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상주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천상주고속도로는 경상북도 영천시와 상주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2008년 상주영천고속도로로 지정되어, 2017년 낙동 분기점부터 영천 분기점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023년 영천상주고속도로로 노선명이 변경되었다. 왕복 4차로로, 총 연장 93.9km이며, 최고 속도 100km/h, 최저 속도 50km/h로 제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위군의 도로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군위군의 도로 - 장천로 (구미 군위)
장천로(구미 군위)는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에서 시작하여 대구광역시를 거쳐 군위군 군위읍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구미시 장천면 상림삼거리에서 강동로와 접속하고 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되며, 송백로와 연결되어 군위IC 교차로에서 국도 제5호선 및 중앙고속도로 제55호선과 만난다. - 영천상주고속도로 - 군위 분기점
군위 분기점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내리리에 위치한 영천상주고속도로의 분기점으로, 영천과 의성 방향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 영천상주고속도로 - 동영천 나들목
동영천 나들목은 2017년 상주영천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개장한 경상북도 영천시 신기동에 위치한 나들목으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과 연결되며 일일 평균 1,000대 이상의 차량이 이용한다. - 의성군의 도로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의성군의 도로 - 서산영덕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는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경상북도 영덕군까지 연결되는 총 연장 330.8km의 고속도로이며, 당진, 예산, 공주, 유성, 청주, 상주, 영덕 등을 지난다.
영천상주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도로 종류 | 고속국도 |
노선 번호명 | 고속국도 제301호선 |
노선명 | 영천상주고속도로 |
총 연장 | 93.9 km |
개통년 | 2017년 6월 28일 |
노선 정보 | |
기점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
주요 경유지 | 경상북도 영천시 대구광역시 군위군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북도 상주시 |
종점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
주요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AH1)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8호선 |
2. 역사
- 2008년 1월 3일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301호선 상주영천고속도로(상주 ~ 영천선)로 지정[1]
- 2009년 12월 18일 : 당진영덕고속도로와 중첩 구간인 낙동 분기점 ~ 상주 분기점 구간 착공
- 2012년 4월 4일 : 상주영천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 영천시 북안면 고지리 93.95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
- 2012년 6월 28일 : 상주 분기점 ~ 영천 분기점 구간 착공
- 2014년 12월 17일 : 당진영덕고속도로와 중복되는 구간(낙동 분기점~상주 분기점)을 왕복 4차로에서 6차로로 변경하기 위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 구잠리 2.8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종점을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임포리'로 명시[4]
- 2015년 4월 27일 : 2017년 6월 27일까지 구미시 관내 문화재(전 모례가 정) 보호를 위한 선형 변경을 위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 영천시 북안면 고지리 93.958km 구간을 94.004km로 도로구역 변경[5]
- 2015년 11월 : 소보 나들목 및 북안 나들목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착공[6]
- 2016년 4월 6일 : 2017년 6월 27일까지 소보 나들목, 북안 나들목 신설 및 졸음쉼터 2개소 설치를 위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 영천시 북안면 고지리 94.00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7]
- 2017년 3월 27일 : 상주영천고속도로 교량 및 휴게소 명칭 확정[8]
- 2017년 6월 28일 : 낙동 분기점 ~ 영천 분기점 93.958km 전 구간 개통[9]
- 2017년 11월 27일 : 도로명주소에 상주 분기점부터 영천 분기점까지 94.0km 구간을 '''상주영천고속도로'''로 고시[10]
- 2023년 2월 10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서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임포리로, 종점을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임포리에서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로 변경하고 '''영천상주고속도로'''(영천 ~ 상주선)로 노선명 변경[11]
2. 1. 개요
2. 2. 연혁
- 2008년 1월 3일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301호선 상주영천고속도로(상주 ~ 영천선)로 지정하였다.[1]
- 2009년 12월 18일 : 당진영덕고속도로와 중첩 구간인 낙동 분기점 ~ 상주 분기점 구간 착공
- 2012년 4월 4일 : 상주영천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 영천시 북안면 고지리 93.95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하였다.[2]
- 2012년 6월 28일 : 상주 분기점 ~ 영천 분기점 구간 착공.
