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홀은 권위의 상징으로,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 로마를 거쳐 기독교 문화권과 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다. 고대 이집트의 와스, 그리스의 스켑트론, 로마의 셉트룸 등 왕홀은 지배자의 권력과 위엄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물로 사용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장식과 의미를 지녔다. 특히 잉글랜드에서는 십자가와 비둘기로 장식된 두 개의 왕홀을 사용했으며, 프랑스에서는 백합 문장이나 축복하는 손으로 장식된 왕홀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장 - 주교 지팡이
주교 지팡이는 주교, 아빠스 또는 사도의 통치권을 상징하며, 서방 기독교에서는 목자의 지팡이 형태로 하느님의 양 떼의 목자 역할을, 동방 기독교에서는 서방 교회와 유사한 형태 또는 비잔티움 제국 황제의 홀과 비슷한 형태를 띠고, 주교 서품 시 수여되며 교회 문장학에서 목회적 권위를 나타낸다. - 표장 - 현장 (표장)
옷을 고정하고 사회적 지위나 신분을 나타내는 띠인 현장(표장)은 고대부터 실용적, 장식적 기능으로 사용되었고, 군대 계급 표시나 훈장, 현대에는 국가 권위 상징으로 활용된다. - 비잔틴 문화 - 수다
10세기 후반에 편찬된 비잔틴 백과사전인 수다는 문법 사전과 백과사전의 중간 형태로서 고대 및 비잔틴 역사와 생활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담고 있어 문헌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고전 작품 및 역사 자료를 활용하여 20세기에는 표준 인쇄본이 편집되었고 현대 영어 번역본이 2014년에 완성되었다. - 비잔틴 문화 - 티리언 퍼플
티리언 퍼플은 뿔소라에서 추출한 생물 색소로, 고대부터 권력과 부의 상징으로 귀하게 여겨진 직물 염료이며 현재는 유기 전자 공학 분야에서도 연구되고 있다. - 왕보 - 석장
석장은 승려들이 소지하는 지팡이로, 금속 고리가 달려 소리가 나며, 보호, 알림, 번뇌 제거, 지혜 획득의 상징으로 사용되고 의례 용품, 권위 상징, 무술 도구, 악기, 지장보살의 지물로도 활용된다. - 왕보 - 교황의 레갈리아와 휘장
교황의 레갈리아와 휘장은 교황의 권위를 상징하는 물품으로 어부의 반지, 교황관, 지팡이, 휘장 등을 포함하며, 시대와 교황의 취향에 따라 디자인과 사용 방식에 변화가 있었고, 소통과 겸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이루어졌다.
왕홀 | |
---|---|
왕권 상징 | |
![]() | |
![]() | |
개요 | |
정의 | 군주 또는 통치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장식 막대 |
용도 | 의례 행사 왕위 즉위식 대관식 |
역사 | |
기원 | 고대 문명, 권력과 신성함의 상징 |
초기 형태 | 단순한 막대기 또는 지팡이 |
발전 |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정교하고 화려하게 장식됨 |
상징적 의미 | 통치자의 권위 정의 지혜 신과의 연결 |
형태 및 재료 | |
일반적인 형태 | 짧거나 긴 막대 형태 종종 금속 (금, 은) 또는 상아로 제작 |
장식 | 보석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에나멜 상징적인 문양 (예: 왕가의 문장) |
추가 요소 | 꼭대기에 구슬, 십자가, 독수리 등의 장식 추가 |
문화적 의미 | |
왕권의 상징 | 군주의 합법성과 권위를 나타냄 왕위 계승 시 중요한 역할 수행 |
종교적 의미 | 일부 문화권에서 신성한 힘을 상징 종교 의식에서 사용 |
예술 및 문학 | 권력과 위엄을 묘사하는 데 사용 다양한 이야기와 전설에 등장 |
현대적 사용 | |
상징적 행사 | 대관식, 즉위식 등에서 여전히 사용 왕실 행사에서 군주의 권위를 상징 |
박물관 및 역사적 전시 | 과거 군주들의 홀이 전시됨 |
기타 | |
관련 용어 | 지팡이 왕관 보주 |
2. 역사
긴 지팡이의 형태로 나타나서 왕홀로 묘사한 고대 이집트의 와스와 그밖의 지팡이는 권위의 상징물로 여겼다. 지팡이는 옛날부터 권위의 상징이었다. 페르시아 왕의 왕홀에 관해서는 구약성경의 에스더기에도 기술이 있다. 고대 그리스의 홀()은 긴 지팡이로, 아가멤논이 휘두른 지팡이[13], 장로들이 사용한 지팡이[14] 등이 있다. 그 후, 재판관, 군사령관, 신관 등이 권위의 상징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고대 그리스 도기의 그림에 금속 장식을 끝에 단 긴 지팡이가 그려져 있다. 제우스나 하데스가 가진 왕홀에는 새 장식이 끝에 붙어 있다. 올림포스의 아버지인 제우스의 상징으로, 케뤼케스(kerykes), 즉 전령관이 현대의 외교 면책 특권과도 같은 불가침성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데에도 그것이 사용되었다. 『일리아스』 속에서 아가멤논은 오디세우스를 아카이아인의 지도자에게 보낼 때 왕홀을 빌려준다.
