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완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제시·완주군은 김제시와 완주군을 지역구로 하여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제17대부터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최규성 의원이 당선되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개편으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제시의 정치 - 김제시장 선거
김제시장 선거는 1995년부터 2022년까지 김제시 시장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선거로, 무소속 당선 사례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후보가 당선되고 있다. - 김제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제시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제시의회는 5개 지역구에서 2~3명의 의원을 선출하고 비례대표 의원 2명을 더해 총 14명의 의원을 선출하여, 더불어민주당이 8석, 민주평화당이 6석을 차지했다. - 완주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완주군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완주군의회에서는 완주군 4개 선거구에서 지역구 의원 9명과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의원 2명이 선출되어,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고 민주평화당과 무소속이 각각 1석을 차지했다. - 완주군의 정치 - 완주군 갑
완주군 갑은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완주군 을과 통합될 때까지 류준상, 박양재, 이존화, 이정원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한 선거구였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김제시·완주군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김제시·완주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북도 |
연도 | 2004 |
폐지 | 2016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김제시 완주군·임실군 |
이후 선거구 | 김제시·부안군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가 개편되면서 김제시와 완주군이 하나의 선거구를 이루게 되어 김제시·완주군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전라북도의 선거구가 개편되면서 김제시·완주군 선거구가 폐지되었다. 김제시는 부안군과 함께 김제시·부안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었고, 완주군은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과 함께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가 개편되면서 김제시와 완주군이 하나의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신설되었다.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전라북도의 선거구가 개편되었다. 이에 김제시는 부안군과 함께 김제시·부안군 선거구를 이루고, 완주군은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과 함께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2. 선거구 폐지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가 개편되면서 김제시와 완주군이 하나의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신설되었다.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전라북도의 선거구가 개편되었다. 이에 김제시는 부안군과 함께 김제시·부안군 선거구를 이루고, 완주군은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과 함께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최규성 후보가 내리 3선을 하였다.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열린우리당 최규성 후보가 51.0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통합민주당 최규성 후보가 53.6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통합당 최규성 후보가 54.9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4. 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규성 | 열린우리당 | 46,874 | 51.01 |
이건식 | 무소속 | 17,642 | 19.19 |
오홍근 | 새천년민주당 | 9,747 | 10.60 |
하연호 | 민주노동당 | 8,248 | 8.97 |
국중호 | 무소속 | 6,858 | 7.46 |
김영후 | 무소속 | 911 | 0.99 |
김대식 | 무소속 | 569 | 0.61 |
김홍곤 | 무소속 | 544 | 0.59 |
곽태석 | 무소속 | 493 | 0.53 |
합계 | 91,886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김제시·완주군 선거구에서 열린우리당 최규성 후보가 51.0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