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달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달제는 조선 인조 때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하며 주전론을 펼치다 청나라에 잡혀가 순절한 인물이다. 1634년 문과에 장원 급제 후 부교리를 지냈으며, 청나라와의 화친을 주장하는 최명길을 탄핵했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항전했고, 인조가 항복하자 윤집, 홍익한과 함께 청나라로 압송되어 끝까지 절개를 지키다 처형당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삼학사로 불리며 충절을 기리는 사당에 제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병자호란 사망자 - 윤집
윤집은 병자호란 때 삼학사로 청과의 화의를 반대하다가 순절하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강화군에 택지가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 병자호란 사망자 - 홍익한
홍익한은 조선 인조 때 문신으로,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에 강경하게 저항하다가 순절했으며, 사후 삼학사로 불리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1609년 출생 - 홋타 마사모리
홋타 마사모리는 하급 무사 출신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 가스가노츠보네와의 인척 관계를 통해 로쥬까지 오른 다이묘로, 이에미쓰 사망 후 순사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출신 배경에 대한 논쟁 또한 존재하는 인물이다. - 1609년 출생 - 이케다 미쓰마사
이케다 미쓰마사는 에도 시대 초기 다이묘로, 히메지 번주, 돗토리 번주를 거쳐 오카야마 번 초대 번주를 지냈으며, 교육 진흥과 간척 사업에 힘썼으나 신불분리 추진과 종교 탄압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1637년 사망 - 김익겸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청나라에 항거하다 분신자결한 김익겸은 사헌부 지평에 증직되고 충렬사에 제향되었으며, 인경왕후의 아버지 김만기와 소설가 김만중의 아버지이다. - 1637년 사망 - 벤 존슨 (문학가)
벤 존슨은 잉글랜드의 극작가, 시인, 문학 비평가로서, '기질 희극'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창시하고 발전시켰으며, 제임스 1세의 총애를 받아 사실상 최초의 계관 시인이 되었고, 고전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를 풍자하는 작품들을 남겨 영국 연극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오달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씨명 | 呉達済 (오달제) |
한글 | 오달제 |
한자 | 吳達濟 |
일본어 | ご たつさい |
카타카나 | オ・ダルチェ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609년 |
사망일 | 1637년 |
직업 | 문신 화가 |
가계 정보 | |
부 | 오윤해 |
모 | 해주 최씨 부인 |
형제자매 | 오달승 (형) 오달진 (형) |
배우자 (초배) | 의령 남씨 부인 (사별) |
배우자 (계배) | 평산 신씨 부인 |
자녀 | 1남 2녀 (막내아들: 오도현) |
친할아버지 | 오희문 |
양할아버지 | 오희인 |
초배 장인 | 남식 |
계배 장인 | 신득연 |
외할아버지 | 최형록 |
초배 처조카 | 남구만 |
관직 정보 | |
소속 정당 | 무소속 |
직책 | 홍문관 수찬 |
임금 | 인조 이종 |
임기 | 1635년 12월 초순 ~ 1636년 2월 말순 |
과거 급제 | 1634년 별시문과 장원 급제 |
주요 경력 | 사헌부 지평 사헌부 부교리 사헌부 교리 |
기타 정보 | |
자 | 계휘 |
호 | 추담 |
시호 | 충렬 |
본관 | 해주 |
거주지 | 조선 한성부 |
사망 장소 | 청나라 만저우 지역 랴오닝 성 선양 소재 펑톈청 시먼(奉天城 西門, 봉천성 서문)의 앞거리에서 총살됨. |
분야 | 유교 성리학 |
묘소 | 경기도 용인 처인 지역구 모현 소재 삼학사 해주 오공 추담 오달제 선생 가묘 |
서훈 | 대광보국숭록대부(증 영의정) |
관련 시설 | 경기도 광주 소재 남한산성 현절사 제향(삼학사 추념 사당) |
2. 생애
1627년(인조 5) 식년진사시에 합격하고, 1634년(인조 12)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1636년 부교리(副校理)가 되었다.
청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하고 척화론을 주장하였으며, 병자호란 발발 시 남한산성에 들어가 끝까지 항전할 것을 강조했다.