에트루리아에서는 웅장한 왕홀을 왕이나 상급 신관이 사용했다. 그 모습은 에트루리아의 분묘 벽화 등에 그려져 있다. 에트루리아의 정교하게 장식된 금으로 된 왕홀이 대영 박물관, 바티칸 미술관, 루브르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고대 로마의 왕홀은 에트루리아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로마 공화정에서는 상아제 왕홀 (''sceptrum eburneum'')이 집정관의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전쟁에서 승리하여 임페라토르의 칭호를 얻은 군사령관도 이것을 사용했고, 레가투스의 권위의 상징으로서의 원수 지팡이가 여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로마 제국 시대가 되자 황제는 ''sceptrum Augusti''라고 불리는 왕홀을 소지했다. 이 황제의 왕홀은 상아제로, 끝에 금으로 만들어진 독수리 상이 붙은 것이 많다. 제국 후기의 메달에는 한 손에는 ''sceptrum Augusti''를 들고, 다른 한 손에는 빅토리아의 소상이 붙은 보주를 든 황제를 그린 것이 자주 보인다.
상형 문자 "윤"은 왕홀('''권장'''/權杖)의 뜻이며, 명령을 하기 위한 입을 더한 글자가, 동아시아의 한자 문화권의 왕조에서 볼 수 있던 군주의 칭호 "군"이다.
기독교 전래 이후, 유럽에서는 왕홀 끝에 독수리 대신 십자가를 놓는 경우가 많아졌고, 중세 시대에는 왕홀 끝 장식이 다양했다.
잉글랜드에서는 매우 이른 시기부터 두 개의 왕홀을 동시에 사용했는데, 리처드 1세 시대부터는 각각 십자가와 비둘기로 장식하여 구분했다. 프랑스에서는 왕실 홀이 ''백합 문장''으로 장식되었고, ''main de justice''이라 불리는 다른 홀은 꼭대기에 축복하는 손이 있었다.
2. 1. 고대
긴 지팡이의 형태로 나타나서 왕홀로 묘사한 고대 이집트의 와스와 그밖의 지팡이는 권위의 상징물로 여겼다. 지팡이는 옛날부터 권위의 상징이었다. 페르시아 왕의 왕홀에 관해서는 구약성경의 에스더기에도 기술이 있다. 고대 그리스의 홀()은 긴 지팡이로, 아가멤논이 휘두른 지팡이[13], 장로들이 사용한 지팡이[14] 등이 있다. 그 후, 재판관, 군사령관, 신관 등이 권위의 상징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고대 그리스 도기의 그림에 금속 장식을 끝에 단 긴 지팡이가 그려져 있다. 제우스나 하데스가 가진 왕홀에는 새 장식이 끝에 붙어 있다. 올림포스의 아버지인 제우스의 상징으로, 케뤼케스(kerykes), 즉 전령관이 현대의 외교 면책 특권과도 같은 불가침성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데에도 그것이 사용되었다. 『일리아스』 속에서 아가멤논은 오디세우스를 아카이아인의 지도자에게 보낼 때 왕홀을 빌려준다.에트루리아에서는 웅장한 왕홀을 왕이나 상급 신관이 사용했다. 그 모습은 에트루리아의 분묘 벽화 등에 그려져 있다. 에트루리아의 정교하게 장식된 금으로 된 왕홀이 대영 박물관, 바티칸 미술관, 루브르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고대 로마의 왕홀은 에트루리아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로마 공화정에서는 상아제 왕홀 (''sceptrum eburneum'')이 집정관의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전쟁에서 승리하여 임페라토르의 칭호를 얻은 군사령관도 이것을 사용했고, 레가투스의 권위의 상징으로서의 원수 지팡이가 여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로마 제국 시대가 되자 황제는 ''sceptrum Augusti''라고 불리는 왕홀을 소지했다. 이 황제의 왕홀은 상아제로, 끝에 금으로 만들어진 독수리 상이 붙은 것이 많다. 제국 후기의 메달에는 한 손에는 ''sceptrum Augusti''를 들고, 다른 한 손에는 빅토리아의 소상이 붙은 보주를 든 황제를 그린 것이 자주 보인다.