- 2014년 12월 17일 : 당진영덕고속도로와 중복되는 구간(낙동 분기점~상주 분기점)을 왕복 4차로에서 6차로로 변경하기 위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 구잠리 2.8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하였다.[3]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종점을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임포리'로 명시하였다.[4]
- 2015년 4월 27일 : 2017년 6월 27일까지 구미시 관내 문화재(전 모례가 정) 보호를 위한 선형 변경을 위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 영천시 북안면 고지리 93.958km 구간을 94.004km로 도로구역 변경하였다.[5]
- 2015년 11월 : 소보 나들목 및 북안 나들목(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착공하였다.[6]
- 2016년 4월 6일 : 2017년 6월 27일까지 소보 나들목, 북안 나들목 신설 및 졸음쉼터 2개소 설치를 위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 ~ 영천시 북안면 고지리 94.00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하였다.[7]
- 2017년 3월 27일 : 상주영천고속도로 교량 및 휴게소 명칭 확정하였다.[8]
- 2017년 6월 28일 : 낙동 분기점 ~ 영천 분기점 93.958km 전 구간 개통하였다.[9]
- 2017년 11월 27일 : 도로명주소에 상주 분기점부터 영천 분기점까지 94.0km 구간을 '''상주영천고속도로'''로 고시하였다.[10]
- 2023년 2월 10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서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임포리로, 종점을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임포리에서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로 변경하고 '''영천상주고속도로'''(영천 ~ 상주선)로 노선명 변경하였다.[11]
3. 구성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
93.9km이다.
전 구간 최고속도 100km/h, 최저속도 50km/h로 제한한다.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군위터널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다곡리 | 937m | 2017년 | 상주 방면 |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 달산리 | 902m | 영천 방면 | ||
산법터널 |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 산법리 | 395m | 2017년 | |
평호터널 |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수서리 | 1,965m | 2017년 | 상주 방면 |
1,845m | 영천 방면 | |||
불로터널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불로리 | 481m | 2017년 | 상주 방면 |
497m | 영천 방면 | |||
중구터널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중구리 | 376m | 2017년 | |
효령터널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중구리 | 913m | 2017년 | 상주 방면 |
936m | 영천 방면 |
3. 1. 차로수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3. 2. 총 연장
93.9km이다.3. 3.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속도 100km/h, 최저속도 50km/h로 제한한다.3. 4. 터널
wikitable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군위터널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다곡리 | 937m | 2017년 | 상주 방면 |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 달산리 | 902m | 영천 방면 | ||
산법터널 |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 산법리 | 395m | 2017년 | |
평호터널 |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수서리 | 1,965m | 2017년 | 상주 방면 |
1,845m | 영천 방면 | |||
불로터널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불로리 | 481m | 2017년 | 상주 방면 |
497m | 영천 방면 | |||
중구터널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중구리 | 376m | 2017년 | |
효령터널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중구리 | 913m | 2017년 | 상주 방면 |
936m | 영천 방면 |
4. 나들목 · 분기점
-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이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휴게소의 명칭은 2017년 3월 27일에 확정되었다.[8]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 서산영덕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은 연한 파란색(■)으로 표시한다.
