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국가철도공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국가철도공단은 철도 시설 건설 및 관리,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공공기관이다. 1963년 철도청으로 시작하여, 1992년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을 거쳐 2004년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출범했다. 202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철도 건설 사업 감독, 철도역 개발을 포함한 철도 인프라 관리, 해외 사업 등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해체된 기업 - 한화토탈에너지스
    한화토탈에너지스는 1988년 삼성종합화학으로 설립되어 대산석유화학단지를 준공하며 성장한 대한민국의 석유화학 기업으로, 프랑스 토탈과의 합작 및 한화 그룹 편입을 거쳐 202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고 대산 석유화학 단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 2004년 해체된 기업 - 우리카드
    우리카드는 1994년 평화은행 비자카드 업무에서 시작해 2013년 우리은행에서 분사한 우리금융그룹 계열 신용카드 회사로, 자체 카드와 함께 비자, 마스터, 국내전용 카드 등을 발급하며 2021년부터 자체 결제망 구축 및 가맹점 모집을 통해 독자적인 카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광역철도
    광역철도는 둘 이상의 시·도에 걸쳐 운행하며 대도시권의 교통수요를 처리하기 위해 지정된 철도로, 대한민국에서는 특별법에 따라 지정 및 관리되며 주요 대도시권에서 운영되고 국가와 지자체가 건설 비용을 분담하고 노선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는 1999년부터 한국 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었으며, 주요 역과 철도 관련 시설에 비치되어 철도 팬과 여행객에게 의미를 지니지만, 일부 스탬프는 비치 장소 변경 또는 날인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확인이 필요하다.
  • 2020년 설립된 기업 -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성장에 따라 LG화학에서 분사되어 2022년 상장한 배터리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배터리를 공급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지만, 일부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리콜 사태를 겪기도 했다.
  • 2020년 설립된 기업 - 휠라
    1911년 이탈리아에서 휠라 형제가 설립한 스포츠웨어 브랜드 휠라는 속옷 생산으로 시작해 테니스 선수 후원을 통해 스포츠웨어 시장에 진출, 2007년 휠라 코리아가 글로벌 브랜드 경영을 시작하여 현재 대한민국 서울에 본사를 두고 스포츠 팀 및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 [회사]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한국철도공단 본부 (오른쪽)
기본 정보
이름한국철도공단
영문 이름Korea National Railway
한글 이름국가철도공단
한자 이름國家鐵道公團
로마자 표기Gukga Cheoldo Gongdan
설립일1963년 9월 1일 (한국철도청으로 설립)
재설립일1992년 3월 9일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으로 변경)
개편일2004년 1월 1일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변경)
최종 변경일2020년 9월 10일 (국가철도공단으로 변경)
위치대전광역시 동구 소제동
산업철도 수송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약칭KR
조직 정보
유형정부 소유 기업
본부 위치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42
직원 수1,347명 (2012년 기준)
관련 조직한국철도공사
기관장 직책이사장
기관장 성명이성해
재정 정보 (2022년 연결 기준)
매출액1조 6,658억원
영업이익6,743억원
당기순이익1,167억원
자산 총액19조 157억원
부채 총액20조 4,252억원
주주대한민국 정부
상급 기관국토교통부
역사 및 전신
전신철도청 (1963년 9월 1일 ~ 1992년 3월 8일)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1992년 3월 9일 ~ 2003년 12월 31일)
한국철도시설공단 (2004년 1월 1일 ~ 2020년 9월 9일)

2. 설립 근거


  • 국가철도공단법[12]

3. 주요 업무

# 철도 시설의 건설 및 관리

#* 국가철도공단은 대한민국의 대부분 철도 시설을 건설하고 관리한다.

# 외국 철도 건설(설계, 시공, 감리 및 사업 관리 등)과 남북 연결 사업

# 철도 시설에 관한 기술의 개발 · 관리 및 지원

#* 국가철도공단은 철도 시설의 기술 개발, 관리 및 지원을 하고 있다. HSR-350xTTX와 같은 일반적인 철도 기술 연구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 철도 시설의 건설에 따른 철도의 역세권 및 철도연변 개발 · 운영

# 건널목 입체화 등 철도 횡단 시설 사업

# 철도의 안전 관리 및 재해 대책의 집행

# 정부 · 지방자치단체 · 공기업 · 준정부기관 · 기타 공공기관 또는 타인이 위탁한 사업

# 제1호 내지 제7호의 사업에 부대되는 사업

# 제1호 내지 제8호의 사업을 위한 부동산의 취득 및 관리

4. 연혁

1963년 9월 1일 설립된 철도청을 모태로 한다. 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1992년 3월 10일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이 별도로 설립되었으며,[15] 2003년 7월 29일 철도산업발전기본법 및 한국철도시설공단법이 제정·공포되었다.[16] 이후 철도 구조 개혁의 일환으로 2004년 1월 1일, 철도청의 건설·시설 부문과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이 통합되어 '''한국철도시설공단'''으로 공식 출범하였다.[17] 2020년 9월 10일에는 현재의 명칭인 '''국가철도공단'''으로 변경하였다.[18] 공단 출범 이전 및 이후의 상세한 연혁과 주요 사업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한국철도시설공단 출범 이전

