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레아이 환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레아이 환초는 숫자 8자 모양의 이중 환초로, 미크로네시아 연방에 속하며, 총 육지 면적은 4.5km²이다. 오스트로네시아족의 정착 이후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요새화했으나 연합군의 공격과 보급 부족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이후 미국의 통치를 거쳐 1979년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재 월레아이 고등학교와 월레아이 민간 비행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프주의 섬 - 야프섬
야프섬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에 속한 네 개의 섬으로, 열대우림 기후와 독특한 돌 화폐 라이로 유명하며, 스페인, 독일, 일본을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 후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일원이 되었고, 뛰어난 항해술과 카스트 제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중심의 섬이다. - 야프주의 섬 - 울리시 환초
울리시 환초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야프 주에 속하며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인 넓은 석호를 품고 있는 환초로, 어업과 관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과 미군의 주요 거점으로서 전략적 중요성을 지녔던 곳이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환초 - 카핑아마랑이 환초
카핑아마랑이 환초는 토우호우 섬, 웰루아 섬, 타링아 섬 등으로 이루어진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환초로서, 과거 스페인 영유권 주장이 있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해군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주민들은 카핑아마랑이어를 사용한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환초 - 울리시 환초
울리시 환초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야프 주에 속하며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인 넓은 석호를 품고 있는 환초로, 어업과 관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과 미군의 주요 거점으로서 전략적 중요성을 지녔던 곳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월레아이 환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월레아이 환초 |
현지어 이름 | Weleya |
위치 | 북태평양 |
소속 국가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행정 구역 | 야프 |
지리 | |
군도 | 캐롤라인 제도 |
섬 개수 | 18개 |
면적 | 4.5km² |
해안선 길이 | 해당 없음 |
최고 고도 | 2m |
![]() | |
![]() | |
인구 | |
인구 (2000년) | 1,081명 |
민족 | 미크로네시아인 |
기타 정보 | |
거리 | 야프에서 남동쪽으로 이가리크 환초에서 북쪽으로 |
역사 | |
제2차 세계 대전 | USS Mississinewa 침몰 USS Sloat에 의한 월레아이 항복 접수 |
2. 지리
월레아이는 숫자 8자 모양의 이중 환초로, 총 길이는 11.5km이고 최대 너비는 7km이다. 남쪽 가장자리는 대부분 잠겨 있거나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다. 북쪽과 동쪽 가장자리에는 비교적 큰 섬들이 여러 개 있다. 서쪽 석호는 동쪽 석호보다 더 깊고 크다. 두 부분 모두 동일한 해산의 일부이다. 총 육지 면적은 4.5km2에 불과하다.[4]
오스트로네시아족 계통의 미크로네시아인들은 기원후 0년에서 200년 사이에 캐롤라인 제도에 도착했다. 월레아이 언어를 사용하는 일부 주민들은 1913년 이전에 월레아이 문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월레아이는 문화적으로 독특했다. 월레아이는 약 1500년경부터 야프 제국의 조공국이 되었다.