1637년 인조가 삼전도에서 청 태종에게 항복하자, 윤집, 홍익한과 함께 척화신(斥和臣)으로 지목되어 청나라 선양으로 압송되었다[3]. 청나라의 회유와 협박에도 굴하지 않고 절개를 지키다가, 결국 선양성 서문 밖에서 윤집, 홍익한과 함께 참수형으로 순절하였다[4]. 당시 향년 29세였다[2]. 후세 사람들은 이들을 삼학사(三學士)라 부르며 충절을 기리고 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경기도 광주(廣州)의 현절사(顯節祠) 등 여러 서원에 모셔졌다.
2. 1. 관직 생활과 척화(斥和) 활동
1627년(인조 5) 식년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하였고, 1634년(인조 12)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적(典籍), 병조좌랑, 시강원사서(侍講院司書), 정언(正言), 지평(持平), 수찬(修撰)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1636년에는 부교리(副校理)에 임명되었다.당시 청나라와의 관계를 두고 조정에서는 의견이 나뉘었는데, 최명길 등 주화파(主和派)가 청과의 화친을 위해 사신 교환을 주장하자, 오달제는 이를 강하게 반대하며 최명길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청나라와의 화의(和議)에 끝까지 반대하며 항전할 것을 주장하였다. 오달제는 청을 오랑캐로 여기고, 봉건제의 주군인 중국의 천자에게 충실한 제후로서, 또한 중화 제국의 가장 충실한 모범 종속국으로서, 명나라에 성심성의껏 충성할 것을 주장하며,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펼쳤다[3].
그러나 1637년 1월 30일, 인조는 한강 남쪽 삼전도에 설치된 수항단(受降壇)에서 청나라 태종 홍타이지에게 삼배구고두례를 행하며 신하로서의 예를 갖추는 굴욕적인 항복 의식을 치렀고, 삼전도의 맹약을 맺었다[3]. 이로 인해 화의를 반대한 오달제는 윤집, 홍익한과 함께 척화신(斥和臣)으로 지목되어 청나라 수도인 선양으로 압송되었다[3].
선양으로 끌려간 후, 청나라 장수 용골대는 오달제의 뜻을 꺾기 위해 처자를 데려와 청나라에서 살도록 회유하였으나, 오달제는 "죽음보다 두려운 것은 불의(不義)이며, 저들의 말을 따르는 것은 스스로 오랑캐가 되는 것"이라며 끝까지 항거하였다. 결국 그는 선양성 서문 밖에서 윤집, 홍익한과 함께 참수되었다[4]. 당시 그의 나이는 29세였다[2]. 후세 사람들은 이 세 사람을 삼학사(三學士)라 부르며 그들의 절개와 충성을 높이 기리고 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를 받았다. 경기도 광주(廣州)의 현절사(顯節祠)를 비롯하여 평택의 포의사우(褒義祠宇), 충청도 홍산(鴻山)의 창렬서원(彰烈書院), 경상도 영주의 장암서원(壯巖書院), 고령의 운천서원(雲川書院) 등 여러 서원에 모셔져 제향되었다.
2. 2. 병자호란과 최후
청나라와의 화친을 위해 주화파 최명길(崔鳴吉) 등의 주장으로 사신을 교환하게 되자, 최명길을 탄핵하는 소를 올렸다.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에 들어가 청나라와의 화의를 끝까지 반대하였다. 당시 오달제는 청을 오랑캐로 여기고, 명나라에 대한 충성을 다해야 한다는 주전론을 강하게 펼쳤다.[3] 이듬해 1637년 음력 1월 30일, 인조가 한강 남쪽 삼전도에 설치된 수항단(受降壇)에서 홍타이지에게 삼배구고두례를 행하며 신하로서의 예를 갖추는 굴욕적인 항복 의식을 거행하고, 정축하성을 맺게 되었다.[3]
인조가 청에 항복하자, 오달제는 화의를 반대한 척화신(斥和臣)으로 지목되어 윤집(尹集), 홍익한(洪翼漢)과 함께 청나라 선양으로 압송되었다.[3] 청의 장수 용골대(龍骨大)는 그의 뜻을 꺾기 위해 처자를 데려와 청나라에서 살라고 회유하였으나, 오달제는 "죽음보다 두려운 것은 불의(不義)"이며 "저들의 말을 따르는 것은 오랑캐가 되는 것"이라며 끝까지 항변하였다. 결국 심양성(瀋陽城) 서문 밖에서 윤집, 홍익한과 함께 참수형으로 순절하였다.[4] 이때 그의 나이는 29세였다.[2] 이후 사람들은 이들을 삼학사(三學士)라 부르며 그 절개와 충성을 높이 기리게 되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시호를 받았다. 경기도 광주(廣州)의 현절사(顯節祠), 평택의 포의사우(褒義祠宇), 충청도 홍산(鴻山)의 창렬서원(彰烈書院), 경상도 영주의 장암서원(壯巖書院), 고령의 운천서원(雲川書院) 등 여러 곳에 제향되었다.