상형 문자 "윤"은 왕홀('''권장'''/權杖)의 뜻이며, 명령을 하기 위한 입을 더한 글자가, 동아시아의 한자 문화권의 왕조에서 볼 수 있던 군주의 칭호 "군"이다.
2. 1. 1.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고대 이집트에서 ''와스''와 다른 종류의 지팡이는 권위의 상징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지팡이가 전체 길이의 지팡이임에도 불구하고 종종 "홀"로 묘사된다. 가장 초기의 왕실 홀 중 하나는 아비도스의 제2왕조 시대 카세켐위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왕들도 지팡이를 들고 다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파라오 아네지브는 소위 ''mks''-지팡이를 들고 있는 모습이 석조 용기에 묘사되어 있다.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지팡이는 ''헤카''-홀( "양치기의 지팡이")로 보인다.
홀은 또한 메소포타미아 세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대부분의 경우 군주와 신의 왕실 휘장의 일부였다. 이는 문학 및 행정 텍스트와 도상학에서 나타나듯이 메소포타미아의 역사 전반에 걸쳐 지속되었다. 메소포타미아의 홀은 수메르어로 주로 ''ĝidru''라고 불렸고, 아카드어로는 ''ḫaṭṭum''이라고 불렸다.[1]
2. 1. 2. 고대 그리스와 로마
지팡이는 옛날부터 권위의 상징이었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그리스인에게 왕홀()은 긴 지팡이로, 아가멤논이 휘두른 지팡이[13], 장로들이 사용한 지팡이[14] 등이 있다. 그 후, 재판관, 군사령관, 신관 등이 권위의 상징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고대 그리스 도기의 그림에 금속 장식을 끝에 단 긴 지팡이가 그려져 있다. 제우스나 하데스가 가진 왕홀에는 새 장식이 끝에 붙어 있다. 올림포스의 아버지인 제우스의 상징으로, 케뤼케스(kerykes), 즉 전령관이 현대의 외교 면책 특권과도 같은 불가침성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데에도 그것이 사용되었다. 『일리아스』 속에서 아가멤논은 오디세우스를 아카이아인의 지도자에게 보낼 때 왕홀을 빌려준다.에트루리아에서는 웅장한 왕홀을 왕이나 상급 신관이 사용했다. 그 모습은 에트루리아의 분묘 벽화 등에 그려져 있다. 에트루리아의 정교하게 장식된 금으로 된 왕홀이 대영 박물관, 바티칸 미술관, 루브르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고대 로마의 왕홀은 에트루리아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로마 공화정에서는 상아제 왕홀 (''sceptrum eburneum'')이 집정관의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전쟁에서 승리하여 임페라토르의 칭호를 얻은 군사령관도 이것을 사용했고, 레가투스의 권위의 상징으로서의 원수 지팡이가 여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로마 제국 시대가 되자 황제는 ''sceptrum Augusti''라고 불리는 왕홀을 소지했다. 이 황제의 왕홀은 상아제로, 끝에 금으로 만들어진 독수리 상이 붙은 것이 많다. 제국 후기의 메달에는 한 손에는 ''sceptrum Augusti''를 들고, 다른 한 손에는 빅토리아의 소상이 붙은 보주를 든 황제를 그린 것이 자주 보인다.