번호 | 이름 | 로마자 이름 | 구간 거리 | 누적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 직결 | ||||||||
style="background-color: #ddddff;" | | 낙동 분기점 | Nakdong JC | 0.00 | 0.00 | 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 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 | 경상북도 | 상주시 | |
style="background-color: #ddddff;" | | 상주 분기점 | Sangju JC | 3.83 | 3.83 | 30호선 서산영덕고속도로 | 상주방향의 경우 서산영덕고속도로(영덕 방향) 진출 불가능 | ||
SA | 낙동강의성휴게소 | Nakdongganguiseong SA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의성군 | 영천 방향 고속버스 환승 가능 | ||
SA | 낙동강구미휴게소 | Nakdongganggumi SA | style="text-align: right;" | | " style="text-align: right;" | | 구미시 | 상주 방향 고속버스 환승 가능 | ||
1 | 도개 | Dogae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국도 제25호선 (낙동대로) | |||
2 | 서군위 | W.Gunwi | 16.3 | style="text-align: right;" | | 지방도 제923호선 지방도 제927호선 | 대구광역시 | 군위군 |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
3 | 군위 분기점 | Gunwi JC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55호선 중앙고속도로 | |||
4 | 동군위 | E.Gunwi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지방도 제919호선 (치산효령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한티로) | |||
SA | 삼국유사군위휴게소 | Samgukyusa-Gunwi SA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상주 방향 | |||
SA | 군위영천휴게소 | Gunwi-Yeongcheon SA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영천 방향 | |||
5 | 신녕 | Sinnyeong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국도 제28호선 | 경상북도 | 영천시 | |
6 | 화산 분기점 | Hwasan JC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20호선 새만금포항고속도로 | 상주방향의 경우 새만금포항고속도로 포항 방향 진출 불가능 | ||
7 | 동영천 | E.Yeongcheon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포은로) | |||
8 | 북안 | Bugan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돌할매로 |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상주 방향 진입과 영천 방향 진출만 가능 | ||
9 | 영천 분기점 | Yeongcheon JC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1호선 경부고속도로 | 영천 방향의 경우 경부고속도로(서울 방향) 진출 불가능 | ||
5. 주요 통과지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 화산면 - 매산동 - 도림동 - 오미동 - 신기동 - 북안면 - 고경면 - 임고면 - 언하동 - 신기동 -오미동 - 도림동 - 매산동 - 화산면 - 신녕면)을 통과한다. 대구광역시 군위군 (산성면- 부계면 - 효령면)을 지난다.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을 통과한다.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 소보면)을 지난다.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 의성군 (단밀면) - 상주시 (낙동면)을 통과한다.
6. 사건 사고
2023년 7월 5일 아침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불로리 불로터널 인근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여 700톤에 이르는 하산동층의 암석과 흙이 고속도로 하행선을 완전히 가로막았다. 이 사고로 1명이 부상을 당했다. 해당 지역은 중생대 퇴적암 지층인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이 분포하는 곳이며 산사태는 하산동층의 암회색 지층이 드러난 사면에서 발생하여 암석이 무너져 내렸다.
참조
[1]
간행물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01-03
[2]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163호
http://gwanbo.mois.g[...]
2012-04-04
[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786호
http://gwanbo.mois.g[...]
2014-12-17
[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263호
http://gwanbo.mois.g[...]
2015-04-27
[6]
뉴스
군위 소보(신계) 하이패스 IC 신설 공사 확정
http://m.m-i.kr/news[...]
매일일보
2015-10-29
[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163호
http://gwanbo.mois.g[...]
2016-04-06
[8]
뉴스
군위-영천 경계 '군위영천휴게소'로 합의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7-03-27
[9]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7-1003호
http://gwanbo.mois.g[...]
2017-06-27
[10]
간행물
경상북도고시 제2017-341호
http://www.gb.go.kr/[...]
2017-11-27
[1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3-77호
https://gwanbo.go.kr[...]
2023-02-10
[12]
웹인용
고속도로에 7백 톤 암석 쏟아져‥지반 약해진 비탈면 힘없이 무너져
https://imnews.imbc.[...]
MBC
2023-07-05
[13]
뉴스인용
대구 고속도로 산사태…트럭 운전자 1명 부상
https://www.hani.co.[...]
한겨레
2023-07-05
[14]
뉴스인용
[포토뉴스] 대구 고속도로 산사태...4시간 양방향 일부 구간 통제로 운전자 불편
https://mnews.imaeil[...]
매일신문
2023-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