3. 사후
오달제는 윤집, 홍익한과 함께 삼학사로 불리며 그 절개와 충성을 기리게 되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시호를 받았다. 경기도 광주의 현절사, 평택의 포의사우,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의 창렬서원, 경상북도 영주의 장암서원, 경상북도 고령의 운천서원 등 여러 서원에 제향되었다.
3. 1. 삼학사(三學士)
청나라와의 화친을 위해 주화파 최명길 등의 주장으로 사신을 교환하게 되자, 오달제는 최명길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에 들어가 청나라와의 화의를 끝까지 반대하였다. 1637년 음력 1월 30일, 인조가 한강 남안의 삼전도에 설치된 수항단에서 청나라 황제 홍타이지에게 삼배구고두례를 하며 항복하는 굴욕적인 삼전도의 맹약을 맺게 되자[3], 오달제는 화의를 반대한 척화신으로 지목되어 윤집, 홍익한과 함께 청나라로 압송되었다[3].
병자호란 당시 오달제는 청나라를 오랑캐로 여기고, 명나라에 대한 충성을 다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끝까지 주전론을 펼쳤다[3]. 그는 봉건제의 주군인 중국의 천자에게 충실한 제후로서, 또한 중화 제국의 가장 충실한 모범 종속국으로서 명나라에 성심성의껏 충성할 것을 주장했다[3].
청나라 장수 용골대는 그의 뜻을 꺾기 위해 처자를 데리고 청나라에 와서 살라고 회유하였으나, 오달제는 "죽음보다 두려운 것은 불의이며, 저들의 말을 따르는 것은 스스로 오랑캐가 되는 것"이라며 끝까지 항변하였다. 결국 심양성 서문 밖에서 윤집, 홍익한과 함께 참수형으로 순절하였다[4]. 이때 그의 나이는 향년 29세였다[2]. 이후 사람들은 이 세 충신을 삼학사라 부르며 그 절개와 충성을 높이 기리게 되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시호를 받았으며, 경기도 광주의 현절사, 평택의 포의사우,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의 창렬서원, 경상북도 영주의 장암서원, 경상북도 고령의 운천서원 등 여러 서원에 제향되었다.
4. 사상과 신념
병자호란 당시 오달제는 청을 오랑캐로 여겼다. 그는 조선이 봉건제의 주군인 중국의 천자에게 충실한 제후이며, 중화 제국의 가장 충실한 모범 종속국으로서 명나라에 성심성의껏 충성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끝까지 주전론을 펼쳤다.[3]
5. 가족 관계
- 양조부 : 오희인(吳希仁) - 아버지 오윤해의 양부
- 친조부 : 오희문(吳希文) - 아버지 오윤해의 친부
- 양조모 : 양사종(梁思終)의 딸
- * 아버지 : 오윤해(吳允諧)
- * 어머니 : 최형록(崔亨綠)의 딸
- ** 상배 전처 : 남식(南烒)의 딸
장녀 : 해주 오씨
차녀 : 해주 오씨
- ** 재혼 후처 : 신득연(申得淵)의 딸
아들 : 오도현(吳道玄)
참조
[1]
웹사이트
(89)해주오씨, 조선조 정승 2·문과급제자 98명 임신·병자난서 3대가순국청과 화해 거부한 오달제 충절 빚나
https://www.joongang[...]
1983-12-03
[2]
뉴스
呉達済筆 墨梅図
https://www.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3]
서적
李王朝六百年史
洋々社
1968-01-01
[4]
뉴스
朝鮮王朝の臨時の首都、南漢山城
http://world.kbs.co.[...]
KBSワールドラジオ
2016
[5]
문서
음력 6월 8일
[6]
문서
음력 4월 19일
[7]
문서
오희상, 《노주집》 권16, 증 영의정 추담 오 충렬 공 의이 장지명; 남일성, 〈유사(遺事)〉(《충렬공유고》의 부록에 실려 있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