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집은 병자호란 때 삼학사의 한 사람으로, 조선 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 정랑 등을 지냈다. 병자호란 당시 청과의 화의를 반대하다가 청에 잡혀가 고문을 받고 오달제, 홍익한과 함께 사형당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강화군에는 윤집 택지가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병자호란 사망자 - 오달제
    오달제는 조선 시대 문신이자 삼학사 중 한 명으로, 병자호란 때 주전론을 주장하다 청나라에 압송되어 참수되었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묵매화에도 능했다.
  • 병자호란 사망자 - 홍익한
    홍익한은 조선 인조 때 문신으로,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에 강경하게 저항하다가 순절했으며, 사후 삼학사로 불리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남원 윤씨 - 윤영찬
    윤영찬은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동아일보 기자, NHN 이사, 네이버 부사장을 거쳐 문재인 정부 국민소통수석을 역임하고 2020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카카오 뉴스 편집 외압 논란이 있었다.
  • 남원 윤씨 - 윤영철
    윤영철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고등고시에 합격하여 법정국장, 고등법원 부장판사, 지방법원장을 거쳐 대법관을 역임한 법조인으로, 헌법재판소장 퇴임 후에도 사회 공헌 활동에 참여했다.
  • 1606년 출생 - 샤쿠샤인
    샤쿠샤인은 17세기 중반 홋카이도 히다카 지방의 메나시쿨 집단 소을명으로, 마쓰마에 번의 착취에 저항하여 1669년 봉기를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그의 봉기는 아이누 민족 저항과 마쓰마에 번의 억압적 지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념되고 있다.
  • 1606년 출생 - 윤문거
    윤문거는 조선 시대 문신이자 학자로, 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나 효종 때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며 성리학에 비판적인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한 인물이다.
윤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윤집
집(集)
성백(成伯)
임계(林溪), 고산(高山)
시호충정(忠貞)
출생1606년 5월 16일
출생지조선 경기도 강화유수부
사망1637년 5월 13일 (향년 30세)
사망지청나라 만저우 지역 랴오닝 성 선양 소재 펑톈청 시먼(奉天城 西門, 봉천성 서문)의 앞거리
묘소경기도 광주 소재 남한산성면 삼학사 남원 윤공 성백 윤집 선생 가묘
본관남원(南原)
관직
직책조선의 이조정랑
임금인조 이종
재임 기간1635년 11월 초순 ~ 1636년 8월 말순
학력
학력1631년 별시문과 을과 급제
경력
주요 경력홍문관 설서
홍문관 교리
홍문관 지제교
사상
분야유교
성리학
가족 관계
배우자안동 김씨 부인 김을순
자녀3남 1녀
자녀 정보(맏딸 윤오일, 장남 윤이선, 차남 윤이징, 3남 윤이정)
부모윤형갑(부), 부친 계배 창원 황씨 부인(모)
친인척황치경(외조부), 김상복(장인), 윤홍(친장손), 윤섬(친조부), 윤우신(증조부)
형제자매윤계(이복형), 윤유(동복제)
기타
서훈대광보국숭록대부(증 영의정)
추모경기도 광주 소재 남한산성 현절사 제향(삼학사 추념 사당)

2. 이력

윤집은 병자호란삼학사 중 한 명으로,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2. 1. 병자호란과 최후

병자호란삼학사 중 한 명인 윤집은 인조 때인 1627년 생원이 되었고, 1631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 정랑 등을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교리로 있으면서 과의 굴욕적인 화의를 강력히 반대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인조가 청에 항복하자 청의 심양에 잡혀가 심한 고문을 받고, 오달제, 홍익한과 함께 사형당하였다. 이들을 삼학사라고 하였다.[4][1]

