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림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림사는 경상북도 경주에 있는 사찰이다. 천축인 광유가 림정사로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643년 원효에 의해 재건되어 기림사로 개명되었다. 신라 시대에는 신문왕이 만파식적 피리를 얻어 돌아가는 길에 잠시 쉬어간 곳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문무왕릉 근처에 위치한다. 조선 시대에는 불교 탄압으로 폐사될 위기를 겪었으나, 이후 선종 사찰로 존속했다. 임진왜란 때는 승병과 의병의 거점이 되었고, 1863년 화재로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대적광전은 보존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 30본산으로 지정되었고, 한때 불국사의 말사였으나 현재는 그 위상이 역전되었다. 기림사에는 건칠보살반가상, 대적광전 등 다수의 보물과 유형문화재, 문화재자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림사 -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은 고려 및 조선 시대의 불교 전적 유물로, 불교 사상과 인쇄 기술,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사경, 목판본, 필사본 등을 포함한다.
  • 643년 완공된 건축물 - 월정사 (평창군)
    월정사는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에 있는 신라 시대 창건 설화가 전해지는 사찰로, 팔각 구층 석탑 등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템플스테이 프로그램과 전나무 숲으로 알려져 있다.
  • 경주시의 관광지 - 경주국립공원
    경주국립공원은 경주시 일원에 걸쳐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적과 명승지를 보유한 대한민국의 국립공원이다.
  • 경주시의 관광지 - 보문관광단지
    보문관광단지는 1975년 지정된 경상북도 경주시의 관광 단지이며, 50만 평 규모의 인공호수인 보문호를 중심으로 다양한 위락 시설과 공원 시설을 갖추고 있다.
기림사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림사 대적광전
대적광전
한글기림사
한자祗林寺
로마자 표기Girimsa
위치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호암리 419
사찰 정보
산 이름함월산
종파조계종 (화엄종 → 선종 → 조계종)
사격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 조선 31본산 (일제강점기)
본존비로자나불
창건 연도불명
창건자광유 성인
중창 연도643년 (신라 선덕여왕 12년)
중창자원효 (617년 - 686년)
별칭지림사
웹사이트기림사 공식 웹사이트
문화재
지정 문화재기림사 대웅전
기림사 약사전
기림사 진남루
기림사 응진전
기림사 삼층석탑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

2. 역사

기림사는 천축에서 온 승려 광유가 '림정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 전해지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643년(신라 선덕여왕 12년)에 원효 대사가 절을 크게 중창하고 이름을 기림사로 바꾸었다. 신라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에게 만파식적을 받아 돌아가던 길에 이곳에 들렀다는 이야기가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기림사가 문무대왕릉과 가까이 위치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억불 정책의 영향으로 1407년(태종 7년)에는 잠시 폐사되었던 것으로 보이나, 1424년(세종 6년)에는 국가 공인 사찰 36곳 중 하나로 인정받아 선종 사찰로서 명맥을 이었다(조선의 불교#조선 시대의 불교 탄압). 임진왜란 때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승병과 의병의 거점 역할을 하기도 했다. 1863년(철종 14년) 큰 화재로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1629년(인조 7년)에 지어진 대적광전 등 일부는 화를 면했다.

일제강점기1911년에는 사찰령에 의해 30본산의 하나로 지정되었고, 이후 31본산 체제에서도 그 지위를 유지했다. 당시에는 불국사가 기림사의 말사였으나, 현재는 그 관계가 바뀌었다.

2. 1. 창건과 중창

천축 출신 승려 광유가 림정사를 세운 것이 기림사의 시작으로 여겨지나,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다. 643년 (신라 선덕여왕 12년), 화엄종의 승려 원효가 절을 크게 다시 짓고 이름을 림정사에서 기림사로 바꾸었다.