동서 8km, 남북 5km 구역 내에 점재하며, 각 섬의 해발 고도는 1m에서 3m이다.[14]
3. 역사
1686년 스페인 제국이 월레아이를 지배하기 시작했고, 다른 캐롤라인 제도와 함께 스페인령 동인도의 일부로 통치했다. 1899년 스페인은 이 섬들을 독일 제국에 매각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인 1914년, 일본 제국은 월레아이를 포함한 태평양의 독일 영토를 점령했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국제 연맹의 위임통치를 받아 일본은 남양 군도 위임통치령의 일부로 월레아이를 관리했다.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마리아나 제도에 접근하자, 일본은 월레아이를 요새화했다. 일본군에서는 월레아이 환초를 '''메레욘 섬'''이라 불렀다.[12] 절대 국방권 강화를 위해 1944년경부터 병력을 증강했다. 당시 잔류 섬 주민 120명은 남서단의 플라리스 섬에 격리되었다.[15] 1944년 7월 사이판 섬 옥쇄 이후 보급이 끊기면서, 병사들은 기아에 시달렸다.[12][16] 결국 일본군 수비대는 기아로 인해 사실상 전멸했으며 (수비대 약 7000명 중 약 5000명 전사), 싸우지 않고 옥쇄한 비극의 섬이라고 불리고 있다.[16][17]
1946년 아베 요시나리 문부대신은 잡지 『세계』 2월호에 「메레욘 섬의 비극」이라는 기사를 발표, 메레욘 섬 생존자의 편지를 인용하면서 "일본군 장교는 식량을 독점하여 거의 전원이 복원했다"고 언급했다.[70] 현직 문부대신의 집필이기에 반향이 매우 커서 복원국 법무조사부가 조사를 시작했으나, 전황으로 인해 위반자에 대한 처벌은 부득이하며 장교에게 책임을 물을 근거도 없고 위법성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19] 같은 해 7월 18일, 메레욘 섬 해군 측 지휘관 미야타 요시노부 해군 대좌는 자결했다.[18] 최고 지휘관 기타무라 가쓰조 육군 소장은 유족 방문을 1년이 걸려 마치고, 1947년 8월 15일에 자결했다.[7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환초는 미국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미국은 1947년부터 1979년까지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의 일부로 월레아이를 관리했으며, 1979년에 월레아이는 독립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5]
일본 항복 후, 1945년 9월 17일 미군과 병원선 다카사고마루가 메레용섬(월레아이 환초의 일부)에 도착하여 일본군의 무장 해제가 이루어졌다.[63][64][65] 9월 20일, 다카사고마루는 생존자 전원을 수용하고 출항하여,[66][67] 9월 25일 벳푸시에 도착, 다음날 전원이 하선하였다.[18][68] 육군 786명, 해군 약 840명이 복원되었으며, 10월 17일에 잔무 처리가 완료되었다.[18] 일본 방위청 조사에 따르면, 월레아이에 배치된 일본군 6,426명(육군 3,205명, 해군 3,221명) 중 4,800명(육군 2,419명, 해군 2,381명)이 사망하고 1,626명(육군 786명, 해군 840명)이 생환했다.[69]
종전 후, 메레용 섬 수비대 관계자들은 6차례에 걸쳐 메레용 섬을 방문하여 유골 수집 등을 실시했다.[72] 1966년에는 빈고 고코쿠 신사에, 1974년에는 삿포로시에, 1982년에는 메레용 섬에 위령비가 건립되었다.[75][76][77]
3. 1. 미크로네시아인의 정착과 야프 제국의 지배
오스트로네시아족의 조상들은 기원후 0-200년경 캐롤라인 제도에 도착하여 미크로네시아인을 형성하였다. 월레아이 언어를 사용하는 일부 화자들은 1913년 이전에 월레아이 문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월레아이는 캐롤라인 제도에서 문화적으로 독특했다. 월레아이는 약 1500년경부터 야프 제국의 조공국이 되었다.[5]
3. 2. 스페인과 독일의 식민 통치
스페인 제국은 1686년에 월레아이를 지배하기 시작했으며, 캐롤라인 제도의 다른 섬들과 함께 스페인령 동인도의 일부로 통치했다. 1899년, 스페인은 이 섬들을 독일 제국에 매각했다.[5]