1963년 9월 1일, 철도 운영과 관리를 총괄하는 철도청이 설립되었다. 이후 고속철도 건설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1992년 3월 10일, 고속철도 건설을 전담할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이 별도로 설립되었다.[15] 1994년 6월 14일에는 한국형 고속철도 차량으로 프랑스의 TGV가 선정되어 고속철도 사업이 본격화되었다. 1999년 9월 18일에는 한국철도 100주년을 기념하는 '철도의 날'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2000년대 초, 정부는 철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건설 부문을 분리하기 위해 철도 구조 개혁을 추진했다. 이는 기존 철도청의 방대한 조직을 분리하여 운영과 건설 및 시설 관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개방 접근을 통해 철도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취지였다. 이러한 배경 아래 2003년 7월 29일 철도산업발전기본법과 한국철도시설공단법이 제정·공포되었고,[16] 이는 철도청의 건설·시설 부문과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을 통합하여 새로운 공단을 설립할 법적 기반이 되었다.

4. 2. 한국철도시설공단 출범 이후

2004년 1월 1일, 철도청의 건설·시설 부문과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이 통합되어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공식 출범하였다.[17] 이는 2003년 7월 29일 제정 공포된 철도산업발전기본법 및 한국철도시설공단법에 따른 것으로,[16] 2000년대 초 정부의 철도 운영과 건설 기능 분리 방침에 따른 조치였다. 이로써 열차 운영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철도 인프라의 건설 및 관리는 한국철도시설공단(2020년 9월 국가철도공단으로 명칭 변경)이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 철도 시스템 전반에 걸쳐 개방형 접근을 허용하는 것으로 홍보되었으며, 한국철도공사는 기존 운영자로서 기능하였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철도역 개발을 포함한 국내 모든 철도 인프라 관리와 건설 프로젝트 감독을 주요 업무로 수행하며,[2][3][4] 한국철도공사와 같은 열차 운영업체와 긴밀히 협력한다.[1]

한국철도시설공단 출범 이후 주요 철도 건설 및 개통 사업은 다음과 같다.

2010년대 들어 철도 개혁과 민간 철도 회사의 참여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2012년 당시 국토해양부는 서울-부산 및 서울-목포 노선 고속열차 운영 사업자 입찰을 공고했는데, 이는 국영 기업인 한국철도공사독점 구조를 깨고 KTX와의 경쟁을 통해 서비스 품질 향상과 요금 인하를 유도하려는 목적이었다.[5] 2014년 설립된 SR이 운영권을 획득했으며, 2016년 12월 9일 새로 건설된 수서평택고속선을 이용한 수서-부산 간 SRT(Super Rapid Train) 서비스를 시작했다.[7][8] SR은 한국철도공사가 지분 41%를 보유하고 있으나, 교직원연금과 민간 은행이 나머지 지분을 소유하여 정부 및 코레일로부터 독립적인 운영을 표방했다.[6] 다만, SR은 개방형 접근 운영자로서 코레일의 KTX보다 높은 선로 사용료(매출액의 50%)를 한국철도시설공단에 납부하고 있으며(KTX는 34%),[1] 이는 공정 경쟁 환경에 대한 논란을 낳기도 했다. SR 측은 자사의 출현이 경쟁을 촉진하여 요금 인하와 서비스 개선에 기여했으며, 고속철도 건설 부채 상환에도 도움을 주었다고 주장한다.[9][10]

2020년 9월 10일,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국가철도공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8]

5. 조직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 본사는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42에 위치한다. 2024년 기준으로 7본부, 1원, 6지역본부(지역 사업단PM 총 3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인원은 2,210명이다.

5. 1. 이사장


  • 비서실
  • 고객홍보실

5. 1. 1. 안전본부


  • 안전품질기동점검TF
  • 안전계획처
  • 품질관리처

5. 1. 2. 철도혁신연구원


  • 철도산업정보센터
  • 실용화연구처
  • 디지털융합처
  • 디지털관리처

5. 1. 3. 부이사장


  • 부속실
  • GLOBAL본부
  • UAE TF

5. 1. 4. 기획본부


  • 기획처
  • 경영성과처
  • 재무예산처
  • 사업개발처

5. 1. 5. 건설본부


  • 건설계획처
  • 심사기준처
  • GTX지원단
  • 사업기획처
  • 고속일반처
  • 철도 지하화추진단

5. 1. 6. 시설본부


  • 시설계획처
  • 시설개량처
  • 철도안전협력처
  • 수송계획처
  • 시설장비사무소

5. 1. 7. SE본부


  • SE융합
  • 궤도토목처
  • 건축처
  • 전철처
  • 신호처
  • 정보통신처
  • 기지차량처

5. 1. 8. 경영본부

주요 부서 및 조직
인사제도개선TF
경영노무처
인재개발처
계약처
재산운영처


5. 2. 지역 본부

wikitext

본부 명칭주소
수도권본부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동자동 43-229) 3~5층
GTX본부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05, 2층
영남본부부산광역시 중구 충장대로 9번길 46 관정빌딩
호남본부광주광역시 남구 효천1로 32
충청본부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42 (9~11층)
강원본부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북원로 2650 (태장동 1402)


