으로 되살렸다. 엘렌 식수의 메두사는 웃고 있다. 여성을 해방시키는 우렁찬 웃음이다.[30]

"여성적 에크리튀르"를 키워드로 하여, 기존 사회의 남근 이론 중심주의를 고발하는 본서는 풍부한 이미지와 매력적인 은유로 가득 차 있으며, 때로는 격렬하게, 때로는 시적으로 독자를 감싸 안는다. 새로운 인간의 가능성, 새로운 사회의 도래를 높이 노래하는 식수의 메시지는 분명히 일본의 독자에게도 희망과 지침을 줄 것이다.[31]

4. 2. 《내부》(Dedans, 1969)

1968년, 식수는 박사 학위 논문인 《제임스 조이스의 망명, 혹은 대체의 기술》(L'Exil de James Joyce ou l'Art du remplacement)을 출판했고, 이듬해에는 반자전적 작품으로 메디치 상을 수상한 첫 소설 《내부》(Dedans)를 출판했다.[8]

4. 3. 《제임스 조이스의 망명, 혹은 대체의 기술》(L'Exil de James Joyce ou l'Art du remplacement, 1968)

1968년, 식수는 박사 학위 논문인 《L'Exil de James Joyce ou l'Art du remplacement|제임스 조이스의 망명, 혹은 대체의 기술프랑스어》을 출판했다.[8]

5. 작품 목록

'''소설'''


  • ''Le Prénom de Dieu'' (Grasset, 1967)
  • ''Dedans'' (Grasset, 1969) - 메디시스 상 (한국어 번역본: 『내부』)
  • ''Le Troisième Corps'' (Grasset, 1970)
  • ''Les Commencements'' (Grasset, 1970)
  • ''Neutre'' (Grasset, 1972)
  • ''Tombe'' (Seuil, 1973, 2008)
  • ''Portrait du Soleil'' (Denoël, 1974)
  • ''Révolutions pour plus d'un Faust'' (Seuil, 1975)
  • ''Souffles'' (Des femmes, 1975)
  • ''Partie'' (Des femmes, 1976)
  • ''La'' (Gallimard, 1976)
  • ''Angst'' (Des Femmes, 1977)
  • ''Anankè'' (Des femmes, 1979)
  • ''Illa'' (Des femmes, 1980)
  • ''Limonade tout était si infini'' (Des femmes, 1982)
  • ''Le Livre de Prométhéa'' (Gallimard, 1983)
  • ''Déluge'' (Des femmes, 1992)
  • ''Beethoven à jamais ou l'Existence de Dieu'' (Des femmes, 1993)
  • ''La Fiancée juive de la tentation'' (Des femmes, 1995)
  • ''OR, les lettres de mon père'' (Des femmes, 1997)
  • ''Osnabrück'' (Des femmes, 1999)
  • ''Le Jour où je n'étais pas là'' (Galilée, 2000)
  • ''Les Rêveries de la femme sauvage'' (Galilée, 2000)
  • ''Manhattan'' (Galilée, 2002)
  • ''Rêve je te dis'' (Galilée, 2003)
  • ''Tours promises'' (Galilée, 2004)
  • ''Rencontre terrestre, en collaboration avec Frédéric-Yves Jeannet'' (Galilée, 2005)
  • ''L'Amour même : dans la boîte aux lettres'' (Galilée, 2005)
  • ''Hyperrêve'' (Galilée, 2006)
  • ''Si près'' (Galilée, 2007)
  • ''Cigüe : vieilles femmes en fleurs'' (Galilée, 2008)
  • ''Philippines : prédelles'' (Galilée, 2009)
  • ''Ève s'évade : la ruine et la vie'' (Galilée, 2009)
  • ''Double oubli de l'Orang-Outang'' (Galilée, 2010)
  • ''Homère est morte'' (Galilée, 2014)
  • ''Gare d'Osnabrük à Jérusalem'' (Galilée, 2016)


'''수필·평론'''

  • ''L’Exil de James Joyce ou l'art du remplacement'' (Grasset, 1968) - 『제임스 조이스의 망명, 혹은 대체 기술』 (박사 학위 논문, 미번역)
  • ''Prénoms de Personne'' (le Seuil, 1974)
  • ''La Jeune Née'' (U.G.E., 1975) (한국어 번역: "새롭게 태어난 여자" - 『메두사의 웃음』 수록)
  • ''Le Rire de la Méduse'' (L'Arc, 1975 - 재판 Galilée, 2010) (한국어 번역: 『메두사의 웃음』)
  • ''Le sexe ou la tête ?'' (Les Cahiers du Grif, 1976) (한국어 번역: "거세인가 단두대인가" - 『메두사의 웃음』 수록)
  • ''La Venue à l’écriture'' (U.G.E., 1977) (한국어 번역: "에크리튀르에의 도달" - 『메두사의 웃음』 수록)
  • ''Entre l’écriture'' (Des femmes, 1986)
  • ''L'Heure de Clarice Lispector'' (Des femmes, 1989)
  • ''Karine Saporta, en collaboration avec Daniel Dobbels et Bérénice Reynaud'', (Armand Colin, 1990)
  • ''Hélène Cixous, photos de racines'' (avec Mireille Calle-Gruber, Des femmes, 1994) (한국어 번역: "엘렌 식수, 뿌리를 찍다" (발췌) - 『여성들의 프랑스 사상』 수록)
  • ''Voiles'' (Galilée, 1998) (한국어 번역: 『베일』) - 자크 데리다 공저
  • ''Portrait de Jacques Derrida en jeune saint juif'' (Galilée, 2001)
  • ''Le Voisin de zéro : Sam Beckett'' (Galilée, 2007)
  • ''Entretien de la blessure, sur Jean Genet'' (Galilée, 2011)
  • ''Abstracts et brèves chroniques du temps. I. Chapitre Los'' (Galilée, 2013)
  • ''Ayaï ! Le Cri de la littérature'' (Galilée, 2013)
  • ''Une autobiographie allemande'' (Christian Bourgois, 2016) - Cécile Wajsbrot 공저
  • ''Les Sans Arche d’Adel Abdessemed'' (Gallimard, 2018)