3. 3. 일본의 위임 통치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인 1914년, 일본 제국이 월레아이를 포함한 태평양의 독일령을 점령했다.[5]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국제 연맹 위임통치령이 되어 일본이 남양 군도 위임통치 하에 월레아이를 관리했다.[5]
3. 4. 제2차 세계 대전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이 마리아나 제도에 접근하면서, 일본 제국 육군 제50 독립 혼성 여단과 일본 제국 해군 제44 기지 경비대 및 제216 기지 건설대 소속의 6,426명의 병력이 월레아이를 강력하게 요새화했다.[5] 일본군은 울프 섬렛을 완전히 평평하게 만들고 월레아이 비행장을 건설했으며, 월레아이 섬렛 남서쪽에 수상 비행기 정박지를, 서쪽의 마리아온 섬에 기상 관측소를 설치했다.[5]
1945년 중반까지 연합군 항공기는 여러 차례 환초와 군사 시설을 폭격하여 일본군 수비대를 지하로 몰아넣고 보급품과 증원군으로부터 고립시켰다.[5] 1945년 9월 2일 일본의 항복 당시, 초기 일본 수비대 6,426명 중 1,650명만이 생존했으며, 나머지는 대부분 연합군의 공습보다는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다.[5] 미국 해군의 호위 구축함은 1945년 9월 17일에 생존한 일본군을 구조했다.[5]
일본군에서는 월레아이 환초를 '''메레욘 섬'''이라고 불렀다.[12] 절대 국방권 강화를 위해 1944년경부터 병력을 증강했다. 당시 잔류 섬 주민 120명은 남서단의 플라리스 섬에 모여 격리되었다.[15] 1944년 7월 사이판 섬 옥쇄 이후 보급이 끊기면서, 병사들은 기아에 시달렸다.[12][16] 결국 일본군 수비대는 기아로 인해 사실상 전멸했으며 (수비대 약 7000명 중 약 5000명 전사), 싸우지 않고 옥쇄한 비극의 섬이라고 불리고 있다.[16][17]
1946년 아베 요시나리 문부대신은 잡지 『세계』 2월호에 「메레욘 섬의 비극」이라는 기사를 발표, 메레욘 섬 생존자의 편지를 인용하면서 "일본군 장교는 식량을 독점하여 거의 전원이 복원했다"고 언급했다.[70] 현직 문부대신의 집필이기에 반향이 매우 커서 복원국 법무조사부가 조사를 시작했다.[70] 조사 결과, 전황으로 인해 위반자에 대한 처벌은 부득이하며, 장교에게 책임을 물을 근거도 없고, 위법성은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19]
같은 해 7월 18일, 메레욘 섬 해군 측 지휘관 미야타 요시노부 해군 대좌는 자결했다.[18] 최고 지휘관 기타무라 가쓰조 육군 소장은 유족 방문을 1년이 걸려 마치고, 1947년 8월 15일에 자결했다.[71]
3. 5. 전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월레아이는 미국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미국은 1947년부터 1979년까지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의 일부로 월레아이를 관리했으며, 1979년 월레아이는 독립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5]
일본 항복 후, 1945년 9월 17일 미군과 병원선 다카사고마루가 메레용섬(월레아이 환초의 일부)에 도착하여 일본군의 무장 해제가 이루어졌다.[63][64][65] 9월 20일, 다카사고마루는 생존자 전원을 수용하고 출항하여,[66][67] 9월 25일 벳푸시에 도착, 다음날 전원이 하선하였다.[18][68] 육군 786명, 해군 약 840명이 복원되었으며, 10월 17일에 잔무 처리가 완료되었다.[18]
일본 방위청 조사에 따르면, 월레아이에 배치된 일본군 6,426명(육군 3,205명, 해군 3,221명) 중 4,800명(육군 2,419명, 해군 2,381명)이 사망하고 1,626명(육군 786명, 해군 840명)이 생환했다.[69]
1946년, 아베 요시나리 문부대신은 잡지 기고를 통해 메레용 섬 생존자의 편지를 인용, "장교들이 식량을 독점하여 거의 전원이 복원했다"고 언급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70] 조사 결과, 전황으로 인한 식량 통제 위반은 불가피했으며 장교에게 책임을 물을 근거가 없다는 결론이 내려졌다.[19] 같은 해, 메레용 섬 해군 측 지휘관 미야타 요시노부 해군 대좌는 자결했다.[18] 최고 지휘관 기타무라 가쓰조 육군 소장은 1947년 8월 15일에 자결했다.[71]