6. 해외 사업

국가철도공단은 국내 철도 건설 및 관리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아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철도 관련 사업의 컨설팅, 설계, 감리 용역 등을 수주하며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에도 진출하여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6. 1. 아시아

2024년, 인도 뭄바이권개발공단(MMRDA)에서 발주한 '뭄바이 메트로 6호선(스와미 사마스 나가르역~비크롤리역) 차량기지(칸주르마그) 및 부대공사의 일반 컨설턴트 용역'(금액 약 38억)을 수주하였다.[13]

2024년, 국가철도공단·한국철도공사(코레일)·도화엔지니어링·수성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몽골 울란바토르 지하철 1호선(17.7km) 건설사업의 관리·감리(PMC) 용역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사업 기간은 2024년 6월부터 2030년 8월까지이며, 용역비는 580억이다.[14]

6. 2. 기타 국가

7. 역대 이사장

국가철도공단의 전신인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과 한국철도시설공단 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이사장 명단은 다음과 같다.

7. 1.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이사장

이름재임 기간
김종구1992년 ~ 1993년
박유광1993년 ~ 1996년
김한종1996년 ~ 1997년
유상렬1997년 ~ 2000년
채영석2000년 ~ 2003년
정종환2003년


7. 2.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이름임기비고
정종환2004년 ~ 2007년노무현 정부에서 임명되었으며, 이후 국토해양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성권2007년 ~ 2008년이명박 정부에서 임명되었다.
조현룡2008년 ~ 2011년이명박 정부에서 임명되었으며, 이후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을 지냈다.
故 김광재2011년 ~ 2014년이명박 정부에서 임명되었다.
강영일2014년 ~ 2017년박근혜 정부에서 임명되었다.
김상균2018년 ~ 2020년 9월 10일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되었다.


7. 3. 국가철도공단 이사장

이름임기비고
김상균2020년 9월 10일 ~ 2021년 2월 15일문재인 정부 임명
김한영2021년 2월 16일 ~ 2024년 2월 18일문재인 정부 임명
이성해2024년 2월 19일 ~ 현재윤석열 정부 임명


참조

[1] 웹사이트 SK Telecom applies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to railway network https://www.zdnet.co[...] 2020-01-30
[2] 웹사이트 Railways in Korea with Korea National Railway https://www.wbgkggtf[...] 2023-10-01
[3] 서적 Trade Law and Regulation in Korea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11-01-01
[4] 서적 50 Praxes for Better Transport in Korea https://books.google[...] 길잡이미디어 2014-12-18
[5] 뉴스 Gov't, Korail clash over KTX privatization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2-01-12
[6] 웹사이트 Shareholders https://www.srail.or[...] SR Co., Ltd 2021-08-21
[7] 웹사이트 Korea opens Suseo high-speed line https://www.railjour[...] 2016-12-09
[8] 웹사이트 수서고속철 내달 9일 개통…117년만에 철도경쟁시대 열린다 https://www.yna.co.k[...] 2016-11-20
[9] 웹사이트 Supreme Rail merger with Korail postponed https://www.railjour[...] 2022-12-23
[10] 뉴스 KTX and SR merger faces rough prospects https://www.koreaher[...] The Korea Herald 2017-07-14
[11] 웹사이트 한국철도시설공단의 개요 http://www.kr.or.kr/[...] 한국철도시설공단 2015-11-22
[12] 법률 국가철도공단 설립 목적에 관한 법률 조항
[13] 뉴스 철도공단, '뭄바이 차량기지 컨설턴트' 용역 38억에 수주 https://www.newsis.c[...] 뉴시스 2024-03-21
[14] 뉴스 몽골 뚫은 'K-철도'…"580억" 몽골 지하철 용역 우선 협상 https://www.newsis.c[...] 뉴시스 2024-06-12
[15] 뉴스 한국형 고속철도 개발 https://news.kbs.co.[...] 1992-03-10
[16] 법률 한국철도시설공단법 제정
[17] 뉴스 한국철도시설공단 출범 https://n.news.naver[...] 2004-01-07
[18] 뉴스 한국철도시설공단, '국가철도공단'으로 새 출발 https://www.ytn.co.k[...] 2020-09-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