2. 1. 3. 인도

정의와 잔혹함의 징표에 대한 코드는 기원후 5세기 이전에 작성된 고대 타밀어 작품인 ''티루쿠랄''에서 발견된다. 제55장(''셍골'')과 제56장(''콘둥골'')에서 이 텍스트는 각각 정의로운 홀과 잔혹한 홀을 다루며, 앞선 여러 장과 뒤따르는 장에서 논의된 통치자의 윤리적 행동에 대한 생각을 심화한다.[3][4] 이 고대 논문은 왕의 창이 아니라 타밀어로 "셍골"로 알려진 정의로운 홀[5]이 그를 백성과 묶어주었으며, 백성을 보호하는 정도에 따라 그의 선정이 그를 보호한다고 말한다.[6] 촐라 왕조와 같은 고대 인도 왕국과 왕조에서는 대관식 중에 상징적인 홀을 사용하는 관행이 있었다.[7]
그러한 홀 중 하나가 1947년 8월 14일, 고대 힌두교 왕들이 따르던 권력 이양을 상징하며 티루바두두라이 아디남에 의해 자와할랄 네루에게 수여되었다.[8] 당시 인도 정부는 이를 알라하바드 박물관에 'Pt 자와할 랄 네루에게 선물한 황금 지팡이'로 잘못 표시하여 전시했다.[9][10] 2023년, 인도 정부는 이 황금 홀인 셍골을 새로 개관한 인도 의회에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1947년 첫 번째 인도 총리에게 홀을 수여한 것은 '영국에서 인도에 권력을 이양하는 상징'으로 주장되었지만,[11] 몇몇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이 사건을 공식 행사로 묘사하는 출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2]
2. 1. 4. 중국
상형 문자 "윤"은 왕홀('''권장'''/權杖)의 뜻이며, 명령을 하기 위한 입을 더한 글자가, 동아시아의 한자 문화권의 왕조에서 볼 수 있던 군주의 칭호 "군"이다.2. 2. 중세 이후
기독교 전래 이후, 유럽에서는 왕홀 끝에 독수리 대신 십자가를 놓는 경우가 많아졌고, 중세 시대에는 왕홀 끝 장식이 다양했다.잉글랜드에서는 매우 이른 시기부터 두 개의 왕홀을 동시에 사용했는데, 리처드 1세 시대부터는 각각 십자가와 비둘기로 장식하여 구분했다. 프랑스에서는 왕실 홀이 ''백합 문장''으로 장식되었고, ''main de justice''이라 불리는 다른 홀은 꼭대기에 축복하는 손이 있었다.
2. 2. 1. 잉글랜드
기독교가 유럽에 전래되면서, 왕홀 끝에는 독수리 대신 십자가가 놓이게 되었고, 중세 시대에는 왕홀 끝 장식이 다양해졌다.잉글랜드에서는 일찍부터 두 개의 왕홀을 사용했는데, 리처드 1세 시대부터는 십자가를 끝에 단 왕홀과 비둘기 상을 끝에 단 왕홀로 구분되었다. 프랑스의 왕홀로는, 백합 문장을 단 것과 'main de justice'라고 불리는 축복의 손을 단 것이 있었다.