종전 후, 메레용 섬 수비대 관계자들은 6차례에 걸쳐 메레용 섬을 방문하여 유골 수집 등을 실시했다.[72] 1966년에는 빈고 고코쿠 신사에, 1974년에는 삿포로시에, 1982년에는 메레용 섬에 위령비가 건립되었다.[75][76][77]
4. 교육
5. 교통
야프에서 정기선 외에 격주 1편의 항공편이 운항되고 있다. 전세기도 이용 가능하다. 섬에 들어가려면 족장 회의인 '타몰 의회(Council of Tamol)'에서 입도 허가증을 발급받아야 한다.[1]
5. 1. 월레아이 비행장
'''월레아이 민간 비행장'''은 미크로네시아 연방 민간 항공국의 관리를 받으며, 팔랄라프 섬에 위치해 있다.[7][8] 얍 국제공항에서 남동쪽으로 681km 떨어져 있으며 섬의 주요 정착지에서 북동쪽으로 0.44km 떨어져 있다.[7][8]약 365.76m 활주로는 1992년 이후로 유지 보수가 되지 않았으며, 활주로의 심각한 노후화와 정부의 수리 거부 결정으로 인해 비행장은 폐쇄되었다.[7][8] 현재 활주로는 식물로 덮여 있다.[9] 비행장이 폐쇄되기 전에는 캐롤라인 제도 항공이 전세 항공편을 제공했다.[10]
활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에 의해 건설되었다. 당시에는 '''메레욘 섬'''으로 불렸으며 일본군의 기지가 되어 소규모 감시소가 설치되었다.[18] 1944년 2월 29일, 일본군 부대가 메레욘 섬에 도착, 비행장 건설을 시작했다.[18] 전쟁 후에는 잠시 미 해군 기지 월레아이로 사용되었다.[11]
5. 2. 기타
야프에서 정기선 외에 항공편이 격주 1편 운항되고 있다. 전세기도 이용 가능하다. 입도 시에는 족장 회의인 '타몰 의회(Council of Tamol)'에서 입도 허가증을 발급받아야 한다.[1]6. 전력
현재 발전 설비가 있어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 그 외에도 소형 휴대형 발전기를 갖춘 가정도 있다.
참조
[1]
encyclopedia
Woleaian-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Humanities Open Books program, a joint initiative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and the Andrew W. Mellon Foundation
2019-03-31
[2]
웹사이트
Report of the German South Pacific Expedition 1908-1910
https://web.archive.[...]
[3]
문서
Yap State Census Report, 2000
http://www.pacificwe[...]
[4]
웹사이트
Oceandots
http://oceandots.com[...]
2012-01-31
[5]
웹사이트
Japanese Surrender Woleai Atoll Uss Sloat DE 245
https://web.archive.[...]
2021-04-16
[6]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in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http://www.fsmembass[...]
Embassy of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Washington DC
2017-10-14
[7]
웹사이트
WOLEAI CIVIL AIRFIELD
https://tci.gov.fm/c[...]
2021-04-16
[8]
웹사이트
2.2.2.9 Micronesia Woleai National Airfield (Closed)
https://dlca.logclus[...]
2018-05-22
[9]
문서
Woleai Civil Airfield
https://tci.gov.fm/c[...]
[10]
간행물
JP airline-fleets international, Edition 1999/2000
[11]
문서
Woleai
https://pacificwreck[...]