병자호란 당시, 윤집은 청을 오랑캐라고 여기고, 주군중화천자에 충실한 제후로서, 또한 중화 제국의 가장 충실한 모범 속국으로서 명나라에 성심껏 섬길 것을 주장하며, 끝까지 주전론을 주장했다. 1637년 1월 30일, 인조한강 남안의 삼전도에 있는 청군 본영으로 나가 설치된 수항단에서, 홍타이지가 천자임을 삼궤구고두례를 통해 인정하는 굴욕적인 행위를 신하들 앞에서 행하고 신종을 맹세하며, 굴욕적인 삼전도의 맹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이에 윤집은 척화신으로 체포되어 심양으로 연행되었다.[4]

심양 연행 후, 참형에 처해졌다.[5]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윤섬(尹暹, 1561 ~ 1592)
조모원주 원씨원경심(元景諶)의 딸
부친윤형갑(尹衡甲, 1585 ~ 1618)
전모창원 황씨(1566 ~ 1590)황치경(黃致敬)의 적녀
이복 형윤계(尹棨, 1583 ~ 1636)
친모창원 황씨(1578 ~ 1634)황치경(黃致敬)의 서녀
남동생윤유(尹柔, 1616 ~ 1644)
장인김상복(金尙宓, 1573 ~ 1652)
장모청해 이씨이인기(李麟奇)의 딸
부인김을순(金乙順, 1605 ~ ?)
윤오일(尹午一, 1627 ~ ?)
사위파평 윤씨 윤절(尹晢, 1625 ~ 1662)
외손녀윤순항(尹順恒, 1649 ~ ?)
외손자윤도교(尹道敎, 1651 ~ ?)
외손자윤덕교(尹德敎, 1654 ~ ?)
외손자윤지교(尹智敎, 1658 ~ 1716)
외손자윤인교(尹仁敎, 1662 ~ ?)
장남윤이선(尹以宣, 1629 ~ ?)
며느리창녕 조씨조이량(曺以樑)의 딸
손자윤렴(尹濂)
손자윤홍(尹泓, 1655 ~ 1731)윤이명(尹以明)의 양자로 출계[9]
손자윤복(尹澓)3남 윤이정(尹以靖)의 양자로 출계
손녀홍우석(洪禹錫)의 처
손녀전주 이씨 이세기(李世祺)의 처
차남윤이징(尹以徵, 1631 ~ ?)[10]
며느리전주 이씨이영석(李永錫)의 딸
손자윤수(尹洙)
손자윤준(尹浚)윤이건(尹以健)의 양자로 출계[11]
손녀청주 한씨 한재화(韓載華)의 처
손녀벽진 이씨 이정익(李廷益)의 처
손녀윤구령(尹龜齡)의 처
손녀이구령(李九齡)의 처
3남윤이정(尹以靖, 1635 ~ ?)
며느리파평 윤씨윤명득(尹命得)의 딸


4. 관련 문화재

윤집 택지강화군 향토유적 제1호이다.

5. 관련 작품

1981년 KBS 드라마 대명에서 장용이 윤집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眷眷明朝——朝鮮士人的中國論述與文化心態(1600-1800) 秀威出版 2015-11-01
[2] 뉴스 呉達済筆 墨梅図 https://www.museum.g[...] 국립중앙박물관
[3] 웹사이트 윤집(尹集) http://encykorea.aks[...] 2023-01-15
[4] 서적 李王朝六百年史 洋々社 1968-01-01
[5] 뉴스 朝鮮王朝の臨時の首都、南漢山城 http://world.kbs.co.[...] KBSワールドラジオ 2016
[6] 문서 음력 4월 10일
[7] 문서 음력 4월 19일
[8] 문서 송시열, 《송자대전》 권173, 교리 증 부제학 윤 공 묘갈명; 윤선거, 《노서유고》 권20, 통훈대부홍문관교리지제교증통정대부홍문관부제학윤공행장
[9] 문서 이복 형 윤계(尹棨)의 아들
[10] 문서 이명 윤이담(尹以聃)
[11] 문서 남동생 윤유(尹柔)의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