신라신문왕(재위 681년692년)이 동해 바다에서 용이 된 아버지 문무왕(재위 661년 - 681년)에게 만파식적이라는 피리를 받아 궁궐로 돌아가던 중, 기림사 서쪽 냇가에서 쉬어갔다는 이야기가 『삼국유사』에 전해진다. 기림사는 문무대왕릉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조선 태종 7년인 1407년에 시행된 불교 억압 정책 당시, 국가가 존속을 허가한 88개 사찰 명단에 기림사가 포함되지 않아 폐사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세종 6년인 1424년에는 다시 존속이 허가된 36개 사찰에 포함되어 선종 사찰로서 명맥을 이었다(조선의 불교#조선 시대의 불교 탄압).

1592년(선조 25년)부터 1598년(선조 31년)까지 이어진 임진왜란 중에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어 승병과 의병들의 활동 거점이 되었다. 이 시기에 불탔다는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1863년(철종 14년)에 큰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건물이 불탔으나, 1629년(인조 7년)에 세워진 대적광전은 화를 면했다.

일제강점기1911년 7월 8일 시행된 사찰령 시행 규칙에 따라 조선 30본산 중 하나로 지정되었고, 1924년 이후에는 31본산 체제에서도 그 지위를 유지했다. 과거에는 불국사가 기림사의 말사였으나, 현재는 그 관계가 바뀌어 불국사가 본사가 되었다.

2. 2. 신라 시대

기림사는 천축에서 온 광유가 림정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세웠다고 전해지나, 정확한 창건 연도는 알 수 없다.

643년 (신라 선덕여왕 12년), 화엄종의 승려인 원효가 절을 크게 다시 짓고 이름을 림정사에서 기림사로 바꾸었다.

신라신문왕(재위 681년692년) 때의 기록도 남아있다. 신문왕은 동해 바다에서 용으로 변한 아버지 문무왕(재위 661년 - 681년)으로부터 나라의 평화를 가져다준다는 신비한 피리, 만파식적을 받아 궁궐로 돌아가던 중이었다. 이때 기림사 서쪽 냇가에서 잠시 쉬어갔다는 이야기가 『삼국유사』에 전해진다. 기림사는 문무대왕릉과 가까운 곳에 자리 잡고 있다.

2. 3. 조선 시대

조선 태종 7년인 1407년에 시행된 불교 탄압 정책으로 인해 당시 존속이 허가된 88개 사찰 명단에 기림사는 포함되지 못했고, 이 시기에 폐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세종 6년인 1424년의 불교 정책에서는 존속이 허가된 36개 사찰에 포함되어 선종 사찰 18곳 중 하나로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조선의 불교#조선 시대의 불교 탄압).

1592년(선조 25년)부터 1598년(선조 31년)까지 이어진 임진왜란 중에는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여 승병과 의병의 활동 거점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때 소실되었다는 기록은 없다.

1863년(철종 14년)에 큰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다. 하지만 1629년(인조 7년)에 건립된 대적광전은 화재를 면했다.

2. 4.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1911년 7월 8일, 조선총독부가 공포한 사찰령 시행 규칙에 따라 기림사는 전국 30개 주요 사찰 중 하나인 조선 30본산으로 지정되었다.[1] 이는 이후 1924년 31본산 체제로 개편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당시 불국사는 기림사에 속한 말사였으나, 현재는 그 위상이 바뀌어 불국사가 본사이고 기림사가 말사가 되었다.[1]

3. 문화재

기림사에는 보물 5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2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3점 등 다수의 지정 문화재가 있다. 자세한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3. 1. 보물

3. 2.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 경주 기림사 삼층석탑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4호 - 경주 기림사 응진전

3. 3.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4.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Koreatemple.net http://eng.koreatemp[...]
[2] 서적 Kore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04
[3] 웹사이트 기림사 祈林寺 (Girimsa) http://100.nate.com/[...] 2009-07-31
[4] 웹사이트 Extra programs http://isasc.kimm.re[...]
[5] 웹사이트 Major tour sites http://www.ktd.co.kr[...]
[6] 웹사이트 KOREA Trip Tips http://www.koreatri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