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응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응희는 일제강점기 함경북도에서 태어난 북한의 군인이다. 프룬제 아카데미아 출신 장교 쿠데타 모의 사건을 색출하고 김일성, 김정일을 보좌했으며, 특히 김정일의 선군정치를 실무 지휘했다. 조선인민군 소장, 중장, 대장을 거쳐 군사보안사령관을 역임했으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지냈다. 1996년 제6군단 사건 진압 이후 김정일로부터 소외되었으며, 2004년 간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량강도 출신 - 김영철 (1946년)
김영철은 1946년생으로 조선인민군에서 복무하며 군사정전위원회 연락장교, 정찰총국장을 역임하고, 남북 회담 북측 대표로 활동했으며,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석하고, 2023년 통일전선부 고문으로 위촉되었다. - 량강도 출신 - 백남순 (192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백남순은 김일성종합대학 졸업 후 조선로동당에서 활동하며 대남 협상 전문가이자 외무상으로 남북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 - 조선인민군 장군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인민군 장군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조선인민군 대장 - 오극렬
오극렬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북한 핵심 요직을 역임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군사 및 정치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불법 활동 의혹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조선인민군 대장 - 우동측
우동측은 김일성종합대학 졸업 후 요직을 두루 거치며 김정은 체제 안착을 위한 숙청을 주도했으며, 뇌졸중 또는 숙청설 이후에도 열병식에 참가하여 건재함을 과시했다.
원응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원응희 |
로마자 표기 | Won Eung-hui |
출생 | 1939년 |
사망 | 2004년 5월 15일 |
출생지 | 한국, 일본 제국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정치 |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군사 | |
소속 군대 | 조선인민군 |
복무 기간 | 알 수 없음 |
계급 | 대장 |
주요 보직 | |
직책 | 보위사령관 |
2. 생애
1939년 일제강점기 말 함경북도에서 태어났다. 프룬제 아카데미아 출신 장교 쿠데타 모의 사건을 색출했다.[3][4] 김일성과 김정일을 보좌하였으며, 특히 김정일이 주도한 선군정치를 실무 지휘했다.[5][6] 군 경력 이외에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2번 지냈다.[7] 2003년 보위사령관에서 해임되었으며, 2004년 건강 악화로 사망하였다.[8][9]
원응희는 군인 및 정치인으로서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1983년 조선인민군 소장으로 진급했고, 5년 후 당 중앙위원회 후보 위원이 되었다.[1] 1990년 제9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대의원으로 처음 선출되어 공군사령부 정치위원을 역임했다.[1] 같은 해 중장으로 진급, 인민무력부 부장이 되었다. 이듬해 대장으로 진급, 조선로동당 중앙위원이 되었다.[1] 1992년 군사보안사령부 사령관에 임명되었다.[1] 1994년 7월 대장 계급을 받았으며, 김일성 사망 후 장례 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1995년 12월, 인민무력부 방위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년 후, 제6군단이 김정일을 몰아내려는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김정일의 호위사령부가 정보를 입수하여 진압했다.[2] 이후 원응희가 이끌던 군사보안사령부는 세력을 잃었다. 원응희는 제10기 최고인민회의 선거에서 재선되었지만 김정일로부터 소외되었다. 2003년 퇴임했으며, 2004년 5월 15일 간암으로 사망했다.
3. 경력
연도 직책 1983년 10월 조선인민군 소장 1988년 3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1] 1990년 4월 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 공군사령부 정치위원, 인민무력부 보위국장, 인민군 중장[1] 1991년 12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인민군 상장[1] 1992년 ~ 1993년 인민군 총참모부 보위국장[1] 1994년 7월 인민군 대장, 국가장의위원회 위원[1] 1995년 12월 인민무력부 보위사령관[1] 1998년 9월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
1996년 제6군단 쿠데타 진압 이후 김정일로부터 소외되었으며, 2003년에 은퇴했다. 2004년 5월 15일 간암으로 사망했다.