[12]
문서
'#생과 사의 기록 345-347頁『일미양군에게 버려진 메레욘섬■』'
[13]
문서
'#S05남양청|쇼와5、남양군도도세조사서]]코마79〔제5도 오레아이열도〕'
[14]
문서
'#어느 군의 일기](메레욘섬 소개문)'
[15]
문서
'#생과 사의 기록](메레욘 제도병요지지図)'
[16]
문서
'#기아의 섬 1頁『경개』'
[17]
문서
'#어느 군의 일기 285頁『편집후기』'
[18]
문서
'#기아의 섬](메레욘수비대년표)'
[19]
문서
'#생과 사의 기록 347-349頁『군기와 자활과의 싸움■』'
[20]
문서
'#기아의 섬 155-158頁『도민 급여』'
[21]
문서
'#기아의 섬 167-170頁『도민과 함께 살아가』'
[22]
문서
'#생과 사의 기록 151頁『4월7일』'
[23]
문서
'#기아의 섬 47-50頁『평온했던 항해』'
[24]
문서
'#기아의 섬 50-52頁『임지、메레욘섬에』'
[25]
문서
'#생과 사의 기록](마쓰에마루보다 촬영된 메레욘섬 사진。호위의 와카타케 (구축함)|와카타케]]와 있는 것 오기〈동함은 3월30일에 침몰〉)'
[26]
문서
'#기아의 섬 3頁『4・12아침 메레욘섬에 도착』'
[27]
문서
'#기아의 섬 3頁『4・14산요마루 입항、선박대상륙』'
[28]
문서
'#기아의 섬 4頁『5.14이토참모착임 수송선단(기계선5척)입항』'
[29]
문서
'#기아의 섬 4頁『6.4수송선제1일장마루입항』'
[30]
문서
'#기아의 섬 93-94頁『기범선이 물자수송』'
[31]
문서
'#기아의 섬 5頁『7.15병원선카와마루입항』'
[32]
문서
'#빙천환시대|빙천환과 그 시대 243頁(빙천환 제19차항해、7월1일요코스카발、팔라우~트럭~메레욘~다바오~8월1일요코스카착)'
[33]
문서
'#빙천환시대|빙천환과 그 시대 244頁『메레욘섬 루오토수도에서의 촉뇌』'
[34]
문서
'#기아의 섬 109-113頁『사이판섬의 함락』'
[35]
문서
'#어느 군의 일기 72-73頁『10월28일』'
[36]
서적
第七潜水部隊の輸送作戦
[37]
서적
一月二十五日/一月二十六日
[38]
서적
一月二十五日
[39]
서적
二月十六日
[40]
서적
二月十六日
[41]
서적
5.7潜水艦入港(食糧補給)
[42]
서적
五月七日/五月八日
[43]
서적
内南洋方面離島状況調査要旨(二〇.四.一四調)軍令部
[44]
서적
伊365
[45]
서적
伊362
[46]
서적
伊371
[47]
서적
輸送潜水艦の作戦/編制の推移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ねずみを食って煙草を吸う
[51]
서적
メレヨン島上陸以来給養定糧及死亡状況表(独混50旅)
[52]
서적
[53]
서적
帰還、輸送船入港?
[54]
서적
[55]
서적
三月十一日/三月十二日
[56]
서적
特攻誘導機不時着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伊三百六十九、伊三百七十二潜
[61]
서적
[62]
서적
五月七日
[63]
서적
九月十七日
[64]
서적
9.17米駆逐艦入港 メレヨン島武装解除 病院船高砂丸入港
[65]
서적
終戦
[66]
서적
九月二十日
[67]
서적
9.20メレヨン島出発(帰還の途につく)
[68]
서적
九月二十六日
[69]
서적
メレヨン部隊戦死没者及生還者状況表
[70]
서적
[71]
문서
少将の償い(一)(二)(三)(四)
[72]
문서
メレヨン訪島記録表
[73]
문서
294頁
[74]
문서
295頁
[75]
문서
349-350頁(「鎮魂」の碑成る■)
[76]
문서
(福山護国神社慰霊碑写真)
[77]
문서
メレヨン島守備部隊年表序文
[78]
웹인용
AO-59 USS Mississinewa
https://web.archive.[...]
2020-08-28
[79]
웹인용
Surrender of Woleai
http://www.desausa.o[...]
2020-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