에드워드 3세의 국새에는 왕이 옥좌에 앉아 작은 성당이 달린 왕홀을 든 모습이 묘사되어 있지만, 이는 특이한 형태였다. 스코틀랜드의 왕홀 중 하나는 에든버러에 보존되어 있는데, 꼭대기에 작은 성당이 있고 그 안에 성모 마리아, 성 안드레아, 성 야고보의 작은 조각상이 있다. 이 홀은 1536년경 제임스 5세를 위해 프랑스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새에는 보통 군주가 옥좌에 앉아 오른손에는 왕홀(종종 두 번째로 위엄 있는 것)을 들고 왼손에는 보주와 십자가를 들고 있는 모습이 묘사된다. 헤럴드 2세는 바이에-생드니 태피스트리에 그러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9세기 초기의 가장 오래된 잉글랜드 대관식 형태에는 왕홀(''sceptrum'')과 지팡이(''baculum'')가 언급되어 있다. 이른바 애설레드 2세의 대관식 형태에는 왕홀(''sceptrum'')과 막대(''virga'')가 나타나며, 12세기의 대관식 서에도 나타난다. 리처드 1세의 대관식에 대한 동시대 기록에서 금으로 된 왕실 홀에 금 십자가(''sceptrum'')와 꼭대기에 금 비둘기가 있는 금 막대(''virga'')가 처음으로 역사적 기록에 등장한다. 1450년경,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수도사인 스폴리는 그곳에 있는 유물의 목록을 작성했는데, 여기에는 성 참회왕 에드워드의 대관식에 사용되었고 그의 후계자들의 대관식을 위해 남겨진 물건들이 포함되었다. 금 홀, 나무 막대, 쇠 막대가 언급되었다. 이들은 잉글랜드 연방까지 살아남았으며, 1649년에 작성된 왕관 보석의 세부 목록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으며, 당시 모든 것이 파괴되었다.
찰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해 십자가와 비둘기가 있는 새로운 홀이 만들어졌으며, 약간 변경되었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여왕 배우자를 위한 두 개의 홀, 하나는 십자가, 다른 하나는 비둘기로 장식되어 이후에 추가되었다.
2. 2. 2. 프랑스
기독교가 등장하면서 홀의 꼭대기에는 독수리 대신 십자가가 자주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중세 시대에는 홀 꼭대기의 장식이 상당히 다양했다.잉글랜드에서는 아주 초창기부터 두 개의 홀이 동시에 사용되었으며, 리처드 1세 시대부터는 각각 십자가와 비둘기로 장식되어 구별되었다. 프랑스에서 왕실 홀은 ''백합 문장''으로 장식되었으며, ''main de justice''라고 불리는 다른 홀은 꼭대기에 축복하는 손이 있었다.
꼭대기에 작은 신사가 있는 홀은 왕실 인장에 종종 묘사되었는데, 에드워드 3세의 국새에서 왕이 옥좌에 앉아 그러한 홀을 들고 있는 모습이 나타났지만, 이는 특이한 형태였다. 스코틀랜드의 홀 중 하나는 에든버러에 보존되어 있는데, 꼭대기에 성모 마리아, 성 안드레아, 성 야고보의 작은 이미지가 있는 신사가 있다. 이 홀은 1536년경 제임스 5세를 위해 프랑스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인장은 보통 군주가 옥좌에 앉아 오른손에는 홀(종종 두 번째로 위엄 있는 것)을 들고 왼손에는 보주와 십자가를 들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다. 헤럴드 2세도 바이에-생드니 태피스트리에서 그러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3. 한국 문화 속 홀
3. 1.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3. 2. 고려시대
3. 3. 조선시대
3. 4. 현대
참조
[1]
간행물
The Scepter (ĝidru) in Early Mesopotamian Written Sources
https://www.academia[...]
2017
[2]
성경
[3]
웹사이트
Tirukkuṛaḷ verses 541–560
http://ebooks.gutenb[...]
[4]
서적
The Sacred Kurral of Tiruvalluva Nayanar
http://www.projectma[...]
Asian Educational Services
1886
[5]
웹사이트
What is Sengol, symbol of Chola legacy set to stand tall in India's new parliament?
https://www.wionews.[...]
2023-05-24
[6]
서적
Tiruvalluvar: The Kural
Penguin Books
1990
[7]
웹사이트
What is Sengol, symbol of Chola legacy set to stand tall in India's new parliament?
https://www.wionews.[...]
2023-05-24
[8]
뉴스
INDIA: Oh Lovely Dawn
https://content.time[...]
2023-05-28
[9]
웹사이트
Sengol belittled
https://thecommunema[...]
[10]
웹사이트
Hindu-Museum failed to label correctly
https://www.thehindu[...]
[11]
웹사이트
Sengol a transfer of power
https://www.indiatod[...]
[12]
웹사이트
Congress says ‘Sengol’ not power transfer symbol, BJP alleges insult to culture
https://www.hindusta[...]
Hindustan Times
2023-05-27
[13]
문서
イーリアス
[14]
문서
イーリア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