'''희곡'''

  • ''La Pupille'' (Cahiers Renaud-Barrault, 1971)
  • ''Portrait de Dora'' (Des femmes, 1975) (오르세 극장 상연) (한국어 번역: 『도라의 초상』)
  • ''La Prise de l'école de Madhubaï'' (Avant-Scène, 1984) (한국어 번역: "도둑 여왕 (마두바이 초등학교 탈취)" - 『도라의 초상』 수록)
  • ''L’Histoire terrible mais inachevée de Norodom Sihanouk, roi du Cambodge'' (Théâtre du Soleil, 1985; 개정판 1987)
  • ''L’Indiade, ou l’Inde de leurs rêves, et quelques écrits sur le théâtre'' (Théâtre du Soleil, 1987)
  • ''Les Euménides d’Eschyle'' (번역, Théâtre du Soleil, 1992)
  • ''La Ville parjure ou le réveil des Erinyes'' (Théâtre du Soleil, 1994) (한국어 번역: 『위증의 도시, 혹은 복수의 여신들의 부활』)
  • ''Et soudain, des nuits d'éveil'' (Théâtre du Soleil, 1997)
  • ''Tambours sur la digue, sous forme de pièce ancienne pour marionnettes jouée par des acteurs'' (Théâtre du Soleil, 1999)
  • ''Rouen, la Trentième Nuit de Mai '31'' (Galilée, 2001)
  • ''Les Naufragés du fol espoir'' (Théâtre du soleil, 2010)
  • ''Une chambre en Inde'' (Théâtre du Soleil 공저, 2016)

참조

[1] 서적 Cixous, Irigaray, Kristeva: The Jouissance of French Feminism Crescent Moon Publishing 2016
[2] 백과사전 Hélène Cixous https://www.britanni[...] 2018-11-02
[3] 웹사이트 VINCENNES, L'UNIVERSITÉ PERDUE http://www.arte.tv/g[...] 2016-06-10
[4] 간행물 The Laugh of the Medusa https://artandobjec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웹사이트 Will this woman be the next Jewish winner of the Nobel Prize for literature? https://forward.com/[...] 2021-11-04
[6] 간행물 Who Will Win the 2022 Nobel Prize in Literature? https://newrepublic.[...] 2022-10-03
[7] 웹사이트 Hélène Cixous http://jwa.org/encyc[...] Jewish Women's Archive 2014-01-17
[8] 웹사이트 Hélène Cixous https://www.poetryfo[...] Poetry Foundation 2018-11-02
[9] 서적 French Women Writer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4-01-01
[10] 웹사이트 Peaking Behind the Curtains of Adieux https://lareviewofbo[...] 2015-08-12
[11] 웹사이트 Hélène Cixous http://egs.edu/facul[...] The European Graduate School 2018-11-02
[12] 서적 Three Steps on the Ladder of Writ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04-15
[13] 문서
[14] 뉴스 How many of these great female thinkers have you heard of? 2007-12-11
[15] 웹사이트 Evercixousmovie https://www.evercixo[...] 2019
[16] 뉴스 French writer, German scholar and British poet named A.D. White Professors-at-Large http://news.cornell.[...] 2008-08-13
[17] 서적 Portrait of Jacques Derrida as a Young Jewish Saint – Description of Cixous's ''Portrait of Jacques Derrida as a Young Jewish Saint''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4-02-00
[18] 간행물 From the Word to Life: A Dialogue between Jacques Derrida and Hélène Cixous 2006-00-00
[19] 서적 Signs https://www.jstor.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6-06-00
[20] 웹사이트 Biographie et actualités de Hélène Cixous France Inter https://www.francein[...] 2018-07-16
[21] 웹사이트 Hélène Cixous (1937-) - Bibliographie (BnF, décembre 2017) http://www.bnf.fr/do[...] 2018-07-16
[22] 서적 女たちのフランス思想 勁草書房 1998-00-00
[23] 웹사이트 エレーヌ・シクスー https://kotobank.jp/[...] 日外アソシエーツ『現代外国人名録2012』 2018-09-14
[24] 뉴스 Paris-VIII, l’université de toutes les radicalités https://www.lemonde.[...] 2018-07-16
[25] 뉴스 Histoire de l’université Paris-VIII https://www.humanite[...] 2013-09-26
[26] 웹사이트 Historique de Paris 8 http://www.univ-pari[...] 2018-07-16
[27] 웹사이트 Centre d’études féminines et d’études de genre - université Paris 8 http://cefeg.univ-pa[...] univ-paris8.fr 2019-01-09
[28] 서적 A propos du Rire de la Méduse Honoré Champion 2015-00-00
[29] 뉴스 Hélène Cixous : “En 68 encore, il n’y avait pas de femmes dans le mouvement” https://www.telerama[...] 2018-07-16
[30] 웹사이트 Rire de la Méduse - Centre d’études féminines et d’études de genre - université Paris 8 http://www2.univ-par[...] 2018-07-16
[31] 문서
[32] 웹인용 Hélène Cixous http://www.universal[...] 2014-01-30
[33] 문서
[34] 웹인용 Hélène Cixous : “En 68 encore, il n’y avait pas de femmes dans le mouvement” - Idées - Télérama.fr http://www.telerama.[...] 2017-12-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