3. 1. 군 경력
원응희는 1983년에 조선인민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5년 후인 1988년 3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이 되었다.[1] 1990년 4월에는 제9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 공군사령부 정치위원을 맡았다.[1] 같은 해, 인민무력부 보위국장 및 인민군 중장으로 진급했다.[1]
1991년 12월,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인민군 상장으로 진급했다.[1] 1992년부터 1993년까지는 인민군 총참모부 보위국장을 역임했다.[1] 1994년 7월, 인민군 대장으로 진급했으며, 김일성 사망 이후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1]
1995년 12월, 인민무력부 보위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 1996년, 제6군단이 김정일을 몰아내려는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호위사령부가 정보를 입수하여 진압에 성공했다.[2] 이 사건 이후, 원응희가 이끌던 군사보안사령부는 세력을 잃었고, 원응희는 김정일로부터 소외되었다.[2]
3. 2. 정치 경력
원응희는 1983년에 조선인민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1988년 3월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이 되었다.[1] 1990년 4월, 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 공군사령부 정치위원과 인민무력부 보위국장을 맡았으며, 계급은 중장으로 진급했다.[1]
1991년 12월에는 당 중앙위원회 위원 및 상장으로 진급했고,[1] 1992년부터 1993년까지는 인민군 총참모부 보위국장을 역임했다. 1994년 7월, 인민군 대장으로 진급했으며, 김일성 사망 후에는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1]
1995년 12월, 원응희는 인민무력부 보위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96년에는 제6군단이 김정일을 몰아내려는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호위사령부가 정보를 입수하여 진압에 성공했다.[2] 이 사건 이후, 원응희가 이끌던 군사보안사령부는 세력을 잃었고, 원응희는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으로 재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김정일로부터 소외되었다.
4. 주요 사건
원응희는 프룬제 아카데미아 출신 장교 쿠데타 모의 사건을 색출하고[3][4], 제6군단 사건을 진압하는 등 주요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김일성과 김정일을 보좌하였으며, 특히 김정일이 주도한 선군정치를 실무 지휘하였다.[5][6]
4. 1. 프룬제 아카데미아 출신 장교 쿠데타 모의 사건 색출
프룬제 아카데미아 출신 장교 쿠데타 모의 사건을 색출하였다.[3][4]4. 2. 제6군단 사건 진압
1995년 12월, 원응희는 인민무력부 방위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년 후, 제6군단이 김정일을 몰아내려는 쿠데타를 일으켰다. 김정일의 호위사령부는 정보를 입수한 후 쿠데타 시도를 성공적으로 진압했다.[2] 이후 원응희가 이끌던 군사보안사령부는 세력을 잃게 되었다. 동시에 원응희는 제10기 최고인민회의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김정일로부터 소외되었다.5. 사망
2003년 원응희는 보위사령관에서 해임되었으며,[8][9] 2004년 5월 15일 간암으로 사망했다.[9]
참조
[1]
웹사이트
원응희
http://nk.chosun.com[...]
[2]
뉴스
峰會移轉國際注意力 掩飾黃海戰敗之恥
http://forums.chinat[...]
中國時報
2000-06-12
[3]
웹인용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3-11-08
[4]
웹인용
"[김씨 일가의 실체] 무력부 보위사령부 원응희 사령관의 비참한 최후"
https://www.rfa.org/[...]
2023-11-08
[5]
웹인용
"[국정원 공개 북한자료 인터넷 게재 내용]"
https://www.joongang[...]
2023-11-08
[6]
웹인용
"[북한 움직이는 파워엘리트]"
https://www.joongang[...]
2023-11-08
[7]
웹인용
북한군 간부 대의원 대거 탈락
http://www.tongilnew[...]
2023-11-08
[8]
웹인용
북한 보위사령관 원응희 대장 사망
http://www.joongang.[...]
2023-11-08
[9]
웹인용
NK조선
http://nk.chosun.com[...]
2023-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