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주군 갑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63년 완주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류준상, 박양재, 이존화, 이정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주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완주군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완주군의회에서는 완주군 4개 선거구에서 지역구 의원 9명과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의원 2명이 선출되어,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고 민주평화당과 무소속이 각각 1석을 차지했다. - 완주군의 정치 - 김제시·완주군
김제시·완주군 선거구는 제17대 총선에서 김제시와 완주군이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나, 제20대 총선을 앞두고 김제시와 완주군이 각각 다른 지역과 통합되면서 폐지되었으며, 해당 선거구에서는 최규성 의원이 3선에 당선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완주군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완주군 갑 선거구 정보 |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북도 |
연도 | 1948 |
폐지 | 1963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완주군 |
의원 수 | 1인 |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완주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다음은 완주군 갑 선거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이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완주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완주군 단독 선거구를 구성하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의 류준상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류준상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6,683 | 21.04% |
손용배 | 대동청년단 | 4,749 | 14.95% |
이석신 | 한국민주당 | 4,523 | 14.24% |
강봉의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470 | 14.07% |
최병헌 | 무소속 | 4,419 | 13.91% |
백기욱 | 한국민주당 | 3,306 | 10.41% |
최광진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542 | 8.00% |
김은준 | 무소속 | 1,057 | 3.32% |
합계 | 31,749 | 100% |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양재 | 무소속 | 3,672 | 60.37% |
김규동 | 무소속 | 2,410 | 39.62% |
이덕엽 | 대한청년당 | 0 | 0% |
강봉의 | 대한국민당 | 0 | 0% |
김학영 | 무소속 | 0 | 0% |
김병민 | 무소속 | 0 | 0% |
김양묵 | 무소속 | 0 | 0% |
이강석 | 무소속 | 0 | 0% |
최성림 | 무소속 | 0 | 0% |
류후상 | 대한국민당 | 0 | 0% |
유채경 | 사회당1948 | 0 | 0% |
국낙근 | 무소속 | 0 | 0% |
이의준 | 무소속 | 0 | 0% |
김영묵 | 한국독립당 | 0 | 0% |
황두현 | 무소속 | 0 | 0% |
안병성 | 대한노동총연맹 | 0 | 0% |
김은준 | 무소속 | 0 | 0% |
윤효중 | 무소속 | 0 | 0% |
이덕수 | 대한국민당 | 0 | 0% |
윤건중 | 무소속 | 0 | 0% |
양해룡 | 무소속 | 0 | 0% |
이용구 | 무소속 | 0 | 0% |
정인섭 | 사회당1948 | 0 | 0% |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전라북도 완주군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박양재 후보가 당선되었다.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이존화 후보가 29.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존화 | 자유당 | 9,270 | 29.09 |
박정근 | 농민회 | 7,854 | 24.65 |
김규동 | 무소속 | 4,943 | 15.51 |
최병헌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888 | 12.20 |
국영호 | 무소속 | 3,301 | 10.36 |
송재규 | 무소속 | 1,692 | 5.31 |
이우영 | 무소속 | 912 | 2.86 |
이희준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0 | 0 |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이존화 후보가 49.78%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였다.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이정원 후보가 17.3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는 여러 후보들이 난립한 결과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이정원 | 민주당 | 5,630 | 17.37 | |
이존화 | 무소속 | 5,143 | 15.87 | |
안개세 | 무소속 | 3,871 | 11.94 | |
송주인 | 무소속 | 3,701 | 11.42 | |
소중영 | 무소속 | 3,433 | 10.59 | |
김규동 | 무소속 | 2,545 | 7.85 | |
김용환 | 무소속 | 2,355 | 7.26 | |
국영호 | 무소속 | 2,158 | 6.66 | |
차종인 | 무소속 | 1,336 | 4.12 | |
송재규 | 사회대중당 | 1,227 | 3.78 | |
배병천 | 무소속 | 998 | 3.08 | |
합계 | 32,397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